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858A - 작화 소프트웨어 - Google Patents

작화 소프트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858A
KR20160134858A KR1020167031199A KR20167031199A KR20160134858A KR 20160134858 A KR20160134858 A KR 20160134858A KR 1020167031199 A KR1020167031199 A KR 1020167031199A KR 20167031199 A KR20167031199 A KR 20167031199A KR 20160134858 A KR20160134858 A KR 2016013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function
data
sub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355B1 (ko
Inventor
도모히로 이와키
리카 히가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04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49Display progress of program, state, highlight, colou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4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OI operato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489Discriminate, different colour, highlight between two st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컴퓨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기능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키고,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키며,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에 기초한 순번을 부여하여 복수의 서브 기능을 표시부(14)에 일람 표시시키고, 일람 표시된 서브 기능 중에서 선택된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을 표시부(14)에 표시시키는 위저드 제어부(111a)와,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상의 각 설정 항목을,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순차 강조 표시하는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로서 기능시킨다.

Description

작화 소프트웨어{SCREEN DRAWING SOFTWARE}
본 발명은 작화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통상,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등의 외부 장치와 접속되고, 그들 외부 장치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이용된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엔지니어링 툴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를 이용하여, 알람 기능, 데이터 표시 및 입력 기능, 그래프 표시 기능, 레시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의 설정을 행하여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하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외부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이나 외부 장치의 상태 표시, 외부 장치의 제어를 행하게 한다. 또한,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는 컴퓨터에 작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근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고기능화에 따라, 하나의 기능이 관련되는 복수의 서브 기능으로 구성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기능에 관한 설정은 한 화면으로 완결되지 않고, 복수의 서브 기능 설정 화면에 걸쳐서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기능이 고도화됨으로써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의 설정 항목이 증가하고, 설정 순서가 복잡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설정 다이얼로그에 다른 서브 기능 설정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을 배치하여, 다른 서브 기능 설정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에서 어느 다른 항목을 설정완료하지 않으면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을 그레이 표시하는 등 하여 설정을 행할 수 없게 하는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특허문헌 1에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정보와 복수의 기기 그룹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특정하는 논리적인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4-30345호 공보
설정 다이얼로그에 다른 서브 기능 설정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을 배치하거나,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에서 어느 다른 항목을 설정완료하지 않으면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을 그레이 표시하는 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설정 다이얼로그 중에 전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고 해도, 관련되는 모든 서브 기능을 파악할 수 없어 설정 누락이나 설정 미스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둘째로, 서브 기능 설정 화면에 있어서 다른 항목을 설정완료하지 않으면 설정을 행할 수 없게 해도, 설정 항목 간의 관계나 설정 순서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에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설정 다이얼로그에 다른 서브 기능 설정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을 배치하거나,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에서 어느 다른 항목을 설정완료하지 않으면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을 그레이 표시하거나 해도,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과 같이,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 측에서 화면을 자동적으로 작성해 버리면, 유저는 통상의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 어떠한 절차로 설정 작업을 진행시키면 좋은 것인지를 학습할 수 없다. 또한, 설정 내용의 일부만을 변경할 수 없고, 어느 설정 화면의 어느 항목의 내용을 변경하면 설정 내용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지를 유저가 학습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에 관한 유저의 기량 향상에 이바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저의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에 관한 기량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작화 소프트웨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부 및 기억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외부 장치의 상태 표시 및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작화 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기능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수단과,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수단과, 제1 정보에 기초한 순번을 부여하여 복수의 서브 기능을 표시부에 일람 표시시키는 수단과, 일람 표시된 서브 기능 중에서 선택된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수단과,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상의 각 설정 항목을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 강조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화 소프트웨어는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저의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에 관한 기량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에 적용되는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의 천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서브 기능 설정 가이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컴퓨터(10)가 작화 소프트웨어(20)를 실행함으로써 구성된다. 바꿔말하면, 작화 소프트웨어(20)를 실행 중인 컴퓨터(10)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100)가 된다.
