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13A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413A
KR20160134413A KR1020150081496A KR20150081496A KR20160134413A KR 20160134413 A KR20160134413 A KR 20160134413A KR 1020150081496 A KR1020150081496 A KR 1020150081496A KR 20150081496 A KR20150081496 A KR 20150081496A KR 20160134413 A KR20160134413 A KR 2016013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pipe
cleaner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011B1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전자 filed Critical (주)씨에스전자
Priority to PCT/KR2015/0080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2126A1/ko
Publication of KR2016013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및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걸레가 탈부착 가능한 걸레 장착유닛,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걸레 장착유닛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A WET CLEANER}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걸레질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방수 처리 가능한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걸레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물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며, 이때 물걸레를 부착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는 벨크로 등이 설치된다.
그런데 벨크로 등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므로 오랜 시간 사용시 물기에 부풀어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는 평평한 바닥면은 청소할 수 있으나, 라운드진 부분이나 곡면 바닥, 라운드진 부분, 단차진 부분 등은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기의 손잡이를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각도 조절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7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물걸레의 자세를 변경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방수 기능을 가지며, 물걸레의 탈부착 구조가 개선된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및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걸레가 탈부착 가능한 걸레 장착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걸레 장착유닛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구동부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 챔버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부벽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하부벽 각각이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오버랩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벽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레 장착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동력전달축이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커버;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거치되는 걸레 부착부재; 및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 테두리에는 원호형으로 상기 상부커버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장착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하부로 노출되게 하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의 비원형 결합부에 대응되게 비원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비원형 지지면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구면에 접촉되게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형 지지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레 장착유닛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중앙부의 축몸체와, 상단의 상부 지지부, 하단의 하부 지지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 결합부는 구형상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중앙부분에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며 접이 동작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파이프; 상기 회동파이프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파이프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용 슬라이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각도 결정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각도 결정부재 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각도 결정부재에 연결되는 제1연결파이프; 상기 제1연결파이프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연결파이프; 상기 제1 및 제2연결파이프 각각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제2연결파이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위치와 벗어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고정용 이동파이프;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의 외측으로 출몰 가능한 탄성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이동파이프에는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탄성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물걸레의 물기가 청소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물걸레를 한 쌍 설치하여 회전구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시의 자세를 자유롭게 즉, 틸팅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불규칙한 면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걸레 장착부재(벨크로)를 접착제로 부착하지 않고 기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걸레 부착을 위한 벨크로가 습기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유닛을 자유롭게 각도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 본체와 내부의 구동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청소기본체를 나타내 도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전플레이트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물걸레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손잡이유닛의 회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손잡이유닛의 각도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손잡이유닛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0)와, 청소기 본체(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레(20)를 지지하는 걸레 장착유닛(110)과, 걸레 장착유닛(11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120)와, 청소기 본체(100)에 각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유닛(130)을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100)는 하우징 구조로 구성되어, 상부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3)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상기 구동부(120)가 설치되어 걸레 장착유닛(11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상부 및 하부하우징(101,103)이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구동부(120)를 수용하는 구동부 챔버(105)가 내부에 형성된다. 구동부 챔버(105)는 상부 하우징(101)에 형성되는 상부벽(106)과, 하부 하우징(103)에 형성되는 하부벽(107) 각각이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부벽(106)과 하부벽(107)의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오버랩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벽(106)에는 결합홈부(108)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결합홈부(108)에는 실링부재(109)가 설치되어 하부벽(107)과 상부벽(106)이 결합시, 하부벽(107)의 테두리가 결합홈부(108)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홈부(108)에 설치되는 실링부재(109)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밀폐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구동부 챔버(105) 내부를 효과적으로 방수처리할 수 있게 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20)를 습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레 장착유닛(110)은 한 쌍이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부에 물걸레(2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걸레 장착유닛(110)은 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틸팅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걸레 장착유닛(110)은 회전플레이트(111)와, 회전플레이트(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113)와, 회전플레이트(111)에 거치되는 걸레 부착부재(115) 및 걸레 부착부재(115)를 회전플레이트(111)에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117)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1)는 중앙부분에 후술할 동력전달축(123)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11a)와, 축결합부(111a)에 대응되게 하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된 하부커버 장착부(111b)와, 상부면의 외측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상부커버 장착부(111c)를 가진다. 축결합부(111a)는 동력전달축(123)이 관통하여 결합되며, 동력전달축(123)의 비원형 결합부(123e)에 대응되는 비원형 지지면(s1)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동력전달축(123)의 구면에 접촉되는 원호형 지지면(s2)이 비원형 지지면(s1)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비원형 지지면(s1)을 통해서는 동력전달축(12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원호형 지지면(s2)은 동력전달축(123)에 대해 회전플레이트(111)가 틸팅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축결합부(111a)에 결합된 동력전달축(123)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부커버 장착부(111b)가 회전플레이트(111)의 하부면에서 단차지게 인입형성되며, 이 하부커버 장착부(111)에 하부커버(113)가 장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회전플레이트(111)에는 로킹홀(h1)이 형성되고, 하부 커버(113)에는 로킹홀(h1)에 로킹결합되는 결합후크(113a)가 형성되어 상호 소위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 장착부(111c)에는 걸레 부착부재(115)를 하부로 노출되게 하는 노출홀(h2)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걸레 부착부재(115)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11d)가 돌출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 부착부재(115)에 형성된 결합구멍(115a)을 결합돌기(111d)에 끼워서 결합하고, 그 상부에 상부 커버(117)를 덮어서 결합한다.
