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551A -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551A
KR20160137551A KR1020167026617A KR20167026617A KR20160137551A KR 20160137551 A KR20160137551 A KR 20160137551A KR 1020167026617 A KR1020167026617 A KR 1020167026617A KR 20167026617 A KR20167026617 A KR 20167026617A KR 20160137551 A KR20160137551 A KR 2016013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ody
dispensing
sleeve
flow sleev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츠 퇴릉그렌
Original Assignee
아이덴틱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덴틱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이덴틱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6013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Nozzl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수용체의 수 커플링이 얻어지는 견고한 결합이 아니라면 디스펜싱 과정이 시작될 수 없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싱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커플링 몸체(2), 내측 흐름 슬리브(3), 릴리스 슬리브(5),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개구(7a)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요소(7) 및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리테이닝 칼라(6)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릴리스 슬리브의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리테이닝 칼라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싱 장치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대체로 디스펜싱되는 매체의 수용체(recipient)의 커플링에 결합되도록 적합화된, 액체 디스펜싱 장치와 같은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것은 대체로 수용체의 커플링에 액체 밀봉성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충전소 또는 다른 충전 시스템에서, 연료는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 디스펜서를 통하여 자동차 연료 탱크와 같은 수용체로 펌핑된다. 디스펜싱 건 형태의 노즐은 연료 디스펜서의 단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연료 디스펜싱을 포함하고, 자동차 탱크가 충분히 가득찼을 때 연료의 흐름이 종료되도록 자동 차단을 제공하고, 디스펜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개방/디스펜싱 위치에 노즐이 임시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휘발유나 디젤과 같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일반적인 디스펜싱 건은 예를 들어 자동 차단 장치에 의해 연료의 공급이 중지된 후에 공급 튜브로부터 연료가 떨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종종 연료의 유출 문제가 있다.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가연성 액체의 작은 리스크가 보호받지 못하는 환경에 종속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료들의 작은 누설들은 대체로 수용할 만하다.
그러나, 새로운 대안적인 연료들의 개발에 비추어, 이러한 작은 누설조차도 악영향을 가질 수 있으며 피해져야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잡한 출구 밸브 장치 및/또는 디스펜싱 건과 연료의 수용체 간의 액체 밀봉성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건의 다양한 해결책이 최근에 개발되어 왔다. 디스펜싱 건의 출구 밸브 장치 및/또는 상기 보장 수단은 예를 들어 디스펜싱 과정 후에 디스펜싱 건의 출구 밸브의 외측에 어떠한 액체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디스펜싱 건의 결합 부분이 자동차의 연료 탱크와 관련된 대응하는 결합 부분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때에 디스펜싱 과정이 단지 가능하고 출구 밸브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는 디스펜싱 건의 릴리스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달성될 수 있다. 출구 밸브는 몇가지 유형의 포핏(poppet) 밸브이다.
수 커플링 몸체의 그루브 또는 리세스로 들어가는 디스펜싱 건의 암(female) 커플링의 락킹 볼의 사용에 의해 수용체의 수 커플링(male)으로 디스펜싱 건의 액체 밀봉성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 알려진 디스펜싱 건에서, 수 커플링에 대한 디스펜싱 건의 락킹은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흐름이 자동적으로 얻어지거나 결합이 유효하자마자 적어도 가능해지도록 디스펜싱 건의 출구 밸브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공공 충전소와 같은 일부 적용에 있어서, 특히 연료의 경우 매우 가연성 액체이고, 단지 액체 밀봉 연결이 만들어진 이후에 액체의 흐름을 시작, 정지 및 조절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GB 2068069 A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시를 개시하지만, 파이프 결합의 형태이다. 암 커플링 부재는 밸브 몸체 및 교체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고, 이는 실링 위치에서 밸브 몸체에 대하여 후자 상에서 실링 요소를 통하여 실링되도록 디자인된다. 암 커플링 부재로 수 커플링 부재의 삽입에 따라, 수 부재에 있는 표면과 슬리브 상의 숄더 간의 맞물림에 의해 푸쉬백된다. 암 커플링 부재 및 수 커플링 부재는 락킹 볼들에 의해 서로 락킹된다. GB 2068069 A에 개시된 파이프 결합은 그러나 암 커플링 및 수 커프링이 서로 락킹될 때 유로가 완전히 개방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의 디스펜싱 과정 이전 및 디스펜싱 과정 동안 유출없고 액체 밀봉성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16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되는 매체의 수용체의 커플링에 결합되도록 적합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연료 디스펜싱을 주로 의도하지만, 다른 타입의 액체의 디스펜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에 의해, 디스펜싱 과정의 시작 이전에 액체 밀봉성 연결이 가능한 것이 보장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디스펜싱 장치가 디스펜싱 장치의 출구 밸브,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구 포핏 밸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용체의 커넥터 또는 커플링과 액체 밀봉성 연결이 확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펜싱 장치가 수용체의 커넥터 또는 커플링에 견고하게 결합되었 때 디스펜싱 장치의 출구를 통과하는 흐름이 자동으로 가능해지지 않는다.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에 배치되고 중심축 주위에서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 커플링 몸체,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커플링 몸체의 내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내측 흐름 슬리브,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커플링 몸체의 외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스 슬리브, 포핏 밸브 스템과 포핏 밸브 디스크를 포함하는 포핏 밸브를 포함한다. 내측 흐름 슬리브의 제1 근본적으로 축방향 단부 표면은 포핏 밸브 디스크에 대한 밸브 시트로서 작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적어도 하나의 락킹 요소는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개구에 배치되고 릴리스 슬리브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과 접촉한다.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리테이닝 칼라(retaining collar)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테이닝 칼라는 또한 내측 흐름 슬리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내측 흐름 슬리브의 반지름방향 외측 표면 상에 가이드된다. 리테이닝 칼라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락킹 요소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방향 내측 표면에 근본적으로 접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으로 락킹 요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합화된다. 또한 디스펜싱 장치는 리테이닝 칼라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펜싱 장치의 포핏 밸브는 포핏 밸브 스템과 포핏 밸브 디스크의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적합화된 포핏 밸브 또는 포핏 밸브의 시트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적합화된 포핏 밸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포핏 밸브 스템과 포핏 밸브 디스크는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펜싱 장치는 리테이닝 칼라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경우 포핏 밸브 스템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커플링 몸체에 부착된다.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연결 요소 또는 링크 암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 또는 링크 암은 내측 흐름 슬리브에 부착되고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슬롯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대안적인 실시예는 포핏 밸브 스템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기 위한 디스펜싱 장치의 메인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요소들이 피해질 수 있고 따라서 디스펜싱 장치를 통과하는 흐름을 지나치게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리테이닝 칼라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스프링 핀 또는 스프링 링에 의해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일 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릴리스 슬리브와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펜싱 장치가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결합되지 않을 때 그것의 원래 위치에 유지되지 않는다면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것이 가능하다.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적합하게는 커플링 몸체의 외측에 반지름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와 같은 연결 요소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와 공동작동하는 적어도 외측 흐름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외측 흐름 슬리브는 내측 흐름 슬리브가 커플링 몸체 내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더 쉽게 만들어준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는 적합하게는 연결 요소 또는 링크 암이 배치되고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과 함께 움직이는 것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지름방향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는 가능한 외측 흐름 슬리브에 대한 연결부 또는 링크 암을 통한 연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축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고 커플링 몸체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슬롯의 사이즈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과 같이 조정될 수 있다.
