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990A -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990A
KR20160133990A KR1020150067311A KR20150067311A KR20160133990A KR 20160133990 A KR20160133990 A KR 20160133990A KR 1020150067311 A KR1020150067311 A KR 1020150067311A KR 20150067311 A KR20150067311 A KR 20150067311A KR 20160133990 A KR20160133990 A KR 2016013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ell
unit
disposed
ji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094B1 (ko
Inventor
손영곤
Original Assignee
(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5006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094B1/ko
Priority to CN201610321705.2A priority patent/CN106154598A/zh
Publication of KR2016013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그프레임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판상 형태로 마련되는 인덱스플레이트; 상기 인덱스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프레임으로 검사대상인 셀(cell)을 적재시키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셀에 대하여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1검사부; 상기 로딩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검사부를 통한 전류검사가 완료된 셀에 대하여 비젼검사를 수행하는 제2검사부; 및 상기 제1검사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검사부를 통한 비젼검사가 완료된 셀을 배출시키는 언로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셀 검사 공정을 인덱스 방식으로 구현하여 로딩, 검사, 언로딩 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검사 공정의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셀을 지지하는 지그프레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지그프레임 교체에 따른 점등유닛의 대응 교체로 다양한 크기의 셀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Index Type Cell Insp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젼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중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소비젼력이 적다는 특징을 보여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이의 화상구현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광학적 이방성과,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분자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분극성질을 띤다.
즉,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구동을 위한 어레이층(array layer)이 형성된 제1기판과 컬러구현을 위한 컬러필터층(color-filter layer)이 갖추어진 제2기판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해서 합착시킨 액정패널을 필수구성요소로 하며, 이는 내부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의 투과율 차이는 그 배면에 놓인 백라이트(back light)의 빛을 통해 컬러필터의 색 조합이 반영되어 컬러화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은 액정패널을 완성하는 셀(cell)공정과, 액정패널 그리고 액정패널과 백라이트를 일체화시키는 모듈(module)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셀 공정은 박막증착(thin film deposition),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식각(etching) 등의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해서 각 기판에 어레이층과 컬러필터층을 구현하고, 셀공정에서는 제1 또는 제2기판 중 어느 하나에 합착을 위한 씰패턴(seal pattern)을 형성한 후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양 기판을 대면 합착시켜 액정 패널을 완성하며, 이렇게 완성된 액정패널은 모듈공정에서 편광판과 구동회로 등이 부착된 후 백라이트와 일체화되어 액정표시장치를 이룬다.
한편,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검사 공정을 거쳐 양질의 액정표시장치를 선별하게 되는데, 모듈공정 후 진행하는 검사 공정은 작업자의 수작업과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0213-0003398호(2013.01.09. 공개)가 있었다.
그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셀 검사 프로세싱이 인라인 방식으로 구현되어 셀의 로딩, 검사, 언로딩 공정이 수행될 경우, 어느 한 공정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이후 공정이 중지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대기상태에 따른 시간적 손실은 전체 검사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셀을 안착시키는 지그의 교체 구성 및 지그의 교체에 따른 점등유닛의 교체 구성이 미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셀에 대한 전류 검사 및 비젼 검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셀 검사 공정을 인덱스 방식으로 구현하여 로딩, 검사, 언로딩 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검사 공정의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을 지지하는 지그프레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지그프레임 교체에 따른 점등유닛의 대응 교체로 다양한 크기의 셀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그프레임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판상 형태로 마련되는 인덱스플레이트; 상기 인덱스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프레임으로 검사대상인 셀(cell)을 적재시키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셀에 대하여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1검사부; 상기 로딩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검사부를 통한 전류검사가 완료된 셀에 대하여 비젼검사를 수행하는 제2검사부; 및 상기 제1검사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검사부를 통한 비젼검사가 완료된 셀을 배출시키는 언로딩부; 를 포함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플레이트 상의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에는 지그프레임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덱스플레이트 내부에는 상기 지금프레임에 안착될 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압이 제공되는 공압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공압배관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공압홀로 연결되며, 상기 지그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공압홀에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는, 셀 공급부분으로부터 셀을 흡착하여 얼라인프레임으로 셀을 이동시키는 공급피커; 상기 얼라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좌, 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얼라인프레임에 안착된 셀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는 얼라인검사부; 및 상기 얼라인검사부를 통해 정렬이 확인된 셀을 흡착하여 지그프레임으로 이송하는 이송피커;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검사부는, 지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류검사용 카메라; 및 상기 전류검사용 카메라와 지그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점등핀모듈이 구비된 제1점등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점등핀모듈은 제1점등유닛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2검사부는, 상기 지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광원; 상기 지그프레임과 상기 상부 광원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비젼검사용 카메라; 상기 지그프레임과 비젼검사용 카메라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을 향하여 경사진 광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 광원; 상기 지그프레임과 경사 광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점등핀모듈이 구비된 제2점등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점등핀모듈은 제2점등유닛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해, 셀 검사 공정을 인덱스 방식으로 구현하여 로딩, 검사, 언로딩 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검사 공정의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셀을 지지하는 지그프레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지그프레임 교체에 따른 점등유닛의 대응 교체로 다양한 크기의 셀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인덱스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지그프레임의 안착공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제1검사부에 대한 사시도 및 제1점등유닛의 확대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제2검사부에 대한 사시도 및 제2점등유닛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예를 들어 로딩, 언로딩 공정에서의 셀 공급 및 셀 배출에 대한 기계적 이송 구성, 제1, 2검사부에서 수행되는 셀 검사 및 양불 판단의 구체적 프로세스 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인덱스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지그프레임의 안착공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제1검사부에 대한 사시도 및 제1점등유닛의 확대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제2검사부에 대한 사시도 및 제2점등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는, 인덱스플레이트(10), 로딩부(20), 제1검사부(30), 제2검사부(40) 및 언로딩부(50)를 포함한다.
