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430A -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 - Google Patents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430A
KR20160138430A KR1020167026683A KR20167026683A KR20160138430A KR 20160138430 A KR20160138430 A KR 20160138430A KR 1020167026683 A KR1020167026683 A KR 1020167026683A KR 20167026683 A KR20167026683 A KR 20167026683A KR 20160138430 A KR20160138430 A KR 20160138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island
syringe
coating lay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아베
츠토무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5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4Cap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Abstract

시린지용 개스킷(1)은, 코어부(2)와, 코어부(2)의 적어도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3)을 구비한다. 피복층 형성 부위는, 코어부(2)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고, 피복층(3)에 의하여 외면층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3)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며, 개스킷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다.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 {SYRINGE GASKET AND SYRINGE EQUIPPED WITH SAID GASKET}
본 발명은, 안정된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약제 오인이나, 원내 감염의 방지, 폐기성, 병원 업무의 효율화 등의 이유에서 약액을 미리 충전한 프리필드 시린지가 사용되고 있다. 프리필드 시린지에 사용되는 시린지에 관계없이 시린지는, 일반적으로, 외통과, 시린지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개스킷과, 이 개스킷을 이동 조작하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있다. 시린지의 대부분은, 개스킷의 미끄럼 이동성을 높여, 약액의 토출에 큰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높은 유동 정밀도를 얻기 위하여, 개스킷의 외면의 미끄럼 이동부 또는 시린지의 내면에 실리콘 오일 등이 윤활제로서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약액에 따라서는 이 실리콘 오일 등의 윤활제와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약액을 충전 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하면, 당해 상호 작용에 의하여 약액이 변질되어 버리기 때문에, 프리필드화가 곤란한 약제도 있다.
특히, 약액을 충전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하는 프리필드 시린지에 있어서는, 약액의 안정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윤활제 불요의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소62-32970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2-089717호 공보, 미국 특허 제7111848호 공보) 등, 개스킷의 표면을 코어부 재료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료인 불소계 수지로 피복함으로써, 윤활제를 요하지 않게 한 프리필드 시린지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제5394256호(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시린지의 플라스틱제 외통 내를 액체 밀봉식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형성된 개스킷이며, 개스킷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적어도 상기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피복층은, 양 말단 실란올기를 갖는 반응성 실리콘의 축합물을 포함하고 실란올기에 유래하는 실록산 결합을 갖는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함과 함께 고체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2-329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089717호 공보, 미국 특허 제7111848호 공보 일본 특허 제5394256호
상기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소62-32970호 공보) 및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2-089717호 공보, 미국 특허 제7111848호 공보)에 나타난 개스킷은,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압력을 가하여 약액을 토출시키거나, 시린지 펌프 등을 사용하여 약액을 극히 높은 정밀도로 장시간에 걸쳐 소량씩 안정적으로 토출시키는 성능이 요구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있어서는, 시린지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본 성능인 액체 밀봉성과 미끄럼 이동성이 여전히 상반된 관계에 있다. 이들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킴과 함께, 한층 더 높은 기능을 갖는 시린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시린지 펌프를 사용한 약액 투여에 있어서는,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극저속 조건 하(예를 들어, 직경 약 24㎜의 시린지에 있어서, 1mL/시간으로 토출시켰을 경우의 이동 속도는 약 2㎜/시간 정도임)에 있어서 약액을 토출시켰을 경우, 맥동이라고 칭해지는 불안정한 토출의 상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약액의 정확한 투여가 방해받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개스킷은, 액체 밀봉성을 구비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제를 부여하지 않고, 안정된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가 검토한 바, 피복층으로서,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제를 부여하지 않고 안정한 미끄럼 이동성을 갖고, 또한, 미끄럼 이동성 부여를 위한 피복층이 층내 파단되는 일이 극히 적은 개스킷, 및 그것을 구비한 시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이하의 것이다.
시린지의 외통 내를 액체 밀봉식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용 개스킷이며,
상기 개스킷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적어도 상기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층 형성 부위는, 상기 코어부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고, 상기 피복층에 의하여 외면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복층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며, 또한 상기 피복층은,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상기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상기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이고, 또한, 상기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는 것인, 시린지용 개스킷.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이하의 것이다.
