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701A -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701A
KR20160134701A KR1020167026513A KR20167026513A KR20160134701A KR 20160134701 A KR20160134701 A KR 20160134701A KR 1020167026513 A KR1020167026513 A KR 1020167026513A KR 20167026513 A KR20167026513 A KR 20167026513A KR 20160134701 A KR20160134701 A KR 2016013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loral
projection data
data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146B1 (ko
Inventor
김근영
김태우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6013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3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크레들에 거치할 시 투영 데이터의 전송뿐만 아니라 구동 전원의 충전 및 살균이 함께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투영 데이터에 식별자를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투영 데이터가 치열 내 어느 부분의 영상 데이터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INTRA-ORAL SENSOR, CRADLE, AND INTRA-ORAL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크레들에 거치할 시 투영 데이터의 전송뿐만 아니라 구동 전원의 충전 및 살균이 함께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투영 데이터에 식별자를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투영 데이터가 치열 내 어느 부분의 영상 데이터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는 환자의 구강 내 치아 정보를 얻기 위해 엑스선을 이용한 구강촬영을 하게 된다. 또한, 엑스선을 이용한 구강촬영은 인트라오럴 센서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시킨 후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엑스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인트라오럴 센서는 구강 센서로도 불리우며, 구강을 투과한 엑스선의 위치별 감쇄율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구강에 대한 엑스선 투영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싱 회로부, 상기 센싱 회로부에서 변환된 투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의 통신 케이블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어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의 통신 케이블을 컴퓨팅 장치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와이파이 단말에 연결되도록 하여, 와이파이 단말을 통해 무선으로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도 사용되었다.
한편, 종래의 인트라오럴 센서는 구강촬영시 움직임에 따라 통신 케이블에 큰 인장력이 가해지는데, 이는 센싱 회로부와 통신 케이블 간의 전기적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이탈하여 통신 단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는 사용 중에 통신 케이블이 빈번하게 굽혀져야 하므로, 케이스와 통신 케이블 간의 결합 부위에서도 틈이 발생하였고 이는 센싱 회로부와 통신 케이블 간의 이탈현상을 가속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촬영 횟수의 증가 및 환자의 구강 내 삽입을 위한 인장력이 증가할수록 통신 케이블과 센싱 회로부의 이탈현상이 증가하여 인트라오럴 센서의 수명 단축 및 추가적인 인트라오럴 센서의 재구입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는 여러 환자가 공용하는 것이므로 살균이 매우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세척이나 별도의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살균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트라오럴 센서에서 촬영된 투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시술자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데 구강내 여러 부분의 치아를 촬영할 경우, 저장된 투영 데이터가 상악의 투영 데이터인지 하악의 투영 데이터인지 또는 어느 치아의 투영 데이터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트라오럴 센서에서 센싱 회로부에 연결된 통신 케이블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며 환자의 구강 내 포지셔닝이 자유로운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고도 엑스선의 투영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영 데이터의 전송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영 데이터의 전송 및 충전과 함께 동시에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전송되는 투영 데이터가 구강내 어느 부분의 데이터인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엑스선을 투영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싱 회로부; 상기 투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상기 센싱 회로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가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및 상기 충전 커넥터부를 노출시키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엑스선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거치 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상기 충전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크레들;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은 상기 거치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의 거치 공간은 서로 식별가능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은 임의의 슬롯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거치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투영 데이터와 함께 해당 슬롯의 식별자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레들만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에 의하면, 센싱 회로부에서 변환된 투영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별도로 통신 모듈 및 통신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컴팩트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구강촬영 시 구강 내 포지셔닝이 수월하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에 의하면, 크레들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및 충전 커넥터부가 구성되므로, 크레들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 장착할 시 투영 데이터의 전송 및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의하면, 크레들의 거치공간 내측에 살균부재를 구비하여 투영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여 살균을 위한 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 의하면, 크레들에서 출력되는 투영 데이터가 치열 내 어느 치아 부분의 투영 데이터인지를 매우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살균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부호의 설명]
110 : 센싱 회로부
120 : 메모리부
130 :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140 : 배터리부
150 : 충전 커넥터부
160 : 케이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환자의 구강촬영에 이용되어 환자의 구강 내 엑스선 투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들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 장착하여 데이터의 전송 및 충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센싱 회로부(110), 메모리부(120),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130), 배터리부(140), 충전 커넥터부(150) 및 케이스(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레들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로부터 데이터 수신과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충전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충전전원의 공급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상기 충전 단자는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접속 단자에서 데이터의 전송 및 충전 기능을 갖게 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크레들은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에서 전송받은 투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레들에는 모선통신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센싱 회로부(110)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엑스선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를 처리하여 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사용한 간접변환방식 또는 광도전층을 이용한 직접변환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투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센싱 