도 2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에 적용되는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컴퓨터(10)는 CPU(11), 기억부(12), 입력부(13), 표시부(14) 및 통신 I/F(InterFace)(15)를 구비한다. CPU(11)가 작화 소프트웨어(20)를 실행함으로써, 컴퓨터(10) 상에 복수의 기능부가 구성된다. 입력부(13)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이다.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이다. 통신 I/F(15)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은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CPU(11) 상에는 제어부(111) 및 표시기 화면 생성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기억부(12)에는 설정 화면 데이터(121),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 및 가이드 정보(124)가 저장되어 있다. 설정 화면 데이터(121),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 및 가이드 정보(124)는 작화 소프트웨어(20)의 기동시에 위저드 제어부(111a)가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제어부(111)는 위저드 제어부(111a),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 및 가이드 표시 제어부(111c)를 구비한다. 위저드 제어부(111a)는 후술하는 기능 설정 위저드(wizard)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기능 설정 위저드 실행중에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서브 기능 설정 화면상에서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 가이드 표시 제어부(111c)는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가 강조 표시하고 있는 설정 항목에 관한 가이드 정보(124)를 읽어내어, 가이드 정보(124)에 포함되어 있는 설명문을 표시한다. 표시기 화면 생성부(112)는 기능 설정 위저드에 의해 설정된 각 설정 항목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한다.
설정 화면 데이터(121)는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의 데이터에 더하여, 후술하는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을 포함하고 있다.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는 작화 소프트웨어(2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사양(仕樣)에서 규정된 서브 기능 간의 의존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이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는 작화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사양에서 규정된 설정 항목 간의 의존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이다. 가이드 정보(124)는 설정 항목의 의미나 목적을 설명하는 설명문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 및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100)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11)는 기능 설정 위저드를 개시하는 조작이 입력부(13)에 대해서 행해지는 것을 감시하고, 조작이 행해지면, 위저드 제어부(111a)를 동작시킨다(스텝 S101).
도 5는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300)은 트리 표시 영역(301) 및 설명문 표시 영역(302)을 구비한다. 트리 표시 영역(301)에는 기능 설정 위저드로 설정 가능한 기능이 트리 표시되어 있고,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하위 계층의 항목이 전개되어 표시된다. 트리 표시 영역(301) 상에서, 최하위의 계층에서 기능을 선택하면(스텝 S102), 위저드 제어부(111a)는 설명문 표시 영역(302)에,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서브 기능이 표시된다(스텝 S103).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깅 기능으로 수집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트랜드 그래프로 시계열로 표시한다」라고 하는 기능을 트리 표시 영역(301)에서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로깅(logging)의 설정과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historical trend graph)의 작성의 두 개의 항목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설명문 표시 영역(302)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저드 제어부(111a)는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에 기초하여,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순번을 설명문 표시 영역(302)에 함께 표시하고 있다.
도 6은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능 의존 관계란,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의미한다.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는 기능 의존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이며, 「로깅 기능으로 수집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트랜드 그래프로 시계열로 표시하는 기능」은 로깅 기능 및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 기능이라고 하는 두 개의 서브 기능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처음에 로깅의 설정을 행하고, 이어서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 순번(122a)에 의해서 정의되고 있다.
설명문 표시 영역(302)에 있어서 표시되고 있는 서브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부(13)를 통해서 행해지면(스텝 S104), 위저드 제어부(111a)는 선택된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의 데이터를 설정 화면 데이터(121) 중에서 읽어내어, 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스텝 S105).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서브 기능 설정 화면 내의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스텝 S106). 예를 들면, 입력란에 배경색과는 다른 색의 테두리를 표시함으로써, 그 단계에서 설정해야 할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강조 표시된 설정 항목에 대해서 입력부(13)를 이용하여 유저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스텝 S107).