외통과, 해당 외통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상기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설치된, 혹은 설치 가능한 플런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개스킷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개스킷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스킷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스킷을 사용하는 프리필드 시린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직교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도 11은 비교예의 개스킷의 피복층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개스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스킷(1)은, 시린지의 외통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개스킷이다. 개스킷(1)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코어부(2)와, 코어부(2)의 적어도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3)을 구비한다. 그리고, 피복층 형성 부위는, 코어부(2)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고, 피복층(3)에 의하여 외면층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3)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다. 또한 피복층(3)은, 개스킷(1)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스킷을 시린지용 개스킷 및 시린지에 응용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개스킷(1)은, 시린지용 개스킷(1)이며, 시린지용 외통(11)의 내부에 액체 밀봉성이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개스킷(1)은, 외통(11)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3)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피복층(3)은, 후술하는 마이크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개스킷(1)은, 코어부(2)와, 적어도 코어부(2)의 외면이며 외통 내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어부(2)의 외면 전체에 피복층(3)을 형성해도 된다.
시린지용 개스킷(1)의 코어부(2)는, 도 1,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되는 본체부(5)와, 본체부(5)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선단부측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부(6)와, 본체부(5)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하여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 설치부(4)와, 본체부(5)의 선단부 측면에 설치된 선단부측 환형 리브(7a)와, 본체부(5)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된 후단부측 환형 리브(7b)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 설치부(4)는,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의 내부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선단부 부근까지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형의 오목부로 되어 있으며, 오목부 측면에는, 플런저의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결합부(8)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의 선단부면은,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 설치부는, 나사 결합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런저의 선단부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여도 된다.
환형 리브(7a, 7b)는, 시린지용 외통(1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11) 내에서 압축 변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 리브는, 2개 설치되어 있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코어부(2)의 구성 재료로서는, 탄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각종 고무 재료(특히, 가황 처리한 것)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및 이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유동 파라핀, 프로세스 오일 등의 오일이나, 탈크, 캐스트, 마이카 등의 분체 무기물을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나, 그들 혼합물 등을 구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성 재료로서는, 특히, 탄성 특성을 갖고, γ선 멸균, 전자선 멸균, 고압 증기 멸균이 가능한 등의 관점에서 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와 같이, 코어 부재가 외통에 액체 밀봉식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환형 리브를 갖는 경우, 피복층(3)은, 적어도 환형 리브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복층(3)은, 선단부측 환형 리브(7a)와 기단부측 환형 리브(7b)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피복층(3)의 두께는, 2 내지 30㎛, 특히, 4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이상이면, 필요한 미끄럼 이동 성능을 발휘하고, 30㎛ 이하이면, 개스킷의 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실리콘계 수지로서는, 유기 용제로 용해시킨 용제계, 및 물에 유화, 분산시킨 수계 중 어느 것도 적용할 수 있지만, 개스킷 재료에의 영향의 관점, 또는 약액 수납 용기로서의 적성의 관점에서, 수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3)은, 개스킷을 코어부(1)만으로 구성한 것보다도, 마찰 계수를 낮게 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복층(3)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다. 또한 피복층(3)은, 도 6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 사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스킷(1)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개스킷(1)에 있어서의 피복층(3)은, 도 7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 사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스킷의 축 방향 직교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면상(像)에 있어서도,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피복층(3)은,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에 의하여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섬형 고화부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또한, 섬형 고화부는, 대략 원형이고, 직경이, 0.05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0.1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섬형 고화부의 면적은, 0.002 내지 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0.007 내지 0.3㎛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층(3)의 단면에 있어서의 섬형 고화부의 면적 점유율은, 8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5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형 