회로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싱 회로부(110)에서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로서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센싱 회로부(110)에서 변환된 투영 데이터를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기억장치로 구비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램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별도의 통신 용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투영 데이터의 저장 및 보관이 가능하며, 통신 케이블 및 통신 모듈이 삭제된 컴팩트한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촬영 시 케이블에 의한 간섭이 없어 포지셔닝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13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모리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투영 데이터를 상기 크레들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1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상기 크레들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크레들의 데이터 수신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투영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부(140)는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센싱 회로부(110)가 동작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필요 시 상기 메모리부(120)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40)는 충전이 가능한 전지로 구비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상기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 커넥터부(150)는 상기 배터리부(140)와 외부 충전 용도의 충전수단 간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40)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며, 예컨대, 상기 배터리부(140)와 상기 크레들의 충전 단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부(15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상기 크레들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크레들의 충전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배터리부(14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60)는 상기 센싱 회로부(110), 상기 메모리부(120) 및 상기 배터리부(14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 및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구강촬영 시 환자의 타액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60)는 상,하부 케이스(160)가 서로 결합한 형태일 수 있으며 적어도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160)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130) 및 상기 충전 커넥터부(1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외부로 노출된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130) 및 충전 커넥터부(150)의 일부를 커버하는 별도의 커버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에 의하면, 획득된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용 케이블이 필요없으므로 구강 내에 포지셔닝이 자유롭고,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한 내부 소자의 파손위험이 없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은, 인트라오럴 센서(100)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가 거치되는 크레들(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투영 데이터로 변환한 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비되므로, 별도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크레들(200)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거치하는 거치 공간(23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거치했을 때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210) 및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220)가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자(2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접속되며, 상기 충전 단자(22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충전 커넥터부와 접속되게 된다.
즉, 상기 크레들(200)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에 저장된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충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크레들(200)은 외부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들(200)은 외부의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에서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았을 때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크레들(200)에는 거치공간(230)에 거치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살균하는 살균부재(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재(24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가 상기 크레들(200)에 거치되었을 때, '온'되어 살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충전될 때,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살균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살균부재(240)를 자외선 램프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살균할 수 있는 램프라면 어떠한 램프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는 하나의 거치공간(230)에 하나의 살균부재(24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거치공간(230)에 복수 개의 살균부재(240)들이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거치공간(230)에 하나의 살균부재(2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재(240)는 상기 거치공간(230)의 내측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크레들(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공간(230)으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크레들(200)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은 상기 크레들(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들(200a)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가 거치할 수 있는 거치 공간이 복수개의 슬롯들(231,231n)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들(200a)은 복수 개의 인트라오럴 센서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크레들이다.
또한, 상기 슬롯들(231,231n)은 서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롯들(231,231n)은 열 개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고, 1번 슬롯(231)에서 10번 슬롯(231n)까지 숫자들로 슬롯들이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롯들(231,231n)의 개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또한, 상기 슬롯들(231,231n)은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등의 다양한 식별자로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롯들(231,231n)은 거치된 인트라오럴 센서(100)에서 투영 데이터가 출력될 때, 자신의 식별자가 함께 출력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크레들(200a)의 데이터 출력 단자(230)에서 출력되는 투영 데이터에는 슬롯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이렇게 투영 데이터에 식별자를 포함시켜 출력하는 이유는 인트라오럴 센서의 경우 치열의 국소부분 영상만을 획득하므로 획득된 투영 데이터가 치열내 어느 부분의 영상인지를 식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열 개의 슬롯들 중, 1번에서 5번 슬롯은 상악의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6번에서 10번 슬롯은 하악의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1번 슬롯은 상악의 오른쪽 어금니 부분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고, 5번 슬롯은 상악의 왼쪽 어금니 부분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고, 6번 슬롯은 하악의 오른쪽 어금니 부분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고, 10번 슬롯은 하악의 왼쪽 어금니 부분 투영 데이터를 입력받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환자의 상악 오른쪽 어금니 부분을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로(100)로 촬영하고, 상기 1번 슬롯에 삽입하면, 상기 데이터 출력 단자(230)에는 상악 오른쪽 어금니 부분의 투영 데이터와 1번 슬롯의 식별자가 함께 출력된다.
