KR20160139146A -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146A
KR20160139146A KR1020150073506A KR20150073506A KR20160139146A KR 20160139146 A KR20160139146 A KR 20160139146A KR 1020150073506 A KR1020150073506 A KR 1020150073506A KR 20150073506 A KR20150073506 A KR 20150073506A KR 20160139146 A KR20160139146 A KR 2016013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concrete structur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member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199B1 (ko
Inventor
이상윤
송재준
이정미
황윤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인접한 쉬스를 연결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연속 연결시킬 수 있으며, 실링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충전되는 충진재를 효과적으로 실링시킬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격공간을 정밀하게 확보할 수 있는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SHEATH CONNECTING MEMBER AND PRECAST PRESTRESS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인접한 쉬스를 연결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연속 연결시킬 수 있으며, 실링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충전되는 충진재를 효과적으로 실링시킬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격공간을 정밀하게 확보할 수 있는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PSC 거더와 같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쉬스(33)의 연결방법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PSC 거더(A)는 교각과 같은 연속지점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거치된 상태에서, PSC 거더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PC 강선이 상기 연속지점부 상부를 경유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PSC 거더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PC 강선(31)은 PSC 거더 내부에 미리 배치된 쉬스(33)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되는데 연속지점부 상부에서 PC 강선이 경유하도록 연속지점부 쉬스(11)를 설치하되 연속지점부 쉬스(11)는 PSC 거더에 미리 배치된 쉬스(33)들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쉬스(33)와 연속지점부 쉬스(11)를 서로 밀실하게 연결시키지 않으면 추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타설할 때, 쉬스들 내부에 충진재가 스며들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도 1과 같이 PSC 거더 상부에 쉬스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B, 일종의 노치부)을 별도로 형성하여 수작업으로 연속지점부 쉬스(11)를 연결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충진재 물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연속지점부 쉬스(11)를 연결하기 위한 시간과 품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작업공간(B)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실링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스티로폼은 부착력 또는 재료의 강도가 낮아서 충진재를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스티로폼이 탈락하게 되어 쉬스 내부로 다량의 충진재가 새어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충진재가 쉬스에 새어들어가 경화되면 쉬스에 PC 강선의 삽입에 방해가 되며 추후 쉬스에 충전되는 모르타르등과 불연속적인 경계면이 발생하게 되어 PC 강선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한 정밀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부위에 있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위에 있어 인접한 쉬스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위에 충진재를 충전시킬 때 보다 안정적인 실링 및 쉬스 내부로 충진재가 스며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안정적으로 세팅하면서도, 인접한 쉬스를 서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쉬스연결부재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쉬스연결부재는 인접한 쉬스 일측 내면으로 삽입되는 쉬스관입부와 상기 쉬스관입부의 일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확장머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쉬스연결부재는 일종의 고무 마개처럼 쉬스에 관입되어 확장머리부가 쉬스 주위에 배치되어 확장머리부의 두께에 의하여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격공간을 조정하게 된다.
둘째, 상기 쉬스연결부재의 상기 쉬스관입부는 쉬스에 관입시킴에 따라 쉬스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장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시켜 쉬스관입부와 확장머리부의 연결부위는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부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상기 확장머리부의 배면부와 전면부에는 홈 형성으로 인한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단부면에 밀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고무재질의 확장머리부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매끈하게 마감되지 않은 콘크리트 연결단부면과의 밀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넷째, 상기 확장머리부의 내경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링 된 내경을 가지도록 하되 외측 외경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쉬스 내부에 PC 강선을 삽입할 때,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차에 의하여 PC 강선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다섯째,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단부면은 전단키, 전단홈 형태로 가공되어 모르타르,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충전되는데 실링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연결단부면에 실링홈을 형성시키고 실링부재를 상기 실링홈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실링부재는 실림홈에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시키고 역시 실링홈과 연결단부면이 매끄럽지 않아 밀착되지 않을 수 있어 변형이 용이하도록 실링홈과 연결단부면과 접하는 외측면은 홈 형성에 의하여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특히 중간 절결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링홈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여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이 매우 용이하게 되며, 시공오차 등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흡수하여 쉬스 내부에 PC 강선 삽입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쉬스연결부재는 고무재질로 쉬스에 간단하게 관입 장착하는 것으로 설치도 간단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들을 밀착시킬 수 있으며, 쉬스연결부재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간격조절 및 쉬스연결 기능을 함께 가지도록 하면서 쉬스 내부로 충진재가 스켜들이 않는 역할도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링부재를 함께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쉬스연결부위 충진재 실링도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거더)의 쉬스연결부재의 설치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쉬스연결부재의 절개 사시도 및 설치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의 사시도 및 설치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쉬스연결부재와 실링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쉬스연결부재(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쉬스연결부재(100)의 절개사시도 및 설치사시도이다.