고화부의 점유율을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피복층 전체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가 주부(主部)로 되어, 피복층(3)이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섬형 고화부와 바다형 고화부는, 물성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섬형 고화부는, 바다형 고화부보다 고탄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다형 고화부는, 섬형 고화부보다 고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대로, 바다형 고화부가 섬형 고화부보다 고탄성이고, 섬형 고화부가 바다형 고화부보다, 고강도의 것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형 고화부와 바다형 고화부를 물성이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피복층(3) 내에 있어서의 파단, 소위 층내 박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피복층(3)은, 건조에 기인하는 압축 고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에 기인하는 압축 고화물이란, 피복층(3) 형성용 액상물을 코어부(2)에 도포 후, 건조에 의한 용매의 휘발에 의하여, 도포물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조에 기인하는 압축 고화물로 함으로써, 피복층(3) 내에 핀 홀이 형성되는 일이 없고, 또한, 내용물이 응집하기 때문에, 코어부(2)와의 밀착성이 높으며, 또한, 피복층(3) 자체의 강도도 높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피복층(3)의 바다형 고화부는, 실란 커플링제 유래의 고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이면, 섬형 고화부와 확실히 결합하여, 강도가 높은 피복층(3)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복층(3)에 사용하는 실리콘계 수지는, 열경화성형 실리콘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섬형 고화부의 주 구성 성분으로 되는 반응성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열경화성형 실리콘계 수지, 상온 경화형 실리콘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열경화성형 실리콘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실리콘으로서는, 말단 실란올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반응성 실리콘은, 양 말단에 실란올기를 갖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응성 실리콘으로서, 상술한 말단 실란올기를 갖는 폴리실록산계 실리콘을 사용했을 경우, 이 반응성 실리콘의 축합물은, 주쇄 전체에 실록산 결합을 갖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말단 실란올기를 갖는 반응성 실리콘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양 말단 실란올폴리디메틸실록산, 양 말단 실란올폴리디페닐실록산, 양 말단 실란올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양 말단에 실란올기를 갖는 폴리실록산계 실리콘이 적합하다. 또한, 반응성 실리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와 같은 반응성 실리콘 실록산 화합물, 또는 그 축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수성 매체에 분산, 유화, 용해시킨 것,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비닐 단량체를 필요에 따라 다른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에멀전, 유기 중합체에 폴리실록산을 복합화시켜 이루어지는 에멀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층(3)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실란올기 또는 실록산 결합을 갖는 반응성 실리콘계 수지와 상이한 제2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알킬알콕시실란, 페닐알콕시실란, 알킬페녹시실란,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 또는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또한, 피복층(3)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알킬알콕시실란 또는 페닐알콕시실란을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하고, 또한,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 또는/및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을 제3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층(3)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알킬알콕시실란 또는 페닐알콕시실란을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하고, 또한,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을 제3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하며,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을 제4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알킬알콕시실란, 알킬페녹시실란, 페닐알콕시실란 등이 바람직하다. 알킬알콕시실란으로서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 및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기를 갖는다.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부톡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메틸sec-트리옥틸옥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n-옥틸메톡시실록산,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트리(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라우릴트리에톡시실란, 스테아릴트리메톡시실란, 스테아릴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에톡시실란, 펜틸트리메톡시실란, 펜틸트리에톡시실란, 헵틸트리메톡시실란, 헵틸트리에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노닐트리메톡시실란, 노닐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운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트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에톡시실란, 펜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펜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메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에톡시실란, 에이코실트리메톡시실란, 에이코실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알킬페녹시실란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트리페녹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또한, 페녹시알콕시실란으로서는,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또한,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메틸트리(글리시딜옥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디메틸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을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으로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또한, 제2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을 사용해도 된다.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으로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적합하다.
