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818A -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818A
KR20160137818A KR1020150071649A KR20150071649A KR20160137818A KR 20160137818 A KR20160137818 A KR 20160137818A KR 1020150071649 A KR1020150071649 A KR 1020150071649A KR 20150071649 A KR20150071649 A KR 20150071649A KR 20160137818 A KR20160137818 A KR 2016013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wire
fuse
lead wir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216B1 (ko
Inventor
강두원
김현창
문황제
신아람
Original Assignee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3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current respon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37/761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 H01H2037/046Bases; Housings; Mountings being soldered on the printed circuit to be protec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37/761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 H01H2037/762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using a spring for opening the circuit when the fusible element melts
    • H01H2037/763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using a spring for opening the circuit when the fusible element melts the spring being a blade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전기회로에 설치되어 돌입전류, 내부 온도 상승, 지속적인 과전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온도퓨즈와 리드 와이어를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접합하고, 와이어 고정부로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온도퓨즈가 리드 와이어에 일체로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FUSE RE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전기회로에 설치되어 돌입전류, 내부 온도 상승, 지속적인 과전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온도퓨즈와 리드 와이어를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접합하고, 와이어 고정부로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온도퓨즈가 리드 와이어에 일체로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TV, PDP TV 와 같은 대형 전자제품의 전기회로에는 전원을 켤 때 발생하는 돌입전류, 내부 온도상승, 지속적인 과전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회로의 전원 입력단에 퓨즈저항기(Thermal Fuse Resistor)와 같은 보호소자를 마련하여 전원회로를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퓨즈저항기는 먼저 저항체와 온도퓨즈를 구비하며, 저항체와 온도퓨즈는 리드선을 통해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또 퓨즈저항기는 용단체의 용단 시 발생하는 파편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저항체와 온도퓨즈를 케이스로 패키징하게 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는 내열성, 전도성, 경화성 등을 고려하여 규석(SiO2)을 포함하는 슬러리 형태의 충진재가 사용되며, 상기 케이스로는 통상적으로 일반 저항의 케이스로 이용되고 있는 세라믹재질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 리드선의 단부는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연장되고, 종래 퓨즈저항기는 상기 리드선의 단부를 인쇄회로기판에 납땝시켜 저항체와 온도퓨즈가 입설된 상태가 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된 퓨즈저항기는 돌입전류가 유입될 경우에는 저항체를 이용하여 이를 소정 전류로 제한하게 되고, 과전류가 유입될 경우에는 저항체의 발열로 인해 발생한 열을 상기 충진재를 통해 온도퓨즈로 전도시켜 온도퓨즈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고체상의 납 또는 고분자 펠릿으로 이루어진 용단체(溶斷體)가 용단되도록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가전제품의 전기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퓨즈저항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013호에는 저항체(10)와, 상기 저항체(10)의 발열작용에 의해 회로를 단락시키도록 마련된 온도퓨즈(20)와, 상기 저항체(10)와 온도퓨즈(20)를 직렬로 연결하는 리드선(31,33)과, 리드선(32,34)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저항체(10)와 온도퓨즈(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일면이 개방되고 일측 벽면에 상기 리드선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41)을 구비하도록 마련된 케이스(40)와, 저항체(10)와 온도퓨즈(2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40) 내부에 충진되고 규석을 포함하도록 마련된 충진재(50)를 구비하는 퓨즈저항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온도퓨즈가 저항체와 같은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화하기 어렵고, 저항체(10)와 온도퓨즈(20)에 각각 한 쌍의 리드선(31,32), (33,34)을 연결한 다음, 저항체(10)의 리드선(31)과 온도퓨즈(20)의 리드선(33)을 다시 연결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퓨즈와 리드 와이어를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접합하고, 와이어 고정부로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온도퓨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퓨즈가 리드 와이어에 일체로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는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퓨즈가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퓨징 리드 와이어와; 상기 저항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저항체에 접합되는 제1와이어부와, 기판에 접속되는 제2와이어부와, 일단은 상기 제1와이어부에 접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와이어부에 접합되는 상기 온도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저항체,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결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케이싱 내에는 충전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온도퓨즈를 수용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와이어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와이어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하는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저항체는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적어도 상기 세라믹로드 및 도선의 표면에는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의 