여기서,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 및 이것에 기초하여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을 이동시키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는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의 설정 순서를 의미한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이다. 도 7은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는 서브 기능 설정 화면에 있어서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의 작성자가 추천하는 설정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의 작성자란 예를 들면 작화 소프트웨어(20)의 벤더이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는 초기 실행 지정(123a), 강조 표시 항목(123b), 설정치(123c) 및 다음 강조 표시 항목(123d)을 구비한다. 도 7에 있어서, 설정치(123c) 란의 별표(*)는, 설정 내용에 무관계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설정 항목 A를 강조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정 항목 A에 대해서 어떠한 설정이 이루어졌는지에 상관없이, 다음의 강조 표시 항목은 설정 항목 B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초기 실행 지정(123a) 란의 '1' 이라고 하는 값은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이 최초로 표시되었을 때에 강조 표시되는 설정 항목인 것을 나타내고, '0' 이라고 하는 값은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이 최초로 표시되었을 때에 강조 표시되는 설정 항목은 아닌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의 천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을 최초로 표시했을 때에는,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초기 실행 지정(123a) 란의 값에 따라, 설정 항목 A를 강조 표시시킨다. 설정 항목 A는 설정치(123c)가 별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내용에 관계없이, 강조 표시 제어부(111b)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B를 강조 표시시킨다. 설정 항목 B는 설정치로서 B1, B2, B3의 세 개가 설정되어 있어서, 설정 내용에 따라 다음으로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이 다르다. 즉,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항목 B에 B1이 설정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C를 강조 표시시키고, 설정 항목 B에 B2가 설정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D를 강조 표시시키며, 설정 항목 B에 B3가 설정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E를 강조 표시시킨다. 설정 항목 C는 설정치 란이 별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내용에 관계없이,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F를 강조 표시시킨다. 또한, 설정 항목 D는 설정치 란이 별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내용에 관계없이,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G를 강조 표시시킨다. 또한, 설정 항목 E는 설정치 란이 별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내용에 관계없이,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다음으로 설정 항목 H를 강조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는 다음으로 강조 표시해야 할 설정 항목이 설정 내용에 따라 다른 설정 항목에 대해서, 분기를 망라하여 설정 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예에서는, 설정 항목 A → 설정 항목 B → 설정 항목 C → 설정 항목 F … 라고 하는 설정 순서와, 설정 항목 A → 설정 항목 B → 설정 항목 D → 설정 항목 G … 라고 하는 설정 순서와, 설정 항목 A → 설정 항목 B → 설정 항목 E → 설정 항목 H … 라고 하는 설정 순서가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내용에 따라 다음으로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이 다른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서브 기능 설정 화면에서도, 설정 항목의 강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정의된 설정 순서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순서로 설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항목의 강조 표시를 중지한다.
도 9는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400)은 그래프 개수(401), 포인트수(402), 표시 방향(403), 묘화(描畵) 모드(404), 포인트 형식(405), 로깅 ID(406), 디바이스 설정(407), 선 종류(408) 등의 복수의 설정 항목을 가지고 있다. 최초로 설정하는 설정 항목으로서 그래프 개수(401)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b)는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400)을 표시할 때에, 최초로 그래프 개수(401)의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 또한, 가이드 표시 제어부(111c)는 강조 표시되고 있는 그래프 개수(401)에 관한 가이드 정보(124)를 기억부(12)로부터 읽어내어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400) 상에 표시한다.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할 때에 가이드 정보(124)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강조 표시되고 있는 설정 항목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유저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에 관한 기량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입력부(13)를 통해서 어느 설정 항목에 대해 설정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하면, 다음으로 설정해야 할 설정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판단한다(스텝 S108). 다음으로 설정해야 할 설정 항목이 있으면(스텝 S108/Yes),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따라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을 다음으로 변경하고(스텝 S109), 스텝 S107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이 복수의 탭을 포함하고 있고, 다음으로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이 다른 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탭의 전환을 행한 상태에서 다음으로 강조 표시해야 할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는 그래프 개수(401)의 다음으로 설정해야 할 설정 항목으로서 포인트수(402)가 정의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b)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따라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을 포인트수(402)의 란으로 변경한다. 가이드 표시 제어부(111c)는 강조 표시되고 있는 포인트수(402)에 관한 가이드 정보(124)를 기억부(12)로부터 읽어내어 히스토리컬 트랜드 그래프의 설정 화면(400) 상에 표시한다.