상기 쉬스연결부재(100)는 서로 인접하여 연결단부면(240)이 이격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에 미리 내부에 설치된 쉬스(210)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들(200a,200b)의 이격공간(S1)을 가지도록 세팅하는 기능과
서로 연결된 쉬스(210) 내부로 충진재(400)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쉬스연결부재(100)는 도 2a와 같이 쉬스관입부(110)와 상기 쉬스관입부의 일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확장머리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탄성을 가진 부재로서, 쉬스관입부(110)가 쉬스(210) 내부로 삽입되어 밀착되며, 확장머리부(120)가 쉬스(210) 주위 연결단부면(240)에 일측면(121)이 접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쉬스관입부(110)는 쉬스(210)의 직경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직경이 정해지는데 내측직경(d1)은 동일하지만 외측직경(d2)은 쉬스관입부(110)의 연장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쉬스관입부(110)의 선단부 외측직경(d2)이 확장머리부 연결부의 직경(d4)보다 작게 형성되어 관입도 용이하고 쉬스(210) 내부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통상 사용되는 쉬스(210) 직경은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쉬스관입부(110)의 내측 및 외측직경을 정하면 되는데 쉬스는 얇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외측직경을 선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하여 즉 두께가 작아지는 테이퍼링된 외측직경(d3)을 가지게 된다.
이에 내측직경(d1)은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여 PC 강연선 삽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쉬스관입부(110)는 고무재질이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고 있어 쉬스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확장머리부(120)는 쉬스관입부(11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환형 머리부로서 연결단부면(240)에 일측면(121)이 접하도록 세팅된다.
이러한 확장머리부(120)는 쉬스관입부(110)의 외측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두께에 따라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이격공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을 체인블럭등을 이용하여 초기 세팅한 뒤, 확장머리부(120)와 접하도록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을 세팅하게 되면 이격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면(121)과 타측면(122)에는 홈을 형성시켜 돌기부(123)가 형성되도록 하게 되는데 양 돌기부(123)들은 도 2b와 같이 연결단부면(240)과 접하게 되고 콘크리트 연결단부면(240)이 매끄럽지 않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접지면적이 넓어지면서 밀착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머리부(120)의 내측직경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쉬스(210)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테이퍼링된 내측직경(d3)을 가지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확장머리부(120)의 타측면(122)의 내측직경(d4)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쉬스(21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PC 강연선(300)을 쉬스에 삽입할 때 쉬스연결부재(100) 내부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 세팅 시 시공오차등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즉, 쉬스의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직선상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PC 강연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확장머리부(120)가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연결단부면에 일측면과 타측면이 접하도록 형성되어 도 2b와 같이 인접한 쉬스의 연결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도 3과 같이 충진재(400)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이격공간에 충전되더라도 쉬스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게 된다.
[ 본 발명의 실링부재(500) ]
도 3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500)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는 서로 인격되어 이격공간(S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이격공간에 앞서 살펴본 쉬스연결부재(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격공간(S1)의 연결단부면(240)에는 전단홈(22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단홈(220)과 이격공간(S1)는 충진재(400)가 충진되어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을 서로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충진재(400)는 이격공간(S1) 상부에서 충진시키게 되는데 만약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연결단부면 하부를 막아 놓지 않으면 충진재(400)가 누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상기 충진재(400)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5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실링부재(500)는 연결단부면 사이에 설치되므로 역시 탄성을 가지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제작한 블록 형태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실링부재(500)를 단순 설치하게 되면 실링기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연결단부면(240) 하부에 실링홈(230)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실링홈(230)에 실링부재(500)의 일측면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500)는 실링홈(230)에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시키고 역시 실링홈과 연결단부면이 매끄럽지 않아 밀착되지 않을 수 있어 변형이 용이하도록 실링홈과 인접한 연결단부면과 접하는 외측면들(510)은 홈 형성에 의하여 돌기부(520)가 형성되도록 하되, 특히 중간 절결홈(530, 일측 외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연장된 관통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링홈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실링부재(500)는 그 설치 및 실링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일체화에 기여하게 된다.
