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827A - 주사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827A
KR20160136827A KR1020150070905A KR20150070905A KR20160136827A KR 20160136827 A KR20160136827 A KR 20160136827A KR 1020150070905 A KR1020150070905 A KR 1020150070905A KR 20150070905 A KR20150070905 A KR 20150070905A KR 20160136827 A KR20160136827 A KR 2016013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ath
hub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Priority to KR102015007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827A/ko
Priority to PCT/KR2015/009363 priority patent/WO2016186256A1/ko
Publication of KR2016013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Abstract

주사기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주사기 조립체는,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 및 바디 앞쪽에서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본체; 주입부에 결합되는 허브 및 허브에서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조립체; 및 니들을 둘러싸며 주입부 또는 허브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주입부와 허브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 체결홈이 형성되며, 제1 체결돌기가 제1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허브는 주입부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기 본체로부터 니들조립체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고, 또한 니들조립체와 보호덮개 간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여, 주사기 본체 또는 니들조립체의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후방캡 및 전방캡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주사기 조립체의 보관, 사용 및 폐기시 안전하고 용이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주사기 조립체{SYRINGE ASSEMBLY}
본 발명은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고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사기의 사용시 바늘부분과 주사기 몸통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는 바늘보호캡을 바늘부분에서 분리하는 과정이나 점액성이 있는 약을 주입할 때 누액과 함께 주로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루어록(Luer Lock, 바늘허브 날개를 활용한 나사방식 결합)이라고 하는 제품이 개발된 바 있고, 국내에서는 록시린지(Lock Syringe, Luer Lock 타입의 나사방식과 유사) 제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루어록(Luer Lock) 타입과 록시린지(Lock Syringe)는, 제품에 나사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일반주사기(단순 조립 방식의 Luer Slip)에 비하여 금형 및 생산 방식이 복잡하여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주사기 시장은 자동화를 통한 대량생산방식이 필수적인 시장이므로 이를 개선할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두 제품은, 개발 당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재사용 방지 측면에서는 불리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2015년 2월 WHO에서는 Global Injection Safety Campaign을 발족하면서, 안전 주사기를 AD(Auto Disable), 재사용 방지(RUP: Reuse Prevention), 바늘 찔림 사고 방지(SIP: Sharp Injury Protection) 기능을 가진 장치로 정의하며, 기존 주사기에서 안전주사기 사용으로의 전환 권고캠페인을 시작한 바 있다.
나사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28585호는 "일회용 주사기"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주사통의 약액주입구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체결부와 약액주입구에 끼움 결합되는 주사바늘의 연결콕 내주연에 내측체결부가 형성되어 주사통에 결합되는 주사바늘의 연결콕과 약액주입구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주사준비 과정이나 주사행위시에 주사바늘을 주사통에 고정시킬 때 발생되었던 불편함을 해소하고, 주사시에 약액주입구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 테이퍼부가 주사바늘의 연결콕 내주연에 형성된 내측 테이퍼부가 상호 긴밀히 접촉되어 이중부재의 연결부 사이로 약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228585호에서 개시되는 주사기와 같이, 주사바늘과 약액주입구가 나사결합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시 주사바늘과 약액주입구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주사바늘 또는 주사통의 재사용 방지에 취약하게 된다.
또한, 나사결합된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주사바늘이 약액주입구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이 느슨해질 수 있으며, 이는 주사기의 사용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초래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28585호(공고일: 2013.01.31)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주사기 본체 부분과 바늘 부분의 분리 문제를 해소하고,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앞쪽에서 상기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입부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조립체; 및 상기 니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와 상기 허브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는 상기 주입부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주입부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되거나 구부러져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1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허브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상기 제1 체결돌기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주입부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앞쪽에서 상기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입부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조립체; 및 상기 니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와 상기 보호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2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상기 제2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허브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허브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되거나 구부러져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홈은 상기 보호덮개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상기 제2 체결돌기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에서, 상기 보호덮개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후방캡; 및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후방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전방캡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을 상대로 뒤쪽으로 이동시 상기 니들의 전단은 상기 전방캡 전단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을 상대로 앞쪽으로 최대한 이동시 상기 니들의 전단은 상기 전방캡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경로를 이루는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전방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1 경로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경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캡의 내주면에는 경로를 이루는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1 경로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경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 경로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락킹홈 및 상기 제3 경로와 상기 락킹홈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후방캡 및 전방캡에는,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캡에는,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림돌기를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 머무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캡에는,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돌출방향이 상기 걸림돌기와 반대인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상기 제1 경로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캡 및 전방캡에는,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기 본체로부터 니들조립체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고, 또한 니들조립체와 보호덮개 간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여, 주사기 본체 또는 니들조립체의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후방캡 및 전방캡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주사기 조립체의 보관, 사용 및 폐기시 안전하고 용이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에서 보호덮개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 보호덮개(300)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2에서 (B)는 (A)의 가이드홈(313)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에서 (B) 및 (C)는 (A)에서 주입부(120), 허브(210) 및 후방캡(310)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에서 (C) 및 (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방캡(320) 부분을 단면 형태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는 주사기 본체(100), 니들조립체(200) 및 보호덮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를 설명함에 있어서, 니들조립체(200)가 형성된 쪽을 앞쪽 주사기 본체(100)가 형성된 쪽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주사기 본체(100)는, 대체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바디(110) 및 주입부(120)로 구분되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1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되고, 바디(110)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어 전후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바디(110) 내부로 주사액이 유입되거나 바디(110) 내부에서 주사액이 유출되도록 한다.
