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110A -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110A
KR20190120110A KR1020190123890A KR20190123890A KR20190120110A KR 20190120110 A KR20190120110 A KR 20190120110A KR 1020190123890 A KR1020190123890 A KR 1020190123890A KR 20190123890 A KR20190123890 A KR 20190123890A KR 20190120110 A KR20190120110 A KR 20190120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traoral sensor
ray imaging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030B1 (ko
Inventor
김정도
김태우
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12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강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 센서를 이용한 종래의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전송케이블이 고정되어 연결된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며, X선 촬영에 의해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는 전송케이블을 통해 진단용 컴퓨터로 전송된다.
이처럼, 종래의 X선 촬영은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게 되므로, 구강내 X선 촬영에 있어 편의성이 저하되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등 여러 제약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제약을 개선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케이스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 하우징은 상기 제 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전송케이블에 내장되어 상기 전송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10)은 구강내 센서(100)와 도킹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X선 촬영 시스템(10)은, X선 촬영시 구강내 센서(100)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처리하여 X선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강내 센서(100)는 구강내에 삽입되어 치아 및 주변조직에 대한 X선 검출을 수행하게 된다.
구강내 센서(100)로는 X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 X선 센서나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 X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케이블리스(cableless)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로서,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 연결 없이 독립적인 상태에서 구강내 X선 촬영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패널과, 인쇄회로기판과, 메모리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은 조사된 X선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에 해당되는데,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해당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접 방식의 경우에는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인 센서패널의 전방면 상에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형광체인 신틸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의 반대면인 후방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는 센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센서패널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리드아웃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사용한 X선 촬영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과 별개로 구성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박막의 필름 형태로 메모리가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에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강내 센서(100)는 내장된 메모리와 배터리를 구비함에 따라, 전송케이블이 사용되지 않는 케이블리스 상태로 구강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강내 센서(100)는, 전술한 전기적 부품들인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둘러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구강내 센서(100)의 외부케이스(120)인 제1외부케이스(1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수광면 측인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전방커버 즉 제1커버(121)와, 수광면 반대측인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후방커버 즉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결합된 제1,2커버(121,122) 내부의 수용공간에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의 전기적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내 센서(100)는 후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2커버(122)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후방부 즉 돌출부는 구강내 센서(100)에 대한 파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처럼,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강내 센서(100)를 단면으로 볼 때, 구강내 센서(100)의 측면은 단차 형태를 갖게 되는데 즉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구강내 센서(100)에는 외부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1커넥터(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제1외부케이스(120) 내에 수용되고, 제1외부케이스(120)에 형성된 제1커넥터홀(125)을 통해 제1커넥터(1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커텍터(15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킹스테이션(또는 크래들)(200)은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탈착(즉, 도킹/언도킹)되는 거치대로서,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되면,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고 이 전송된 영상신호를 유선 방식이나 무선 방식으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와 컴퓨터 간에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도킹스테이션(200)은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는 외부케이스(220)인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며, 제2외부케이스(220)는 바닥면 측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하부커버 즉 제3커버(221)와, 바닥면 반대측인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상부커버 즉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2커넥터(2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커넥터(250)는 제2외부케이스(220) 내에 수용되고, 제2외부케이스(220)에 형성된 제2커넥터홀(225)을 통해 제2커넥터(2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커넥터(250)는 이에 대응되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에 사용되는 자석으로서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을 따라 해당 커넥터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N극 및 S극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2커넥터(150,250)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커텍터(1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과 제2커넥터(2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의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구강내 센서(100)를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1외부케이스(120)를 구비하고, 제1외부케이스(120)는 수광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1커버(121)와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커버(122)는 수광방향 즉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커버(122)의 일측면에는 제1커넥터(150)를 노출하는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실질적으로 제1커넥터홀(1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1커넥터(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121)는 제2커버(122)에 비해 평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또는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된 위치의 제1커버(121)의 외측 돌출 부분인 외연부분(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1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1하우징(151)과, 제1하우징(151) 내에 삽입되는 제1접속단자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150)는 제1하우징(151)의 일단인 상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제1씰부재(155)와, 제1접속모듈(151)의 타단인 하단에 부착되어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씰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씰부재(155)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이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씰부재(157)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접속단자모듈(153)은 제1몰드(1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노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몰드(153b)에는 다수의 홀(1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는 제1몰드(153b)의 해당 홀(153b1)에 일부가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해당 홀(153b1)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커넥터(150)를 조립하고 이를 제1커넥터홀(125)에 체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킹스테이션(200)을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고, 제2외부케이스(2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삽입방향(또는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3커버(221)와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4커버(222)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이의 일부분으로서 제1커넥터(150)가 위치하는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입홈(227) 내에는 제2커넥터(250)를 노출하는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입홈(227)을 덮는 덮개(229)가 제4커버(22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요입홈(227)은 구강내 센서(100)가 삽입되는 하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요입홈(227)은 단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인데, 외연부분(121a)를 포함한 제1커버(121)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깊이의 제1홈영역(227a)과, 제1커넥터(150)가 배치된 제2커버(122)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깊이보다 낮은 제2깊이의 제2홈영역(2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홈영역(227b)에는 제2커넥터(250)가 배치된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50)는 실질적으로 제2커넥터홀(2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2커넥터(2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넥터(2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2하우징(251)과, 제2하우징(251)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접속단자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넥터(250)는 제2하우징(251)의 하단과 제2접속단자모듈(253)의 외연부 사이에 삽입 부착되는 링형상의 제3씰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씰부재(255)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접속단자모듈(253)은 제2몰드(2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몰드(253b)에는 다수의 홀(2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는 제2몰드(253b)의 해당 홀(253b1)에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접속단자(253a)로는 내부의 스프링 등을 매개로 말단부가 일정 정도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보임으로써 외력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실리더 형태의 포고(Pogo)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2접속단자(153a,253b)는 도면과 달리 서로 반대형상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커넥터(250)를 조립하고 이를 제2커넥터홀(225)에 체결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151)과 제2커넥터(250)의 제2하우징(251)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하우징(151,251)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자석의 2개의 자극의 배열 방향은 제1,2커넥터(150,250)의 결합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자석의 N극 및 S극은 해당 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에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하우징(151,251)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1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2하우징(2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2하우징(151,25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153a,253a)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구강내 센서(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을 구비하게 되므로, 이 장착 구조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의 접속 방향성이 확보되어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접속 안정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는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식 전송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필요에 따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탈부착식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에 결합되어 접속되는 제3커넥터(35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도킹스테이션(200)에 구비된 제2커넥터(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커넥터(3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3커넥터(350)는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케이스(320) 내에 내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3커넥터(3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제2커넥터(25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3하우징과, 제3하우징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과 제3커넥터(350)의 제3하우징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3하우징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3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3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3하우징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3커넥터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3커넥터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전송케이블(350)을 구강내 센서(100)에 올바르게 결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다.
따라서, 자력을 이용한 커넥터 간의 결합은 본 실시예와 같이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 X선 촬영 시스템 100: 구강내 센서
120: 제1외부케이스 121: 제1커버
122: 제2커버 125: 제1커넥터홀
150: 제1커넥터 151: 제1하우징
153: 제1접속단자모듈 153a: 제1접속단자
153b: 제1몰드 155: 제1씰부재
157: 제2씰부재 200: 도킹스테이션
220: 제2외부케이스 221: 제3커버
222: 제4커버 125: 제2커넥터홀
250: 제2커넥터 251: 제2하우징
253: 제2접속단자모듈 253a: 제2접속단자
253b: 제2몰드 255: 제3씰부재
300: 전송케이블 320: 커넥터케이스
350: 제3커넥터