상부 커버(117)는 결합돌기(111d)에 결합되는 결합홀(117a)을 가지며, 상기 걸레 부착부재(115)를 눌러서 노출홀(h2)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부(117b)를 가진다. 가압돌기부(117b)는 상부 커버(117)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노출홀(h2)에 내응되는 크기 및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레 부착부재(115)는 소위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부착면이 하부에 위치하여 노출홀(h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걸레 부착부재(115)는 접착제 등에 의해 회전플레이트(111)의 하부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플레이트(111)와 상부 커버(117) 사이에 개재되도록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분리되지 않게 되며, 하부에 부착되는 걸레(20)의 물기가 전달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습기와 무관하게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걸레 장착유닛(110)은 동력전달축(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하부에 부착된 걸레(20)를 이용하여 걸레질을 할 수 있다. 특히, 동력전달축(123)에 대해 걸레 장착유닛(110)이 틸팅운동 가능하므로, 평평하지 못한 바닥이나 청소면도 효과적으로 걸레질하여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걸레 장착유닛(110)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1)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레 장착유닛(11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123)과, 구동모터(12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축(123)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25)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21)는 구동부 챔버(105) 내부에 장착되며, 양단으로 모터축(122)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양방향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123)은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축몸체(123a)와, 상단의 상부 지지부(123b) 및 하단의 하부 지지부(123f)와, 회전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 메인 결합(123c)를 가진다.
축몸체(123a)의 일부분에는 비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123g)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25)와 결합된다. 상부 지지부(123b)는 상부 하우징(101)에 고정 결합되는 축받이부재(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고, 하부 지지부(123f)는 하부 커버(1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 결합부(123c)는 구형상의 제1결합부(123d)와, 제1결합부(123d)의 대략 중앙부분에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123e)를 가진다. 메인 결합부(123c)는 회전플레이트(111)의 축결합부(111a)에 결합되며, 결합시 제2결합부(123e)는 비원형 지지면(s1)에 결합됨으로써, 동력전달축(123)의 회전력을 회전플레이트(111)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형상의 제1결합부(123d)에 의해 회전플레이트(111)가 동력전달축(123)에 대해 틸팅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25)는 모터축(122)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전달축(123)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25)는 모터축(122)에 기어 연결되는 연결기어(125a)와, 연결기어(125a)가 외측에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123g)에 결합되는 기어홀더(125b)를 구비한다.
또한, 동력전달축(123)에는 축받이부재(128)와 실링부재(129)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축받이부재(128)는 하부 하우징(103)의 하부에 결합되어 동력전달축(123)의 회전을 지지하며, 실링부재(129)는 하부 하우징(103)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어 동력전달축(123)의 결합부분을 통해 외부의 습기나 물기가 청소기 본체(100) 내로 진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모터(121)의 동력이 모터축(122)에 연결된 연결기어(125a)로 전달되어, 동력전달축(123)이 회전구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 유닛(130)은 일단이 청소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유닛(130)은 청소기 본체(10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140)와, 각도조절부(140)에 연결되며 접이동작 가능한 연결부(150) 및 연결부(1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160)를 구비한다.
