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977B1 -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977B1
KR102083977B1 KR1020190040990A KR20190040990A KR102083977B1 KR 102083977 B1 KR102083977 B1 KR 102083977B1 KR 1020190040990 A KR1020190040990 A KR 1020190040990A KR 20190040990 A KR20190040990 A KR 20190040990A KR 102083977 B1 KR102083977 B1 KR 10208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oral
sensor device
ray senso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윤
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레이
Priority to KR102019004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충전연결데크가 구비되고,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충전연결데크를 통해 영상표시장치에서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연결데크;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는 상기 충전연결데크를 통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그립형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로 핸드그립형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가져가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센서장치에 착탈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메모리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에 연결시켜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없이 상기 센서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충전연결데크에 상기 센서장치를 세워놓기만 하면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에서 엑스레이 영상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져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기 때문에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하기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X-ray imaging system having the deck for charging}
본 발명은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충전연결데크가 구비되고,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충전연결데크를 통해 영상표시장치에서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강엑스레이센서는 치과에서 구강 내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엑스레이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하는 센서이다.
구강엑스레이센서는 구강 내의 좁은 면에 대한 엑스레이영상을 얻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되는데, 도 1에서는 일반적인 구강내 엑스레이센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강내 엑스레이센서는 사각형태의 엑스레이센서가 가느다란 전선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엑스레이센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과 내의 진료자가 환자의 구강 내에 센서를 넣은 다음 촬영을 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센서를 위치시킨 다음 그 위치에서 센서가 움직이지 않도록 환자가 그 센서를 잡고 있도록 하고 환자가 센서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엑스레이조사장치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얻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강내 엑스레이센서의 경우 진료자가 환자의 구강 내로 손을 집어넣어 구강엑스레이센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 과정에서 진료자의 손에 묻어 있는 세균이 환자의 구강을 통해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과에서 구강내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경우 환자의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한 후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센서를 엑스레이영상을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장치로 가져가서 해당 컴퓨터장치에 연결된 엑스레이센서서 장착부 또는 소켓에 엑스레이센서를 장착한 후 컴퓨터장치에서 일정한 조작을 통해 해당 센서에 촬영되어 있는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처럼 엑스레이영상을 촬영하는 장소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고 특정한 장소로 이동해서 이를 확인해야 하므로 촬영한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구강엑스레이 촬영을 한 후 엑스레이 이미지센서를 센서장치에서 분리하여 이를 다시 컴퓨터장치에 삽입하고 컴퓨터 장치에서 관련 프로그램으로 해당 파일을 가져와서 작업을 하는 등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8-0086850호 : 인트라오랄 X선 센서의 센서홀더 일본공개특허 제 2001-43465호 : 치과용 구내 X선촬영용 화상센서 미국공개특허 제 2018-0206802호 : Sensor holder for intraoral X-ray senso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데크에 상기 센서장치를 거치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영상처리를 실행하여 엑스레이영상을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구강엑스레이 촬영 후 이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기가 매우 용이한 구강엑스레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연결데크;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는 상기 충전연결데크를 통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는 자동으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및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연결데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연결데크장치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충전을 위한 충전데크부;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 생성부; 및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에서 생선된 엑스레이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상기 충전데크부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엑스레이영상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부; 및 상기 엑스레이센서부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긴 막대형태로 만들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기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엑스레이센서부와 연결되는 연장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생성장치는: 엑스레이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그립형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로 핸드그립형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가져가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센서장치에 착탈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메모리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에 연결시켜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없이 상기 센서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충전연결데크에 상기 센서장치를 세워놓기만 하면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에서 엑스레이 영상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져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기 때문에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하기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전연결데크가 상기 센서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장치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에 상기 센서장치를 연결할 필요 없이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세워놓기만 하면 상기 센서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전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강엑스레이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장치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장치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시스템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시스템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엑스레이센서부(100) 및 손잡이부(200)로 구성되는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10), 충전연결데크(600) 및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로 구성된다.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선영상의 촬영을 위한 것으로, 엑스레이 조사를 위한 엑스레이튜브(900)에서 엑스레이가 발생되어 조사되면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에서 환자의 촬영부위에 대한 엑스레이영상이 촬영된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를 고정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긴 막대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충전연결데크(600)는 상기 손잡이부(200)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충전연결데크는 상기 손잡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센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로부터 엑스레이데이터가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는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엑스레이센서부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엑스레이영상처리프로그램은 이용하여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엑스레이영상처리프로그램은 엑스레이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엑스레이영상파일로 만들어주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는 모니터와 본체로 구성되는 퍼스널컴퓨터장치 또는 서버컴퓨터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는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연결감지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충전연결데크(600)에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엑스레이 데이터에 엑세스하여 상기 엑스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한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상기 충전연결데크(600)에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센서연결감지기능을 이용하여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엑스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엑스레이영상을 표시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통해 엑스레이를 촬영하고 나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올려놓기만 하면 다른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700)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엑스레이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연결데크(600)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 및 상기 엑스레이영상생성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충전부를 구비하여 배터리를 매번 교환할 필요 없이 배터리를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장착하여 충전하기만 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배터리를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장착하여 충전할 때에는 배터리를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상기 충전데크에 세워놓으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이 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장치 내에 촬영된 엑스레이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가 구비된다.
[ 제 2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장치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충전연결데크장치에 구강엑스레이센서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10) 및 충전연결데크장치(600')로 구성된다.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센서센서장치이고,
상기 충전연결데크장치(600')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크장치이다.
상기 충전연결데크장치(600)는 충전데크부(620'),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미도시) 및 엑스레이영상 표시부(610')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데크부(620')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충전을 위한 것이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는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엑스레이영상처리프로그램은 이용하여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엑스레이영상처리프로그램은 엑스레이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엑스레이영상파일로 만들어주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엑스레이영상 표시부(610')는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에서 생선된 엑스레이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상기 충전데크부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엑스레이영상 표시부로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시스템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센서결합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엑스레이센서부(100)가 힌지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센서결합부가 원반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엑스레이센서부(100)의 내부에 원반형태의 센서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는 원반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원반형태의 센서결합부가 상기 원반구멍에 삽입되어 상기엑스레이센서부(100)가 상기 손잡이부(200)로부터 회동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즉, 이렇게 하면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가 상기 손잡이부(20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힌지구조가 만들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엑스레이시스템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손잡이부(2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센서결합부와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가 볼조인트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 가 상기 손잡이부(200)로부터 피칭(pitching), 롤링(rolling) 및 요잉(yawing) 등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센서결합부가 상기 연장암부(210)의 일측에 볼조인트용 볼스터드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는 구강 내의 엑스레이영상 촬영을 위한 센서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볼스터드와 결합하기 위한 베어링부가 만들어져, 상기 볼스터드와 상기 베어링부가 결합되어 상기 엑스레이센서부(100)가 상기 센서결합부로부터 회전운동과 요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10 :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100 : 엑스레이센서부
200 : 손잡이부 600, 600' : 충전연결데크
610' : 엑스레이영상 표시부 620' : 충전데크부
700 : 표시장치