온도퓨즈는 가열시 용단되는 튜브 형상의 가용부와, 상기 가용부 중심에 삽입되는 플럭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용부가 상기 제1,2와이어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은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저항체의 양단에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의 일측과 인서트 사출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싱을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충전부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저항체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와이어 고정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세라믹로드 및 도선의 표면에 실리콘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세라믹로드 및 도선의 표면에 실리콘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실리콘을 충전하여 상기 단자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충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퓨즈와 리드 와이어를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접합하고, 와이어 고정부로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퓨즈가 리드 와이어에 일체로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저항체에 코팅층 또는 충전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퓨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와 다른 구조의 와이어 고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퓨징 리드 와이어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저항체에 리드 와이어가 접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퓨징 리드 와이어와 리드 와이어를 인서트 사출하여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케이싱과 와이어 고정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퓨즈저항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저항체에 코팅층 또는 충전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퓨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기(100)는 전자제품의 전기회로에 채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크게 저항체(110)와, 상기 저항체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115), 퓨징 리드 와이어(120)와, 리드 와이어(130)와, 와이어 고정부(140)와, 케이싱(150), 충전부재(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체(110)는 과전류 인가시 발열하여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에 설치된 온도퓨즈(125)를 용단시키는 것으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세라믹로드(111)와, 상기 세라믹로드(111) 양단에 마련되는 단자(117)와, 상기 세라믹로드(111) 상에 감긴 도선(113)을 포함하는 권선 저항체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체(110)에는 도 2b에 도시된 코팅층(115) 또는 도 2c, 도 2d에 도시된 충전층(115',1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115)은 도선을 보호하고 방폭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세라믹로드(111) 및 도선(113)의 표면에 실리콘을 얇게 도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층(115',115")은 저항체(110)의 방폭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을 한 쌍의 단자(117)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실리콘을 충전하여 적어도 상기 단자(117)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도선(113)이 완전히 밀봉된다.
상기 코팅층(115) 또는 충전층(115',115")을 형성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저항체가 폭발하는 경우 그 충격 내지 소음의 일부를 일차적으로 흡수하여 제품의 방폭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저항체(110)의 단자(117)에는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와, 리드 와이어(130)가 접합된다.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는 상기 저항체(110)에 접합되고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와이어부(121)와, 기판에 접속되는 제2와이어부(123)와, 일단은 상기 제1와이어부(121)에 접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와이어부(123)에 접합되는 온도퓨즈(12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의 제1,2와이어부(121,123) 사이에 온도퓨즈가 인서트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온도퓨즈(125)는 상기 저항체(110)의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회로를 단락시켜 회로 상에 설치된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항체(110)와 직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125)는 가용부(126)와 상기 가용부(126)의 중심에 삽입되는 플럭스부(1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용부(126)는 주석 또는 주석 합금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가열시 용단되어 전기 접속을 차단한다.
상기 플럭스부(127)는 용융된 가용부(126)를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염화물, 플루오르화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퓨즈(125)와 제1,2와이어부(121,123)의 접합시, 금속 소재의 상기 가용부(126)의 단부와 상기 제1,2와이어부(121,123)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온도퓨즈(125)와 제1,2와이어부(121,123)는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온도퓨즈(125)가 상기 제1,2와이어부(121,123)의 직경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플럭스부(127)는 적어도 상기 제1,2와이어부(121,12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가용부(126)가 상기 제1,2와이어부(121,123)와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온도퓨즈가 상기 플럭스부의 중심에 가용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상기 저항체에서 공급되는 열은 먼저 플럭스부를 가열한 다음 가용부를 가열하게 되므로 용단 시간이 지연되고 용단 특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의 표면에 절연 소재인 플럭스부가 배치되므로 스팟 용접 방식을 통한 접합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퓨즈(125)는 가용부(126) 내에 플럭스부(127)가 삽입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50)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세라믹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일측에 개구부(151)가 마련된 통 형상이고 상기 개구부(151)를 통해 상기 저항체(110), 퓨징 리드 와이어(120) 및 리드 와이어(130)가 삽입된다.