각도 조절부(140)는 청소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파이프(141)와, 회동파이프(141)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142)를 가지는 슬라이더(143)와, 슬라이더(143)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회동파이프(141)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용 슬라이더(145)와, 청소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각도 결정부재(147) 및 슬라이더(143)를 스토퍼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49)를 구비한다.
회동파이프(141)의 일단은 청소기본체(100)에 형성된 회동축(100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회동파이프(141)에는 걸림돌기(14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장공(141a)과, 해제용 슬라이더(145)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장공(141b)이 형성된다. 슬라이더(143)는 회동파이프(14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장공(141a)에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돌기(142)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걸림돌기(142)는 제1장공(14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각도 결정부재(149)의 각도 결정홈(149a)에 결합된다. 해제용 슬라이더(145)는 제2장공(141b)을 통해 슬라이더(143)와 나사 등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 탄성부재(149)는 회동파이프(1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43)를 탄성가압하여, 걸림돌기(142)가 각도 결정부재(147)의 각도 결정홈(149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한다. 회동파이프(141)의 내측면에는 탄성부재(149)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41c)이 설치된다.
각도 결정부재(147)는 한 쌍이 회동파이프(141)를 사이에 두고 청소기 본체(100)에 설치된다. 이 각도 조절부재(147)에는 복수의 각도 결정홈(147a)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용 슬라이더(145)를 손잡이(160) 쪽으로 잡아당기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43) 이동되면서 걸림돌기(142)가 각도 결정홈(147a)에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동파이프(141)를 자유롭게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한 뒤, 해제용 슬라이더(145)를 놓는다. 그러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9)가 탄성 복원되면서 슬라이더(143)를 원위치(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걸림돌기(142)가 다른 위치의 각도 결정홈(147a)에 끼워져 걸리게 됨으로써, 손잡이 유닛(130)을 청소기 본체(100)에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2의 상태에서 도 13의 상태와 같이,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제1연결파이프(151)와, 제2연결파이프(153)와, 제1 및 제2연결파이프(151,153)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55)와, 고정용 이동파이프(157)를 구비한다.
제1연결파이프(151)의 일단은 회동파이프(141)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링크부재(155)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연결파이프(151)는 그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배터리모듈(170)이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170)은 방수를 위한 밀폐형 수용부재(17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72)를 구비한다. 수용부재(171)의 하단은 밀폐되어 있고, 상단의 입구에는 단자모듈이 설치된다.
링크부재(155)는 제1연결파이프(151)와 제2연결파이프(153)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도 17과 같이 서로 접힌 상태가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2연결파이프(153)의 일단은 링크부재(155)에 연결되며, 외측에 고정용 이동파이프(157)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연결파이프(153)에는 내외로 탄력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돌기(156)가 설치된다. 도 16과 같이 고정용 이동파이프(157)가 제1연결파이프(151)와 링크부재(155)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이동되면, 도 17과 같이 제2연결파이프(153)를 링크부재(155)를 이용하여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를 보관시에는 연결부(150)의 길이를 줄여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용 이동파이프(157)에는 탄성돌기(156)가 결합되는 고정홀(157a)이 소정간격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이동파이프(157)는 제1 및 제2연결파이프(151,153)와 링크부재(155)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연결파이프(151)를 덮는 위치(도 9의 상태)에서는 링크부재(155)의 회동이 억제되므로, 연결부(150)가 접히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보관시에는 탄성돌기(156)를 눌러서 고정홀(157a)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고정용 이동파이프(157)를 도 16과 같이 이동시켜서 제1연결파이프(151)와 링크부재(155)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7과 같이, 링크부재(155)를 사이에 두고 제2연결파이프(153)를 접을 수 있게 되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와 같이 접는 과정에서, 중간에 링크부재(155)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므로, 제1연결파이프(151) 내의 배터리모듈(170)과 손잡이(160) 측의 스위치를 연결하는 케이블(158)이 링크부재(155)에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연결부(150)를 접는 과정에서 케이블(158)이 꺾이거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이동파이프(157)의 상단에는 손잡이(160)가 연결되고, 손잡이(160)에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는, 걸레(20)의 탈부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걸레(20)를 탈부착하기 위한 걸레 부착부재(115)가 접착제에 의해 설치되지 않고 기구적인 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물기에 의해 결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레(20)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한 쌍이 걸레 장착유닛(110)이 서로 회전운동은 물론, 서로 독립적으로 틸팅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피청소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유닛(130)을 청소기 본체(100)에 대해 자세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더라도, 청소동작시 걸레 장착유닛(110)이 청소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하여 틸팅운동이 가능하므로, 결국 손잡이유닛(130)을 피청소 면에 대해 각도 변경하면서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0)의 하우징 구조에서 실링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물기 등이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걸레 청소기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걸레 100..청소기 본체
101..상부 하우징 103..하부 하우징
110..걸레 장착유닛 120..구동부
130..손잡이유닛 140..각도 조절부
150..연결부 160..손잡이

Claims (10)