인덱스플레이트(10)는 검사 대상인 액정 셀(이하 '셀'이라고 함)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각 검사 공정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셀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셀을 안착시키는 복수의 지그프레임(16)이 지지되는 공간이 형성된 판상 형태로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인덱스플레이트(10)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 형태로 구성되어 한 변에 두개의 지그프레임(16)이 안착되는 형태로 마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원판형 또는 다각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둘레를 따라 지그프레임(16)이 안착되는 공간의 갯수도 다양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하에서는 도면에 표현된 사항에 따라 각 변이 돌출된 사각형태의 인덱스플레이트 및 돌출된 변에 각각 두개의 지그프레임이 안착되는 형태를 전제로 설명한다. 같은 맥락으로 후술할 로딩, 제1, 2 검사, 언로딩 시 동작되는 구성이 전술한 인덱스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었음을 밝혀둔다.)
도 3 에서와 같이, 인덱스플레이트(10)에는 둘레부분을 따라 지그프레임(16)이 안착되는 복수의 공간(이하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이라고 함)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에는 지그프레임(16)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단턱부(12)가 형성된다.(도면에서는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이 외측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을 향해 'ㄷ'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었고, 이 공간에 단턱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 및 단턱부의 형태 역시 도면 표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덱스플레이트(10)에는 지금프레임(16)에 안착될 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압이 제공되는 공압배관(P)이 형성되며, 공압배관(P)은 단턱부(12)에 형성된 공압홀(14)로 연결되며, 지그프레임(16)의 저면에는 공압홀(14)에 대응되는 연결홀(18)이 형성되어 공압배관(P)을 통해 인가된 공압이 지그프레임(16)에 안착된 셀로 전달되어 셀의 고정을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플레이트(10)로부터 교환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그프레임(16)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지그프레임(16)의 교환을 통해 다양한 규격 및 크기의 셀의 통합 검사(전류검사+비젼검사)가 구현된다. 즉, 지그프레임(16)의 크기 및 형태는 고정된 상태에서 지그프레임(16)에 셀 안착부분의 크기를 다양화시킴(이 경우에도 셀 고정을 위해 연결홀과 공압홀의 연동은 고정되어야 한다.)으로써 셀의 다양한 크기 및 규격, 예를 들면 2.5 인치 내지 9 인치 범위 내의 모든 셀에 대한 통합 검사가 구현되는 것이다.
로딩부(20)는 인덱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덱스플레이트(10) 상의 지그프레임(16)으로 검사대상인 셀을 적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로딩부(20)는 셀 공급부분(셀 이송 벨트 등)으로부터 셀을 흡착하여 얼라인프레임(21)으로 셀을 이동시키는 공급피커(22), 얼라인프레임(21)의 하부에서 좌, 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얼라인프레임(21)에 안착된 셀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는 얼라인검사부(24), 얼라인검사부(24)를 통해 정렬이 확인된 셀을 흡착하여 지그프레임(16)으로 이송하는 이송피커(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딩부(20)는 인덱스플레이트(10)의 일측 변에서 일정 정도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인덱스플레이트(10)의 일측 변에 수용된 지그프레임(16)에 정렬시킨 셀을 안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검사부(30)는 로딩부(20)의 측부에 배치되며, 지그프레임(16)에 안착된 셀에 대하여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셀에 전원 인가를 통해 셀의 단락성 불량여부, 플리커(Flicker) 불량여부 등을 검사한다. 구체적으로, 제1검사부(30)는 도 1 및 도 4 에서와 같이, 지그프레임(16)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류검사용 카메라(32). 전류검사용 카메라(32)와 지그프레임(16)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16)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점등핀모듈(36)이 구비된 제1점등유닛(34)을 포함하며, 제1점등핀모듈(36)은 제1점등유닛(34)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점등핀모듈(36)의 착탈은 전술한 지그프레임(16)의 교체와 같은 맥락으로 창작된 것으로 다양한 규격을 가진 셀에 대한 검사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즉, 셀의 규격이나 크기가 달라질 경우, 해당 셀에 대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점등핀 접속 부분도 동시에 달라지게 되므로 제1점등핀모듈(36)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셀 검사를 구현하는 것이다.
