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604A -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 Google Patents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604A
KR20160136604A KR1020150070307A KR20150070307A KR20160136604A KR 20160136604 A KR20160136604 A KR 20160136604A KR 1020150070307 A KR1020150070307 A KR 1020150070307A KR 20150070307 A KR20150070307 A KR 20150070307A KR 20160136604 A KR20160136604 A KR 2016013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ing means
block
double locking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604A/ko
Publication of KR2016013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락킹수단(60)이 구비된 커넥터(50)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와이어(W)의 일부가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51)과,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52A)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1차체결부(52)와, 이중락킹수단(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65)이 돌출되어 상대물의 일측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결합수단과는 별개로, 커넥터(50)에 구비된 이중락킹수단(60)이 회전하여 차량용 블럭의 일측에 걸어지므로 차량용 블럭과 커넥터(50) 사이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 외력에 의해 커넥터(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Connector having double-locking means and block for vehicle comprising thi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을 통해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부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는 퓨즈, 릴레이 및 터미널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다수개씩 구비되어 차량용 블럭 내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차량용 블럭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블럭은 퓨즈들이 삽입되는 퓨즈플레이트, 터미널 및 커넥터가 조립되는 메인블럭,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같이 다수개의 하우징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차량용 블럭을 구성한다.
차량용 블럭에는 다수개의 커넥터가 결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커넥터 중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전류 커넥터가 포함된다. 대전류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차량용 블럭을 향해 큰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대전류 커넥터와 차량용 블럭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이 중요한데, 차량의 진동 등 외력에 의해 대전류 커넥터와 차량용 블럭 사이의 결합이 자칫 임의로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류 커넥터와 차량용 블럭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도 있으나, 이는 대전류 커넥터와 차량용 블럭 사이의 체결력을 함께 높여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8-00956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구비된 이중락킹수단을 통해 차량용 블럭과 커넥터 사이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와이어의 일부가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1차체결부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이 돌출되어 상대물의 일측에 걸어지는 이중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중락킹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대물에 걸어지는 걸이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암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중락킹수단 및 상기 커넥터하우징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중락킹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1차체결부가 구비된 반대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과 상기 차량용 블럭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용 블럭은,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전장품이 실장되는 블럭하우징과, 상기 블럭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홈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1차체결턱이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에는 이중락킹홈이 형성되는 커넥터결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삽입홈에 삽입되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1차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이 돌출되어 상기 이중락킹홈에 걸어지는 이중락킹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결합블록의 외면에는 고정암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중락킹수단에는 상기 이중락킹수단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고정암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암에는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고, 상기 고정암의 고정돌기는 상기 이중락킹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와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중락킹수단에는 상기 걸이암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파지부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는 삽입인디케이터가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삽입인디케이터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결합블럭의 커넥터삽입홈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결합수단과는 별개로, 커넥터에 구비된 이중락킹수단이 회전하여 차량용 블럭의 일측에 걸어지므로 차량용 블럭과 커넥터 사이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 외력에 의해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차량용 블럭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의 고정돌기가 이중락킹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중락킹수단의 고정홀 가장자리와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둘 사이가 자연스럽게 걸어져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중락킹수단이 고정돌기에 걸어진 후에는 이중락킹수단 자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 역시 방지되어 조립성 및 결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차량용 블럭의 요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가 차량용 블럭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가 차량용 블럭에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상대물이란 차량용 블럭 또는 상대커넥터 등과 같이 커넥터와 결합되는 다양한 상대물을 가리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차량용 블럭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차량용 블럭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장부품 사이를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부품이 그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차량용 블럭의 외관 및 골격은 블럭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블럭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형상의 입체구조로 형성되며, 내부공간(11)에는 다수개의 전장품이 실장되는 실장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전장품에는 다수개의 터미널, 퓨즈, 릴레이 또는 커넥터(50)가 포함된다. 