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711A - 에너지 유도 체인 - Google Patents

에너지 유도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711A
KR20160134711A KR1020167027615A KR20167027615A KR20160134711A KR 20160134711 A KR20160134711 A KR 20160134711A KR 1020167027615 A KR1020167027615 A KR 1020167027615A KR 20167027615 A KR20167027615 A KR 20167027615A KR 20160134711 A KR20160134711 A KR 20160134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side walls
cover wall
fastening tab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657B1 (ko
Inventor
틸로-알렉산더 제이커
도미니크 바르텐
요에르크 돔니크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3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2개의 연결점 사이에서 케이블, 호스 등을 안내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에너지 유도 체인은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관형 체인 링크(1)를 포함한다. 각 체인 링크는 바닥 벽(2), 인접하는 마주하는 측벽(3, 4) 및 커버 벽(5)을 포함한다. 커버 벽(5)은 측벽(3, 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측벽(3, 4) 각각은 인접하는 체인 링크(1)의 관절 연결을 위하여 피벗 핀(6) 및 조인트 개구(7)를 갖는다. 선회 각도는 멈춤부(8)에 의하여 양 선회 방향으로 제한된다. 커버 벽(5), 측벽(3, 4) 그리고 바닥 벽(2)은 전체 선회 각도에 걸쳐 중첩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유도 체인{Drag chain}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2개의 연결점 사이에서 케이블, 호스 그리고 유사한 것을 유도하기 위한,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또한 각각은 바닥 벽, 인접하는 반대 측벽들 및 커버 벽을 나타내는 다수의 관형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커버 벽은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측벽은 피벗 및 및 인접한 체인 링크의 관절 연결을 위한 조인트 개구를 나타내고, 선회 각도는 양 선회 방향으로 멈춤부에 의하여 제한되며, 그리고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바닥 벽들은 전체 선회 각도에 걸쳐 중첩된다.
전체 원주부 상에서 매우 넓게 폐쇄하는 이러한 종류의 에너지 체인은 특히 외부 물체가 체인 내로, 예를 들어 금속 절단 가공 공구 상으로 들어가는 위험이 존재하는 환경 내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칩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표면 상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굽힘 영역 내의 선회 동안에 체인 링크 사이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종류의 공지된 에너지 체인(DE 20 2009 005 605 U1)에서, 커버 벽, 바닥 벽 및 이들 벽과 측벽의 적어도 과도 구역의 표면은 원주 반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는 점에서 내부 보호는 이미 대체로 보장된다. 개별 벽 영역의 이 곡률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외부 물체가 에너지 체인에 쉽게 달라붙을 수 없으며 따라서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는 점이 이미 매우 효과적으로 보장된다. 이 점에 있어서, 공지된 에너지 유도 체인은 이미 내부의 광범위한 보호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유도 체인의 내부의 보호를 더욱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에너지 유도 체인을 개방시키고 그리고 폐쇄시킬 때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커버 벽은 각 측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탭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체결 탭은 측벽의 외부 표면에 도달한다는 점에서, 측벽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체결 탭의 내부 표면 상에 스냅-인 요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체결 탭의 스냅-인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상대 스냅-인 요소는 측벽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스냅-인 요소와 상대 스냅-인 요소가 에너지 유도 체인의 적어도 한 측부 상에 힌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이 설계의 결과로서, 체결 탭은 측벽의 외부에 도달하며,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한 최적의 내부 보호가 보장되고, 이는 매우 작은 설계적 노력만을 필요로 한다.
체결 탭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 스냅-인 요소는 측벽을 향하여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로서 설계되며, 측벽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 상대 스냅-인 요소는 돌출된 스냅-인 러그 형상을 갖고, 체결 탭의 돌출부가 스냅-인 러그에 걸쳐 스냅된다는 점에서 스냅-인 연결이 생성되며, 상호 작용하는 요소들은 과정 중에 약간의 탄성 변형을 겪는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은 양 측 상에서의 스냅-인 연결이 힌지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구조적 설계를 매우 용이하게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체결 탭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체결 탭의 하부 종단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원형 원통형 형상을 갖는 점에서,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그리고 원형 원통형 돌출부의 외부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직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이 측벽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된 스냅-인 러그 아래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대응하는 커버 벽의 스냅-인 상태에서 돌출부가 측벽의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 내에 힌지 방식으로 장착된다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연결은 간단한 스냅-인 연결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커버 벽은 양 측벽의 상단에 간단하게 위치되고 스냅된다.