제2검사부(40)는 로딩부(20)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제1검사부(30)를 통한 전류검사가 완료된 셀에 대하여 비젼검사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셀에 전원 인가를 통해 셀의 비젼검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검사부(40)는, 도 1 및 도 5 에서와 같이, 지그프레임(16)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광원(42), 지그프레임(16)과 상부 광원(16)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비젼검사용 카메라(44), 지그프레임(16)과 비젼검사용 카메라(44)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을 향하여 경사진 광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 광원(46), 지그프레임(16)과 경사 광원(46)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16)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점등핀모듈(49)이 구비된 제2점등유닛(48)을 포함하며, 제2점등핀모듈(49)은 제2점등유닛(48)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점등핀모듈(49)의 착탈은 전술한 지그프레임(16) 및 제1점등핀모듈(36)의 교체와 같은 맥락으로 창작된 것으로 다양한 규격을 가진 셀에 대한 검사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즉, 셀의 규격이나 크기가 달라질 경우, 해당 셀에 대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점등핀 접속 부분도 동시에 달라지게 되므로 제2점등핀모듈(49)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셀 검사를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제2검사부(40)는 지그프레임(16)의 하부에서 광원을 제공하는 하부 광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 광원(46)과 하부 광원의 광 조사각 및 높이가 조절되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제2검사부의 구성 구체적 구성 및 검사 프로세스는 본 발명 출원인이 기 출원 및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2390호(2011.10.11. 공고)에 기재된 내용과 전체 또는 일부가 대응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 에서는 제1, 2검사부(30, 40)가 장치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표현되었으나, 실체 장치에서는 제1검사부(30) 및 제2검사부(40)는 하우징 형태로 보호되는 밀폐공간 내에 위치하여 각 검사 공정 시 파티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검사부 뿐만 아니라 로딩 및 언로딩 공정 영역도 하우징 형태로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언로딩부(50)는 제1검사부(30)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제2검사부(40)를 통한 비젼검사가 완료된 셀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검사 결과에 따라 양불 여부가 판단된 각각의 셀을 해당 배출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배출피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의 구성을 정리하면, 도 2 에서와 같이, 중심에 회전하는 판상의 인덱스플레이트(10)가 배치된 상태에서 하측부에 언로딩부(50)가 배치되며, 좌측부에 로딩부(20)가 배치되고, 상측부에 제1검사부(30), 우측부에 제2검사부(40)가 배치되어 인덱스플레이트(10)의 정지 상태에서 각 공정이 수행되며, 각 공정 완료 후 인덱스플레이트(10)의 90도 회전으로 후단의 공정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공정 순서는 로딩->제1검사->제2검사->언로딩 순으로 진행되며, 최초 공정 시작시 한 사이클의 공정(인덱스플레이트의 360도 회전)이 완료된 후 부터는 4개의 모든 공정 영역에서 해당 공정이 수행되어 셀 검사에 대한 공정 시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는, 셀 검사 공정을 인덱스 방식으로 구현하여 로딩, 검사, 언로딩 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검사 공정의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셀을 지지하는 지그프레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지그프레임 교체에 따른 점등유닛의 대응 교체로 다양한 크기의 셀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덱스플레이트
12 : 단턱부
14 : 공압홀
16 : 지그프레임
18 : 연결홀
20 : 로딩부
21 : 얼라인프레임
22 : 공급피커
24 : 얼라인검사부
26 : 이송피커
30 : 제1검사부
32 : 전류검사용 카메라
34 : 제1점등유닛
36 : 제1점등핀모듈
40 : 제2검사부
42 : 상부 광원
44 : 비전검사용 카메라
46 : 경사광원
48 : 제2점등유닛
49 : 제2점등핀모듈
50 : 언로딩부
P : 공압배관

Claims (6)

  1.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그프레임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판상 형태로 마련되는 인덱스플레이트;
    상기 인덱스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프레임으로 검사대상인 셀(cell)을 적재시키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셀에 대하여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1검사부;
    상기 로딩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검사부를 통한 전류검사가 완료된 셀에 대하여 비젼검사를 수행하는 제2검사부; 및
    상기 제1검사부의 대향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검사부를 통한 비젼검사가 완료된 셀을 배출시키는 언로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플레이트 상의 지그프레임 안착 부분에는 지그프레임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플레이트 내부에는 상기 지금프레임에 안착될 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압이 제공되는 공압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공압배관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공압홀로 연결되며, 상기 지그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공압홀에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셀 공급부분으로부터 셀을 흡착하여 얼라인프레임으로 셀을 이동시키는 공급피커;
    상기 얼라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좌, 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얼라인프레임에 안착된 셀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는 얼라인검사부; 및
    상기 얼라인검사부를 통해 정렬이 확인된 셀을 흡착하여 지그프레임으로 이송하는 이송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사부는,
    지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류검사용 카메라; 및
    상기 전류검사용 카메라와 지그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점등핀모듈이 구비된 제1점등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점등핀모듈은 제1점등유닛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사부는,