외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포핏 밸브의 효과적인 개폐 제어를 달성한다.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외측 흐름 슬리브에 더하여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측 흐름 슬리브, 따라서 또한 내측 흐름 슬리브의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되고 리테이닝 칼라가 그것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도록 적합화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커플링 몸체가 고정 방식으로 수용체의 커플링 몸체에 결합되었을 때 예를 들어 포핏 블배를 개방하기 위한 것과 같이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이 단지 일시적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흐름 슬리브의 맞물림 노치 또는 리세스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린다.
액추에이터는 일 단부에서 디스펜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적합화된 흐름 제어 레버에 연결되고 액추에이터의 반대쪽 단부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는 피봇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는 흐름 제어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는 위치 및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흐름 제어 레버의 작동은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유효하게 할 수 있고 이는 결국 포핏 밸브를 개방한다.
디스펜싱 장치는 릴리스 슬리브에 연결되고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지렛점(leverage point) 또는 지렛축(leverage axis) 주위에서 피봇가능한 릴리스 레버 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릴리스 레버 암은 디스펜싱 장치와 수용체의 커플링 몸체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릴리스 레버 암이 상기 지렛점 또는 지렛축 주위에서 피봇될 때 액추에이터가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는 릴리스 레버 암과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외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 따라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이 흐름 제어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여서만 단지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추에이터의 릴리스 레버 암과의 공동작동은 탭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보두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는 릴리스 레버 암의 탭이 돌출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는 릴리스 레버 암의 이동에 대응하여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는 위치와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적합화된다.
또한,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 위치로 릴리스 레버 암이 피봇될 때에만, 외측 흐름 슬리브에 맞물릴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펜싱 장치는 흐름 제어 레버에 연결되고 흐름 제어 레버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주기 위한 일체형 스프링(integrated spring)을 포함하는 후킹(hooking)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후킹 요소는 릴리스 레버 암에 배치되는 후킹 그루브와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흐름 제어 레버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이는 디스펜싱 장치가 디스펜싱될 액체의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아직 견고히 결합되지 않았을 때 흐름 제어 레버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가동되어야만 한다면, 릴리스 슬리브가 락킹 요소들을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전방으로 움직일 수 없고 이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가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음에 따라 디스펜싱 과정이 활성화될 수 없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디스펜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흐름 슬리브는 중심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근본적으로 S-형상인 외측 흐름 슬리브에 있는 슬롯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내측 흐름 슬리브와 외측 흐름 슬리브 간의 연결 요소는 상기 슬롯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지만, 내측 흐름 슬리브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어떠한 축방향 이동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흐름 제어 레버의 사용이 다양한 이유로 적합하지 않거나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펜싱 장치는 적절하게는 터닝(turning)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터닝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적합화되고 터닝 수단이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터닝될 때 중심축 주위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측 흐름 슬리브에 연결되거나 부착된다. 이에 의해, 흐름 제어 레버가 없을 때에도 사용자가 디스펜싱 장치를 통과하는 흐름을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적절하게는 리테이닝 칼라가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터닝 수단의 락킹 돌출부와 공동작동하는 락킹 그루브에 의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터닝 수단이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터닝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 흐름 슬리브의 돌발적인 회전 운동 및 따라서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이 유효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디스펜싱 장치의 포핏 밸브는 수용체의 커플링 몸체로의 디스펜싱 장치의 고정된 결합이 달성된 때에만 개방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펜싱 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펜싱 건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으로 결합되기 전 및 이러한 수 커플링의 수 커플링 몸체에 결합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싱 건의 분해 사시도이고 포핏 밸브의 2가지 상이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g 각각은 디스펜싱건의 측면도 및 디스펜싱 건의 단면도를 포함하며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과정 이전 및 결합 과정 동안의 디스펜싱 건의 상이한 작동 스테이지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의 단면도이고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과정의 시작에서 2가지 단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디프펜싱 건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수 커플링으로 디스펜싱 건의 결합 과정의 상이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의 사시도이고 수 커플링으로 디스펜싱 건의 결합 과정의 상이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에서, 용어 "디스펜스" 및 "디스펜싱"은 최광의로 해석될 것이고 따라서 명백히 다르게 개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종류의 매체의 물리적인 전달, 이송 또는 투여를 아우른다. 따라서 "디스펜싱 장치"는 명백히 다르게 개시되지 않는다면 장치로부터 다른 요소 또는 환경으로 매체를 전달, 이송 또는 투여하기 위하여 적합화된 장치로서 해석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용어 "포핏 밸브"는 최광의로 해석될 것이고 따라서 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화되고 밸브 시트에 대하여 시트되도록(seated) 적합화된 플러그나 유사한 것을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밸브를 아우른다. 본 개시에서 용어 "포핏 밸브"는 시트가 정지되어 있는 반면 플러그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밸브와 시트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반면 플러그가 정지되어 있는 밸브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용어 "슬리브"는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를 관통하고 그것의 중심축을 따르는 중공형인 바디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슬리브"는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 바디가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될 뿐만 아니라 종방향 단면으로 보여질 때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른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들을 아우를 수 있다. 또한 그것은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상이한 부분들에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용어 "중심축 주위에서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은 그것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슬롯들 또는 유사한 것들, 또는 블라인드 홀들, 그루브들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관통 개구들을 제외하고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적인 대칭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 커플링 몸체는 예를 들어 그것의 벽 내에 있는 관통 개구들, 또는 블라인드 홀들/그루브들이 구비될 수 있는 물질의 회전적인 대칭적인 피스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은 적어도 그것의 내측 및/또는 외측 표면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회전적인 대칭적인 몸체를 정의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예를 들어 회전적인 대칭적인 단면을 갖지 않은 부분을 갖는 몸체를 아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몸체의 입구 단부는 요구된다면 입구 개구의 원형과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상기 입구 단부에서 커플링 몸체의 외측 표면은 회전적인 대칭적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그려진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며 일부 특징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과장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구체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1)을 도시한다. 디스펜싱 건은 스위블(swivel) 입구와 같은 액체 디스펜서 호스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31)을 포함한다. 