또한, 제2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디알릴디메틸실란, n-옥틸디메틸클로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실란계 화합물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피복층(3)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제2 및 제3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2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알킬알콕시실란, 알킬페녹시실란, 페닐알콕시실란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 또는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층(3)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제2, 제3 및 제4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2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알킬알콕시실란, 알킬페녹시실란, 페닐알콕시실란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아미노알킬알콕시실란이 바람직하고, 제4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글리시독시알킬알콕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피복층(3)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개스킷(1)은,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제를 부여하지 않고 안정된 미끄럼 이동성을 가짐과 함께, 약제 수납 공간 내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층(3)은, 개스킷(1)을,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을 동적 미끄럼 이동 저항값의 최고값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피막층을 갖는 개스킷은,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이 동적 미끄럼 이동 저항값의 최고값 이하로 되어 있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이면, 양호한 초기 미끄럼 이동을 개시할 수 있고, 또한, 과잉된 초기 이동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수성 실리콘계 수지로서는, 가교 중합체인 코어부와, 그것을 피복하는 비가교 중합체인 쉘부를 가지며, 쉘의 표면 근방에 폴리실록산을 갖는 폴리실록산 복합 수성 에멀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복층(3)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막층의 형성 방법은, 상술한 실리콘계 수지를 소정 조성으로 소정량으로 배합한 것을 정제수에 분산, 현탁시킨 피복액을 조제한다. 그리고, 이 피복액을 청정한 개스킷 표면에 대하여 도포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개스킷 표면에 도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침지법, 분무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특히, 피복 대상물을 회전(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600rpm)시킨 상태에서, 피복액을 분무 도포(스프레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무 도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개스킷의 피복 대상 부위를 60 내지 120℃ 정도로 가열 처리한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복 대상 표면에 대하여 발수되지 않고, 빠르게 피복액이 정착된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상온 방치여도 되지만, 가열 경화가 바람직하다. 가열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개스킷 기재를 변질, 또는 변형시키지 않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풍 건조, 적외선을 사용한 건조로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감압 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형성되는 피복층(3)의 두께는, 1 내지 30㎛ 정도여도 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이러한 피막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혼합액의 농도, 또는 침지 방법, 분무 방법을 적당히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하는 피복액의 조제에는, 열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를 첨가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촉매로서는, 산, 알칼리, 아민, 금속의 유기 염, 티타네이트, 보레이트가 사용되는데, 옥틸산아연, 옥틸산철, 또는 코발트, 주석, 납 등의 유기산염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주석의 유기산염으로서는,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주석, 비스(네오데카노에이트)주석, 디-n-부틸비스(2-에틸헥실말레에이트)주석, 디-n-부틸비스(2, 4-펜탄디오네이트)주석, 디-n-부틸부톡시클로로주석, 디-n-부틸디아세톡시주석, 디-n-부틸디라우릴산주석, 디메틸디네오데카노에이트주석, 디메틸히드록시(올레에이트)주석,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하는 피복액의 조제에는, 액을 균일하게 유화, 현탁, 분산시켜 두기 위하여, 계면 활성제나, 알코올 등의 첨가제를 사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음이온(아니온) 계면 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아니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어떠한 것이어도 되지만,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N-아실사르코신산염, N-아실글루탐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칸술폰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 분자쇄 알킬벤젠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N-메틸-N-아실타우린,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유지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노니온)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비이온(노니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어떠한 것이어도 되지만,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칸올아미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알칸올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린지(10)는, 외통(11)과, 외통(1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개스킷(1)과, 개스킷(1)에 설치된, 혹은 설치 가능한 플런저(17)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시린지(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주삿바늘 설치부(15)가 설치되고, 후단부에 플랜지(16)가 대향하여 설치된 시린지용 외통(11)과, 시린지용 외통(11)의 내면(12)을 액밀하고 기밀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용 개스킷(1)과, 시린지용 개스킷(1)에 설치되거나, 또는 설치 가능한 플런저(17)와, 시린지용 외통(11)의 주삿바늘 설치부(15)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18)와, 밀봉 부재(18)와 외통 내면(12)과 시린지용 개스킷(1) 사이에 형성된, 약제(26)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19)를 포함한다. 또한, 주삿바늘 설치부(15)에는, 밀봉 부재(18)가 아니라, 주삿바늘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밀봉 부재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두침을 직접 삽입 관통 가능한 자입 관통부를 갖는 타입이어도 되고,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비로소 약제의 배출이 가능해지는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개스킷(1)은, 상술한 피복층(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린지(10)에서는, 외통(11) 내에서의 개스킷(1)의 저속 미끄럼 이동 시(100㎜/min)에 있어서의 동적 미끄럼 이동 저항값이 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低)동적 미끄럼 이동 저항값은, 개스킷(1)이 상술한 피복층(3)을 가짐으로써 얻을 수 있다. 특히, 외통(11) 내에서의 개스킷(1)의 저속 미끄럼 이동 시(100㎜/min)에 있어서의 동적 미끄럼 이동 저항값은, 1N 내지 20N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의료 용구는, 프리필드 시린지(25)이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린지(10)와 약제(26)를 포함한다.