바디(110)의 횡단면 모양 및 내경은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피스톤이 전후방향(X)으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주입부(120)는, 바디(110) 내부로 주사액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바디(110) 앞쪽에서 바디(110)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다.
주입부(120)의 내경은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주입부(120)의 외경은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거나 앞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조립체(200)는 허브(210) 및 니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니들(220)은, 피부를 뚫어 바디(110) 내부의 주사액이 신체 내부로 주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가늘고 길게 이루어지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브(210)는 니들조립체(200)가 주사기 본체(100)에 안정되고 고정되도록 하며, 주입부(120)에 결합되어 바디(110) 내부와 니들(22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허브(210)는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주입부(120)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주입부(1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허브(210) 역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브(210)의 내경은 주입부(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주입부(120)의 외경이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허브(210)의 내경 또한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주입부(120)의 외경이 앞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허브(210)의 내경 또한 앞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 허브(210)와 주입부(120)는 단순히 서로 억지끼움되는 것이 아니라, 허브(210)가 주입부(120)에 결합 후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주입부(120)와 허브(2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121)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홈(21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체결돌기(121)가 제1 체결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허브(210)는 주입부(120)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체결돌기(121)는 주입부(120)에 형성되고 제1 체결홈(211)은 허브(2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제1 체결돌기(121)는 주입부(120) 외주면에서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1 경사면(121a) 및 제1 경사면(121a)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도 3(B) 참조)되거나 구부러져(도 3(C) 참조) 전후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1 걸림면(121b)을 포함하고, 제1 체결홈(211)은 허브(210)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제1 체결돌기(121)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체결홈(211)에도, 제1 경사면(121a)에 대응되는 제1 대응경사면(211a) 및 제1 걸림면(121b)에 대응되는 제1 대응걸림면(211b)이 형성된다.
제1 걸림면(121b)이 제1 경사면(121a)에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경우, 제1 걸림면(121b)과 제1 경사면(121a)의 연결면은 곡면을 이루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출성형에 의한 제1 체결돌기(121)의 성형시 금형에서 탈착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곡면처리는, 제1 체결홈(211), 제2 체결돌기(212) 및 제2 체결홈(31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121)는 주입부(12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제1 체결홈(211) 또한 허브(21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제1 체결돌기(121)는 주입부(12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홈(211) 또한 허브(21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허브(210)와 주입부(120)가 서로 분리되어 허브(210)가 주입부(120)의 앞쪽에 놓인 상태에서, 주입부(120)의 전단이 허브(210)의 후단 내부로 삽입되도록 양자를 결합시키면, 먼저 허브(210)의 내주면 후단이 제1 체결돌기(121)의 제1 경사면(121a)을 타고 이동하고, 이후 주입부(120)의 제1 체결돌기(121)가 허브(210)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되고(이때, 제1 체결돌기(121)는 탄성변형되어 압축되고, 허브(210)는 탄성변형되어 늘어날 수 있음), 제1 체결돌기(121)가 제1 체결홈(211)까지 이동하게 되면 제1 체결돌기(121)가 제1 체결홈(211)에 삽입되면서 탄성회복되고, 이때 제1 경사면(121a)은 제1 대응경사면(211a)에 밀착하고 제1 걸림면(121b)은 제1 대응걸림면(211b)에 밀착하게 된다.