액체 디스펜서 호스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고 이미 알려진 커플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건은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기계적 데미지와 먼지 또는 유사한 것에 대하여 디스펜싱 건의 부분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서 작용한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디스펜싱 건의 하우징을 위한 재질로 이미 알려진 어떠한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디스펜싱 건은 디스펜싱 건의 입구로부터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에 있는 출구를 향하여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중앙 몸체관(34)(도 3a 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싱 건은 사용자 및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릴리스 버튼(32)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의도되는 흐름 제어 레버(22)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싱 단부(33)에서, 디스펜싱 건은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되고 액체의 디스펜싱 과정동안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수용체의 수 커플링,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 커플링 몸체에 결합되는 암 커플링 몸체(2)를 포함한다. 수 커플링 부분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 탱크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다른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명확성을 위해 디스펜싱 건의 하우징은 도시되지 않았다. 디스펜싱 건의 암 커플링 부분을 형성하는 커플링 몸체(2)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 즉 출구 단부에 배치된다. 커플링 몸체(2)는 중심축(A)을 가지고 상기 축 주위에서 근본적으로 회전적이고 대칭적이다. 또한, 커플링 몸체(2)는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그것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가변적인 내측 및 외측 직경을 갖는 근본적으로 중공 실린더의 형태이고, 커플링 몸체의 내부는 디스펜싱 건에 의해 디스펜싱되는 유체에 대한 유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커플링 몸체(2)는 적합하게는 커플링 몸체의 입구 단부, 즉 디스펜싱 건의 중앙 몸체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부에서의 내측 직경보다 더 큰 디스펜싱 단부에서의 내측 직경을 갖는다. 또한, 커플링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반대쪽 단부, 즉 커플링 몸체의 입구 단부에서의 외측 직경보다 더 큰 디스펜싱 단부에서의 외측 직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몸체(2)는 근본적으로 반지름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티션 벽(19)을 포함하는데, 파티션 벽은 액체가 상기 파티션 벽을 통과하도록 디스펜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통홀들(19a)을 포함한다. 파티션 벽의 목적은 아래에 더 설명될 것과 같이, 포핏 밸브 스템(16)의 부착을 제공하는 것이다. 파티션 벽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의 축방향 단부들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파티션 벽이 근본적으로 커플링 몸체의 입구 단부에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몸체(2)는 밸브 스템을 빔 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한 파티션 벽 대신에 근본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요소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몸체(2)의 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커플링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반지름 방향의 관통 개구(7a)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지름 방향의 관통 개구(7a)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A)에 근본적으로 직교하는 중심축을 갖는다. 개구에서, 락킹 볼(7) 형태의 락킹 요소가 배치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가 락킹 볼로서 락킹 요소를 나타내지만, 락킹 핀 또는 락킹 웨지와 같은 다른 종류의 락킹 요소들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 락킹 요소(7)는 디스펜싱 건이 액체의 수용체의 수 커플링 부분에 결합되지 않을 때 제1 위치로 및 제1 위치로부터 그리고 디스펜싱 건이 수 커플링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될 때 제2 위치로 및 제2 위치로부터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위치에서, 락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몸체의 내측 표면에 근본적으로 접하게 배치되는데, 이는 락킹 요소의 반지름 방향으로 최내측 단부 표면이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에 근본적으로 접하는 것을 의미하고, 락킹 요소는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의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락킹 요소는 아래에 더 설명될 것과 같이 리테이닝 칼라(6)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2 위치에서, 락킹 요소는, 디스펜싱 건의 커플링 몸체가 수 커플링 부분과 함께 제자리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 커플링 부분(미도시)의 그루브 또는 리세스에 맞물린다. 락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에 근본적으로 접하여 배치되고,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의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싱 건은 각각 커플링 몸체(2)의 대응하는 반지름 방향의 관통 개구(7a)에 배치되는 복수의 락킹 요소를 포함한다. 락킹 요소들(7) 및 커플링 몸체에 있는 그들의 대응하는 개구들(7a)은 적합하게는 둘레 주위에 근본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요구된다면, 예를 들어 락킹 볼의 2개의 근본적으로 평행한 둘레를 갖는 링들의 형태로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상이한 축 거리에 락킹 요소들을 배치하는 것(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음) 또한 가능하다.
디스펜싱 건(1)은 상기 중심축(A)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커플링 몸체(2) 외측에 반지름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스 슬리브(5)를 추가로 포함한다. 릴리스 슬리브의 길이, 즉 그것의 축방향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의 길이보다 더 작다. 릴리스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관통 개구(7a)에 배치되는 락킹 요소(7)와 접촉하도록 적합화된 반지름 방향의 내측 표면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커플링 몸체의 관통 개구(7a) 내에서 락킹 요소(7)가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릴리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로부터 이격된 내측 플랜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방향 단부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릴리스 슬리브(5)의 내측 플랜지(14)는 부분적으로 감소된 내측 직경을 갖는 릴리스 슬리브를 제공하고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적합화된다.
릴리스 슬리브(5)는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적합화되고 락킹 요소(7)가 그것의 제1 위치로부터 그것의 제2 위치로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릴리스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14)는 디스펜싱 건의 수 커플링에 결합될 때 락킹 요소가 수 커플링 몸체의 그루브 또는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이동되었을 때 락킹 요소(7)와 접촉하도록 적합화된다. 따라서, 릴리스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는 릴리스 슬리브가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그것의 제1 위치로 리턴될 수 없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합하게는 O-링(40)이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와 접촉되도록 적합화된 커플링 몸체의 부분 내에 배치되는 커플링 몸체의 둘레 슬롯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O-링은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먼지나 습기가 릴리스 슬리브와 커플링 몸체 사이의 디스펜싱 건에 유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디스펜싱 건은 또한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단은 릴리스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14)와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하게 배치되고 예를 들어 스프링 핀 또는 스프링 링(13)에 의해 커플링 몸체에 부착되는 스프링(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릴리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상기 스프링(12)은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슬리브(5)가 그것의 제2 위치, 즉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 근본적으로 부하를 받지 않는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몸체(2)는 근본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 표면(2d)을 포함하는데, 이 표면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탑(stop)으로 작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스탑으로 작용하는 이 표면은 예를 들어 바깥쪽으로 향하는 플랜지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의 부분적으로 증가된 외측 직경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몸체에 부착되는 분리된 스탑이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렇다면, 커플링 몸체는 요구된다면 그것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근본적으로 일정한 외측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커플링 몸체 내부에서, 내측 흐름 슬리브(3)가 상기 중심축(A) 및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내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내측 흐름 슬리브는 이하에 더 설명될 것과 같이 흐름 슬리브 어셈블리의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내측 흐름 슬리브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건에 의해 액체의 디스펜싱동안 액체의 흐름을 받도록 적합화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액체의 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디스펜싱되는 액체가 내측 흐름 슬리브와 커플링 몸체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O-링(41)이 디스펜싱 건의 중앙 몸체관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둘레 슬롯 내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입구 단부를 구성한다. 내측 흐름 슬리브가 항상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동심적이라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백업 링(44)이 내측 흐름 슬리브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 상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고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합화된다.
