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555A -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555A
KR20100016555A KR1020097023790A KR20097023790A KR20100016555A KR 20100016555 A KR20100016555 A KR 20100016555A KR 1020097023790 A KR1020097023790 A KR 1020097023790A KR 20097023790 A KR20097023790 A KR 20097023790A KR 20100016555 A KR20100016555 A KR 2010001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pen
latching means
injection pen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하트만
위르겐 푸흐스
Original Assignee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1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8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snap lock, i.e. upon axial displacement of needle assemb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뉼러(cannula)의 홀딩 및 주사 펜(injection pen)에의 분리가능한 배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본체(2)를 가지며, 상기 캐뉼러(cannula)는 상기 본체(2)의 중심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2)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칭 수단(latching means: 3)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의 저장 또는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release mechanism)에 마련된 상기 래칭 수단(3)과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에 의해 상기 래칭 수단(3)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HOLDING A CANNULA AND FOR THE RELEASABLE ARRANGEMENT ON AN INJECTION PEN}
본 발명은 캐뉼러(cannula)를 홀딩하여 주사 펜(injection pen)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캐뉼러(cannula)를 홀딩하여 주사 펜(injection pen)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가 EP 1 396 234 B1에 개시되어 있다. 캐뉼러(cannula)를 홀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펜 캐뉼러(pen cannula)로서 설계된 상기 장치는 웹들(webs)을 가지며, 상기 웹들은 속이 빈 원통형 본체(main body)의 외주면에 분포되고,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원위단(distal end)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 전체의 원위단(distal end)에 비드(bead)로서 마련된 엘리베이션(elevation) 속으로 펼쳐진다. 상기 웹들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침하(depression)가 형성된다. 이러한 침하는 상기 본체의 근위단(proximal end)에서 시작되어 원위단(distal end) 방향으로 진행하지만, 원위단(distal end)에까지 도달하지는 않는다. 상기 웹들 및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침하는 사용된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하여 적당한 처리 용기(disposal container) 속에 처리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 가 처리될 때,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직경과 거의 같은 처리 용기의 개구 속에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끼워진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침하 및 상기 웹들에 대응하는 요소들은 상기 개구에 배열되며, 상기 웹들 및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침하의 음화(negative image)를 형성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전방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침하 및 상기 웹들이 상기 개구의 대응 요소들과 결합할 때까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이 상기 처리 용기의 개구 속으로 삽입된다. 이 위치에서, 암나사(inner thread)를 통해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의 수나사(outer thread)에 나사결합되었던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과의 나사결합이 풀리며, 뒤에서부터 어버트먼트(abutment)에 의해 결합된다. 그 후,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은 상기 처리 용기의 개구로부터 멀어진다. 이론상, 상기 침하 및 웹들을 갖는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이후 상기 개구의 대응 요소들로부터 풀려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떨어져 안전하게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되는 펜 캐뉼러(pen cannula)와 관련하여, 특히 비드(bead)로서 마련된, 상기 개구된 말단의 외주면 전체에서 연장된 엘리베이션(elevation)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침하 및 웹들에 대응하는 처리 용기의 요소들에 걸리거나 상기 요소들에 쐐기모양으로 박혀 꼼짝 않게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처리 용기의 개구에 끼어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안전하게 처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의 경우,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의 안전한 처리를 완료하기 위해, 끼거나 쐐기모양으로 박힌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손이나 툴(tool)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밀어넣어야 한다. 그와 같은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의 개구로부터 튀어나오는 바늘에 의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처리하고자 하는 사람이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주사 장치는 전염성이 높은 질병들에 걸린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주사침으로 인한 상처는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위험이 상당히 높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펜 캐뉼러들(pen cannulas)도 마찬가지로, 분리 과정에서, 어버트먼트(abutment)에 의해 뒤에서부터 처리 용기와 결합되며, 그 경우 펜 캐뉼러(pen cannula)와 주사 펜(injection pen)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펜 캐뉼러들(pen cannulas)은 뒤에서부터의 결합방식에 의해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모든 알려진 펜 캐뉼러들(pen cannulas)은 분리되는 주사 펜(injection pen)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처리 용기 속으로의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안전한 처리 또는 저장 용기 속으로의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안전한 저장을 단순화하고,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처리하는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감염 및 상처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주사 펜(injection pen)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본체(main body) 외주면에 마련된 래칭 수단(latching means)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release mechanism)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mating latching means)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되어, 처리 용기 속에 처리되거나 저장 용기 속에 