또한,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예를 들면, 라디오 버튼에 의해 설정을 행하는 항목을 강조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라디오 버튼 중 어느 것이 선택된 시점에서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고,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따라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는 수치나 문자열을 입력함으로써 설정을 행하는 항목을 강조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치나 문자열의 입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커서 오프(cursor off) 된 시점에서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고,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따라 강조 표시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한다.
서브 기능 설정 화면 중의 모든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이 종료되면(스텝 S108/No), 위저드 제어부는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설정해야 할 서브 기능이 그 밖에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0).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설정해야 할 서브 기능이 그 밖에 있으면(스텝 S110/Yes), 위저드 제어부(111a)는 서브 기능의 일람을 포함하는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300)을 표시부(14)에 표시시키고,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122)에 있어서 설정 순서가 다음으로 되어 있는 서브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의 실행을 유저에게 촉구한다(스텝 S104).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서브 기능의 설정이 모두 종료되면(스텝 S110/No), 위저드 제어부(111a)는 기능 설정 위저드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는 복수의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순번를 부여하여 복수의 서브 기능을 표시부에 일람표시시키고, 일람 표시된 서브 기능 중에서 선택된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며, 서브 기능 설정 화면상의 각 설정 항목을, 각 설정 항목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순차 강조 표시한다. 이때, 위저드 제어부는 통상의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을 사용하여 기능 설정 위저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기능 설정 위저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어떠한 절차로 설정 작업을 행하면 좋을지를 학습할 수 있고, 유저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에 관한 기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항목의 강조 표시나 가이드 정보(124)의 표시는, 유저 설정에 의해 행할지 여부를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숙련자에게 있어서는 불필요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게 하여, 숙련자에 있어서도 서브 기능의 설정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은 데이터 플로우에 따라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을 표시하도록 레이아웃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이란, PLC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서브 기능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의 예로서 로깅 기능을 이용한다. 로깅 기능은 임의의 타이밍 또는 주기로 접속 기기의 디바이스 값을 버퍼링 에어리어나 데이터 스토리지에 수집하고 축적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로깅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의 디바이스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버퍼 에어리어 → 데이터 스토리지라고 하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한다. 로깅 기능의 설정으로서는, 주변기기의 디바이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버퍼 에어리어 및 데이터 스토리지의 세 개의 기억 에어리어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의 서브 기능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서브 기능 설정 화면(500)은 로깅 기능의 설정용이며, 기억 에어리어 1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501), 기억 에어리어 2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502) 및 기억 에어리어 3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503)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억 에어리어 1은 주변기기의 디바이스이며, 기억 에어리어 2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버퍼 메모리이며, 기억 에어리어 3은 데이터 스토리지이다. 위저드 제어부(111a)는 기억 에어리어 1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501) 부분이 눌려지면, 주변기기의 디바이스에 관한 설정 다이얼로그(510)를 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위저드 제어부(111a)는 기억 에어리어 2 부분이 클릭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버퍼 메모리에 관한 설정 다이얼로그를 표시부(14)에 표시시키고, 기억 에어리어 3 부분이 클릭되면 데이터 스토리지에 관한 설정 다이얼로그를 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
또한, 서브 기능 설정 화면(500)은 기억 에어리어 사이 설정란(504, 505)을 구비하고 있고, 기억 에어리어 사이 설정란(504, 505)을 누름으로써, 주변기기의 디바이스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버퍼 에어리어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의 설정 다이얼로그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버퍼 에어리어로부터 데이터 스토리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의 설정 다이얼로그를 표시부(14)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에 관해서는, 설정 다이얼로그마다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가 작성되어 있다.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111b)는,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각 설정 다이얼로그 중의 설정 항목을 순차 강조 표시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는,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에 관한 설정을 행할 때에, 기능 실행시의 데이터 플로우에 따라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을 표시하기 때문에, 서브 기능의 설정을 직감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로깅 기능의 설정을 예로 했지만, 데이터 스토리지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버퍼 메모리에 받아들인 후에, 주변기기의 디바이스에 기입하는 레시피 기능 등, 데이터 플로우를 수반하는 다른 기능에 대해서도, 서브 기능 설정 가이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화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서브 기능으로 구성되는 고도한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를 형성하는 용도에 유용하다.