또한 디스펜싱 건은 포핏 밸브를 포함한다. 포핏 밸브 스템(16)은 예를 들어 커플링 몸체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것과 같이 커플링 몸체(2)에 부착되고, 근본적으로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A)을 따라 그것의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포핏 밸브 스템(16)은 예를 들어 커플링 몸체(2)의 빔 요소나 파티션 벽(19)에서 커플링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포핏 밸브 스템(16)은 디스펜싱 건이 조립되었을 때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디스펜싱 건의 작동 동안에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포핏 밸브 디스크(17)는 근본적으로 흐름 슬리브 어셈블리의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단부 표면(18)에 대하여 시트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단부 표면은 근본적으로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상기 근본적으로 축방향의 단부 표면(18)은 포핏 밸브 디스크에 대한 시트로 작용한다. 축방향 단부 표면(18)은 적절한 밸브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 방향으로 적절히 테이퍼질 수 있다. 포핏 밸브는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적합화된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펜싱 건은 또한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단계가 적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흐름 제어 레버의 수동 작동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커플링 몸체(2) 내부에서, 근본적으로 락킹 요소들의 위치에, 리테이닝 칼라(6)가 배치된다. 리테이닝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근본적으로 회전적이고 대칭적이며, 근본적으로 실린더형 내측 표면을 적절히 갖는다. 그러나, 리테이닝 칼라는 회전적이고 대칭적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 또는 몇개의 락킹 요소들을 단지 포함하는 디스펜싱 건의 경우에 근본적으로 실린더형의 내측 표면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 리테이닝 칼라는 회전적인 대칭적인 요소들의 부분을 단지 형성하는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리테이닝 칼라(6)는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닝 칼라(6)는 내측 흐름 슬리브(3)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 상에 가이드되고 따라서 리테이닝 칼라가 배치되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영역에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외측 직경에 근본적으로 대응하는 내측 직경을 갖는다. 디스펜싱 건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즉 수 커플링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리테이닝 칼라(6)는 제1 위치에서 락킹 요소(들)을 고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몸체(2)의 인접한 반지름 방향의 내측 표면에 근본적으로 접한다. 락킹 요소(7)가 락킹 요소의 제2 위치로 반지름 방향으로 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리테이닝 칼라(6)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즉 디스펜싱 건의 출구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리테이닝 칼라(6)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리테이닝 칼라의 축방향 이동동안 대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8)은 일 단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의 근본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 부분(2c)와 공동 작동한다. 또한, 리테이닝 칼라는 예를 들어 리테이닝 칼라에 삽입되고 리테이닝 칼라가 제한된 거리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커플링 몸체의 슬롯들(8b) 내에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핀들(8a)(도 4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펜싱 단부를 향한 리테이닝 칼라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 핀들(8a)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탑 또는 락킹 링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탑은 락킹 요소(7)가 배치되는 반지름 방향 관통 개구(7a)보다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에 축방향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는 커플링 몸체(2)의 작은 내측 반지름 방향 플랜지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지름 방향 관통 개구(7a)에 인접한다. 스프링 핀(8a) 스탑 및/또는 락킹 링은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 요소를 고정하는 위치보다 더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리테이닝 칼라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수단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핏 밸브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적합화된다. 따라서 디스펜싱 건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제1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건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으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제2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제1 수단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흐름 슬리브(4)를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명칭 "외측 흐름 슬리브"는 디스펜싱 건 내의 액체의 흐름과 접촉이 필요한 슬리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나, 단지 몇가지 방식으로 디스펜싱 건 내부의 액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도록 적합화된 슬리브에 불과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흐름 슬리브(4)는 커플링 몸체 외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고 예를 들어 고정 요소와 같은 연결 요소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에 연결된다. 도 2에서, 고정 요소는 소켓 헤드 스크류(10)로서 도시되어 있다. 소켓 헤드 스크류는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부착되고 스크류의 헤드는 외측 흐름 슬리브(4)에 배치된 슬롯(10a)을 통하여 외측 흐름 슬리브에 연결된다. 내측 흐름 슬리브와 스크류 헤드 사이에 스페이서(15)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슬롯들(11)에 있는 연결 요소를 가이드하며, 상기 슬롯들(11)은 내측 흐름 슬리브가 제한된 거리에서 전후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커플링 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흐름 슬리브(4)와 내측 흐름 슬리브(3)는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서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적합화된다. 따라서 외측 흐름 슬리브 및 내측 흐름 슬리브는 연결 요소와 함께 흐름 슬리브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 2가 연결 요소가 고정 요소를 구성하고 내측 흐름 슬리브(3) 및 외측 흐름 슬리브(4)가 2개의 분리된 요소들인 실시예를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내측 흐름 슬리브(3) 및 외측 흐름 슬리브(4)는 반드시 2개의 분리된 요소일 필요는 없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분리된 흐름 슬리브들 및 분리된 고정 요소를 갖는 이유는 단지 디스펜싱 건의 조립의 용이성에 있다. 그러나,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를 포함하는 흐름 슬리브 어셈블리를 활용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여기서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들 및 연결 요소는 모놀리식 구조로 일체형이다. 이는 예를 들어 흐름 슬리브들 중 하나가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적절한 재질의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들을 제조하고, 연결 요소가 커플링 몸체의 슬롯을 관통하여 연장되ㄷ도록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들을 커플링 몸체와 조립한 후에, 연결 요소가 다른 흐름 슬리브에 융해, 용접 또는 브레이징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연결 요소를 통한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들 간의 영구 부착이 달성된다. 본 개시에서 흐름 슬리브 어셈블리로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가 또한 고려되어야만 한다.
또한 디스펜싱 건은 바람직하게는 포핏 밸브가 닫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디스펜싱 단부를 향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위한 제2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위한 제2 수단은 위에서 언급된 외측 흐름 슬리브와, 외측 흐름 슬리브가 그것의 축방향으로 가장 앞 위치, 즉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에 가장 인접한 그것의 위치에 있을 때 그것의 휴지 상태에 있는 스프링(29)(또한 도 4 참조)을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흐름 슬리브가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스프링은 디스펜싱 과정이 종료될 때 그것의 축방향으로 가장 앞의 위치로 리턴하도록 외측 흐름 슬리브를 유발하도록 압축된다. 외측 흐름 슬리브(4)가 중앙 몸체관(34)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34a)에 대하여 스프링 부하를 받도록 스프링(29)이 적절히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링, 스프링 핀 또는 유사한 것에 의한 스프링의 부착과 같은, 다른 구성들 또한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외측 흐름 슬리브(4)는 주로 커플림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디스펜싱 건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외측 흐름 슬리브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의 근본적으로 반지름방향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링크 암으로 대체될 수 있고, 이러한 링크 암은 내측 흐름 슬리브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링크 암은, 연결 요소 및 따라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이, 커플링 몸체 내의 반지름방향 슬롯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존재할 때, 외측 흐름 슬리브(4)는 내측 흐름 슬리브(3)와 공동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릴리스 슬리브(5) 내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외측 흐름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가장 먼 축방향 단부를 구성하는 외측 흐름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4a)가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5a)보다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릴리스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가장 먼 축방향 단부를 구성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가 외측 흐름 슬리브에 맞물리는 것을 유용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는, 동일한 이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된 외측 직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외측 흐름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외측 흐름 슬리브(4)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액추에이터(20)를 또한 포함한다. 액추에이터(20)는 바람직하게는 일 단부(20a) 내에서, 또는 그 일 단부에 인접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흐름 제어 레버(22)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흐름 제어 레버(22)의 작동에 대응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릴리스 레버 암(21)에 적절히 부착되거나 일체형 부분이 되는 하나 또는 2개의 탭들(23)에 의해 제공되는 액슬(axle) 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피봇가능하다(또한 도 4 참조). 탭(23)은 커플링 몸체(2)의 중심축과 평행한축에 근본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따라 릴리스 레버 암으로부터 적절히 돌출한다. 또한, 탭(23)은 액추에이터가 슬롯(24) 내에서 탭(23)의 움직임(릴리스 레버 암(21)의 움직이므로부터 야기되는) 에 의해 피봇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의 근본적으로 중심 슬롯(24)에 맞물린다. 액추에이터는, 흐름 제어 레버에 연결되는 단부 반대쪽의 단부(20b)가 사용자에 의한 흐름 제어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외측 흐름 슬리브(4)와 임시로 맞물리 수 있도록, 피봇가능하게 배치된다. 외측 흐름 슬리브에 대한 액추에이터의 맞물림을 유용하게 하기 위해, 외측 흐름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단부(4a)의 반지름방향 외측 표면에 적절히 배치되는 맞물리 노치 또는 리세스(25)를 포함한다. 도 3a에서, 액추에이터는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지만, 도 3b에서는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린다.