저장될 때, 상기 수단(래칭 수단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처리 용기 또는 저장 용기의 개구에 끼어 고정되거나 쐐기모양으로 박혀 고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실제로 상기 처리 또는 저장 용기의 개구에 끼워 맞춰진 후, 약제를 주사하기 위한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사이의 연결(connection) 또는 결합(coupling)이 풀리게 되며,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은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덕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상기 처리 또는 저장 용기의 분리 기구 속에 삽입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래칭 수단은 상기 처리 또는 저장 용기의 분리 기구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이 제거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래칭 수단은 상기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장치는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장치 및 상기 개구 어디에도 상기 장치가 상기 개구에 끼어 고정되거나 쐐기모양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하는 요소가 없어, 상기 장치가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분리 과정 중, 상기 개구에 상기 장치가 꽉 클램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어떤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래칭 수단과 상기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이로움이 증명된다. 저장 용기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장치를 오로지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되고, 또한 캐뉼러(cannula)를 홀딩하기 위한 보호캡(protective cap)의 형태인 경우,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의 특별한 기하학적 구조는 저장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확실히 안전하게 홀딩되도록 하며, 상기 장치가 다시 미끄러져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주사 펜(injection pen)에 배치된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약제로 채워진 카트리지(cartridge)의 격막에 끼워 맞춰진 경우, 캐뉼러(cannula)는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분리될 때 상기 격막에 남겨질 수 있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더라도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방해없는 처리가 보장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처리 용기의 개구로부터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과 함께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리 기구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래칭 수단 뒤에 걸리게 된다.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이 회수될 때,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격막으로부터 캐뉼러(cannula)가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의 언더컷들(undercuts)에 의해 안전하게 홀딩된다. 이후,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아무런 방해없이 상기 처리 용기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특히, 주사 펜(injection pen)을 이용한 정기적인 인슐린(insulin) 주사에 의존하는 당뇨병 환자들 및 종종 자신들의 질병으로 인해 심각한 시력 손상을 입을 사람들이, 상기 처리 또는 저장 용기의 분리 기구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고정될 때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으로부터 촉각 및 청각적 반응(feedback)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이점은,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하학적 구조를 통해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이 서로 걸리게 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분리 기구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래칭 수단을 간단한 웹들(simple webs)로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웹들(webs)로서 설계된 래칭 수단의 경우,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이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간단한 커팅들(simple cuttings)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래칭 수단은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에 마련된 후방 어버트먼트들(rear abutments)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 후방 어버트먼트들을 갖는다. 이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의 확실한 걸림을 보장하여, 그와 같은 걸림이 뜻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래칭 수단은 또한,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의 분리 기구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의 측방 어버트먼트들(lateral abutments)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 측방 어버트먼트들을 갖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상기 분리 기구 내에서 뜻하지 않게 비틀려진 결과, 서로 맞물린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래칭 수단이 웹들(webs)로서 설계된 경우, 분리 기구에 마련된 상기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을 리세스들(recesses)로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를 통해, 상기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이 서로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더 간단하고 안전한 취급(handling)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래칭 수단이 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 역시 마찬가지로 분리 기구의 외주면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래칭 수단이 분리 기구에 쐐기모양으로 박혀 꼼짝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분리 기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안전한 분리를 보장하도록, 상기 래칭 수단이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의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의 중앙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
전술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래칭 수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의 중앙부 영역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본체는 바람직하게 속이 빈 원통형으로 설계되어, 주사 펜(injection pen)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의 분리가능한 배치를 위한 커플링 수단(coupling means)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커플링 수단과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약제의 주사를 위한 장치의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수나사(outer thread)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암나사(inner thread)로서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에 제공된다.