상기 케이싱(150)의 개구부(151)는 와이어 고정부(14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에는 방폭 특성을 제공하는 충전부재(160)가 충전된다.
상기 충전부재(160)는 저항체의 폭발시 충격 내지 소음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규석(SiO2)을 포함하는 시멘트이거나, 실리콘, 에폭시와 같은 수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는 도 2a와 달리 적어도 온도퓨즈(125)와 제1,2와이어부(121,123)의 접합면을 수용하도록 인서트 사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가 상기 온도퓨즈(125)의 양단의 접합면을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서 온도퓨즈(125)가 손상되거나, 상기 접합면에서 제1,2와이어부(121,123)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에 의해 상기 저항체(110)와, 퓨징 리드 와이어(120) 및 리드 와이어(130)가 일체로 모듈화되기 때문에 케이싱(150)과 결합하는 과정이 용이해지며,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 리드 와이어(130)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퓨즈 저항기의 표면 실장시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는 상기 개구부(151)를 밀폐하도록 상기 케이싱(150)의 개구부(151)와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테두리 영역에는 단턱부(141)가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151)에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 케이싱(150)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a와 다른 구조의 와이어 고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고정부(140')는 앞서 설명한 와이어 고정부(140)와 달리 온도퓨즈(110)는 인서트 사출되지 않고 제2와이어부(123)의 일측에만 인서트 사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퓨즈 저항기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b 내지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저항체(110)는 세라믹로드(111) 상에 도선(113)이 감긴 권선 저항체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방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세라믹로드(111) 및 도선(113)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코팅층(115)을 형성하거나, 한 쌍의 단자(117)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실리콘을 충전하여 적어도 상기 단자(117)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충전층(115',115")을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121)와, 온도퓨즈(125)와, 제2와이어부(123)가 접합된 퓨징 리드 와이어(120) 및 리드 와이어(130)를 마련한다.
상기 온도퓨즈(125)와 제1,2와이어부(121,123)는 솔더링, 스팟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방식으로 접합한다.
이때, 가용부(126)의 단부와 상기 제1,2와이어부(121,123)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온도퓨즈(125)와 제1,2와이어부(121,123)는 동일한 직경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저항체(110)의 양단에 퓨징 리드 와이어(120)와, 리드 와이어(130)를 접합한 다음,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와, 리드 와이어(130)를 절곡한다.
그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 및 리드 와이어(130)를 인서트 사출하여 와이어 고정부(1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120)의 제2와이어부(123)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사출한다.
그 다음으로 도 5d를 참조하면, 일측에 개구부(151)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싱(150)을 마련하고, 개구부(151)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다음 내부에 충전부재(160)를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에 의해 모듈화된 저항체(110)를 상기 케이싱(150)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와 케이싱(150)을 고정하는데, 접착제를 상기 와이어 고정부(140)에 마련된 단턱부(141) 또는 케이싱(150)에 도포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도퓨즈(125)가 퓨징 리드 와이어(120) 내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부(140)를 형성하여 퓨징 리드 와이어(120) 및 리드 와이어(130)를 일체로 고정한 상태로 케이싱(150)에 결합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퓨즈 저항기 110 : 저항체
111 : 세라믹로드 113 : 도선
115 : 코팅층 115',115" : 충전층
117 : 단자
120 : 퓨징 리드 와이어 121 : 제1와이어부
123 : 제2와이어부 125 : 온도퓨즈
126 : 가용부 127 : 플럭스부
130 : 리드 와이어 140 : 와이어 고정부
141 : 단턱부 150 : 케이싱
151 : 개구부 160 : 충전부재

Claims (12)

  1.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퓨즈가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퓨징 리드 와이어와;
    상기 저항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저항체에 접합되는 제1와이어부와, 기판에 접속되는 제2와이어부와, 일단은 상기 제1와이어부에 접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와이어부에 접합되는 상기 온도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저항체,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결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는 충전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온도퓨즈를 수용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와이어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끼움 결합하는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세라믹로드 및 도선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실리콘을 충전하여 상기 단자와 동일한 두께의 충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는 가열시 용단되는 튜브 형상의 가용부와, 상기 가용부 중심에 삽입되는 플럭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용부가 상기 제1,2와이어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10.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저항체의 양단에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퓨징 리드 와이어 및 리드 와이어의 일측과 인서트 사출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싱을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충전부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저항체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와이어 고정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세라믹로드 및 도선의 표면에 실리콘으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양단에 한 쌍의 단자가 마련된 세라믹로드 상에 도선이 감긴 권선 저항체이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실리콘을 충전하여 적어도 상기 단자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충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저항기 제조방법.