허브(210)와 주입부(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주입부(120)를 상대로 허브(210)를 앞쪽으로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 걸림면(121b)과 제1 대응걸림면(211b)은 서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특히 제1 걸림면(121b)과 제1 대응걸림면(211b)이 전후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제1 체결돌기(121)와 제1 체결홈(211)에 의하여 주사기 본체(100)와 니들조립체(200)의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주사기 본체(100) 또는 니들조립체(200)의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호덮개(300)는 대체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니들(220)을 둘러싸며 주입부(120) 또는 허브(21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 보호덮개(300)는 단일의 형태(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덮개(300)가 후방캡(310) 및 전방캡(320)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보호덮개(300)가 니들조립체(200) 또는 주사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니들(220)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보호덮개(300)가 후방캡(310) 및 전방캡(320)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보호덮개(300)가 니들조립체(200)의 허브(210)와 분리결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보호덮개(300)가 후방캡(310) 및 전방캡(320)으로 구분되는 경우, 후방캡(310)은 니들조립체(200)의 허브(2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후방캡(310)이 허브(2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할 제2 체결돌기(212)와 제2 체결홈(311)가 형성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보호덮개(300)가 니들조립체(200)의 허브(210)와 분리결합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후방캡(31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허브(2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허브(2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캡(310) 역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캡(310)은 길이방향에서 니들(2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후방캡(310)의 전후방향(X) 길이는 니들(220)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진다. 후방캡(310)의 앞쪽 단부에는 후방벽(312)이 형성되고, 이러한 후방벽(312)에 관통형성된 관통홀(312a)이 구비되며, 후방벽(312)의 관통홀(312a)을 통해 니들(220)이 이동할 수 있다.
후방캡(310)의 내경(특히, 뒤쪽 부분)은 허브(21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허브(210)의 외경이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캡(310)의 내경 또한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허브(210)의 외경이 앞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캡(310)의 내경 또한 앞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캡(310)과 허브(210)는 단순히 서로 억지끼움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캡(310)이 허브(210)에 결합 후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허브(210)와 후방캡(3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체결돌기(21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 체결돌기(212)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홈(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체결돌기(212)가 제2 체결홈(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캡(310)은 허브(210)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체결돌기(212)는 허브(210)에 형성되고 제2 체결홈(311)은 후방캡(3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제2 체결돌기(212)는 허브(210) 외주면에서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 경사면(212a) 및 제2 경사면(212a)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도 3(B) 참조)되거나 구부러져(도 3(C) 참조) 전후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2 걸림면(212b)을 포함하고, 제2 체결홈(311)은 후방캡(310)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제2 체결돌기(212)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체결홈(311)에도, 제2 경사면(212a)에 대응되는 제2 대응경사면(311a) 및 제2 걸림면(212b)에 대응되는 제2 대응걸림면(311b)이 형성된다.
제2 체결돌기(212)는 허브(21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제2 체결홈(311) 또한 후방캡(31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제2 체결돌기(212)는 허브(21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홈(311) 또한 후방캡(31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캡(310)이 허브(210)의 앞쪽에 놓여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허브(210)의 전단이 후방캡(310)의 후단 내부로 삽입되도록 양자를 결합시키면, 먼저 후방캡(310)의 내주면 후단이 제2 체결돌기(212)의 제2 경사면(212a)을 타고 이동하고, 이후 허브(210)의 제2 체결돌기(212)가 후방캡(310)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되고(이때, 제2 체결돌기(212) 및 후방캡(310)은 탄성변형되어 압축되거나 늘어남), 제2 체결돌기(212)가 제2 체결홈(311)까지 이동하게 되면 제2 체결돌기(212)가 제2 체결홈(311)에 삽입되면서 탄성회복되고, 이때 제2 경사면(212a)은 제2 대응경사면(311a)에 밀착하고 제2 걸림면(212b)은 제2 대응걸림면(311b)에 밀착하게 된다.
후방캡(310)과 허브(2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허브(210)를 상대로 후방캡(310)을 앞쪽으로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2 걸림면(212b)과 제2 대응걸림면(311b)은 서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특히 제2 걸림면(212b)과 제2 대응걸림면(311b)이 전후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제2 체결돌기(212)와 제2 체결홈(311)에 의하여 보호덮개(300)와 니들조립체(200)의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니들조립체(200)의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방캡(310)과 허브(21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캡(310)과 허브(210)의 분리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순한 조립공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전방캡(32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캡(310)을 둘러싸는 형태로 후방캡(3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방캡(320) 역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캡(320)의 앞쪽 단부에는 전방벽(321)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방벽(321)에 관통형성된 인출홀(321a)이 구비되며, 전방벽(321)의 인출홀(321a)을 통해 니들(220)이 출입하게 된다.
