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08A -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08A
KR20160136108A KR1020150069847A KR20150069847A KR20160136108A KR 20160136108 A KR20160136108 A KR 20160136108A KR 1020150069847 A KR1020150069847 A KR 1020150069847A KR 20150069847 A KR20150069847 A KR 20150069847A KR 20160136108 A KR20160136108 A KR 2016013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nium
nanoparticles
reducing agent
selenium nanoparticles
mixed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236B1 (ko
Inventor
송상선
이은미
이강희
조수연
Original Assignee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주) 위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주) 위디어 filed Critical 한남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9/00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0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6Sele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갖는 셀레늄 나노 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은 (a)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O2)를 순수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를 첨가하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환원제를 순수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냉각한 후,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면서 초음파를 인가한 후, 상기 환원제를 일시에 투입하여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교반한 후, 원심 분리 및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SELENUIM NANO P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갖는 셀레늄 나노 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레늄은 1969년, 조류와 포유류에 필수적인 원소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셀레늄의 결핍시 케샨병(Keshan disease), 카신-백병(Kashin-beck disease) 등의 질환이 나타나고, 셀레늄이 결여된 실험용 쥐에서는 발육지체, 체모 빈약, 불임증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한편, 셀레늄 이온이 과잉일 경우의 쥐에서는 방향 감각을 상실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모든 생명체의 재생산(reproduction)에 필수 원소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비료나 사료첨가제 등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미량 원소이다.
이러한 셀레늄은 최근 세포막의 손상을 야기하는 과산화수소를 파괴하는 작용을 갖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세포막의 과산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노화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셀레늄은 여러가지 중금속에 의한 중독을 해독하는 등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음이 알려졌다. 특히, 셀레늄은 암을 비롯한 여러가지 종양성 질환을 예방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동물 실험에 의하여 쥐에 셀레늄을 식이로 섭취시켰을 경우, 암 발생을 대략 40 ~ 60% 감소시켰다는 결과와 유방암 환자의 경우 혈액 내 셀레늄 농도와 암발생 빈도가 반비례한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셀레늄의 우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셀레늄의 항산화력은 비타민 E의 1970배에 달하며, 비타민 E와 셀레늄을 병용하면 항산화력은 상승효과가 나타난다.
둘째, 셀레늄은 비듬과 건선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셀레늄은 비타민 C 및 E와 같이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 지질과 단백질의 결합물인 노폐물질을 분해하여 인체의 노화를 억제시킨다.
넷째, 셀레늄은 수은,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과 결합하여 이들을 불활성화시키고, 간세포의 괴사를 방지하여 간경화증을 예방한다.
다섯째, 셀레늄은 암을 예방하며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상당량(약 25 내지 40%)이 고환, 정낭, 전립선 등의 성기관에 집중되어 성적기능을 향상시킨다.
여섯째, 셀레늄은 백내장과 류마티즘을 예방하여 비타민 E와 함께 근이양중을 치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는 셀레늄은 일상적인 식사를 통해서는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며 현재 이들 셀레늄의 공급은 대부분 의약품과 같은 별도의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가장 저렴한 형태의 셀레늄 이온(Selenium oxide)은 물에 잘 녹고 흡수가 빠르지만, 농도가 높아질 경우 독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 적용시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셀레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효모를 접종 배양하여, 상기 배양된 효모를 분리, 정제한 셀레늄 효모는 유기 셀레늄원으로서 인체에 독성이 낮으면서도 흡수율이 높은 셀레늄 공급원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접종 배양과 동결건조 등의 프로세스가 필요하여 번거로우며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균일하게 생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568호(2012.09.12.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셀레늄화 구리인듐 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갖는 셀레늄 나노 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은 (a)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O2)를 순수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를 첨가하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환원제를 순수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냉각한 후,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면서 초음파를 인가한 후, 상기 환원제를 일시에 투입하여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교반한 후, 원심 분리 및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는 최대 입자 크기와 최소 입자 크기의 편차가 50nm 이하인 균일한 입자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무기 셀레늄을 비타민 C(Ascorbic acid)와 같은 환원제(reducing agent)를 사용하여 금속 셀레늄으로 전환할 때, 제조 솔루션을 냉각한 상태에서 초음파(ultra sonic energy)와 더불어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로 전단응력(shear stress)을 강하게 주면서 일시에 환원제를 투여함으로써,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갖는 셀레늄 나노 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은 셀레늄 전구체 용액 형성 단계(S110), 환원제 용액 형성 단계(S120), 셀레늄 혼합 분산액 형성 단계(S130) 및 셀레늄 나노 입자 수득 단계(S140)를 포함한다.