  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및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걸레가 탈부착 가능한 걸레 장착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걸레 장착유닛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구동부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 챔버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부벽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하부벽 각각이 서로 상하로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오버랩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벽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 장착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동력전달축이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커버;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거치되는 걸레 부착부재; 및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 테두리에는 원호형으로 상기 상부커버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장착부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를 하부로 노출되게 하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상기 걸레 부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의 비원형 결합부에 대응되게 비원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비원형 지지면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구면에 접촉되게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형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레 장착유닛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중앙부의 축몸체와, 상단의 상부 지지부, 하단의 하부 지지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부는 구형상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중앙부분에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며 접이 동작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파이프;
    상기 회동파이프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파이프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용 슬라이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각도 결정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각도 결정부재 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체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각도 결정부재에 연결되는 제1연결파이프;
    상기 제1연결파이프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연결파이프;
    상기 제1 및 제2연결파이프 각각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제2연결파이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위치와 벗어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고정용 이동파이프;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의 외측으로 출몰 가능한 탄성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이동파이프에는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탄성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150081496A 2015-05-13 2015-06-09 물걸레 청소기 KR101692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8013 WO2016182126A1 (ko) 2015-05-13 2015-07-30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793 2015-05-13
KR20150066793 201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13A true KR20160134413A (ko) 2016-11-23
KR101692011B1 KR101692011B1 (ko) 2017-01-03

Family

ID=575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96A KR101692011B1 (ko) 2015-05-13 2015-06-09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1A1 (ko) * 2022-07-28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47U (ko) 2018-09-17 2020-03-25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판
US11596285B2 (en) * 2019-07-31 2023-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KR102321271B1 (ko) 2020-02-07 2021-11-03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057A (ja) * 1989-07-31 1991-03-15 Canon Inc 熱転写記録装置
KR20100037469A (ko) * 2008-10-01 2010-04-09 정철화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100956737B1 (ko) 2009-07-08 2010-05-06 정철화 회전식걸레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057B1 (ja) 1999-10-05 2000-07-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石英ルツボ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057A (ja) * 1989-07-31 1991-03-15 Canon Inc 熱転写記録装置
KR20100037469A (ko) * 2008-10-01 2010-04-09 정철화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100956737B1 (ko) 2009-07-08 2010-05-06 정철화 회전식걸레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1A1 (ko) * 2022-07-28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011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011B1 (ko) 물걸레 청소기
RU2678558C1 (ru)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нструмента-миксера для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WO2004031469A1 (ja) 超音波洗浄装置
US20060248678A1 (en) Vacuum cleaner with power cord support
JP2017121468A (ja) 掃除機用床ブラシ及びそれを具備する掃除機
JP2017503581A (ja) 取外し可能な掃除用第2ヘッドを具えたモップ
KR100222137B1 (ko) 배터리의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충전장치
KR20180057490A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0485718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US20200253438A1 (en) Cleaner head
KR200485334Y1 (ko) 물걸레 전기 청소기의 걸레 착탈 구조
KR101517026B1 (ko) 곡면 유리창 청소용 유리창 청소기구
US6273601B1 (en) Power mixer with holding frame for resting on a surface
US20140215739A1 (en) Flat mop and support plate therefor
KR101726703B1 (ko) 자동 회전형 걸레 청소기
KR101147814B1 (ko) 접이식 대걸레
JP2005349173A (ja) 延長管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CA3074500C (en) Vacuum cleaner tool having a rotatable duct for moving between a use position and storage position on a vacuum cleaner
KR100796309B1 (ko) 전동 청소기
US20110203071A1 (en) Device for wringing liquid-absorbing wiping elements as well as mop wringer
JP200415996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KR102110385B1 (ko) 천연 펄프를 이용한 다용도 물걸레
CN109288460B (zh) 具有马达驱动的振动板的清洁装置
CN112741572A (zh) 一种地面清洁装置
CN109288462B (zh) 具有马达驱动的振动板的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