KR1020150071649A 2015-05-22 2015-05-22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49A KR102030216B1 (ko) 2015-05-22 2015-05-22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49A KR102030216B1 (ko) 2015-05-22 2015-05-22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818A true KR20160137818A (ko) 2016-12-01
KR102030216B1 KR102030216B1 (ko) 2019-11-11

Family

ID=5757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649A KR102030216B1 (ko) 2015-05-22 2015-05-22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755A (zh) * 2022-04-28 2022-09-02 东莞市瑞的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保险电阻组装设备及其装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532A (ja) * 1990-10-09 1992-05-21 Tachibana Kinzoku Kogyo Kk 長尺温度ヒューズ
JPH07262904A (ja) * 1994-03-18 1995-10-13 Tateyama Kagaku Kogyo Kk ヒューズ抵抗器
JPH0974002A (ja) * 1995-09-05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巻線抵抗器
JP2010522955A (ja) * 2007-03-26 2010-07-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熱的な欠陥が発生した時に電圧及び/又は電流を通す導体を遮断する安全ヒューズ及びこの安全ヒュー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098660B1 (ko) * 2010-03-22 2011-12-2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532A (ja) * 1990-10-09 1992-05-21 Tachibana Kinzoku Kogyo Kk 長尺温度ヒューズ
JPH07262904A (ja) * 1994-03-18 1995-10-13 Tateyama Kagaku Kogyo Kk ヒューズ抵抗器
JPH0974002A (ja) * 1995-09-05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巻線抵抗器
JP2010522955A (ja) * 2007-03-26 2010-07-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熱的な欠陥が発生した時に電圧及び/又は電流を通す導体を遮断する安全ヒューズ及びこの安全ヒュー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098660B1 (ko) * 2010-03-22 2011-12-2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755A (zh) * 2022-04-28 2022-09-02 东莞市瑞的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保险电阻组装设备及其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216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463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US11769621B2 (en) Inductor with an electrode structure
US8400252B2 (en) Thermal fuse resistor
US20180047539A1 (en) Fuse re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38752A1 (ja) ヒューズ素子
JP4738953B2 (ja) 抵抗付きヒューズ
KR101488168B1 (ko) 온도퓨즈 저항체
KR102030216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JP6352350B2 (ja) ヒュー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871573B (zh) 熔断电阻器及该熔断电阻器制造方法
TWI600042B (zh) 保險絲電阻器及其製造方法
KR101529835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225B1 (ko) 저항 발열형 과전류 차폐 구조체
JP2003288827A (ja) チップタイプ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実装構造
KR101987019B1 (ko) 전력형 온도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9836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TWI547967B (zh) 複合保護裝置
KR101545455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6125360A1 (ja) 保護素子
KR101565689B1 (ko) 초소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N106024548A (zh) 熔断电阻器及其制造方法
KR200481937Y1 (ko) 퓨즈 저항기
JPH0436105Y2 (ko)
JP2023094693A (ja) 基板表面実装ヒューズ、及び基板表面実装ヒューズの製造方法
CN111211023A (zh) 保护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5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5

Effective date: 2019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