전방캡(320)의 외주면에는 조절돌부(324)가 형성될 수 있고, 조절돌부(324) 상에는 마찰력을 통한 파지의 용이를 위하여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조절돌부(324)를 파지하여 후방캡(310)을 상대로 전방캡(320)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거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방캡(320)의 내경은 후방캡(31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전방캡(320)의 내경과 후방캡(310)의 외경은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캡(320)은 길이방향에서 니들(2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고, 전방캡(320)의 전후방향(X) 길이는 니들(220)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진다. 다만, 전방캡(320)과 후방캡(310)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덮개(300)의 전체 길이(전방캡(320)과 후방캡(310)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는 니들(220)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캡(320)은 후방캡(310)에 결합되어, 후방캡(31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X) 및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전방캡(320)이 후방캡(310)을 상대로 뒤쪽으로 이동시 니들(220)의 전단은 전방캡(320) 전단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전방캡(320)이 후방캡(310)을 상대로 앞쪽으로 최대한 이동시 니들(220)의 전단은 전방캡(320)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후방캡(310)을 상대로 전방캡(320)을 최대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니들(220)은 보호덮개(300)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후방캡(310)을 상대로 전방캡(320)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전방캡(320)의 인출홀(321a)을 통해 니들(220)의 첨단 부분이 인출되면서 니들(220)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후방캡(310)과 전방캡(320) 간의 이동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홈(313) 및 슬라이더(322)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홈(313)이 후방캡(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면서 슬라이더(322)가 전방캡(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홈(후방캡(310)의 가이드홈(313)과 동일한 형태)이 전방캡(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면서 슬라이더(전방캡(320)의 슬라이더(322)와 동일한 형태)가 후방캡(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313)은 후방캡(3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경로를 이루고, 이러한 가이드홈(31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홈(313)은 2개로 구비되어 후방캡(310)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슬라이더(322) 또한 2개로 구비되어 전방캡(320)의 내주면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게 됨은 물론이다.
가이드홈(313)은 후방캡(310)의 외주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경로(313a), 제2 경로(313b) 및 제3 경로(313c)로 구분된다.
제1 경로(313a)는 전후방향(X)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후방캡(310)의 전후방향(X)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2 경로(313b)는 제1 경로(313a)의 후단에서 후방캡(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 경로(313b)와 제1 경로(313a)는 서로 직교한다.
제3 경로(313c)는 제1 경로(313a)의 전단에서 후방캡(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3 경로(313c)와 제1 경로(313a)는 서로 직교한다. 제3 경로(313c)는 제2 경로(313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더(322)는 전방캡(320)의 내주면에서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홈(313)에 삽입되고, 가이드홈(313)이 이루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더(322)가 가이드홈(313)의 제1 경로(313a) 상에 위치할 때, 슬라이더(322)는 제1 경로(313a)의 길이방향(전후방향(X)) 이외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슬라이더(322)의 폭은 제1 경로(313a)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 상에 위치하면서 이동할 때 전방캡(320)은 후방캡(310)을 상대로 전후방향(X)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더(322)가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전방캡(320)은 후방캡(310)을 상대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에서 제3 경로(313c)로 완전히 진입하는 경우 전방캡(320)은 후방캡(310)을 기준으로 뒤쪽(및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덮개(300)의 최대길이가 유지된다. 즉, 이때 니들(220)은 보호덮개(30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보호덮개(300)의 길이변화가 제한된다.