셀레늄 전구체 용액 형성
셀레늄 전구체 용액 형성 단계(S110)에서는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O2)를 순수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를 첨가하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형성한다.
이러한 셀레늄 다이옥사이드는 매우 안정한 금속 입자이기 때문에 독성이 매우 적어 안전하고, 그 입자 크기가 막을 통과하기 유리하며 흡수된 나노 금속 입자가 아주 소량씩 이온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유기 고분자로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2-메톡시에탄올(2-methoxyethanol),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DMF(dimethylformamide), 옥탄올(Octanol), 에톡시 에탄올(ethoxy ethanol),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탄올(pentanol),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d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및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환원제 용액 형성
환원제 용액 형성 단계(S120)에서는 환원제를 순수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형성한다. 이때, 환원제로는, 일 예로, 비타민 C(Ascorbic acid)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셀레늄 혼합 분산액 형성
셀레늄 혼합 분산액 형성 단계(S130)에서는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냉각한 후,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면서 초음파를 인가한 후, 환원제를 일시에 투입하여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형성한다.
이때, 냉각은 5℃ 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저온으로 냉각을 실시한 상태에서 초음파(ultra sonic energy)와 더불어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할 경우,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갖는 셀레늄 나노 입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단계에서, 균질화 처리는 1,500 ~ 3,000rpm의 속도로 30 ~ 1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질화 처리 속도가 1,500rpm 미만이거나, 균질화 처리 시간이 30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균질화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입자들을 균일한 크기 및 적절한 분포로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균질화 처리 속도가 3,000rpm을 초과하거나, 균질화 처리 시간이 1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시간 및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균질화 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초음파는 15 ~ 30KHz 및 90 ~ 110W의 에너지량을 갖는 고밀도 초음파(high-intensity ultrasound)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출력전압이 90W 미만일 경우에는 에너지량이 미미한 관계로 균일한 크기 및 적절한 분포로 입자를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초음파 출력전압이 110W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출력전압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셀레늄 나노 입자 수득
셀레늄 나노 입자 수득 단계(S140)에서는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교반한 후, 원심 분리 및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수득한다.
본 단계에서, 셀레늄 혼합 분산액에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분산제로서 ZnSO4 및 B(OH)3 중 1종 이상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량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셀레늄 나노 입자는 이미 금속으로 환원되어 반응성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때, 교반은 50 ~ 200rpm의 속도로 1 ~ 5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속도가 50rpm 미만이거나, 교반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원료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교반 속도가 200rpm을 초과하거나, 교반 시간이 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공정 시간만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단계에서, 원심 분리는 초음파 처리된 혼합 용액을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시켜 셀레늄 나노 입자 침전물을 분리하고, 세척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60 ~ 70℃에서 1 ~ 20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6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건조 온도가 70℃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무의미하다.
상기의 과정(S110 ~ S140)으로 제조되는 셀레늄 나노 입자는 최대 입자 크기와 최소 입자 크기의 편차가 50nm 이하인 균일한 입자 분포를 가지며, 0.01 ~ 200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셀레늄 나노 입자는 무기 셀레늄을 비타민 C(Ascorbic acid)와 같은 환원제(reducing agent)를 사용하여 금속 셀레늄으로 전환할 때, 제조 솔루션을 냉각한 상태에서 초음파(ultra sonic energy)와 더불어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로 전단응력(shear stress)을 강하게 주면서 일시에 환원제를 투여함으로써, 균일한 크기와 적절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실시예 1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lenium dioxide) 499g을 순수(Deionized water) 23,700g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인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분자량 20,000, 검화도 80%) 718g에 녹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비타민 C(Ascorbic acid) 1,580g을 순수(Deionized water) 17,950g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4℃까지 냉각한 후,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하여 2,000rpm의 속도로 60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20KHz 및 100W의 에너지량의 고밀도 초음파를 인가하였다.