Claims (7)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연결데크;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는 상기 충전연결데크를 통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부; 및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부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긴 막대형태로 만들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기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부와 연결되는 연장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상기 충전연결데크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 및 표시장치는 자동으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3.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및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수납되면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연결데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연결데크장치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충전을 위한 충전데크부;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 생성부; 및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에서 생선된 엑스레이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엑스레이영상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엑스레이의 조사를 통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구강엑스레이센서부; 및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부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긴 막대형태로 만들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기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부와 연결되는 연장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영상 생성부는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가 상기 충전데크부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서 촬영된 엑스레이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처리하여 엑스레이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엑스레이영상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는:
    엑스레이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KR1020190040990A 2019-04-08 2019-04-08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KR10208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90A KR102083977B1 (ko) 2019-04-08 2019-04-08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90A KR102083977B1 (ko) 2019-04-08 2019-04-08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977B1 true KR102083977B1 (ko) 2020-04-23

Family

ID=7047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90A KR102083977B1 (ko) 2019-04-08 2019-04-08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05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나노레이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CN113827266A (zh) * 2021-10-13 2021-12-24 上海奕瑞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口内成像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38A (ja) * 1998-06-27 2000-01-18 Morita Mfg Co Ltd 歯科診断システム
JP2001043465A (ja) 1999-07-30 2001-02-16 Hitachi Cable Ltd 緊急連絡システム
JP2001212161A (ja) * 2000-01-31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スコープ付き口腔洗浄器
KR20150109835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KR20180086850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
KR20180105453A (ko) * 2017-03-15 2018-09-28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38A (ja) * 1998-06-27 2000-01-18 Morita Mfg Co Ltd 歯科診断システム
JP2001043465A (ja) 1999-07-30 2001-02-16 Hitachi Cable Ltd 緊急連絡システム
JP2001212161A (ja) * 2000-01-31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スコープ付き口腔洗浄器
KR20150109835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KR20180086850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
KR20180105453A (ko) * 2017-03-15 2018-09-28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제 2018-0206802호 : Sensor holder for intraoral X-ray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05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나노레이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CN113827266A (zh) * 2021-10-13 2021-12-24 上海奕瑞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口内成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898B2 (ja) 口腔内撮影用デジタルカメラ
US7090395B2 (en) Wireless digital dental x-ray sensor with positioning apparatus
EP1752100A2 (en) Combined panoramic and CT (computed tomography) X-ray apparatus
KR102083977B1 (ko) 충전용 데크를 구비한 구강엑스레이촬영시스템
EP2807976B1 (en) Hand-held direct digital image sensor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KR102085244B1 (ko)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KR101223936B1 (ko) 엑스선 촬영장치
US20060274890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JPH07275202A (ja) 歯科治療ユニット
JP2010148656A (ja) 撮像条件・位置付け支援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備えるx線撮像装置
KR200408741Y1 (ko) 구강내 엑스선 영상획득을 위한 디지털센서용 홀더
JP2016193163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歯科用口腔内x線撮影システム
JP5361059B2 (ja) X線撮影用頭部規格固定装置
JP2012508607A (ja) 口腔内の放射線撮影のための角度指示のフィルムホルダ及びフィルム支持部
Coffman et al. Oral and dental imaging equipment and techniques for small animals
US20220304637A1 (en)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having charging deck
WO2020067636A1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86273A (ko) 의료용 촬영장치
KR20080112807A (ko) 씨티 촬영에 이용되는 기준 축 형성용 귀마개
KR101143594B1 (ko) 엑스선촬영 관리서버시스템
JP2005304866A (ja) 立体x線像による歯科用診断装置
JP6076867B2 (ja) 医用x線画像処理システム、x線撮影装置及びx線検出器
KR102182649B1 (ko)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4004100A1 (ja) 口腔内撮影支援システム、口腔内撮影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35298A1 (en) Sensor integrated protection pad for shielding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