한편, 상기 크레들(200a)에서 출력되는 투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10,PACS)를 거져 시술자의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투영 데이터는 전자챠트(21)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전자챠트(21)는 환자의 정보가 출력되는 환자 정보 출력영역(21a)과 환자의 치아 영상이 출력되는 치아 영상 출력 영역(2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아 영상 출력 영역(21b)은 환자의 부분 치아 영상이 출력되는 복수의 부분 치아 영상 출력 영역(21bb)들로 구성된다.
즉, 입력되는 투영 데이터가 1번 슬롯으로 입력된 데이터일 경우, 상기 부분 치아 영상 출력 영역들(21bb) 중, 상악 오른 쪽 어금니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1bb)에 투영 데이터가 출력되게 할 수 있고, 시술자는 출력되는 투영 데이터가 환자의 치아 어느 부분의 투영 데이터인지 쉽게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까지 전송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미사용 시 상기 크레들(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크레들을 통해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다음, 촬영대상의 구강촬영 시 촬영진행자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상기 크레들(200)에서 꺼내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한 후,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구강 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 측으로 엑스선을 조사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엑스선으로부터 투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촬영대상의 구강촬영은 복수 회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복수의 투영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에는 별도의 통신 및 전원 케이블이 구비되지 않아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서 포지셔닝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촬영대상의 구강 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꺼내 상기 크레들(200)에 거치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에 저장된 투영 데이터가 상기 크레들(200)을 통해서 컴퓨팅 장치(20)로 전송되며 또한 전원의 충전도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상기 살균부재(240)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상기 크레들(200)에 거치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전원의 충전, 투영 데이터의 전송 및 살균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시술자는 컴퓨팅 장치(20)로 전송되어 있는 해당 투영 데이터를 통해 촬영대상의 구강 내 치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들(200)에서 출력되는 투영 데이터는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을 거쳐 시술자의 컴퓨팅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20)는 입력 되는 투영 데이터에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전자챠트(21)의 치아 영상 출력 영역 중, 식별자와 대응하는 영상 출력 영역에 입력된 투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입력된 투영 데이터가 환자의 치아 어느 부분의 투영 데이터인지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엑스선 영상 획득장비, 특히, 치과용 엑스선 영상 획득 장비에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엑스선을 투영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싱 회로부;
    상기 투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상기 센싱 회로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가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 및 상기 충전 커넥터부를 노출시키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3. 엑스선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거치 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상기 충전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크레들;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은 상기 거치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오럴 센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오럴 센싱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의 거치 공간은 서로 식별가능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롯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오럴 센싱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은 임의의 슬롯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거치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투영 데이터와 함께 해당 슬롯의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오럴 센싱 시스템.
  8.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거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거치 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데이터 송수신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로부터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신 단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충전 커넥터부와 접속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데이터 수신 단자로 입력되는 투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크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공간은 서로 식별가능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롯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단자는 임의의 슬롯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거치되었을 때, 거치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투영 데이터와 함께 해당 슬롯의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KR1020167026513A 2014-03-21 2015-03-23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KR101915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227 2014-03-21
KR1020140033227A KR20150109835A (ko) 2014-03-21 2014-03-21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PCT/KR2015/002839 WO2015142146A1 (ko) 2014-03-21 2015-03-23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701A true KR20160134701A (ko) 2016-11-23
KR101915146B1 KR101915146B1 (ko) 2018-11-05

Family

ID=54144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227A KR20150109835A (ko) 2014-03-21 2014-03-21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KR1020167026513A KR101915146B1 (ko) 2014-03-21 2015-03-23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227A KR20150109835A (ko) 2014-03-21 2014-03-21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8359B2 (ko)