10 컴퓨터, 11 CPU, 12 기억부, 13 입력부, 14 표시부, 15 통신 I/F, 20 작화 소프트웨어, 111 제어부, 111a 위저드 제어부, 111b 강조 표시 이동 제어부, 111c 가이드 표시 제어부, 112 표시기 화면 생성부, 121 설정 화면 데이터, 122 기능 의존 관계 데이터, 122a 순번, 123 설정 항목 의존 관계 데이터, 123a 초기 실행 지정, 123b 강조 표시 항목, 123c 설정치, 123d 다음 강조 표시 항목, 124 가이드 정보, 20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00 기능 설정 위저드 화면, 301 트리 표시 영역, 302 설명문 표시 영역, 401 그래프 개수, 402 포인트수, 403 표시 방향, 404 묘화 모드, 405 포인트 형식, 406 로깅 ID, 407 디바이스 설정, 408 선 종류, 501 기억 에어리어 1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 502 기억 에어리어 2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 503 기억 에어리어 3 설정 다이얼로그 호출 버튼, 504, 505 기억 에어리어 사이 설정란, 510 설정 다이얼로그.

Claims (4)

  1. 표시부 및 기억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외부 장치의 상태 표시 및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프로젝트 데이터 작성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작화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기능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기능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수단과,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의 설정 순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한 순번을 부여하여 복수의 서브 기능을 상기 표시부에 일람 표시시키는 수단과,
    일람 표시된 서브 기능 중에서 선택된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수단과,
    상기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상의 각 설정 항목을,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 강조 표시하는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소프트웨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에 대한 설명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수단과,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 중의 각 설정 항목을 강조 표시할 때에, 상기 설명정보를 상기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상에 표시하는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소프트웨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설정 항목의 강조 표시를 실시할지 여부 및 상기 설명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소프트웨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수반하는 서브 기능의 설정 화면은,
    복수의 서브 기능 설정 다이얼로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버튼이 데이터 플로우에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 기능 설정 다이얼로그 중의 각 설정 항목을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소프트웨어.