힌지 구조를 위하여 리셉터클의 외부 개방 영역은 편의상 원형 원통형 돌출부의 직경보다 다소 작아 커버 벽의 양 측부 상에 확실한 힌지가 생성되며, 그리고 커버 벽이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일 없이 커버 벽은 전체 폭에 걸쳐 선택적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측벽과 커버 벽 간의 스냅-인 연결은 각 측벽의 외부 표면의 오목한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냅-인 연결의 스냅-인 상태에서 체결 탭의 외측부가 각 측벽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각 측벽의 오목한 영역은 규격을 갖는다. 이는 측면 돌출부 간섭없이 에너지 체인의 비교적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벽 상에 제공된 스냅-인 러그의 중간 영역은 중단부를 나타내며, 리브는 커버 벽상에 위치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 위에 제공되는 반면에, 커버 벽의 스냅-인 상태에서 리브는 스냅-인 러그 내의 각 중단부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이 조치는 의도하지 않은 가로지르는 이동에 대하여 스냅-인 연결을 부가적으로 확보한다.
확실한 맞물림을 위하여, 체결 탭은 측면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커버 벽이 폐쇄될 때 이 경사면은 측벽 상에 제공된 삽입 경사면과 상호 작용한다.
스냅-인 연결의 편리한 해제를 위하여, 적어도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폭을 갖는 요부가 체결 탭 상에 위치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의 대략 중간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다른 적절한 공구를 삽입함에 의하여 대응하는 스냅ㅡ인 연결을 레버 개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여 커버 벽은 원하는 측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거나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폭을 갖는 요부가 마찬가지로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의 영역의 하부 에지에 제공될 수 있다.
체결 탭에 인접한 커버 벽의 측면 에지의 외부는 바람직하게는 각 측벽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져 매끄러운 측면 표면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결 탭에 인접한 커버 벽의 측면 에지는 아래를 향하는 플랜지를 나타내며, 여기서 플랜지는 전체 길이에 걸쳐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상대 경사면이 측벽의 상부 에지 상에 형성되어 커버 벽의 대응하는 경사면은 스냅-인 상태에서 상대 경사면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여진다. 이 경사면과 상대 경사면은 측벽 상에서 커버 벽을 중심을 맞추는 역할을 하며 또한 내부를 확실하게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예가 도면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도면을 기초로 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의 단일 체인 링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체인 링크의 유사한 도면으로서, 회전 개방된 커버 벽을 함께 도시함.
도 5는 도 4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 및 도 4에 따른 체인 링크의 사시도로서, 커버 벽은 도시하지 않음.
도 7은 도 6에 따른 체인 링크의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체인 링크의 정면도로서, 커버 벽은 도시하지 않음.
도 9는 도 8의 선 D-D를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1과 동일한 비율로 도 1에 따른 체인 링크에 속하는 커버 벽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따른 커버 벽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커버 벽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12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2개의 연결점 사이에서 케이블, 호스 등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종류의 에너지 유도 체인은 다수의 관형 체인 링크(1)를 포함하며, 이 체인 링크들은 관절 형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각 체인 링크는 바닥벽(2), 인접하는 양 측벽(3 및 4) 그리고 커버 벽(5)을 보여준다(display).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 벽(2)과 측벽(3 및 4)은 단일 구조이며, 반면에 커버 벽(5)은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론 바닥 벽(2)은 또한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6으로부터 특별하게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3 및 4) 각각은 외측 상의 선회 핀(6) 및 선회 핀에서 떨어진, 내측 상의 조인트 개구(7)를 보여준다. 링크 체인의 조립 동안에 또는 체인 링크(1)들이 서로 내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할 때, 선회 판(6)은 각 조인트 개구(7) 내로 스냅된다. 이는 인접하는 체인 링크(1)들 간의 관절 연결을 생성한다. 서로에 대한 체인 링크(1)들의 선회 각도는 멈춤부(8)에 의하여 양 방향으로 제한되며, 이 멈춤부는 각 측벽(3 및 4)의 바깥쪽 면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대응하는 상대 멈춤부(9)와 상호 작용한다. 