택일적으로, 상기 커플링 수단은 약제의 주사를 위한 기구의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과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수단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기 기구에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마련되도록 할 필요없이, 상기 본체가 약제의 주사를 위한 기구에 쉽게 끼워 맞춰지도록 하고, 다시 그것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래칭 수단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은 상기 장치와 상기 약제의 주사를 위한 기구 사이의 확실하고 간단하며 신속한 걸림 및 분리를 보장한다.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짝을 이루는 클립 부재(clip element)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 부재를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클립 부재는 기술적으로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며, 안전하고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커플링(coupling)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그와 같은 저장 또는 처리 용기는 특허청구범위 제15항에 나타나 있다. 추가적인 유용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인 제16항 내지 제18항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특징들 및 가능한 용례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펜 캐뉼러(pen cannula)의 형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본체(main body)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펜 캐뉼러(pen cannula)의 형태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처리 용기(disposal container)의 개구(opening)에서의 분리를 위해 삽입되는, 도 5에 따른 펜 캐뉼러(pen cannula)를 갖는 주사 펜(injection pen)을 보여준다.
도 7은 처리 용기에서 바라본, 도 6에 따른 펜 캐뉼러(pen cannula)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부 확대도이다.
도 9는 주사 펜(injection pen)을 포함하지 않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보호캡(protective cap)으로서 설계된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
1 : 캐뉼러(cannula)
2 : 본체(main body)
3 : 래칭 수단(latching means)
4 : 어버트먼트(abutment)
5 : 어버트먼트
7 : 암나사(inner thread)
8 : 강화 부재(reinforcing element)
9 : 언더컷(undercut)
10 : 길이방향 중심축(central longitudinal axis)
11 : 주사 펜(injection pen)
15 : 비드(bead)
17 : 침하(depression)
19 : 폐쇄 부재(closure element)
20 : 저장 용기(storage container) 또는 처리 용기(disposal container)
21 : 분리 기구(release mechanism)
23 :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mating latching means)
24 : 어버트먼트
25 : 어버트먼트
26 : 리세스(recess)
27 : 베벨(bevel)
28 : 비드(bea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주사 펜(injection pen)을 위한 펜 캐뉼러(pen cannula)로서 설계된 것이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주로 본체(main body: 2) 및 상기 본체(2)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안전하게 유지되는 캐뉼러(cannula)(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2)는 근위단(proximal end)에 폐쇄 부재(closure element: 19)를 갖는 속이 빈 원통으로 설계되며, 상기 폐쇄 부재(19)는 상기 본체(2)의 말단을 폐쇄한다. 상기 캐뉼러(cannula)를 위한 강화 부재(reinforcing element: 8)가 상기 폐쇄 부재(19)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central longitudinal axis)과 상기 강화 부재(8)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일치하게 된다. 상기 강화 부재(8)는 그 명칭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상기 폐쇄 부재의 영역에 있는 캐뉼러(cannula: 1)를 지지하여 강화하도록 작용하며, 상기 캐뉼러(cannula)에 작용하는 힘들을 흡수하여 상기 본체(2)로 전달한다.