한편,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에서 제2 경로(313b)로 완전히 진입하는 경우 전방캡(320)은 후방캡(310)을 기준으로 앞쪽(및 뒤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덮개(300)의 최소길이가 유지된다. 즉, 이때 니들(220)은 보호덮개(300) 외부로 인출되고, 보호덮개(300)는 길이변화가 제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호덮개(300)의 분리없이 니들(220)의 노출 및 차폐가 모두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슬라이더(322)가 제3 경로(313c)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니들(220)의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슬라이더(322)가 제2 경로(313b)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니들(220)의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게 보호덮개(30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편의 및 위험방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 후방캡(310)의 외주면에는 락킹홈(314) 및 걸림턱(315)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홈(314)은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제3 경로(313c)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슬라이더(322)가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락킹홈(314)은 제1 경로(313a)의 전단에서 제3 경로(313c)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캡(310)을 상대로 원주방향을 따라 전방캡(320)을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슬라이더(322)는 제3 경로(313c)로 이동할 수 있고, 전방캡(320)을 그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슬라이더(322)는 락킹홈(3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턱(315)은 제3 경로(313c)와 락킹홈(314) 사이에 구비되며, 제3 경로(313c) 및 락킹홈(314)의 바닥보다 높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슬라이더(322)가 제3 경로(313c)에서 락킹홈(314) 쪽으로 이동하거나 락킹홈(314)에서 제3 경로(313c) 쪽으로 이동할 때, 저항력이 작용하도록 하거나 이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15)은, 제3 경로(313c)에서 락킹홈(314) 쪽을 향하는 방향에서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며, 슬라이더(322)가 이러한 경사면을 넘어 락킹홈(31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한다.(다만,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더(322)는 걸림턱(315)의 경사면을 넘지 못하고 제3 경로(313c) 상에 머무르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걸림턱(315)은, 락킹홈(314)에서 제3 경로(313c) 쪽을 향하는 방향에서는 경사가 급격하거나 수직한 벽면을 이루며, 슬라이더(322)가 벽면에 부딪혀 제3 경로(313c)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처럼 걸림턱(315)은, 슬라이더(322)가 제3 경로(313c)에서 락킹홈(31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면서, 슬라이더(322)가 락킹홈(314)에서 제3 경로(313c) 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슬라이더(322)가 락킹홈(314)에 삽입되도록 전방캡(320)을 후방캡(310)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니들(220)의 재사용 및 니들(220)의 노출(니들(220) 첨단의 노출)에 따른 위험유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인디케이터(316a, 316b, 3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는 후방캡(310) 및 전방캡(320)에 각각 표시되어 슬라이더(322)가 락킹홈(314)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인디케이터(316a, 316b, 323)는, 전방캡(320)이 후방캡(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슬라이더(322)가 걸림돌기(317)와 고정돌기(318) 사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인디케이터는 기준점(323), 잠금표시(316a) 및 안전표시(3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기준점(323)은 전방캡(320)에 표시되고, 잠금표시(316a) 및 안전표시(316b)는 후방캡(310)에 표시된다.
기준점(323)이 안전표시(316b) 쪽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더(322)가 제3 경로(313c) 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기준점(323)이 잠금표시(316a) 쪽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더(322)가 락킹홈(314) 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주사기 조립체(1)의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도 4(D)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걸림돌기(3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317)는 후방캡(310) 상에 형성되고, 제2 경로(313b) 및/또는 제3 경로(313c) 상에서 가이드홈(313)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걸림돌기(317)는 제1 경로(313a)와 인접한 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 상에서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쪽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슬라이더(322)는 걸림돌기(317)를 타고 넘어간 후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상에 머무르게 되며,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 쪽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걸림돌기(317)는,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 상에서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슬라이더(322)가 제1 경로(313a) 쪽으로 재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덮개(300)의 최단길이 상태와 최장길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더(322)가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상에서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걸림돌기(317)의 돌출정도를 크게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걸림돌기(317)의 돌출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강한 하중(큰 모멘트)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걸림돌기(317)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1)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걸림돌기(317)와 별도로 고정돌기(318)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고정돌기(318)는 걸림돌기(317)와 함께 후방캡(310) 상에 형성되고, 특히 제2 경로(313b) 및/또는 제3 경로(313c) 상에서 가이드홈(313)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림돌기(317)가 제2 경로(313b)(및/또는 제3 경로(313c)) 상에 형성되는 경우 고정돌기(318) 또한 제2 경로(313b) 상에 형성되고, 걸림돌기(317)가 제2 경로(313b)(및/또는 제3 경로(313c)) 상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고정돌기(318) 또한 제2 경로(313b)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고정돌기(318)의 돌출된 길이는 걸림돌기(317)의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318)는 걸림돌기(317)보다 제1 경로(313a)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특히 고정돌기(318)의 돌출방향은 걸림돌기(317)의 돌출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322)가 걸림돌기(317)를 타고 넘어간 후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상에 머무르는 상태에서, 슬라이더(322)는 고정돌기(318)와 근접하거나 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격(裕隔)을 최소화하면서 후방캡(310)과 전방캡(320)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돌기(317)의 돌출정도를 크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더(322)가 제2 경로(313b) 또는 제3 경로(313c) 상에서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317)의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주사기 조립체 100 : 주사기 본체