여기서 상대 멈춤부는 측벽(3 및 4)의 안쪽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인접한 체인 링크(1)의 커버 벽(5), 측벽(3 및 4) 및 바닥 벽(2)은 전체 예상된 선회 각도에 걸쳐 서로 중첩되어 에너지 유도 체인의 이동 방향이 변할 때에도 에너지 유도 체인에 의하여 유도된 호스, 케이블 등을 위하여 폐쇄된 내부(10)가 보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벽(3 및 4) 그리고 바닥 벽(5)을 포함하는 덕트로부터 커버 벽(2)만이 분리 가능하다. 이 상황에서, 커버 벽(5)은 각 측부 상에 체결 탭(11)을 나타낸다. 조립 상태에서, 2개의 체결 탭(11)은 측벽(3 및 4)의 외부 표면에 도달한다. 측벽(3 및 4) 상에 커버 벽(4)을 고정하기 위하여, 측벽(3 및 4)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체결 탭(11)의 안쪽 면은 스냅-인 (snap-in) 요소(12)를 구비하며, 이 스냅-인 요소는 측벽(3 및 4)의 바깥쪽 표면 상에 제공된 상대 스냅-인 요소(13)와 상호 작용한다.
체결 탭(11)의 안쪽 표면 상에 제공된 스냅-인 요소는 측벽(3 및 4)을 향하여 안으로 향하는 돌출부(14)로서 설계된다. 측벽(3 및 4)의 바깥쪽 표면 상에 위치된 상대 스냅-인 요소는 돌출된 스냅-인 러그(15)의 형태를 갖는다. 체결 탭(11)의 돌출부(14)는 스냅-인 러그(15)에 걸쳐 스냅되며, 이 과정에서 체결 탭(11)은 약간의 탄성 변형을 겪는다.
체결 탭(11) 상에 제공된 돌출부(14)는 체결 탭(11)의 하부 종단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원형 원통 구조이다. 측벽(3 및 4)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된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이 스냅-인 러그(15) 아래에 제공되며, 이 리셉터클은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그리고 그의 내부 직경은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외부 직경에 대응한다.
대응하는 커버 벽(5)의 스냅-인 상태에서, 원형 원통형 돌출부(14)는 힌지 방식으로 중공의 원통형 리셉터클(16) 내에 장착된다. 각 커버 벽(5)은 그후 한 측부 및 다른 측부에 대하여 힌지 리드와 동일하게 회전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동일하게 회전 폐쇄될 수 있다.
회전 개방될 때 커버 벽이 각 측벽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의 외부 개방 영역(17)은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외부 직경보다 다소 작도록 설계된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특별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3, 4)과 커버 벽(5) 간의 스냅-인 연결은 각 측벽(3 또는 4)의 외부 표면의 오목한 영역(18) 내에서 형성된다. 이 상황에서, 스냅-인 연결의 스냅-인 상태에서 각 체결 탭(11)의 외측부가 각 측벽(3 또는 4)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각 측벽(3 또는 4)의 오목한 영역(18)은 규격을 갖는다. 이 조치는 개별 체인 링크(1)들이 조립될 때 에너지 유도 체인의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생성한다.
측벽(3 및 4)에 제공된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 내에서의 체결 탭(11) 상에 제공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힌지형 맞물림은 매우 안정적이고 그리고 신뢰성이 있다. 가로지르는 이동에 대한 부가적인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 측벽(3 및 4) 상에 제공된 스냅-인 러그의 중간 영역은 도 6 및 도 8로부터 특히 잘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요부 또는 중단부(19; interruption)를 구비한다. 리브(20)가 커버 벽(5) 상에 위치된 각 원형 원통형 돌출부(14) 위에 제공되며, 커버 벽(5)의 스냅-인 상태에서 이 리브는 스냅-인 러그(15) 내의 각 중단부(19)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체결 탭(11)이 측벽(3 및 4)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삽입 경사면(22)과 상호 작용하는 측면 경사면(21)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 유도 체인 내로의 호스, 케이블 등의 삽입에 뒤이은 커버 벽(5)의 닫힘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스냅-인 연결의 스냅-인 상태에서, 커버 벽(5)은 비교적 단단하게 체인 링크(1) 상에 안착된다. 커버 벽(5)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결 탭(11) 상에 위치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대략 중앙 영역 내에 요부(23)가 제공된다. 이 요부(23)는 커버 벽(5)을 레버 개방하기 위하여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적용을 허용하기 충분하도록 넓다.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적어도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폭을 갖는 대응하는 요부(24)가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각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의 영역의 하부 에지에 제공된다. 도 1에서 특히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벽(5)의 스냅-인 상태에서 2개의 요부(23 및 24) 중 한 요부는 다른 요부 바로 위에 위치되어 한 측부 상에 커버 벽(5)을 회전 개방시키기 위하여 커버 벽(5)은 스크류드라이버의 도움으로 한 측부 상에서 편리하게 레버 개방될 수 있다.