[ 본 발명의 쉬스연결부재와 실링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쉬스연결부재(100)와 실링부재(50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또는 빔부재등이 될 수 있으며 교량용 거더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은 내부에 쉬스(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은 제작, 운반 및 설치를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제작될 수 밖에 없고,
이에 쉬스(210)에 PC 강연선(300)을 삽입하여 양 단부를 긴장 및 정착시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을 서로 압착시키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연결부위는 이격공간(S1)이 형성되도록 세팅하게 되는데 체인블럭 등을 이용하더라도 일정한 이격공간(S1)을 세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정밀 시공이 쉬운일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a와 같이 먼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을 서로 인접하도록 초기 세팅한 다음 앞서 살펴본 쉬스연결부재(100)를 일측 쉬스(210)에 관입시키게 된다.
이에 쉬스관입부(110)는 쉬스 내측면에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확장머리부(120)는 연결단부면(240)에 역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연결단부면(240) 하부에 미리 형성된 실링홈(230)에 앞서 살펴본 실링부재(500)를 끼워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쉬스연결부재(100)가 설치되지 않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의 연결단부면(240)이 확장머리부(12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세팅하게 되며, 이에 실링부재(500)의 타측면도 역시 상기 연결단부면(240)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상기 쉬스연결부재(100)와 실링부재(500)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일정한 압착 변형이 일어날때까지 세팅하는 것 만으로 일정한 이격공간(S1)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일정한 이격공간(S1)을 가지도록 하면서 인접한 쉬스(210)가 확장머리부(1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쉬스는 서로 이격공간에서 확장머리부에 의하여 연통되어 PC 강연선의 삽입도 매우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이격공간(S1)에 충진재(400)를 충전시키게 되며 이에 실링부재(500)에 의하여 달리 하부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으며, 쉬스(210) 내부에도 충진재(400)가 스며들지 않고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을 일체화 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d와 같이 PC 강연선(300)을 인접한 쉬스(210)와 확장머리부(120)를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미도시된 인장잭등을 이용하여 긴장 후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쉬스(210)도 모르타르등을 충진시켜 쉬스 내부를 마감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쉬스연결부재
110: 쉬스관입부
120: 확장머리부
200a,200b: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210: 쉬스
220: 전단홈
230: 실링홈
300: PC 강연선
400: 충진재
500: 실링부재

Claims (15)

  1.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이격공간(S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노출된 쉬스(2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되어 관입되는 관 형태의 쉬스관입부(110); 및
    상시 쉬스관입부(11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머리부로서, 일측면(121)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연결단부면(240)에 접하고, 타측면(122)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확장머리부(120);를 포함하는 쉬스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머리부(120)는 쉬스관입부(110)의 외측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있어 상기 두께에 따라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이격공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머리부(120)의 타측면(122)의 내측직경(d4)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쉬스(21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PC 강연선(300)을 쉬스에 삽입할 때 쉬스연결부재(100) 내부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머리부(120)는 쉬스관입부(11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머리부로서,
    상기 선단부로부터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링된 내측직경을 가지며, 일측면(121)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연결단부면(240)에 접하고, 타측면(122)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확장머리부(120);를 포함하는 쉬스연결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관입부(110)의 내측직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측직경은 쉬스관입부(110)의 연장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테이퍼링된 외측직경(d2)을 가지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연결부재(100)는 고무재질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쉬스 및 연결단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머리부(120)의 일측면(121)과 타측면(122)에는 돌기부(123)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돌기부(123)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연결단부면(240)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에 접하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S1) 상부에서 충진되는 충진재(400)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연결단부면 하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일측면(510) 및 타측면(520)에 돌기부(530)가 형성된 실링부재(5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실링부재(500)는 연결단부면 사이에 설치되므로 탄성을 가지도록 고무재질로 제작한 블록 형태를 이용하는 쉬스연결부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500)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연결단부면(240) 하부에 형성된 실링홈(230)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실링홈(230)에 실링부재(500)의 돌기부(530)가 형성된 일측면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500)에는 중간 절결홈(540)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링홈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쉬스연결부재.