KR1020167031199A 2014-06-11 2014-06-11 작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772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5495 WO2015189940A1 (ja) 2014-06-11 2014-06-11 作画ソフトウェ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858A true KR20160134858A (ko) 2016-11-23
KR101772355B1 KR101772355B1 (ko) 2017-08-28

Family

ID=5353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199A KR101772355B1 (ko) 2014-06-11 2014-06-11 작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83349A1 (ko)
JP (1) JP5744363B1 (ko)
KR (1) KR101772355B1 (ko)
CN (1) CN106463095B (ko)
TW (1) TWI569118B (ko)
WO (1) WO2015189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9457B2 (ja) * 2015-02-27 2017-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編集装置、データ編集方法及び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CN110673874B (zh) * 2019-09-11 2023-06-13 苏州德创测控科技有限公司 用于向导式编程软件的变更配置的方法、存储介质、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345A (ja) 2002-06-26 2004-01-29 Omron Corp 画面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016A (ja) * 1995-06-12 1996-12-17 Yokogawa Electric Corp 荷役シーケンス制御システム
CN1188779C (zh) * 2001-11-16 2005-02-09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会计系统中的请款作业方法
TW587214B (en) * 2002-07-24 2004-05-11 Inventec Micro Electronics Cor Employe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JP5017429B2 (ja) * 2004-04-28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スケジュール制御装置及び印刷スケジュール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92081B2 (ja) * 2004-04-28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スケジュール制御装置及び印刷スケジュール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99558A (ja) * 2004-09-30 2006-04-13 Seiko Epson Corp 生産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US7631291B2 (en) * 2004-10-01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Declarative representation for an extensible workflow model
US8032822B1 (en) * 2006-07-28 2011-10-04 Intuit Inc. Method and system for explaining dependencies on a document
JP2008236377A (ja) * 2007-03-20 2008-10-02 Sony Corp 鍵提供システム、鍵提供装置、端末装置、鍵提供方法、及び鍵生成方法
US7925989B2 (en) * 2007-05-09 2011-04-12 Sap Ag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tables
US20130124995A1 (en) * 2007-06-27 2013-05-16 Yohko Kelley Document authoring
JP2009123022A (ja) * 2007-11-15 2009-06-04 Canon Inc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944808B2 (ja) * 2008-01-28 2012-06-06 パナソニック電工Sunx株式会社 表示装置
JP5307111B2 (ja) * 2010-12-16 2013-10-02 株式会社デジタル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CN103403793B (zh) * 2011-03-02 2015-05-27 三菱电机株式会社 可编程显示器及绘图数据的生成方法
WO2013140496A1 (ja) * 2012-03-19 201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作成装置
US9870352B2 (en) * 2013-03-07 2018-01-16 Ricoh Company, Ltd. Creating a dashboard for tracking a workflow process involving handwritten forms
USD773496S1 (en) * 2013-09-17 2016-12-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345A (ja) 2002-06-26 2004-01-29 Omron Corp 画面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4363B1 (ja) 2015-07-08
CN106463095A (zh) 2017-02-22
TWI569118B (zh) 2017-02-01
TW201610626A (zh) 2016-03-16
JPWO2015189940A1 (ja) 2017-04-20
US20170083349A1 (en) 2017-03-23
CN106463095B (zh) 2018-04-17
KR101772355B1 (ko) 2017-08-28
WO2015189940A1 (ja)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76B2 (en) Numerical control system for machine tool
CN104077016B (zh) 一种多窗口显示和切换方法及装置
TWI498693B (zh) 多軸控制系統設定、調整功能支援裝置
JPH0282307A (ja) 情報入力装置
KR100246862B1 (ko) 툴 버튼의 설정 방법 및 편집 장치
JP5180039B2 (ja) 画面データエディタ装置および画面データエディタプログラム
KR101772355B1 (ko) 작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US9937650B2 (en) Operating uni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3077134A (ja) 状態表示・指示入力装置
JP6113353B2 (ja) プラン卜監視制御システム
JP6356722B2 (ja) 生産プロセスの改善を行う数値制御装置
JP2009252190A (ja) メニュー画面表示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9106337A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6320241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画面表示制御方法
US11709584B2 (en) User interface development assistance device, user interface development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016065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オブジェクト設定方法
JP5556634B2 (ja) 操作器の表示制御装置、及び操作器の表示制御方法
JP3978682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20150123922A (ko) 엔지니어링 툴
CN105446280A (zh) 工业过程控制快速生成系统及实现方法
JP6305326B2 (ja) 監視制御装置
KR102625973B1 (ko) 그래픽 이미지 방식의 공작기계 팔레트 모니터 장치 및 그 표시방법
JP2008293392A (ja) ラダープログラミングエディタ
JP2019008635A (ja) 画面表示装置、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JP2008027228A (ja) マンマシ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