도면부호 15는 일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버스바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블럭하우징(10)의 메인바디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또는 하부나 상하부 각각에 별도의 커버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블럭하우징(10)의 일측에는 커넥터결합블럭(30)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은 상기 블럭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 일체고 구비된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내부공간(11)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부로 개구된 커넥터삽입홈(3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결합블럭하우징(31)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블럭하우징(31)의 커넥터삽입홈(32) 내측에는 1차체결턱(33)이 돌출된다. 상기 1차체결턱(33)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의 체결돌기(52A)에 대응하는 것으로, 체결돌기(52A)를 걸어 커넥터(50)가 커넥터결합블럭(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일측에는 락킹편(도면부호 미부여)이 구비된다. 상기 락킹편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격된 공간에 이중락킹홈(3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중락킹홈(34)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의 이중락킹수단(60)의 걸이암(65)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일측에는 고정암(3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암(35)은 커넥터결합블럭(30)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이중락킹수단(60)에 형성된 삽입홀(67)이 상기 고정암(35)에 삽입되면 이중락킹수단(60)의 회전이 방지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암(35)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에는 고정돌기(36)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36)가 이중락킹수단(60)의 삽입홀(67)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는 이중락킹수단(6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삽입홀(67)의 가장자리와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중락킹수단(60)이 커넥터결합블럭(30)의 외면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가 이중락킹수단(60)의 삽입홀(67) 가장자리와 어느 정도 간섭된 후에, 고정암(35)이 탄성변형되면서 삽입홀(67)에 삽입되고 다시 고정암(35)의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암(35)과 삽입홀(67)이 서로 걸어진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여 외력에 의해 이중락킹수단(60)이 임의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36)가 상기 삽입홀(67)의 가장자리와 간섭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암(35)이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50)는 내부에 와이어(W)의 일부가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에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을 차량용 블럭에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의 신호를 차량용 블럭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W)의 일단에는 터미널이 결합된 후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50)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51)이 형성하는데,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커넥터삽입홈(3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일측에는 1차체결부(52)가 구비된다. 상기 1차체결부(52)는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1차체결부(52)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1차체결턱(33)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52A)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차체결부(52)는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52B는 제1차체결부(52)의 누름부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차체결부(52)는 상기 커넥터하우징(51)에 구비된 제한펜스에 의해 둘러져, 상기 1차체결부(52)가 일정 정도 이상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에는 삽입인디케이터(54)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삽입인디케이터(54)는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커넥터삽입홈(32) 가장자리에 위치됨으로써 커넥터(50)가 커넥터결합블럭(3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일측에는 이중락킹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65)이 돌출되어 상기 이중락킹홈(34)에 걸어진다.
즉,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은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1차체결부(52) 및 1차체결턱(33)의 결합과는 별개로, 상기 커넥터(50)가 커넥터결합블럭(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51)에 연결되는 연결부(61)와, 상기 연결부(6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판상의 몸체부(62) 및 걸이암(65)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61)는 상기 이중락킹수단(60) 및 상기 커넥터하우징(51)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51) 및 연결부(61)는 모두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그 재질 및 형상의 특성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것인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61)는 힌지구조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걸이암(65)은 상기 몸체부(62)의 일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6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대물인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이중락킹홈(34)에 삽입되어 걸어진다. 즉, 상기 걸이암(65)은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이암(65)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걸이암(65) 사이의 폭은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몸체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1차체결부(52)가 구비된 반대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1차체결부(52)와 결합부위가 겹치지 않고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중락킹수단(60)에는 삽입홀(6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67)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중락킹수단(60)의 회전과정에서 커넥터결합블럭(30)의 고정암(35)에 구비된 고정돌기(36)가 삽입되어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이중락킹수단(60)에는 파지부(68)가 돌출되는데, 상기 파지부(68)는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을 회전시키데 사용되는 손잡이 역할 뿐 아니라,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의 고정상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가 삽입홀(67)에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을 하방으로 눌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차량용 블럭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와이어(W) 및 터미널이 연결된 커넥터(50)를 차량용 블럭의 커넥터결합블럭(30)을 향해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개구된 커넥터삽입홈(32)을 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커넥터삽입홈(32) 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50)가 하방으로 계속 이동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50)의 1차체결부(52)에 형성된 체결돌기(52A)가 커넥터(50)결합블럭(30)의 1차체결턱(33)에 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50)는 커넥터삽입홈(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진동 등 외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50)가 심하게 유동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락킹수단(60)을 이용하여, 커넥터(50)와 커넥터결합블럭(30) 사이를 이중으로 결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이중락킹수단(60)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이중락킹수단(60)이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중락킹수단(60)에 구비된 걸이암(65)은 자연스럽게 상기 커넥터결합블럭(30)의 외측에 형성된 이중락킹홈(34)에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암(65)이 이중락킹홈(34)에 삽입되면, 상기 걸이암(65)은 이중락킹홈(34) 내측에 걸어진 상태가 되어 커넥터(50)가 커넥터결합블럭(3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중락킹수단(60)에 형성된 삽입홀(67)에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가 삽입된다. 