래칭 수단(latching means: 3), 또는 컷팅들(cuttings) 및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이 속이 빈 원통형 본체(2)의 외주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침하들(depressions) 및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은 서로 평행하고 곧은 웹들(webs)과 같이, 상기 본체(2)의 폐쇄된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개방된 원위단(distal end)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2)의 개방단 영역에서, 상기 엘리 베이션들(elevations)은 상기 본체(2)를 지나도록 연장되거나, 상기 본체(2)의 전체 커버 두께를 관통하는 컷팅들(cuttings)로서 설계된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2)는 주사 펜(injection pen)의 수나사(outer thread)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inner thread: 7)를 내측면에 구비하여,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펜 캐뉼러(pen cannula)와 주사 펜(injection pen)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이 성립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택일적으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와 주사 펜(injection pen)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에 마련된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7a)과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대응되도록 마련된 연결 수단(미도시)을 통해 성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수단(7a)은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에 형성된 언더컷(undercut: 9)으로서 설계된다. 여기서 짝을 이루는 상기 래칭 수단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형성된 미도시된 침하(depression) 또는 클립 부재(clip element) 또는 스프링 부재(spring element)의 형태를 갖는다. 개개의 침하(depression)는 각각의 언더컷(undercut)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일 면에 모든 언더컷들(undercuts)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의 표면 둘레에 걸친 침하(depression)를 상기 언더컷들(undercuts: 9)을 위해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으로서 설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주사 펜(injection pen)에 정렬하기 위해, 대응되는 수나사와 암사나 및 적절한 경우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 및 주사 펜(injection pen) 각각의 추가적인 연결 수단이 서로 결합되게 하며, 그에 따라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분리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본체(2)의 빈 공간 속으로 튀어나온 미도시된 캐뉼러(cannula)의 말단이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약제 카트리지(medicament cartridge)의 격막을 뚫고 나온다. 이후, 약제(medicament)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의 도움으로 투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캐뉼러(cannula)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부터 약제가 나오게 된다.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배치되어 있는 사용된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이 처리 용기(disposal container: 20)의 개구(opening)로서 설계된 분리 기구(release mechanism: 21) 속에 삽입된다. 상기 개구는,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원통형 본체(2)의 몇몇 엘리베이션들(elevations) 및 침하들(depressions)이 상기 개구 내측의 대응 요소들과 맞물리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지만,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개구에 끼여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은 피하도록 하는 역할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게 설계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엘리베이션들(elevations) 및 침하들(depressions)이 상기 개구의 대응 요소들과 맞물리는 경우, 나사결합을 푸는 방식에 의해, 또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을 회전시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연결 부재들(7, 9)을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의 연결 부재들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에 의 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분리 기구(21)의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의 어버트먼트들(abutments: 24)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래칭 수단(3)의 어버트먼트들(4) 뒤에 걸린다. 이후,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이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캐뉼러(cannula)는 상기 약제 카트리지의 격막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 및 분리 기구(21) 어느 것도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분리 기구(21)에 클램핑되게 하거나, 끼어 고정되게 하거나 또는 쐐기모양으로 박혀 고정되게 하는 어떤 요소들도 갖지 않기 때문에, 이후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처리 용기 속에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펜 캐뉼러(pen cannula)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본체(2)를 이용하여 수나사와 암나사 및/또는 연결 수단에 의해 주사 펜(injection pen: 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2)의 중심축(4)에 고정된 캐뉼러(cannula: 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펜 캐뉼러(pen cannula)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절차와 유사하게 주사 펜(injection pen)에 배치된다.
그러나,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와 다르다. 특히,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 이, 웹들(webs)로서 설계된 래칭 수단(3)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속이 빈 원통형 본체(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서, 상기 본체(2)의 길이방향 중심축(central longitudinal axis: 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본체(2)의 폐쇄된 근위단(proximal end)에 배치된 폐쇄 부재(closure element: 3)의 영역에서 출발하며, 그 연장은 대략 상기 본체(2)의 외주면의 중앙에서 끝난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캐뉼러(cannula: 1)는 상기 캐뉼러(cannula: 1)의 보호캡(protective cap)으로서 기능하는 강화 부재(reinforcing element: 8) 속에 고정된다.
도 6 내지 도 9는 주사 펜(injection pen: 11)에 배치된, 도 5에 따른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다른 모습들을 보여주며, 여기서의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의 분리를 위해, 이미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21)의 개구 속에 삽입된 상태이다.