다음으로, 셀레늄 전구체 용액에 환원제 용액을 한번에 투입한 후, 색이 진한 붉은 갈색으로 변화함을 확인하고, 초음파 인가를 멈춘 후, 150rpm의 속도로 45분 동안 기계적 교반을 실시하고, 원심 분리한 다음 6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2℃까지 냉각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5℃까지 냉각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25KHz 및 95W의 에너지량의 초음파를 인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lenium dioxide) 499g을 순수(Deionized water) 23,700g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인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분자량 20,000, 검화도 80%) 718g에 녹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비타민 C(Ascorbic acid) 1,580g을 순수(Deionized water) 17,950g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3℃까지 냉각한 후,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하여 2,500rpm의 속도로 70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셀레늄 전구체 용액에 환원제 용액을 한번에 투입한 후, 색이 진한 붉은 갈색으로 변화함을 확인하고, 초음파 인가를 멈춘 후, 500rpm의 속도로 45분 동안 기계적 교반을 실시하고, 원심 분리하고 6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10℃까지 냉각한 후,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하여 1,800rpm의 속도로 80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냉각하는 것 없이 상온(20℃)에서 울트라 투락스(Ultra-Turrax) 균질기를 이용하여 2,000rpm의 속도로 70분 동안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셀레늄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셀레늄 나노 입자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셀레늄 나노 입자의 경우, 최대 입자 크기와 최소 입자 크기의 편차가 50nm 이하로 측정되어 균일한 입자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셀레늄 나노 입자의 경우, 평균 직경이 32.6 ~ 45.1nm로 측정되어 매우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셀레늄 나노 입자의 경우, 평균 직경이 90.5nm로 측정되어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편차가 50nm를 초과하는데 기인하여 불균일한 입자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지 않음과 더불어, 냉각 온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셀레늄 나노 입자의 경우, 평균 직경이 132.6nm 및 117.8nm로 측정되어 목표값을 모두 벗어났으며,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편차가 대략 100nm의 차이를 나타내어 상당히 불균일한 입자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셀레늄 전구체 용액 형성 단계
S120 : 환원제 용액 형성 단계
S130 : 셀레늄 혼합 분산액 형성 단계
S140 : 셀레늄 나노 입자 수득 단계

Claims (9)

  1. (a) 셀레늄 다이옥사이드(SeO2)를 순수에 녹인 후, 유기 고분자를 첨가하여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환원제를 순수에 녹여 환원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셀레늄 전구체 용액을 냉각한 후, 균질기를 이용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면서 초음파를 인가한 후, 상기 환원제를 일시에 투입하여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레늄 혼합 분산액을 교반한 후, 원심 분리 및 건조하여 셀레늄 나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환원제는
    비타민 C(Ascorb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냉각은
    5℃ 이하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균질화 처리는
    1,500 ~ 3,000rpm의 속도로 30 ~ 1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초음파는
    15 ~ 30KHz 및 90 ~ 110W의 에너지량을 갖는 고밀도 초음파(high-intensity ultrasound)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교반은
    50 ~ 200rpm의 속도로 1 ~ 5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셀레늄 혼합 분산액에 분산제로서 ZnSO4 및 B(OH)3 중 1종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어,
    최대 입자 크기와 최소 입자 크기의 편차가 50nm 이하인 균일한 입자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 나노 입자는
    0.01 ~ 200nm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나노 입자.