디스펜싱 건이 외측 흐름 슬리브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음)에서, 액추에이터(20)는, 액추에이터가 사용자에 의한 흐름 제어 레버(22)의 작동에 대응하여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이동을 유효하게 할 수 있도록(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몸체(2) 내에 반지름 방향 슬롯(11)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링크 암 및/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건은 바람직하게는 일 단부(21a)에서 릴리스 슬리브(5)에 연결되고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제렛점(21d) 또는 지렛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릴리스 레버 암(21)을 포함한다. 릴리스 레버 암은 탭 구성(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1c, 5c)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에 의해 릴리스 슬리브에 부착될 수 있다. 릴리스 슬리브에 부착되는 릴리스 레버 암의 단부(21a)는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건의 커플링 몸체와 흐름 슬리브들이 간섭되지 않도록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5) 외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릴리스 슬리브에 부착되는 단부의 반대쪽의 릴리스 레버 암의 단부(21b)에서, 릴리스 레버 암은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버튼(32)에 부착된다. 또한 릴리스 버튼은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 암의 일체형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릴리스 레버 암(21)이 릴리스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지렛점(21d) 또는 지렛축 주위에서 피봇할 때, 이는 팝-업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버튼(32)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싱 건은, 흐름 제어 레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즉 디스펜싱 건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작동 위치에서, 수 커플링이 디스펜싱 건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 기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차단 기구는 액체 밀봉 연결이 견고히 고정되기 이전에 액체의 돌발적인 디스펜싱을 피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차단 기구는 흐름 제어 레버(22)의 움직임을 따르게 만들어주는 일체형 스프링(28)이 있는 후킹 요소(26)를 포함한다. 후킹 요소(26)는 차단 기구가 활성화될 때 릴리스 레버 암(21)에 배치된 후킹 그루브(27)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된다. 이러한 후킹 그루브에서의 후킹 요소의 맞물림은 리테이닝 칼라가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한 경우에도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후킹 요소의 맞물림은 락킹 요소(들)이 수 커플링 몸체를 락킹하는 위치에서 확고히 고정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즉, 락킹 요소(들)은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 커플링 몸체는 디스펜싱 건으로부터 릴리스된다.
도 3a는 디스펜싱 건이 아직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결합되지는 않은 상태에 있는 차단 기구를 갖는 디스펜싱 건을 나타내고, 후킹 요소(26)는 흐름 제어 레버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활성되는 경우 후킹 그루브와 맞물릴 것이다. 반대로, 도 3b는 디스펜싱 건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 몸체(36)에 견고히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후킹 요소(26)는 흐름 제어 레버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후킹 그루브(27)와 맞물리지 않을 것이다.
후킹 요소(26)는, 흐름 제어 레버(2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때, 즉 액체의 흐름이 가능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릴리스 레버 암 내의 후킹 그루브와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것이다. 후킹 요소는 릴리스 레버 암 지렛축(또는 지렛점) 주위에서 릴리스 레버 암의 회전에 의해 후킹 그루브와 가능한 맞물림으로부터 위치되고, 결국 수용체의 수 커플링 몸체에 락킹 위치에 있는 락킹 요소들을 고정하도록 앞으로 이동하는 릴리스 슬리브에 의해 얻어진다. 이에 의해, 디스펜싱 건의 고정적이고 액체 밀봉성의 수 커플링으로의 결합이 디스펜싱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가능해진다. 디스펜싱 건이 수 커플링에 견고히 결합되기 전에 흐름 제어 레버가 가동될 경우, 후킹 요소가 릴리스 레버 암 내의 후킹 그루브로부터 맞물림해제될 수 없기 때문에 릴리스 슬리브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고, 결국 지렛축 또는 지렛점 주위를 회전할 수 없다.
도 4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32)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솔리드 유닛으로 릴리스 레버 암(21)과 일체화된다. 중심축(A)를 향해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릴리스 레버 암(지렛점(21d) 또는 지렛축 위에 위치하는)은 릴리스 슬리브에 릴리스 레버 암의 부착을 제공하기 위해 릴리스 슬리브(5)의 각 측면 상에 있는 슬롯(5c) 내에 배치되도록 적합화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핏 밸브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포핏 밸브 디스크(17)는 포핏 밸브 스템(16)과 하나의 단일 유닛의 형태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에서 축방향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포핏 밸브 디스크는 포핏 밸브의 플러그를 형성한다. 더욱이, 도 4는 포핏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또한 나타낸다. 포핏 밸브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포핏 밸브 스템(16')은 포핏 밸브 디스크(17')에 부착되고 적합하게 하나의 단일 유닛이 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디스크는 포핏 밸브 스템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포핏 밸브의 제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대안적인 실시예는 내측 흐름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 시트에 대하여 시트되도록 적합화되는 분리형 플러그(9)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9)는 포핏 밸브 디스크(17')와 플러그(9)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7a)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O-링(42')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9)와 포핏 밸브 스템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O-링(42")이 플러그(9)의 반지름방향 외측 표면 상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이하에서,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수용체의 수 커플링 몸체(36)에 디스펜싱 건(1)의 결합 과정의 상이한 단계가 디스펜싱 건의 상이한 작동 스테이지들을 도시하는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디스펜싱 건과 수 커플링 몸체(36)를 포함하는 수 커플링(46)의 측면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와 수 커플링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들에 도시된 수 커플링이 청구항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결합 과정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디스펜싱 건의 특정 실시예가 사용된다. 그러나, 결합 과정은 개시된 디스펜싱 건의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응하는 결합 과정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한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매우 명백해질 것이다.
도 5a는 디스펜싱 건(1)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46)에 결합되기 전에 디스펜싱 건(1) 및 수 커플링 몸체(36)의 내부 요소들을 나타내고, 흐름 제어 레버는 "닫힌" 상태, 즉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도 5a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는 외측 흐름 슬리브(4)와 맞물리지 않고 따라서 외측 흐름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내측 흐름 슬리브(3)가 커플림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포핏 밸브를 통한 흐름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이 시점, 즉 수 커플링에 대한 액체 밀봉성 결합이 수립되기 전에, 흐름 제어 레버가 가동되게 하면, 후킹 요소(26)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킹 그루브(27)와 맞물릴 것이고, 따라서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릴리스 슬리브(5)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후킹 요소 및 후킹 그루브는 디스펜싱 작동이 시작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의 표시를 제공한다.