  11. (a)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이 서로 이격공간(S1)이 형성되도록 세팅하는 단계;
    (b)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에 형성된 쉬스(210)에 제 1항의 쉬스연결부재(100)의 쉬스관입부(110)가 관입되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쉬스관입부(110)의 초입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머리부로서 상기 초입부로부터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링된 내측직경을 가지며, 일측면(121)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연결단부면(240)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확장머리부(120)가 이격공간(S1)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의 연결단부면에 확장머리부의 타측면(122)이 압착되도록 세팅하여 쉬스연결부재(100)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이 서로 정해진 이격공간(S1)를 가지도록 세팅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격공간(S1)에 충진재(400)를 충전 및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쉬스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이격공간(S1) 상부에서 충진되는 충진재(400)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연결단부면 하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일측면(510) 및 타측면(520)에 돌기부(530)가 형성된 실링부재(5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실링부재(500)는 연결단부면 사이에 설치되므로 탄성을 가지도록 고무재질로 제작한 블록 형태를 이용하는 쉬스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PC 강연선(300)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의 쉬스(210)들과 확장머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하고, 긴장 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에 정착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쉬스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4. (a)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이 서로 이격공간(S1)이 형성되도록 세팅하는 단계;
    (b)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에 형성된 쉬스(210)에 제 1항의 쉬스연결부재(100)의 쉬스관입부(110)가 관입되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쉬스관입부(110)의 초입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머리부로서 상기 초입부로부터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링된 내측직경을 가지며, 일측면(121)이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의 연결단부면(240)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확장머리부(120)가 이격공간(S1)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인접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b)의 연결단부면에 확장머리부의 타측면(122)이 압착되도록 세팅하여 쉬스연결부재(100)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200a,200b)이 서로 정해진 이격공간(S1)를 가지도록 세팅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격공간(S1)에 충진재(400)를 충전 및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 쉬스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바닥판, 빔 또는 거더를 포함하는 쉬스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50073506A 2015-05-27 2015-05-27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1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06A KR101715199B1 (ko) 2015-05-27 2015-05-27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06A KR101715199B1 (ko) 2015-05-27 2015-05-27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146A true KR20160139146A (ko) 2016-12-07
KR101715199B1 KR101715199B1 (ko) 2017-03-10

Family

ID=5757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506A KR101715199B1 (ko) 2015-05-27 2015-05-27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20B1 (ko) 2019-12-06 2021-07-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부재용 간격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052A (ja) * 1991-11-22 1993-12-27 P S Co Ltd 間詰コンクリート用シースジョイント
JPH07127304A (ja) * 1993-10-30 1995-05-16 Hatsumi Sangyo Kk Pc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324330A (ja) * 2003-04-28 2004-11-18 Takenaka Komuten Co Ltd Pcプレキャスト部材の目地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管
KR20050098608A (ko) * 2004-04-08 2005-10-12 삼성물산 주식회사 금속 커튼월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052A (ja) * 1991-11-22 1993-12-27 P S Co Ltd 間詰コンクリート用シースジョイント
JPH07127304A (ja) * 1993-10-30 1995-05-16 Hatsumi Sangyo Kk Pc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324330A (ja) * 2003-04-28 2004-11-18 Takenaka Komuten Co Ltd Pcプレキャスト部材の目地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管
KR20050098608A (ko) * 2004-04-08 2005-10-12 삼성물산 주식회사 금속 커튼월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199B1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6786B2 (ja) Pcプレキャスト部材の目地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管
US9879804B2 (en) Duct coupler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6083702B2 (ja) Pc鋼材の接続方法及び橋梁の拡幅方法
US10738422B2 (en) Cable anchorage with seal element, prestressing system comprising such anchorag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tensioning a sheathed elongated element
EP2964837B1 (fr) Paroi moulee precontraint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paroi
EP2550400A1 (en) Sealing arrangement
US10113313B2 (en) Sheathing retention capsule
KR101715199B1 (ko) 쉬스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US1051965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necting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KR20180127828A (ko)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이음 구조체 및 철근 이음 방법
KR1016420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16098563A (ja) プレグラウトpc鋼材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緊張定着方法
JP4537225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900239B1 (ko) 방수성능이 향상된 비부착식 포스트텐션 정착구 조립체
JP201201757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6721940B2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WO2019021516A1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2020076303A (ja) シース接続具、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設置方法
KR100981577B1 (ko) 연결 앵커바를 이용한 긴장재의 정착과 접합부 걸침 설치 구조를 통한 부등침하 방지 구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유닛의 접합구조 및 이러한 접합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박스 암거
JP2007046415A (ja) 目地止水用シール材及び目地止水方法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2319941B1 (ko) 거푸집 플랫타이 마감구 및 벽체 시공방법
JP200307288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4798570B2 (ja) 継手構造体
JP4716311B2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部分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