    상기 지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광원;
    상기 지그프레임과 상기 상부 광원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비젼검사용 카메라;
    상기 지그프레임과 비젼검사용 카메라 사이에 배치되되, 안착된 셀을 향하여 경사진 광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 광원;
    상기 지그프레임과 경사 광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점등핀모듈이 구비된 제2점등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점등핀모듈은 제2점등유닛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KR1020150067311A 2015-05-14 2015-05-14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KR10168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11A KR101683094B1 (ko) 2015-05-14 2015-05-14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CN201610321705.2A CN106154598A (zh) 2015-05-14 2016-05-16 转位式面板检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11A KR101683094B1 (ko) 2015-05-14 2015-05-14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90A true KR20160133990A (ko) 2016-11-23
KR101683094B1 KR101683094B1 (ko) 2016-12-07

Family

ID=5735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11A KR101683094B1 (ko) 2015-05-14 2015-05-14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3094B1 (ko)
CN (1) CN1061545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02A (ko) * 2017-09-26 2019-04-03 (주)소닉스 Fog 공정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시스템
KR20190059593A (ko) * 2017-11-23 2019-05-31 서정록 배터리셀 선별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1795B (zh) * 2017-11-22 2020-07-10 航天科工智能机器人有限责任公司 利用液晶模组自动光学检测系统检测液晶模组的方法
KR102111095B1 (ko) * 2018-11-09 2020-05-15 (주)에이앤아이 전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로터리 검사장치
CN110007525B (zh) * 2019-04-08 2021-11-09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板的加电装置和基板的加电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191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비전 검사기능이 구비된 프로브카드 검사장치 제어방법
KR20110103195A (ko) * 2010-03-12 2011-09-20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태양전지 셀 검사장치
KR20120131526A (ko) * 2011-05-25 2012-12-05 (주)펨트론 레이저 리페어 장치
JP2013097194A (ja) * 2011-11-01 2013-05-20 Shimadzu Corp Tft液晶基板検査装置およびtft液晶基板の光学像観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9985A (zh) * 2006-03-03 2007-09-05 日本电气株式会社 光源装置,显示装置,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CN102262478B (zh) * 2011-05-20 2013-08-07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触摸式液晶狭缝光栅、立体显示装置以及计算机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191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비전 검사기능이 구비된 프로브카드 검사장치 제어방법
KR20110103195A (ko) * 2010-03-12 2011-09-20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태양전지 셀 검사장치
KR20120131526A (ko) * 2011-05-25 2012-12-05 (주)펨트론 레이저 리페어 장치
JP2013097194A (ja) * 2011-11-01 2013-05-20 Shimadzu Corp Tft液晶基板検査装置およびtft液晶基板の光学像観察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02A (ko) * 2017-09-26 2019-04-03 (주)소닉스 Fog 공정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시스템
KR20190059593A (ko) * 2017-11-23 2019-05-31 서정록 배터리셀 선별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094B1 (ko) 2016-12-07
CN106154598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94B1 (ko) 인덱스형 셀 검사장치
US7808630B2 (en) Inspection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using same
US201200387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display device
US20060262238A1 (en) Liquid crystal panel,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CN101086563A (zh) 液晶显示器检验装置及其检验处理
US9954008B2 (en) Liquid crystal cell panel including substrates having corner patterns
KR101763619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663755B1 (ko) 인덱스형 액정 셀 검사장치
KR101663756B1 (ko) 인라인형 액정 셀 검사 장치
KR20140141298A (ko) 기판 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7839477B2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264812B2 (en) Substrate-chucking electrostatic chuck, and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1789144B1 (ko) 표시장치용 자동 검사시스템
KR20080000937A (ko) 액정기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40058710A (ko) 표시장치용 비전검사 시스템 및 이의 검사방법
KR101683093B1 (ko) 인라인형 셀 검사장치
KR101373423B1 (ko) 디스플레이 셀들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KR10117845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 검사장치
KR101126687B1 (ko)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KR20110102678A (ko) 기판 저장용 카세트
KR20100073782A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847293B1 (ko) 액정표시패널의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40139929A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649701B1 (ko) 자동 솔더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20224B1 (ko) 액정패널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