시린지용 외통(11)은, 선단부에 주삿바늘 설치부(15)가 설치되고, 후단부에 플랜지(16)가 설치된 원통형 부재이다. 시린지용 외통(1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소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이 적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성 재료로서는, 110℃ 이상의 유리 전이점, 또는 융점을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11)의 형성 재료로서는, 범용되는 각종 경질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4-메틸펜텐-1),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비정질성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비정질성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비정질성 폴리에테르이미드가 투명성, 열 멸균 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배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제를 수납 가능한 용기에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유리를 형성 재료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17)는, 단면 십자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20)와, 플런저 설치부(4)와 나사 결합하는 플런저(17)의 선단부에 설치된 플런저측 나사 결합부(21)와, 플런저측 나사 결합부(21)와 본체부(20) 사이에 설치된 원반형 개스킷 가압부와, 본체부(20)의 후단부에 설치된 가압용 원반부(22)와, 본체부(20)의 도중에 설치된 원반형 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시린지(10)의 내부에는, 약제(26)가 수납되어 있다. 약제(26)로서는, 액제여도, 분말제나 동결 건조제 등의 고형제여도 되지만, 난수용성, 흡착성이 높은 약액,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저점조이고 침투력이 높은 약액 등을 수납했을 경우, 실리콘 오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피복층(3)을 수납된 약제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했을 경우에는 약제 흡착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17) 및 밀봉 부재(18)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염화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경질 또는 반경질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부틸 고무를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형상의 시린지용 개스킷의 코어부를 제작하였다. 코어부의 형성은, 부틸 고무에 첨가제를 배합한 가황성 고무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행하였다. 얻어진 코어부의 형상은, 길이 20㎜,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 환형 리브 부분에서의 외경 23.7㎜, 선단부측 환형 리브 중앙과 후단부측 환형 리브 중앙 간의 길이 10㎜, 선단부측 환형 리브와 후단부측 환형 리브 간의 동일한 외경 부분에서의 외경 21.5㎜, 내측에 암나사부를 갖는 플런저 설치용 오목부의 길이(깊이) 8㎜, 플런저 설치용 오목부의 선단부측에서의 내경 14.5㎜, 및 후단부측에서의 내경 15㎜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66중량부에, 실리콘계 수지 29중량부,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1중량부를 첨가하여, 피복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는, 이하의 것을,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1) 주성분이 양 말단 실란올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품명 1501Fluid(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중량부
2) 주성분이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인 제품명 Z-6366(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1중량부
3) 주성분이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제품명 Z-6011(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말레산 무수물과의 반응 생성물의 에탄올 용액 1중량부(반응 생성물의 함유율 50%)
4) 주성분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제품명 Z-6040(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5중량부
그리고,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300rpm)시킴과 함께, 개스킷의 회전하는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개스킷 상의 여분의 피복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80℃ 이상의 정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의 평균 두께는, 약 8㎛였다. 이 개스킷을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 66중량부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실리콘계 수지 29중량부,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1중량부를 첨가하여, 주제(主劑)를 조제하였다.
주제 8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피복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300rpm)시킴과 함께, 개스킷의 회전하는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개스킷 상의 여분의 피복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80℃ 이상의 정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의 평균 두께는, 약 5㎛였다. 이 개스킷을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정제수 66중량부에, 실리콘계 수지 29중량부,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1중량부를 첨가하여, 피복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는, 이하의 것을,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1) 주성분이 양 말단 실란올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품명 DMS-S14(GELEST사 제조) 25중량부
2) 주성분이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인 제품명 SIP6560.0(GELEST사 제조) 0.1중량부
3) 주성분이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제품명 SIA0610.0(GELEST사 제조)과 말레산 무수물과의 반응 생성물의 에탄올 용액 1중량부(반응 생성물의 함유율 50%)
4) 주성분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제품명 SIG5840.1(상품명, GELEST사 제조) 0.5중량부
그리고,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300rpm)시킴과 함께, 개스킷의 회전하는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개스킷 상의 여분의 피복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80℃ 이상의 정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의 평균 두께는, 약 8㎛였다. 이 개스킷을 실시예 3으로 하였다.