즉,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가 삽입홀(67) 가장자리와 간섭되는데, 작업자가 고정암(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중락킹수단(60)을 회전시키면 고정암(35)이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어 고정돌기(36)가 삽입홀(67)에 삽입되고, 이중락킹수단(60)이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고정암(35)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고정돌기(36)가 삽입홀(67) 가장자리게 걸어진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결합수단과는 별개로, 커넥터(50)에 구비된 이중락킹수단(60)이 회전하여 차량용 블럭의 일측에 걸어지므로 차량용 블럭과 커넥터(50) 사이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50)를 커넥터결합블럭(3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먼저 상기 이중락킹수단(6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상태를 해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이중락킹수단(60)의 파지부(68)를 하방으로 어느 정도 눌러주어야 한다. 이는 상기 삽입홀(67)에 고정암(35)의 고정돌기(36)가 걸어진 상태를 먼저 해제해주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하방이란 도 4를 기준으로 하방, 즉 커넥터하우징(51)의 내부공간(11) 내측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이중락킹수단(60)을 회전시켜 이중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앞서 설명한 1차체결부(52)를 탄성변형시켜 체결돌기(52A)가 1차체결턱(3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커넥터(50)가 커넥터결합블럭(30)에 조립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럭하우징 11: 내부공간
30: 커넥터결합블럭 34: 이중락킹홈
35: 고정암 50: 커넥터
51: 커넥터하우징 52: 1차체결부
60: 이중락킹수단 65: 걸이암

Claims (13)

  1. 내부에 와이어의 일부가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1차체결부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이 돌출되어 상대물의 일측에 걸어지는 이중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락킹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대물에 걸어지는 걸이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암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중락킹수단 및 상기 커넥터하우징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락킹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1차체결부가 구비된 반대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6. 차량용 블럭과 상기 차량용 블럭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용 블럭은,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전장품이 실장되는 블럭하우징과,
    상기 블럭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홈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1차체결턱이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에는 이중락킹홈이 형성되는 커넥터결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삽입홈에 삽입되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1차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암이 돌출되어 상기 이중락킹홈에 걸어지는 이중락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락킹수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중락킹홈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블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블록의 외면에는 고정암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중락킹수단에는 상기 이중락킹수단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고정암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에는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의 고정돌기는 상기 이중락킹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와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락킹수단에는 상기 걸이암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파지부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된 1차체결부의 외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는 삽입인디케이터가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삽입인디케이터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블럭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결합블럭의 커넥터삽입홈 가장자리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KR1020150070307A 2015-05-20 2015-05-20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KR20160136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07A KR20160136604A (ko) 2015-05-20 2015-05-20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07A KR20160136604A (ko) 2015-05-20 2015-05-20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04A true KR20160136604A (ko) 2016-11-30

Family

ID=5770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07A KR20160136604A (ko) 2015-05-20 2015-05-20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6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7114B2 (en)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EP2577809B1 (e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manufactured electric cable
CN109638564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EP2822107B1 (en) Squib connection device
US8579655B2 (en) Device connector
KR102131071B1 (ko) 리셉터클 캐리어들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JP6620701B2 (ja) 救援端子部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9225100B2 (en) Socket housing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1601232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H1126081A (ja) 車両用コネクタの取付方法
CN107978894B (zh) 成角度的插接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20160136604A (ko) 이중락킹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블럭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US20160211613A1 (en) Hous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N111313341A (zh) 电连接部位的罩结构
KR101969459B1 (ko)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JP5979440B2 (ja) 端子接続部品
JP5074962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3877965B2 (ja) 機器用コネクタ装置
JP2023034221A (ja) 電気接続箱
KR101452458B1 (ko) 인터락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