EP (1) EP3120775B1 (ko)
KR (2) KR20150109835A (ko)
CN (1) CN106659461B (ko)
WO (1) WO20151421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110A (ko) * 2019-10-07 2019-10-23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US11278249B2 (en) 2017-03-15 2022-03-22 Rayence Co., Ltd.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01B1 (ko) * 2016-06-29 2016-10-20 주식회사 힐텍메드 의료용 센서 소독 및 살균 장치
IT201700019155A1 (it) * 2017-02-21 2018-08-21 Cefla Soc Cooperativa Sensore digitale videoradiografico intraorale
KR101993179B1 (ko) * 2017-03-15 2019-09-27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US11344257B2 (en) * 2017-10-12 2022-05-31 Biocore LLC Electronic containment system for storing and charging an instrumented intra-oral appliance, and transmitting data therefrom
FI20187045A1 (en) 2018-03-16 2019-09-17 Athlos Oy Wireless intraoral X-ray imaging sensor
FI129522B (en) * 2018-08-08 2022-03-31 Athlos Oy Holder for a wireless intraoral sensor
US11191497B2 (en) * 2018-10-16 2021-12-07 Shayda Cull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including a radio transceiver
US10506992B1 (en) * 2018-10-16 2019-12-17 Shayda Cull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KR102083977B1 (ko) * 2019-04-08 2020-04-23 주식회사 나노레이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EP3858242A1 (en) * 2020-02-03 2021-08-04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and charging portable x-ray detectors
USD972302S1 (en) 2020-03-13 2022-12-13 Ranir, Llc Toothbrush drive unit
US11885743B2 (en) * 2020-07-22 2024-01-30 Agar Corporation, Inc. Fluorescence and scatter and absorption spectroscopic apparatus with a sapphire tube and method for analyzing inline low level hydrocarbon in a flow medium
JPWO2022107554A1 (ko) * 2020-11-20 2022-05-27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509945D1 (de) 1994-08-05 2002-01-24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 röntgendiagnostikeinrichtung
JPH10277028A (ja) * 1997-04-08 1998-10-20 Morita Mfg Co Ltd 歯科用x線画像検出器およびそのアダプタ
US6404854B1 (en) 2000-06-26 2002-06-11 Afp Imaging Corporation Dental x-ray imaging system
US6307915B1 (en) 2000-06-26 2001-10-23 Afp Imaging Corporation Triggering of solid state X-ray imagers with non-destructive readout capability
US6527442B2 (en) 2000-06-26 2003-03-04 Afp Imaging Corporation Integrated sensor holder for dental imaging
US6320934B1 (en) 2000-06-26 2001-11-20 Afp Imaging Corporation Sensor characterization in memory
JP2003079617A (ja) 2001-09-10 2003-03-18 Morita Mfg Co Ltd X線センサーユニット、これを用いたx線撮像装置
FI119008B (fi) * 2004-07-22 2008-06-13 Planmeca Oy Langaton intraoraaliröntgenkuvantaminen
ATE346546T1 (de) 2004-08-06 2006-12-15 Gendex Corp Bild-sensor für zahnmedizinische intraorale röntgenradiographie
KR100724962B1 (ko) * 2005-08-1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US7563026B2 (en) * 2005-09-08 2009-07-21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US9024276B2 (en) * 2010-06-23 2015-05-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storage case surface disinfection
CN101951004A (zh) * 2010-10-14 2011-01-19 朱亚林 多功能手机杀菌消毒、充电装置
CN103316368A (zh) * 2012-03-22 2013-09-25 秦永永 便携式牙刷牙具消毒器
CN202605362U (zh) * 2012-04-18 2012-12-19 中普天诚(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充电功能的手机消毒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249B2 (en) 2017-03-15 2022-03-22 Rayence Co., Ltd.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20110A (ko) * 2019-10-07 2019-10-23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86760A1 (en) 2017-03-30
WO2015142146A1 (ko) 2015-09-24
EP3120775B1 (en) 2019-05-01
US10188359B2 (en) 2019-01-29
KR101915146B1 (ko) 2018-11-05
CN106659461B (zh) 2020-11-17
KR20150109835A (ko) 2015-10-02
CN106659461A (zh) 2017-05-10
EP3120775A1 (en) 2017-01-25
EP3120775A4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46B1 (ko)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US7278784B2 (en) Dental X-ray system with electronic sensor
JP5593096B2 (ja) 着脱式バッテリを有するディジタル画像検出器
JP5606534B2 (ja) 付加的機能を有する医療用具用の補助部品
JP2007319686A (ja) マイクロチップを備えると共に、光学的に連結された内視鏡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US20120122051A1 (en) Dental Device with Hand-held Instrument and Light Source
US20130345503A1 (en) Hand-Operated Endoscope For Medical Purposes
US20090039276A1 (en) Radiation detecting cassette and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WO2018230800A1 (ko)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11252913A (ja) 医療システム
CN105725957A (zh) 内窥镜诊断支持装置及内窥镜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JP5192914B2 (ja) カセッテ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9048171A (ja) カセッテ装置及び該カセッテ装置に設けられるカセッテ収納袋
US11278249B2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993179B1 (ko) 구강내 센서
WO2023102121A1 (en) System for dental assessment
KR20110085514A (ko) 마우스 프롭 장착용 구강촬영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우스 프롭 키트
KR20100055975A (ko) 치과용 엑스선 ct 촬영장치
Coffman et al. Oral and dental imaging equipment and techniques for small animals
KR20200030175A (ko) 구강 센싱 장치
KR20240009574A (ko) 원적외선 기반 치주질환 진단 장치
JP3203253U (ja) カメラ付き歯清掃具
JP2009063999A (ja) 放射線検出カセッテ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