(실시예 4)
정제수 66중량부에, 실리콘계 수지 29중량부,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1중량부를 첨가하여, 피복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는, 이하의 것을,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1) 주성분이 실란올기를 갖는 폴리알킬페닐 실록산인 제품명 YR3204(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저팬 고도 가이샤 제조) 25중량부
2) 주성분이 페닐트리에톡시실란인 제품명 TSL8178(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저팬 고도 가이샤 제조) 0.1중량부
3) 주성분이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제품명 TSL8331(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저팬 고도 가이샤 제조)과 말레산 무수물과의 반응 생성물의 에탄올 용액 1중량부(반응 생성물의 함유율 50%)
4) 주성분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제품명 TSL8350(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저팬 고도 가이샤 제조) 0.5중량부
그리고,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300rpm)시킴과 함께, 개스킷의 회전하는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개스킷 상의 여분의 피복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80℃ 이상의 정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의 평균 두께는, 약 8㎛였다. 이 개스킷을 실시예 4로 하였다.
(비교예 1)
다음으로, 정제수 66중량부에, 실리콘계 수지 29중량부, 디옥틸디라우릴산주석 1중량부를 첨가하여, 피복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는, 이하의 것을,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1) 주성분이 양 말단 실란올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품명 1501Fluid(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중량부
2) 양 말단 메틸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품명 360 메디컬 플루이드 12500(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중량부
그리고,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300rpm)시킴과 함께, 개스킷의 회전하는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개스킷 상의 여분의 피복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80℃ 이상의 정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의 평균 두께는, 약 6㎛였다. 이 개스킷을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양 말단 메틸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제품명 360 메디컬 플루이드 12500(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그대로 피복액으로서 사용하여, 실온, 상압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개스킷 코어 부재를,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 상기 조성의 피복액을 첨착시키고, 150℃, 3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피복액의 균질화를 도모하여, 개스킷을 제작하였다. 또한, 코어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복층(3)은 오일형이며, 그 평균 두께는, 약 1㎛였다. 이 개스킷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 1: 마찰 계수 측정 시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조제한 피복액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조제한 피복액 각각을, 90℃, 30분간 가열 처리한 30㎜×50㎜, 두께 2㎜의 EPDM 고무 시트에, 브러시 도포하고, 150℃, 3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실온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이 고무 시트의 표면에 스테인리스 볼(직경 10㎜)을 놓고, 스테인리스 볼을 3㎜/초로 20㎜의 거리를 수평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응력을 표면성 측정기(TYPE: 22, 신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동마찰 계수(μd)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단면 성상 확인)
실시예 1의 개스킷을 절단하고, 동결 초박 절편법으로 조제한 피복층(3)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H-7100형, 히타치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가속 전압 100㎸)을 사용하여 확대 화상을 촬영하였다.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고, 개스킷 축 방향 직교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았다.
또한, 실시예 2의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고, 실시예 3의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실시예 4의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았다.
그리고, 비교예 1의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피복층(3) 화상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았다. 비교예 2의 개스킷 축 방향 단면에서, 탄성 고화물층인 피복층(3)에 상당하는 부분을 관찰한 바, 섬형 고화부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피복층(3) 화상으로부터, 섬형 고화부의 하나의 크기(직경), 화상 처리(2치화 처리)로부터 산출한 면적 점유율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Figure pct00002
(실험 2: 미끄럼 이동 저항 측정 시험)
시린지용 외통의 형성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한 형상의 시린지용 외통을 제작하였다. 시린지용 외통의 원통 부분의 내경은, 23.5㎜, 길이는, 95㎜였다. 또한, 플런저의 형성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한 형상의 플런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린지용 외통,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2의 각 개스킷, 상기 플런저를 조립하여, 시린지를 제작하였다.
각 시린지의 미끄럼 이동 저항값을, 오토그래프(기종명: EZ-Test,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린지의 선단부 및 플런저의 후단부를 오토그래프의 측정 대상물 고정부에 고정하고, 플런저를 100㎜/min의 속도로 60㎜ 강하시켰을 때의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 및 최대 미끄럼 이동 저항값(N)을 계측한 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과로 되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2의 각 개스킷을 사용한 시린지는,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 및 최대 미끄럼 이동 저항값 모두, 마찬가지의 것이었다. 또한,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과 최대 미끄럼 이동 저항값의 차가 적어, 플런저를 가압하기 시작했을 때 약액이 설정량 이상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거의 없어, 약액의 토출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초기 미끄럼 이동 저항값과 최대 미끄럼 이동 저항값 모두 10N 이하인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03
(실험 3: 층간 파단 시험)
실험 2: 미끄럼 이동 저항 측정 시험 후, 시린지용 외통,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의 개스킷 외관 관찰을 행하여, 층 박리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층 박리물 없음
비교예 1: 층 박리물 있음
본 발명의 시린지용 개스킷은, 이하의 것이다.