도 6에서, 주사 펜(injection pen: 11)의 말단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펜 캐뉼러(pen cannula)가 평면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분리 기구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기 처리 용기(20)는 단면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21)의 대응되는 개구 속에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본체(2)가 이미 삽입되어 있으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래칭 수단(3) 및 그와 짝을 이루는 분리 기구(21)의 래칭 수단(23)에 의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래칭 수단(23)은 상기 래칭 수단(3)의 어버트먼 트들(4) 뒤에 걸리는 어버트먼트들(24)을 갖는다. 이 위치에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상기 어버트먼트들(24)을 갖는 래칭 수단(23)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개구 속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처리 용기(20)의 내측 방향으로 휠 수 있게 설계된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들(24)을 갖는 래칭 수단(23)은, 상기 래칭 수단(3)의 어버트먼트들(4)이 뒤에서 완전히 걸리게 될 수 있게,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 둘레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삽입과정에서, 상기 래칭 수단(23)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래칭 수단(3)은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간다. 상기 래칭 수단(3)이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을 통과하면, 상기 래칭 수단(23)은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며, 상기 래칭 수단(23)의 어버트먼트들(24)은 상기 래칭 수단(3)의 어버트먼트들(4) 뒤에 걸리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로부터 쉽게 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삽입은 되돌릴 수 없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펜 캐뉼러(pen cannula)에 있어서, 주사 펜(injection pen: 11)과 펜 캐뉼러(pen cannula)의 꼭 맞는 안전한 결합이 나사결합방식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사 펜(injection pen: 11)의 대응되는 연결 수단과 맞물리는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몇몇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한 것일 경우, 단순히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을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로부터 빼내는 방식에 의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 수단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언더컷들(undercuts: 9)일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bead: 15) 역시 상기 연결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그 경우,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에는 홈(trough) 형태의 연결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 분리되자마자 처리 용기(20) 속으로 떨어져, 뜻하지 않게 분실되거나 하는 일 없이 상기 처리 용기(20) 속에 안전하게 저장된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암나사(7)를 이용하여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의 수나사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의 분리를 위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비틀어 꺾어야 하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기구(21)의 개구 안쪽 내주면 둘레에 리세스들(recesses: 26)이 마련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의 삽입과정에서, 래칭 수단(3)이 상기 리세스들(26)과 즉각적으로 맞물리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칭 수단(3)은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다. 결과적으로 형성된 경사부는 상기 래칭 수단(3)이 상기 리세스들(26) 내부에 더 간단히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래칭 수단(3)이 상기 리세스들(26) 내부에 걸리게 된 후,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쉽게 비틀어 꺾여져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과 펜 캐뉼러(pen cannula)의 꼭 맞는 안전한 결합을 위해 또 다른 연결 수단이 이 용되는 경우,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비틀어 꺾는 과정에서, 상기 또 다른 연결 수단이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 풀린다. 이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 분리되자마자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처리 용기(12) 속으로 떨어져,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저장된다.
도 10은 펜 캐뉼러(pen cannula)의 보호캡(protective cap)으로서 설계된 저장 용기(2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저장 용기(20) 역시 마찬가지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기구(21)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른 분리 기구(21)의 래칭 수단(23)은 경사부(27)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27)는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 속으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분리를 위해 상기 분리 기구(21)의 개구 속으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에 마련된, 웹들(webs)로서 설계된 래칭 수단(3)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상기 분리 기구에 완전히 수용될 때까지, 상기 분리 기구(21)의 경사부(27)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다. 최종적으로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를 주사 펜(injection pen: 1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웹들(webs)로서 설계된 래칭 수단(3)이 비드들(beads: 28)을 지나 어버트먼트들(25)에 의해 리세스들(26) 내부에 고정될 때까지,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가 회전된다. 상기 래칭 수단(3)이 리세스들(26) 내부에 고정된 후, 상기 비드들(28)은 상기 래칭 수단(3)이 뜻하지 않게 저장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와 주사 펜(injection pen: 11)이 나사결합방식 에 의해 결합된 경우,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더 회전된다. 어버트먼트들(25)에 의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와 주사 펜(injection pen)의 대응되는 나사들이 풀려, 이후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 11)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저장 용기(20)로서 설계된 보호캡의 분리 기구(21)의 래칭 수단(23)의 버트먼트들(24)에 의해, 상기 펜 캐뉼러(pen cannula)는 상기 보호캡 속에 포획되어 그 속에 안전하게 저장된다.