체결 탭(11)에 인접한 커버 벽(5)의 측면 에지(25)는 외부에서 각 측벽(3 또는 4)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있다. 이 상황에서,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측면 에지(25)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조립 상태에서 외부에 놓여진, 도 1에 도시된 측벽(3)의 영역의 평면 내에 정확하게 놓여진다. 에너지 유도 체인의 최종 조립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우측의 다소 오목한 영역(26)은 후속 체인 링크의 측벽에 의하여 중첩되어 에너지 유도 체인의 외측 상에 매끄러운 표면이 생성된다.
도 2 및 도 11로부터 특별하게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탭(11)에 인접한, 커버 벽(5)의 측면 에지는 아래를 향하는, 전체 길이에 걸쳐 경사면(28)을 구비한 플랜지(27)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특별하게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3 및 4)의 상부 에지는 대응하는 상대 경사면(29)을 구비한다. 커버 벽(5)의 끼워 맞추어진 그리고 스냅-인 상태에서, 커버 벽(5)의 경사면(28)은 상대 경사면(29)에 대하여 견고하게 그리고 평평하게 놓여져 따라서 측벽(3 및 4)의 상부 에지 상에서의 커버 벽(5)의 양호한 안내가 얻어지며 그리고 에너지 유도 체인의 내부(1)의 부가적인 밀봉이 생성된다.
1 : 체인 링크
2 : 바닥 벽
3 : 측벽
4 : 측벽
5 : 커버 벽
6 : 피벗 핀
7 : 조인트 개구
8 : 멈춤부
9 : 상대 멈춤부
10 : 폐쇄된 내부
11 : 체결 탭
12 : 스냅-인 요소
13 : 상대 스냅-인 요소
14 : 원형 원통형 돌출부
15 : 스냅-인 러그
16 :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
17 : 리셉터클(16)의 외측 개방 영역
18 : 오목 영역
19 : 중단부
20 : 리브
21 : 측면 경사면
22 : 삽입 경사면
23 : 돌출부(14) 상의 요부
24 : 리셉터클(16) 상의 요부
25 : 측면 에지
26 : 오목 영역
27 : 하향 플랜지
28 : 플랜지(17)의 경사면
29 : 측벽 상의 상대 경사면

Claims (12)

  1.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2개의 연결점 사이에서 케이블, 호스 등을 안내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있어서,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관형 체인 링크(1)를 포함하되, 각 체인 링크는 바닥 벽(2), 인접하는 마주하는 측벽(3, 4) 및 커버 벽(5)을 나타내며, 커버 벽(5)은 측벽(3, 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측벽(3, 4) 각각은 인접하는 체인 링크(1)의 관절 연결을 위하여 피벗 핀(6) 및 조인트 개구(7)를 나타내고, 선회 각도는 멈춤부(8)에 의하여 양 선회 방향으로 제한되며, 커버 벽(5), 측벽(3, 4) 그리고 바닥 벽(2)은 전체 선회 각도에 걸쳐 중첩되고, 커버 벽(5)은 각 측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탭(11)을 나타내며, 체결 탭(11)은 측벽(3, 4)의 외부 표면에 도달하고, 측벽(3, 4)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체결 탭(11)의 내부 표면 상에 스냅-인 요소(12)가 제공되며, 체결 탭(11)의 스냅-인 요소(12)와 상호 작용하는 상대 스냅-인 요소(13)는 측벽(3, 4)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스냅-인 요소(12)와 상대 스냅-인 요소(13)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적어도 한 측부 상에 힌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 탭(11)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 스냅-인 요소(11)는 측벽(3, 4)을 향하여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14)로서 설계되며, 측벽(3, 4)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 상대 스냅-인 요소(13)는 돌출된 스냅-인 러그(15) 형상을 갖고, 그리고 체결 탭(11)의 돌출부(14)가 스냅-인 러그(15)에 걸쳐 스냅된다는 점에서 스냅-인 연결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체결 탭(11) 상에 제공된 돌출부(14)는 체결 탭(11)의 하부 종단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원형 원통형 형상을 갖고,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그리고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외부 직경에 대응하는 내부 직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이 측벽(3, 4)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된 스냅-인 러그(15) 아래에 제공되며, 그리고 대응하는 커버 벽(5)의 스냅-인 상태에서 돌출부(14)는 측벽(3, 4)의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 내에 힌지 방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리셉터클(16)의 외부 개방 영역(17)은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측벽(3, 4)과 커버 벽(5) 간의 스냅-인 연결은 각 측벽(3, 4)의 외부 표면의 오목한 영역(18) 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6. 