110 : 바디 120 : 주입부
121 : 제1 체결돌기 121a : 제1 경사면
121b : 제1 걸림면 200 : 니들조립체
210 : 허브 211 : 제1 체결홈
211a : 제1 대응경사면 211b : 제1 대응걸림면
212 : 제2 체결돌기 212a : 제2 경사면
212b : 제2 걸림면 220 : 니들
300 : 보호덮개 310 : 후방캡
311 : 제2 체결홈 311a : 제2 대응경사면
311b : 제2 대응걸림면 312 : 후방벽
312a : 관통홀 313 : 가이드홈
313a : 제1 경로 313b : 제2 경로
313c : 제3 경로 314 : 락킹홈
315 : 걸림턱 316a : 잠금표시
316b : 안전표시 317 : 걸림돌기
318 : 고정돌기 320 : 전방캡
321 : 전방벽 321a : 인출홀
322 : 슬라이더 323 : 기준점
324 : 조절돌부

Claims (14)

  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앞쪽에서 상기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입부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조립체; 및
    상기 니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와 상기 허브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는 상기 주입부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주입부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되거나 구부러져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1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허브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상기 제1 체결돌기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주입부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4.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앞쪽에서 상기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입부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조립체; 및
    상기 니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와 상기 보호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2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상기 제2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허브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허브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뒤쪽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되거나 구부러져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홈은 상기 보호덮개 내주면에 형성되되 그 종단면 모양이 상기 제2 체결돌기의 종단면 모양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주입부 또는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후방캡; 및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후방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전방캡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을 상대로 뒤쪽으로 이동시 상기 니들의 전단은 상기 전방캡 전단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을 상대로 앞쪽으로 최대한 이동시 상기 니들의 전단은 상기 전방캡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경로를 이루는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전방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1 경로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캡의 내주면에는 경로를 이루는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1 경로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 경로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락킹홈 및 상기 제3 경로와 상기 락킹홈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 및 전방캡에는,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에는,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림돌기를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 머무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에는, 상기 제2 경로 또는 제3 경로 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돌출방향이 상기 걸림돌기와 반대인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상기 제1 경로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 및 전방캡에는, 상기 전방캡이 상기 후방캡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체.
KR1020150070905A 2015-05-21 2015-05-21 주사기 조립체 KR20160136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05A KR20160136827A (ko) 2015-05-21 2015-05-21 주사기 조립체
PCT/KR2015/009363 WO2016186256A1 (ko) 2015-05-21 2015-09-04 주사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05A KR20160136827A (ko) 2015-05-21 2015-05-21 주사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827A true KR20160136827A (ko) 2016-11-30

Family

ID=5770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905A KR20160136827A (ko) 2015-05-21 2015-05-21 주사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8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646A (en) Single use shieldable hypodermic syringe with a reusable handle
US8062265B2 (en) Automatic needle guard for medication pen
US20060184113A1 (en) Protective sheath for a cannula, injection unit comprising such a sheath and needle provided with such a sheath
US4892525A (en) Hypodermic needle protective barrel and cap packaging
US7798977B2 (en) Disposable blood sampling device
JP6609408B2 (ja) 連結器具
US20070299394A1 (en) Apparatus for Removing Needle Assembly
TWI556847B (zh) 藥物輸送裝置
JPH02243163A (ja) 皮下注射器に取外し自在なカニューレの防護装置
KR102179345B1 (ko) 안전 바늘
CA2131042A1 (en) Holder for cartridge-needle unit
KR20170019187A (ko) 주사기 조립체
JP2018518317A (ja) 接合された針を含むシリンジ
JP2008237454A (ja) プロテクタ
KR910004532Y1 (ko) 안전 주사기
KR20100016555A (ko)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JP2005511154A (ja) 再利用可能な主要部品を備えた安全注射器、注射針を容器に廃棄する方法、及び廃棄可能な部品用容器
US11318255B2 (en) Syringe with locking mechanism
WO2019203298A1 (ja) 注射針と注射装置
HU213766B (en) Collar for cartridge-needle unit
KR20160136827A (ko) 주사기 조립체
US6989001B2 (en) Breakable syringe with a safety sleeve
JP4413978B2 (ja) 医療用注射器
US20170028138A1 (en) Push-and-separate safety syringe
JP4233892B2 (ja) 医療用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