(1) 시린지의 외통 내를 액체 밀봉식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용 개스킷이며, 상기 개스킷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적어도 상기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층 형성 부위는, 상기 코어부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고, 상기 피복층에 의하여 외면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복층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며, 또한 상기 피복층은,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상기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상기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이고, 또한, 상기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는 것인, 시린지용 개스킷.
피복층이, 탄성 고화물층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섬형 고화부와,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가짐으로써, 피복층에 있어서의 층간 파괴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개스킷의 미끄럼 이동 시에 있어서, 피복층은 안정된 것으로 되어, 양호한 미끄럼 이동성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것이어도 된다.
(2) 상기 피복층은,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직교 단면 및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면 상(像)에 있어서, 상기 섬형 고화부와, 상기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상기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3) 상기 피복층은, 두께가 3 내지 3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4) 상기 섬형 고화부는, 대략 원형이고, 직경이, 0.05 내지 0.8㎛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5) 상기 각 섬형 고화부의 면적은, 0.002 내지 0.5㎛2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6)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섬형 고화부의 면적 점유율은, 80 내지 95%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7) 상기 피복층은, 건조에 기인하는 압축 고화물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8) 상기 섬형 고화부와 상기 바다형 고화부는, 물성이 상이한,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9) 상기 섬형 고화부는, 상기 바다형 고화부보다 고탄성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10) 상기 바다형 고화부는, 실란 커플링제 유래의 고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11)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열경화성형 실리콘계 수지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12) 상기 시린지용 개스킷은, 플라스틱제 외통을 사용하는 시린지용 개스킷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린지용 개스킷.
본 발명의 시린지는, 이하의 것이다.
(13) 외통과, 해당 외통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설치된, 혹은 설치 가능한 플런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것이어도 된다.
(14) 상기 시린지는, 약액이 충전된 것인, 상기 (13)에 기재된 시린지.
(15) 상기 외통은, 플라스틱제 외통인,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시린지.

Claims (15)

  1. 시린지의 외통 내를 액체 밀봉식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용 개스킷이며,
    상기 개스킷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적어도 상기 시린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층 형성 부위는, 상기 코어부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고, 상기 피복층에 의하여 외면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복층은,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탄성 고화물층이며, 또한 상기 피복층은,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 화상에 있어서, 섬형 고화부와, 상기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상기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이고, 또한, 상기 섬형 고화부는, 반응성 실리콘의 응집물을 주 구성물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용 개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직교 단면 및 상기 개스킷의 축 방향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확대면 상(像)에 있어서, 상기 섬형 고화부와, 상기 섬형 고화부 간에 위치하여, 상기 섬형 고화부를 연결하는 바다형 고화부를 갖고, 또한, 실질적으로 핀 홀을 갖지 않는 것인, 시린지용 개스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두께가 3 내지 30㎛인, 시린지용 개스킷.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고화부는, 대략 원형이고, 직경이 0.05 내지 0.8㎛인, 시린지용 개스킷.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섬형 고화부의 면적은, 0.002 내지 0.5㎛2인, 시린지용 개스킷.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섬형 고화부의 면적 점유율은, 80 내지 95%인, 시린지용 개스킷.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건조에 기인하는 압축 고화물인, 시린지용 개스킷.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고화부와 상기 바다형 고화부는, 물성이 상이한, 시린지용 개스킷.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고화부는, 상기 바다형 고화부보다 고탄성인, 시린지용 개스킷.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다형 고화부는, 실란 커플링제 유래의 고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시린지용 개스킷.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열경화성형 실리콘계 수지인, 시린지용 개스킷.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용 개스킷은, 플라스틱제 외통을 사용하는 시린지용의 개스킷인, 시린지용 개스킷.