Claims (5)

  1.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케이스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X선 촬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자석을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 하우징은 상기 제 2 자석을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전송케이블에 내장되어 상기 전송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X선 촬영 시스템.
KR1020190123890A 2019-10-07 2019-10-07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KR10219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ko) 2019-10-07 2019-10-07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ko) 2019-10-07 2019-10-07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18A Division KR20190032855A (ko) 2017-03-15 2017-09-20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10A true KR20190120110A (ko) 2019-10-23
KR102194030B1 KR102194030B1 (ko) 2020-12-22

Family

ID=6846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ko) 2019-10-07 2019-10-07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0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10A (ko) * 2013-03-06 2014-09-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장치
KR20160134701A (ko) * 2014-03-21 2016-11-23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10A (ko) * 2013-03-06 2014-09-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장치
KR20160134701A (ko) * 2014-03-21 2016-11-23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센서와 크레들 및 인트라오럴 센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030B1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0842B2 (ja) 通信ケーブルのコネクタ及び通信ケーブル
JP6161334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
JP2004033726A (ja) 内視鏡ビデオ画像システム用の単一化した電気的照射ケーブル
US11278249B2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220014861A1 (en) Hearing aid connector
KR20150077298A (ko)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KR20190032855A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JP2007081492A (ja) 受信情報転送装置、受信装置及び受信情報転送システム
CN110088979B (zh) 电子设备
KR102194030B1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US8462972B2 (en) Listening device with a rechargeable energy source adapted for being charged through an ITE-unit, or a connector connectable to, or a connector of, a BTE-unit
JP2007028319A (ja) 電子カメラ
CN110325445B (zh) 云台手柄和具有其的云台
CN107115088B (zh) 内窥镜
CN216697000U (zh) 一种子母钟
JPH10314113A (ja) 電子内視鏡の電気コネクタ
WO2019084844A1 (zh) 显示装置和电子装置
JP20161895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157251B1 (ko)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JPH0652933B2 (ja) 撮像装置
CN113573223A (zh) 听力设备
DE59005754D1 (de) Batterie-Anschlussvorrichtung.
CN219089219U (zh) 一体化偏振光内窥镜摄像头及内窥镜摄像系统
JP2014113350A (ja) 内視鏡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CN215227435U (zh) 头部可拆卸的耳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