결합 과정의 제1 단계에서, 디스펜싱 건의 암 커프링 몸체(2)는 수 커플링 몸체(36)가 암 커플링 몸체(2)에 들어가도록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 디스크(17)와 수 커플링 포핏 밸브 디스크(36a)가 "페이스-투-페이스"로 만나도록 즉, 서로 인접하도록 수 커플링(46)으로 가져와 진다(예를 들어 자동차의 탱크와 결합).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플링 몸체(2)는 이후 수 커플링 몸체의 포핏 밸브 디스크(36a)가 수 커플링 몸체에 가해지고 따라서 수 커플링의 포핏 밸브를 열도록 수 커플링 몸체 상으로 추가로 이동한다. 또한, 수 커플링 몸체의 O-링(36b)은 내측 흐름 슬리브(3)의 팁에 눌려지며 리테이닝 칼라(6)와 수 커플링 몸체가 페이스-투-페이스로 만난다. 액체 밀봉성 연결(그러나 아직 확화하지는 않은)이 따라서 얻어진다. 암 커플링 몸체(2)가 수 커플링 상으로 추가로 이동할 때, 수 커플링 몸체는 스프링 부하를 받는 리테이닝 칼라(6)에 암 커플링 몸체 내로 즉,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수 커플링 몸체가 최내부 위치에 있을 때,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볼(7)이 수 커플링 몸체의 그루브 내로 빠져, 스프링 부하를 받는 릴리스 슬리브(5)가 축방향으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 이에 의해 락킹 위치에서 락킹 볼들(7)을 고정한다. 따라서, 액체 밀봉성 연결이 이제 견고하게 확고하게 된다. 그러나,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는 계속 닫혀 있고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를 통한 액체의 흐름이 아직 유효하지 않다.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것은 또한 릴리스 레버 암(21)이 그것의 지렛점 또는 지렛축 주위를 피봇하는 것을 유발하는 릴리스 슬리브 슬롯들(5c) 내에 그것의 탭 부착에 의해 릴리스 레버 암(21)을 앞으로 움직이게 한다. 릴리스 레버 암에 일체화된 릴리스 버튼(32)이 그 결과 튀어 오른다. 또한, 릴리스 레버 암의 탭(23)은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가 외측 흐름 슬리브 훅 또는 유사한 것의 맞물림에 의해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니는 위치에 액추에이터(20)를 이동시키는데, 이는 또한 도 5e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후킹 요소(26)는 릴리스 레버 암의 후킹 그루브(27)와 함께 가능한 맞물림으로부터 릴리스되고 따라서 릴리스 슬리브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한 축방향 이동을 더이상 금지하지 않는다.
디스펜싱 과정의 시작을 위하여, 흐름 제어 레버(22)가 예를 들어 충전소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디스펜싱 노즐을 작동시킬 때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펜싱 건의 그립 위치에 있는 중앙 몸체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레버를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흐름 제어 레버의 가동은 액추에이터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외측 흐름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야기한다. 이것은 결국 내측 및 외측 흐름 슬리브들 간의 연결에 기인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내측 흐름 슬리브를 이동시킨다.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은 포핏 밸브를 개방하고, 따라서 액체가 수 커플링에 디스펜싱된다.
릴리스 버튼(3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다면, 액추에이터(20)는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흐름 슬리브(4)로부터 자동으로 맞물림해제된다. 이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는 그것의 원래 위치로 자동으로 리턴하고 따라서 포핏 밸브가 닫힌다. 또한 릴리스 슬리브는 락킹 볼들(7)이 수 커플링 몸체의 그루브 밖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펜싱 건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디스펜싱 과정의 시작시의 두 단계들, 즉 도 4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수 커플링 몸체(36)과 견고합 결합이 얻어질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내측 흐름 슬리브(3)는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였고 도시된 2가지 단계들은 따라서 포핏 밸브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 5f에 도시된 단계에 대응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핏 밸브 가이드 디스크(17')는 수 커플링 몸체의 포핏 밸브 디스크(36a)와 만나고 인접하며, 포핏 밸브 플러그(9)는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대하여 시트되어 잇는 것을 유지한다. 따라서, 내측 흐름 슬리브(3)이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플러그(3)는 또한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펜싱 건의 포핏 밸브 내에 액체가 흐르기 시작할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a)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 부하에 대하여 포핏 밸브 가이드 디스크(17')를 향하여 포핏 밸브 플러그(9)에 힘이 가해진다. 이 포핏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디스펜싱 건을 관통하는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가 정지되었을 때 따라서 액체의 압력이 감소될 때 흐름을 직접 정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어떠한 추가 액체도 디스펜싱 과정이 종료된 후에 디스펜싱 건을 통하여 공급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것은 액체의 압력이 감소할 때 스프링(17a)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에 대하여 시트되는 위치로 플러그(9)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적합화되는 것에 기인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디스펜싱 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후킹 요소 및 후킹 그루브를 포함하는 위에 개시된 차단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근본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개시된 실시예에 대응한다. 대신,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는 디스펜싱 건이 수용체의 수 커플링에 견고히 결합되지 않는다면 흐름 제어 레버가 가동될 수 없거나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릴리스 레버 암에 있는 고정(securing) 리세스(38) 내에서 고정되도록 적합화된 돌출 부재(37)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레버에 의해 달성괴고 이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건이 수 커플링(46)의 수 커플링 몸체(36)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았을 때 흐름 제어 레버(22)가 움직일 수 없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축방향으로 앞으로 움직인 릴리스 슬리브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얻어지고 따라서 수 커플링 몸체에 락킹 요소들이 맞물리는 것이 가능할 때, 흐름 제어 레버의 돌출 부재들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점 또는 지렛축 주위에서 릴리스 레버 암의 피봇 운동에 의해 고정 리세스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E따라서, 흐름 제어 레버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동될 수 있고 디스펜싱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에 있는 슬롯(24)이 도 7a 내지 도 7c에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슬롯(24)이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관통 개구의 형태 또는 도 7a 내지 도 7c의 경우에 액추에이터(20)에 있는 블라인드 홀의 형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매우 명백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수용체의 수 커플링(46)에 결합 과정을 나타낸다. 디스펜싱 건(1)은 도 2에 도시된 개시와 유사하게 커플링 몸체(2), 내측 흐름 슬리브(3), 릴리스 슬리브(5), 락킹 요소(7), 리테이닝 칼라(6) 및 포핏 밸브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디스펜싱 건은 흐름 제어 레버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디스펜싱 건은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기 위한 디스펜싱 건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노브나 유사한 것과 같은 터닝 수단(35)을 포함한다. 터닝 수단은 근본적으로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 주위에서 터닝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포핏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디스펜싱 건은 외측 흐름 슬리브와, 내측 흐름 슬리브(3)을 외측 흐름 슬리브(4)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형태의)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외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합화되지 않는다. 대신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터닝 수단의 터닝에 의해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되도록 적합화된다. 따라서 터닝 수단은 외측 흐름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4a)의 외측 표면 상에 적절히 구비된다. 그러나 터닝 수단은, 터닝 수단의 터닝이 외측 흐름 슬리브의 회전 운동을 얻는 한, 다른 방식으로 외측 흐름 슬리브에 연결될 수도 있다.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 주위에서 외측 흐름 슬리브의 회전은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S-형상을 갖는 외측 흐름 슬리브에 있는 슬롯(10a)에 의해 얻어지는데, 내측 흐름 슬리브에 부착되는 (스크류나 유사한 것과 같은) 연결 요소가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슬롯(10a)의 향상은 근본적으로 S-형상일 필요는 없지만, 외측 흐름 슬리브가 회전되고 따라서 축방향 연장으로 그리고 외측 흐름 슬리브의 둘레 방향으로 모두 다소 터닝된 형상을 가져야만 할 때 내측 흐름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햐는 것을 야기하는 형상을 가져야만 한다. 또한 외측 흐름 슬리브의 회전 운동은 외측 흐름 슬리브의 반지름 방향 내측 표면의 부분과 예를 들어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 방향 외측 표면의 부분 간의 나사결합 구성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추가로 제어될 수 있다.