  13. 외통과, 해당 외통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설치된, 혹은 설치 가능한 플런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는, 약액이 충전된 것인, 시린지.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플라스틱제 외통인, 시린지.
KR1020167026683A 2014-03-31 2015-02-26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 KR20160138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2138 2014-03-31
JP2014072138 2014-03-31
PCT/JP2015/055643 WO2015151671A1 (ja) 2014-03-31 2015-02-26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ガスケットを備えたシリン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430A true KR20160138430A (ko) 2016-12-05

Family

ID=5424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683A KR20160138430A (ko) 2014-03-31 2015-02-26 시린지용 개스킷, 및 그 개스킷을 구비한 시린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14576A1 (ko)
EP (1) EP3127571A4 (ko)
JP (1) JP6401245B2 (ko)
KR (1) KR20160138430A (ko)
WO (1) WO2015151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9001B2 (ja) 2015-03-10 2020-12-09 リジェネロ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注入装置
DE102016109505A1 (de) * 2016-05-24 2017-11-30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Komponente für eine Spritze sowie Spritze
CN115025328A (zh) 2017-05-05 2022-09-09 里珍纳龙药品有限公司 自动注射器和相关使用方法
USD1007676S1 (en) 2021-11-16 2023-12-1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Wearable autoinj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970A (ja) 1985-08-01 1987-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リンジ
JP2002089717A (ja) 2000-09-14 2002-03-27 Terumo Corp ガス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4019B2 (ja) * 2000-01-07 2008-09-03 ニプロ株式会社 穿刺針
JP2004008509A (ja) * 2002-06-07 2004-01-15 Terumo Corp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5013495A (ja) * 2003-06-26 2005-01-20 Terumo Corp 医療用チューブ
JP2005160888A (ja) * 2003-12-05 2005-06-23 Terumo Corp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8000287A (ja) * 2006-06-21 2008-01-10 Terumo Corp 医療用具コーティング用摺動性組成物および摺動性被膜保有医療用具
CN101909675B (zh) * 2007-12-28 2013-03-13 泰尔茂株式会社 注射器用垫圈及具有该垫圈的注射器
EP2519291A1 (en) * 2009-12-31 2012-11-07 Becton Dickinson France Medical components having coated surfaces exhibiting low friction and/or low gas/liquid permeability
JP5930959B2 (ja) * 2010-03-30 2016-06-08 テルモ株式会社 摺動性被覆層保有医療用具およびシリンジ
US8802603B2 (en) * 2010-06-17 2014-08-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l components having coated surfaces exhibiting low friction and low reactivity
JP5898675B2 (ja) * 2011-03-30 2016-04-06 テルモ株式会社 摺動性被覆層保有医療用具および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970A (ja) 1985-08-01 1987-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リンジ
JP2002089717A (ja) 2000-09-14 2002-03-27 Terumo Corp 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7571A1 (en) 2017-02-08
JPWO2015151671A1 (ja) 2017-04-13
WO2015151671A1 (ja) 2015-10-08
EP3127571A4 (en) 2017-11-29
JP6401245B2 (ja) 2018-10-10
US20170014576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256B2 (ja)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シリンジ
US8742032B2 (en) Medical appliance having a slidable coating layer and syringe
US20140031764A1 (en) Medical appliance having a slidable coating layer and syringe
US8530536B2 (en) Self-lubricating pharmaceutical syringe stoppers
US20170014576A1 (en) Gasket for use in syringe and syringe having gasket
JP5977462B1 (ja) 摺動性を有する医療用シリコーンゴムを使用したガスケット及び該ガスケットを使用したシリンジ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000287A (ja) 医療用具コーティング用摺動性組成物および摺動性被膜保有医療用具
US9782542B2 (en) Self-lubricating pharmaceutical syringe stoppers
US8618185B2 (en) Self-lubricating pharmaceutical syringe stoppers
JP4481587B2 (ja) シリンジ
US20180009583A1 (en) Rubber stopper for medicine container and medicine-accommodate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JP4708013B2 (ja) シリンジ
JP2016535145A (ja) 自己潤滑性医薬品シリンジストッパ
JP2007244606A (ja) 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の製造方法
AU2017242171B9 (en) Liquid material for medical device coating and medical device having sliding coating film
WO2023135884A1 (ja)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シリ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