제5항에 있어서, 스냅-인 연결의 스냅-인 상태에서 체결 탭(11)의 외측부가 각 측벽(3, 4)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각 측벽(3, 4)의 오목한 영역(18)은 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벽(3, 4) 상에 제공된 스냅-인 러그(15)의 중간 영역은 중단부(19)를 나타내며, 리브(20)는 커버 벽(5) 상에 위치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14) 위에 제공되고, 그리고 커버 벽(5)의 스냅-인 상태에서 리브(10)는 스냅-인 러그(15) 내의 각 중단부(19)와 확실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탭(11)은 측면 경사면(21)을 구비하며, 커버 벽(5)이 폐쇄될 때 이 경사면은 측벽(3, 4) 상에 제공된 삽입 경사면(22)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폭을 갖는 요부(24)가 체결 탭(11) 상에 위치된 원형 원통형 돌출부(14)의 대략 중간 영역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류드라이버의 작업 종단의 폭을 갖는 요부(24)가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중공 원통형 리셉터클(16)의 영역의 하부 에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탭(11)에 인접한 커버 벽(5)의 측면 에지(25)의 외부는 각 측벽(3, 4)의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탭(11)에 인접한 커버 벽(5)의 측면 에지(25)는 아래를 향하는 플랜지(27)를 나타내며, 플랜지(27)는 전체 길이에 걸쳐 경사면(28)을 구비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상대 경사면(29)이 측벽(3, 4)의 상부 에지 상에 형성되어 커버 벽(5)의 대응하는 경사면(28)은 스냅-인 상태에서 상대 경사면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KR1020167027615A 2014-03-20 2015-03-06 에너지 유도 체인 KR10217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1274.5U DE202014101274U1 (de) 2014-03-20 2014-03-20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4101274.5 2014-03-20
PCT/EP2015/054765 WO2015139973A1 (de) 2014-03-20 2015-03-06 Energieführungs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711A true KR20160134711A (ko) 2016-11-23
KR102172657B1 KR102172657B1 (ko) 2020-11-03

Family

ID=5049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615A KR102172657B1 (ko) 2014-03-20 2015-03-06 에너지 유도 체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97163B2 (ko)
EP (1) EP3120043B1 (ko)
JP (1) JP6566962B2 (ko)
KR (1) KR102172657B1 (ko)
CN (1) CN106461026B (ko)
DE (1) DE202014101274U1 (ko)
ES (1) ES2757952T3 (ko)
TW (1) TWI654382B (ko)
WO (1) WO2015139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6307B4 (de) 2015-04-24 2016-12-15 Kromberg & Schuber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fektionieren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6102154U1 (de) * 2016-04-22 2017-07-26 Igus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 und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TWI609140B (zh) * 2017-05-10 2017-12-21 欣軍企業股份有限公司 電纜線護管之鏈片結構改良
DE202019100434U1 (de) * 2019-01-25 2019-06-03 Igus Gmbh Quersteg und Kettenglied mit Quersteg
DE202019100878U1 (de) * 2019-02-15 2020-03-17 Igus Gmbh Mehrteiliges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sowie Seitenlasche und Quersteg hierfü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839A (ja) * 1990-08-10 1991-04-04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内部の仕切り構造
DE102008015954A1 (de) * 2007-04-27 2008-10-30 Tsubakimoto Chain Co. Schutz- und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oder dergleichen
KR20120020123A (ko) * 2009-04-17 2012-03-07 이구스 게엠베하 에너지 가이딩 체인