수 커플링(46)의 수 커플링 몸체(36)에 견고한 결합이 달성되지 않은 경우에 터닝 수단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축 주위에서 터닝될 수 없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터닝 수단(35)은 릴리스 슬리브(5)의 락킹 그루브(39b)에 삽입되도록 적합화된 락킹 돌출부(39a)를 포함하고 수용체의 수 커플링 몸체에 대한 디스펜싱 건의 견고한 결합이 위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지도록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락킹 그루브로부터 단지 디스펜싱될 수 있다.
도 8a로부터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싱 건은 수용체의 수 커플링(46)에 아직 결합되지 않았고, 터닝 수단(35)은 락킹 돌출부(39a) 및 락킹 그루브(39b)를 포함하는 락킹 장치에 의해 커플링 몸체(2)의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터닝되는 것이 방지된다. 락킹 요소들이 수 커플링 몸체의 그루브나 유사한 것으로 들어가고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싱 단부를 항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릴리스에 의해 이 위치가 유지되도록 디스펜싱 건이 리테이닝 칼라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수 커플링(46)에 연결된 때, 터닝 수단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슬리브가 디스펜싱 건의 디스펜상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락킹 장치로부터 릴리스된다. 터닝 수단이 커플링 몸체의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터닝되었을 때, 외측 흐름 슬리브는 슬롯들 내에 배치되고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부착되는 연결 요소들의 S-형상 슬롯(10a)의 일 단부로부터 슬롯의 다른쪽 단부로 이동을 야기하는 상기 축 주위에서 회전한다. 내측 흐름 슬리브(3)에 연결 요소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내측 흐름 슬리브는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으로 힘을 받고, 이에 의해 포핏 밸브를 개방한다. 도 8c는 포핏 밸브가 열렸을 때 디스펜싱 건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 8c에 개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싱 건의 분해도를 구성한다. 이는 또한 도 4 및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2가지 상이한 포핏 밸브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데, 포핏 밸브의 양 실시예들은 이미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개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싱 장치가 디스펜싱 건, 특히 연료와 같은 액체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스펜싱 건으로 1차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본 발명은 다른 디스펜싱 적용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에를 들어, 디스펜싱 장치는 유압 커플링의 커플링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의도된 디스펜싱 장치에 대하여 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은 수동으로 작동하지 않는 디스펜싱 장치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기술분야에 능숙한 사람들에게 명백하다.
또한, 도면들 및 위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포핏 밸브의 시트를 형성하는) 내측 흐름 슬리브의 이동 수단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적합화된 포핏 밸브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포핏 밸브 스템과 디스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반면 시트는 정지 상태인 포핏 밸브들 사용하도록 디스펜싱 장치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측 흐름 슬리브, 외측 흐름 슬리브 및 릴리스 슬리브 각각이 하나의 조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요구된다면 슬리브를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슬리브 부분들로부터 상기 슬리브들 각각을 구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구축은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디스펜싱 장치의 조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 과정의 시작 이전에 수용체에 액체 밀봉성 결합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 건의 출구를 통하여 액체의 흐름이 있는 한 결합으로부터 릴리스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된 실시예는, 디스펜싱 건에 단지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펜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흐름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흐름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디스펜싱 작동동안 조절될 수 있다.

Claims (17)

  1. 디스펜싱 장치(1)로서,
    디스펜싱 장치(1)의 디스펜싱 단부(33)에 배치되고, 근본적으로 중심축(A) 주위에서 회전적인 대칭적인 커플링 몸체(2),
    상기 중심축(A)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내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내측 흐름 슬리브(3),
    상기 중심축(A)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상기 커플링 몸체(2)의 외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스 슬리브(5),
    포핏 밸브 스템(16, 16') 및 포핏 밸브 디스크 (17, 17')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제1 근본적으로 축방향의 단부 표면(18)이 상기 포핏 밸브 디스크 (17, 17')에 대한 밸브 시트로서 작용하도록 적합화된, 포핏 밸브,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방향 개구(7a)에 배치되고 상기 릴리스 슬리브(5)의 반지름방향 내측 표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요소(7),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3)의 반지름방향 외측 표면 상에서 가이드되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 요소를 고정하도록 적합화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락킹 요소(7)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적합화된 리테이닝 칼라(6),
    상기 리테이닝 칼라(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펜싱 장치(1)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핏 밸브 스템(16, 16')은 커플링 몸체(2)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리테이닝 칼라(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펜싱 장치(1)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연결 요소(10) 또는 링크 암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 또는 링크 암은 내측 흐름 슬리브에 부착되고 상기 커플링 몸체의 반지름 방향 슬롯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디스펜싱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케이닝 칼라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33)를 향하는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상기 릴리스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 단부에 스프링 핀 또는 스프링 링(13)과 같은 스프링(12)을 포함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릴리스 슬리브(5)와 공동작동하는, 디스펜싱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몸체에 대한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흐름 슬리브(4)를 적어도 포함하고 패스닝 요소와 같은 연결 요소(10)에 의해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3)와 공동작동하는, 디스펜싱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4)는 상기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펜싱 장치(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내측 흐름 슬리브(3)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로부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외측 흐름 슬리브(4)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리테이닝 칼라(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도록 적합화된 액추에이터(20)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일 단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적합화된 흐름 제어 레버(22)에 연결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펜싱 장치(1).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슬리브(5)에 연결되고 상기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에 대하여 지렛점 또는 지렛대 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한 릴리스 레버 암(21)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릴리스 레버 암이 상기 지렛점 또는 지렛축 주위에서 피봇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가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부터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릴리스 레버 암(21)과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된, 디스펜싱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릴리스 레버 암(21)이 돌출하는 슬롯(24)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릴리스 레버 암의 이동에 대응하여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는 위치와 외측 흐름 슬리브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적합화된, 디스펜싱 장치(1).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릴리스 슬리브(5)가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 위치로 상기 릴리스 레버 암(21)이 피봇되었을 때,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에만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디스펜싱 장치(1).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흐름 제어 레버(22)와 같이 이동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일체형 스프링(28)을 포함하는 후킹 요소(26)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후킹 요소는 상기 릴리스 레버 암(21) 내에 배치되는 후킹 그루브(27)와 공동작동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흐름 제어 레버(22)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릴리스 슬리브(5)가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디스펜싱 장치(1).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는 상기 중심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적합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커플링 몸체에 대하여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펜싱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적합화된 터닝 수단(35)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터닝 수단은 상기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상기 터닝 수단이 터닝될 때 상기 중심축 주위의 외측 흐름 슬리브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에 연결 또는 부착되는, 디스펜싱 장치(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수단(35)은 상기 리테이닝 칼라가 상기 릴리스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닝 수단의 락킹 돌출부와 공동 작동하는 락킹 그루브(39b)에 의해 그것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심축 주위 방향으로 터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펜싱 장치(1).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는 상기 연결 요소에 의해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4)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10a)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흐름 슬리브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근본적으로 S-형상인, 디스펜싱 장치(1).