Claims (18)

  1. 캐뉼러(cannula: 1)를 홀딩하여 주사 펜(injection pen: 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2)를 가지며, 상기 캐뉼러(1)는 상기 본체(2)의 중심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2)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 마련된 래칭 수단(latching means: 3)이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release mechanism: 21)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웹들(webs)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21)에 마련된 후방 어버트먼트들(rear abutments: 24)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 후방 어버트먼트들(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21)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의 측방 어버트먼트들(lateral abutments: 25)에 의해 뒤에서 걸리게 되도록 설계된 측방 어버트먼트들(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장치를 위한 저장 또는 처리 용기(20)의 분리 기구(21)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들(recesses: 26) 속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본체(2)의 외주면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의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3)은 상기 본체(2)의 중앙부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2)는 상기 본체(2)를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coupling means)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주사 펜(injection pen)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커플링 수단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암나사(inner thread: 7)가 상기 커플링 수단으로서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2)에 마련되며, 상기 암나사(7)는 상기 짝을 이루는 커플링 수단으로서 상기 주사 펜(11)에 마련된 수나사(outer thread)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7a)이 상기 커플링 수단으로서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본체(2)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 수단(7a)은 상기 짝을 이루는 커플링 수단으로서 상기 주사 펜(1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 부재(clip element)가 상기 연결 수단(7a)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주사 펜(11)에 마련된 짝을 이루는 클립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1)가 고정되는 강화 부재(reinforcing element: 8)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러(1)를 홀딩하여 주사 펜(11)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분리 기구(21)를 갖는 저장 또는 처리 용기(2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기구(21)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본체(2) 외주면에 마련된 래칭 수단(3)과 맞물리도록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또는 처리 용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짝을 이루는 래칭 수단(3)은 후방 어버트먼트들(24)을 가지며, 상기 후방 어버트먼트들(24)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본체(2)에 마련된 래칭 수단(3)의 후방 어버트먼트들(4) 뒤에 걸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또는 처리 용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본체(2)에 마련된 래칭 수단(3)을 고정하기 위한 리세스들(recesses)이 상기 분리 기구(21)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또는 처리 용기.
KR1020097023790A 2007-05-10 2008-05-13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KR20100016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2404.6 2007-05-10
DE102007022404A DE102007022404A1 (de) 2007-05-10 2007-05-10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Kanüle und zur lösbaren Anordnung an einer Einrichtung zur Injektion von Flüssigk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555A true KR20100016555A (ko) 2010-02-12

Family

ID=3972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790A KR20100016555A (ko) 2007-05-10 2008-05-13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57444B2 (ko)
EP (1) EP2144651A1 (ko)
KR (1) KR20100016555A (ko)
CN (1) CN101765440B (ko)
BR (1) BRPI0811120A2 (ko)
DE (1) DE102007022404A1 (ko)
WO (1) WO2008138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9320C (en) 2007-09-07 2016-10-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needle assembly for preventing under-torquing and over-torquing of pen-needle
US20110023281A1 (en) * 2009-04-30 2011-02-03 Stat Medical Devices, Inc. Pen injection device cap with integral pen needle quick release and/or removal system
EP2506897B1 (en) 2009-12-04 2023-05-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removal device for a drug delivery device
US9216253B2 (en) * 2010-08-16 2015-12-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dispensing and storing apparatus for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12146674A1 (en) * 2011-04-28 2012-11-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ispense interface with lockout element
EP3077019A4 (en) 2013-12-04 2017-07-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US11577030B2 (en) 2013-12-04 2023-02-14 Embecta Corp.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EP3406283A1 (en) 2017-05-26 2018-11-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WO2019245757A1 (en) 2018-06-22 2019-12-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362Y2 (ko) * 1987-12-14 1991-08-01
DE3865591D1 (de) * 1987-07-31 1991-11-21 Nissho Kk Injektionsnadelabzugsvorrichtung und behaelter mit dieser vorrichtung.