JP2013034327A (ja) * 2011-08-02 2013-02-14 Ube Nitto Kasei Co Ltd ケーブル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9534B1 (en) * 1999-09-03 2002-02-26 A&A Manufacturing Co., Inc. Metal composite cable carrier
DE20002500U1 (de) 2000-02-14 2000-05-2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3716987B2 (ja) 2002-11-28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04005800U1 (de) 2004-04-08 2005-08-2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7451589B2 (en) 2004-10-13 2008-11-18 Act (Europe) Ltd. Line protecting apparatus
JP4476204B2 (ja) * 2005-09-29 2010-06-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722207B2 (ja) * 2009-08-06 2011-07-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102011011639B4 (de) * 2011-02-17 2014-03-20 Maximilian Rüttiger Kabelführungssystem
CH704679A2 (de) * 2011-03-23 2012-09-28 Enz Technik Ag Umlenkvorrichtung für Versorgungsleitungen.
JP5414820B2 (ja) * 2012-02-27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12010236U1 (de) * 2012-10-26 2012-11-23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Spann- bzw. Tragvorrichtung
CN203189615U (zh) * 2013-01-31 2013-09-11 昆山福易雅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线缆保护链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839A (ja) * 1990-08-10 1991-04-04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内部の仕切り構造
DE102008015954A1 (de) * 2007-04-27 2008-10-30 Tsubakimoto Chain Co. Schutz- und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oder dergleichen
KR20120020123A (ko) * 2009-04-17 2012-03-07 이구스 게엠베하 에너지 가이딩 체인
JP2013034327A (ja) * 2011-08-02 2013-02-14 Ube Nitto Kasei Co Ltd ケーブル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8440A1 (en) 2017-05-18
JP2017517685A (ja) 2017-06-29
EP3120043A1 (de) 2017-01-25
DE202014101274U1 (de) 2014-03-31
CN106461026A (zh) 2017-02-22
US9897163B2 (en) 2018-02-20
TW201540984A (zh) 2015-11-01
TWI654382B (zh) 2019-03-21
KR102172657B1 (ko) 2020-11-03
WO2015139973A1 (de) 2015-09-24
EP3120043B1 (de) 2019-08-21
JP6566962B2 (ja) 2019-08-28
ES2757952T3 (es) 2020-04-30
CN106461026B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4711A (ko) 에너지 유도 체인
CN102449867B (zh) 能量引导链
US8540102B2 (en) Drum ring and lever system
US8806847B2 (en) Energy guiding chain
CN102217157B (zh) 容器装置
US8733585B2 (en) Folding container lid
US8443844B2 (en) Flange protector
US9925926B2 (en) Blind especially for a storage compartment in a motor vehicle
US8671991B2 (en) Flange protector and lug
US20100043384A1 (en) Chain Link with a Locking Device
CN109072599A (zh) 用于表面排水的排水沟的端壁
JP2007189839A (ja) グロメット
JPH0784895B2 (ja) 開閉可能な密閉型ケ−ブルドラグチエ−ン
JP4241519B2 (ja) 架空ケーブル用回転式鳥害防止器
HU221398B1 (en) Box case for collapsible and flexible elements in particular to lighting fittings
EP3025872B1 (en) Case for covering the bristles of a paint brush
US1327409A (en) Conduit outlet-box
JP6259971B2 (ja) 洗濯機用防水パン
GB2284587A (en) Container with bail handle
RU242296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ороба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короб с таки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KR900010604Y1 (ko) 탈수통 착탈구조
JPS5829847Y2 (ja) 工事現場用電球保護カバ−
NL2006328C2 (nl) Meterkastvloerplaat.
DE8328391U1 (de) Kabelführungskanal mit Überbrückungsklammer
KR20180004600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