  16. 디스펜싱 장치(1)로서,
    디스펜싱 장치(1)의 디스펜싱 단부(33)에 배치되고, 근본적으로 중심축(A) 주위에서 회전적인 대칭적인 커플링 몸체(2),
    상기 중심축(A)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내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내측 흐름 슬리브(3),
    상기 중심축(A)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상기 커플링 몸체(2)의 외측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스 슬리브(5),
    포핏 밸브 스템(16, 16') 및 포핏 밸브 디스크 (17, 17')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의 제1 근본적으로 축방향의 단부 표면(18)이 상기 포핏 밸브 디스크 (17, 17')에 대한 밸브 시트로서 작용하도록 적합화된, 포핏 밸브,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방향 개구(7a)에 배치되고 상기 릴리스 슬리브(5)의 반지름방향 내측 표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요소(7),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내측 흐름 슬리브(3)의 반지름방향 외측 표면 상에서 가이드되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 요소를 고정하도록 적합화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플링 몸체(2)의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락킹 요소(7)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적합화된 리테이닝 칼라(6),
    상기 리테이닝 칼라(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펜싱 장치(1)의 디스펜싱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릴리스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핏 밸브 스템(16, 16') 및 포핏 밸브 디스크(17, 17')는 상기 커플링 몸체(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장치(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디스펜싱 건(1)이며, 바람직하게는 액체를 디스펜싱하는데 적합화된 디스펜싱 건인, 디스펜싱 장치(1).
KR1020167026617A 2014-02-26 2015-02-23 디스펜싱 장치 KR20160137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0222-3 2014-02-26
SE1450222 2014-02-26
PCT/SE2015/050202 WO2015130208A1 (en) 2014-02-26 2015-02-23 Dispens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551A true KR20160137551A (ko) 2016-11-30

Family

ID=526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617A KR20160137551A (ko) 2014-02-26 2015-02-23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3406B2 (ko)
EP (1) EP3110742B1 (ko)
KR (1) KR20160137551A (ko)
CN (1) CN106029550B (ko)
WO (1) WO2015130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8739A1 (en) * 2015-04-15 2016-10-20 Acd, Llc Liquid natural gas gun-style nozzle
WO2017096295A1 (en) * 2015-12-03 2017-06-08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Low emission nozzles and receptacles
GB2593816A (en) * 2018-05-16 2021-10-06 Alpha Process Controls International Ltd A coupling
PL3767153T3 (pl) * 2019-07-16 2022-02-07 Oasis Engineering Ltd Zawór dozujący dla paliwa gazowego albo skroplonego z opóźnieniem między sprzężeniem a aktywowaniem
CN113428827A (zh) * 2021-08-06 2021-09-24 重庆力东机电有限公司 一种加油枪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6565A (en) * 1959-05-14 1963-04-23 Schulz Tool & Mfg Co Servicing nozzle
US3176727A (en) * 1961-11-01 1965-04-06 Kartridg Pak Co Pressure filler head having a universal adapter holder and adapters for pressure filling valved aerosol containers
US3168125A (en) * 1962-10-03 1965-02-02 Buckeye Iron & Brass Works Lever operated nozzle
SE428721B (sv) 1980-01-30 1983-07-18 Ronny Ekman Anordning vid kopplingsdel
US5634505A (en) * 1995-04-25 1997-06-03 J.C. Carter Company, Inc. Refueling system for race cars
US5755256A (en) * 1997-02-03 1998-05-26 Emco Wheaton Fleet Fueling Corp. Automatic shutoff fueling system
FR2837487B1 (fr) 2002-03-19 2004-06-11 Staubli Sa Ets Pistolet a fonctionnement securise et installation de remplissage comprenant un tel pistolet
SE528026C2 (sv) * 2002-03-26 2006-08-08 Identic Ab Mertod och system för spillfri tankning samt metod och anordning för nivådetektering vid tankning
DE10259627B4 (de) 2002-12-18 2020-08-27 Weh Gmbh, Verbindungstechnik Schnellanschlusskupplung mi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ie Übertragung eines gasförmigen und/oder flüssigen Mediums
DE20317914U1 (de) * 2003-11-19 2004-12-30 Weh, Erwin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nellanschlusskupplung
SE0400105D0 (sv) * 2004-01-19 2004-01-19 Identic Ab Use of a method and a system for spill-free refilling of liquids, gun for spill-free refilling of liquids, connection for a vehicle tank,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a spill-free liquid refilling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media provision in a spill-free refilling system, spill-free and liquid-tight refilling connection and computer programme products
DE202004011088U1 (de) 2004-07-14 2005-08-25 Weh, Erwin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chnellanschlusskupplung
DE202006001319U1 (de) 2006-01-24 2006-03-23 Kämpf, Ralf Verbindungsbaugruppe zur Verbindung eines Ausgangsbehälters und eines Zielbehälters
ITMI20060452A1 (it) 2006-03-14 2007-09-15 Solchim S P A Dispositivo ad ugello rotante per l'erogazione di fluidi
FR2914294B1 (fr) 2007-03-29 2009-07-10 Rexam Dispensing Systems Sas Buse de distribution comprenant un manchon de fermeture accroche axialement
US8113240B2 (en) * 2008-08-01 2012-02-14 Marshall Excelsior Company Low emission fluid transfer device
PL2354626T3 (pl) 2010-01-29 2013-12-31 Elaflex Hiby Tanktechnik Gmbh & Co Zespół zaworu dozującego złożony z podstawowego zaworu dozującego i nasadki elementu złącznego i system modułowy złożony z podstawowego zaworu dozującego i wielu nasadek elementu złącznego
US9534735B2 (en) * 2011-11-23 2017-01-03 Husky Corporation Pressure-locking nozzle for dispensing gaseous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550A (zh) 2016-10-12
US20170066644A1 (en) 2017-03-09
CN106029550B (zh) 2017-12-12
WO2015130208A1 (en) 2015-09-03
US9783406B2 (en) 2017-10-10
EP3110742A1 (en) 2017-01-04
EP3110742B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551A (ko) 디스펜싱 장치
US5884648A (en) Coupling valve apparatus and method
CA2622287C (fr) Raccord rapide de securite pour la jonction de deux canalisations
CA2729413C (en) Fuel hose nozzle with a valve and end fitting
US4007909A (en) Full flow valved fitting
US8720487B2 (en) Grease delivery receiver and nozzle couplable without fluid pressure bleed-down and having pressurization lockout and flush face coupling
US5529085A (en) Breakaway hose coupling
US10663099B2 (en) Pipe coupling comprising female coupling member and male coupling member
JP6503356B2 (ja) キャップレスの燃料の装置
CA2151049C (en) Push-to-connect coupler with interlocking three-way valve
CH684287A5 (fr) Coupleur pour assurer le service d'un dispositif de réfrigération, comportant un adaptateur et un orifice de chargement de réfrigérant.
JP4198066B2 (ja) スライディングスリーブおよびコレットチャックを有する接続カップリング
US10724666B2 (en) Coupling member
KR20070054756A (ko) 관 연결부의 암형 연결부
US20090095373A1 (en) Fuel intake assembly for filling a vehicle tank with diesel fuel
ITBO980668A1 (it) Pistola erogatrice di combustibile gassoso .
US7028982B2 (en) Coupling member for a pipe coupling
JP4198067B2 (ja) スイッチユニット付き接続カップリング
JP2021520477A (ja) 流体を移送するための継手および方法
CN215861995U (zh) 具有自锁功能的阀门结构
EP3810971B1 (en) Pressure tight plug, assembly and method
JP2011213235A (ja) 給油口の誤給油防止装置
JP4482725B2 (ja) 給水栓
JP2011213233A (ja) 給油口の誤給油防止装置
GB2585950A (en) Safety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