EP0441628B1 (en) * 1990-02-09 1996-07-31 Damal Limited Hypodermic needle/syringe assemblies and device for removing needles therefrom
US5092462A (en) * 1990-08-31 1992-03-03 Medical Safety Products, Inc. Disposal for disengaging and receiving needles
US5347078A (en) * 1992-09-04 1994-09-13 Eckels John F Syringe needle disposal apparatus
AU1755295A (en) * 1994-02-28 1995-09-11 Novo Nordisk A/S Needle unit
US5573113A (en) * 1995-01-03 1996-11-12 Med-Safe Systems, Inc. Needle removal device for blood collection holders
AUPN999296A0 (en) * 1996-05-21 1996-06-13 Needle Technology (Aust) Limited Needle housing
US5941857A (en) * 1997-09-12 1999-08-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able pen needle
US5931817A (en) 1997-09-12 1999-08-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ssembly
US6231552B1 (en) 1999-05-04 2001-05-15 Saf-T-Med, Inc. Threaded latching mechanism
US7654986B2 (en) * 2002-07-03 2010-02-02 Novo Nordisk A/S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US7021463B2 (en) 2002-09-06 2006-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sharps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22404A1 (de) 2008-11-13
BRPI0811120A2 (pt) 2014-12-23
US20100262088A1 (en) 2010-10-14
US8057444B2 (en) 2011-11-15
CN101765440A (zh) 2010-06-30
WO2008138319A1 (de) 2008-11-20
EP2144651A1 (de) 2010-01-20
CN101765440B (zh)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555A (ko)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US4772272A (en) Needle protective sleeve
CN101291698B (zh) 具有可缩回针头的一次性安全注射器
USRE34045E (en) Needle protective sleeve
US20060100588A1 (en) Needle handling device
TWI556847B (zh) 藥物輸送裝置
JPH02243163A (ja) 皮下注射器に取外し自在なカニューレの防護装置
KR20070097428A (ko) 배출 바늘이 신축 자재한 안전 주사기
JPH05502186A (ja) リトラクタブル注射器
KR101604957B1 (ko) 펜 타입 주사기의 원 터치 결합 및 분리용 펜 니들과 원 터치 분리배출 기능이 구비된 덮개
US20130079726A1 (en) Syringes
KR20110039539A (ko) 보유 링 잠금부를 사용하는 수동 재사용 방지 주사기
CN111065427B (zh) 具有锁定机构的针筒
KR20100087076A (ko) 플런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안전 주사기
KR102181488B1 (ko) 의료용 주입기용 t자 형상의 캡
KR102121495B1 (ko) 주사 바늘 안전 제거 장치
US20060116645A1 (en) Syringe
EP2839855A2 (en) Syringe assemblies having detachable needle assemblies and low dead space
KR102541786B1 (ko) 피내 주사 장치용 캡 허브 인터페이스
US20200188606A1 (en) Needle exchange system
RU2783499C2 (ru) Шприц, рукоятка шприца, корпус
KR20080091568A (ko) 개선된 치과용 주사기 및 주사 바늘
US9446203B2 (en) Needle hub and disposal device for single-use needle assemblies
US9789262B2 (en) Sheath protecting a cannula, and safety syringe comprising said sheath
WO2012066014A1 (fr) Seringue dentaire securis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