KR1020150069847A 2015-05-19 2015-05-19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KR10171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47A KR101719236B1 (ko) 2015-05-19 2015-05-19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47A KR101719236B1 (ko) 2015-05-19 2015-05-19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08A true KR20160136108A (ko) 2016-11-29
KR101719236B1 KR101719236B1 (ko) 2017-03-24

Family

ID=5770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47A KR101719236B1 (ko) 2015-05-19 2015-05-19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68A (ko) * 2018-05-18 2019-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열용융압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셀레늄 나노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의 용도
CN111320144A (zh) * 2020-03-30 2020-06-23 中北大学 黑色素-纳米硒及其制备方法
CN114031048A (zh) * 2021-11-09 2022-02-11 广州天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硒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040B1 (ko) 2020-11-19 2023-0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엉겅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78A (ko) * 2005-05-06 2008-02-2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나노입자의 농축 방법 및 응집 나노입자의 분산 방법
KR20090039312A (ko) *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원제를 이용한 6a족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의제조방법
KR20130090803A (ko) * 2012-02-06 2013-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78A (ko) * 2005-05-06 2008-02-2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나노입자의 농축 방법 및 응집 나노입자의 분산 방법
KR20090039312A (ko) *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원제를 이용한 6a족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의제조방법
KR20130090803A (ko) * 2012-02-06 2013-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68A (ko) * 2018-05-18 2019-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열용융압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셀레늄 나노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의 용도
CN111320144A (zh) * 2020-03-30 2020-06-23 中北大学 黑色素-纳米硒及其制备方法
CN114031048A (zh) * 2021-11-09 2022-02-11 广州天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硒的制备方法
CN114031048B (zh) * 2021-11-09 2024-03-15 广州天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硒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236B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36B1 (ko) 셀레늄 나노 입자 제조 방법
KR101734353B1 (ko) 패각류를 이용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
EP1259120B1 (de)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kollagen aus marinen schwämmen sowie herstellung von nanopartikulärem kollagen und dessen verwendung
Yusof et al. Synthesis of chitosan/zinc oxide nanoparticles stabilized by chitosan via microwave heating
KR100907877B1 (ko) 금속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분말 제조 방법
CN101461945A (zh) 海藻酸磁性材料的制备方法
CN105967266A (zh) 一种高效污水处理剂及其制备方法
Kantipudi et al. Enhanced wound healing activity of Ag–ZnO composite NPs in Wistar Albino rats
Lesnichaya et al. Synthesis and comparative assessment of antiradical activity, toxicity, and biodistribution of κ‐carrageenan‐capped selenium nanoparticles of different size: in vivo and in vitro study
CN112608966B (zh) 一种超声辅助矿物质螯合杏仁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208110A (zh) 一种利用超声辅助大豆分离蛋白制备Pickering乳液的方法
Zhao et al. Ultrasound treatment on the structure of goose liver protei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ts enzymatic hydrolysate
Mandal Copper nanomaterials as drug delivery system against infectious agents and cancerous cells
CN105906723A (zh) 一种柠檬酸改性羧基化纳晶纤维素的制备方法
Rahman et al. High‐power sonication‐assisted extraction of soy protein from defatted soy meals: Influence of important process parameters
CN108969388A (zh) 一种复凝聚制备增效防晒微米胶囊的方法
Thangudu et al. 1550 nm light activatable photothermal therapy on multifunctional CuBi2O4 bimetallic particles for treating drug resistance bacteria-infected skin in the NIR-III biological window
JP2005220331A (ja) 低分子キトサンの製造方法
Wang et al. Ultrasound‐Activated Piezoelectric MoS2 Enhances Sonodynamic for Bacterial Killing
Yan et al. pH Switchable Nanozyme Platform for Healing Skin Tumor Wound Infected with Drug‐Resistant Bacteria
Abu-Gharbieh et al. Alleviation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 by ozonized olive oil in DNBS-induced colitis in rats
CN104824024A (zh) 一种多功能纳米复合材料制备方法
CN112841191A (zh) 一种壳聚糖抗菌剂的制备方法
KR102395741B1 (ko) 윤곽 주사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0833566A (zh) 基于矿化仙台病毒的肿瘤联合治疗纳米制剂的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