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880A -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880A
KR20160132880A KR1020167026714A KR20167026714A KR20160132880A KR 20160132880 A KR20160132880 A KR 20160132880A KR 1020167026714 A KR1020167026714 A KR 1020167026714A KR 20167026714 A KR20167026714 A KR 20167026714A KR 20160132880 A KR20160132880 A KR 2016013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heck valve
pressurizing chamber
open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노리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65G53/2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the systems comprising a reservoir, e.g. a bunk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65G53/4691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of air-lock type, i.e. at least two valves opening asynchron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5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for conveyance in plug-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관의 잔압(殘壓)이 가압 탱크 측으로 새는 일이 없는 가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송관(7)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통해 분체(粉體)를 플러그 수송함에 있어서, 소정량의 분체를 상기 수송관(7)으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장치(B)에 이용되는 가압 탱크(A)는, 압력 용기 구조를 이루며, 상방에는 중앙부에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상부 구획 부재(3) 및 하방에는 중앙부에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 구획 부재(4)를 구비하는 제 1 가압 챔버(6)와,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1 체크 밸브(9)와, 제 1 가압 챔버(6)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2 체크 밸브(10)와, 제 2 체크 밸브(10)를 상방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탄성체(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PRESSURIZED TANK, AND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POWDER TO TRANSPORT PIPE}
[0001] 본 발명은, 수송관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통해 분체(粉體)를 플러그(plug) 수송함에 있어서, 소정량의 분체를 상기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장치에 이용되는 가압 탱크, 이 가압 탱크를 이용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본 발명자는,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장치의 하나로서, 압력 용기 구조를 이루며, 상부 벽에 투입구를 또 하부 벽에 배출구를 각각 가지는 탱크 본체와, 상기 투입구의 바로 아래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1 체크 밸브(check valve)와, 상기 배출구의 바로 아래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2 체크 밸브로 구성된 가압 탱크와, 수송해야 할 분체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face) 분체 배출구를 하단(下端)에 가지는 호퍼(hopper)와, 상기 호퍼의 분체 배출구와 상기 탱크 본체의 투입구를 연통(連通) 접속하는 슈트(chute) 수단과, 일단이 상기 탱크 본체의 하부 외면에 상기 탱크 본체의 배출구를 포위하여 기밀(氣密)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송관의 기단(基端)에 연통 접속된 밸브 박스(valve box)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발명하였다(일본 특허 제 4893993호 공보 참조).
[0003]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에서는, 제 2 체크 밸브의 작동에, 어느 정도(예컨대 50 KPa 이상)의 가압 탱크와 수송관 간의 차압(差壓)이 필요하다. 왜 차압이 필요한가 하면 제 2 체크 밸브는 배기구를 막고 상부의 분체를 지지한다는 기능을 위해,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그에 상응하는 중량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2 체크 밸브의 동작에 어느 정도의 차압이 필요하다는 조건 때문에, 수송 조건(가압의 타이밍, 보내는 분체의 양)에 따라서는, 가압 탱크의 배기가 완료되기 전에 제 2 체크 밸브가 개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수송관으로부터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분체)이 역류하여, 분체의 수송에 사용되어야 할 압축 공기가 분체의 수송에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0004] 또, 분체를 여러(복수) 대의 가압 탱크에서 1개의 수송관에 보내는 경우, 한쪽(一方)의 가압 탱크로부터, 다른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이 역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복수의 가압 탱크를 일제히 가압한다는 대책이 가능하지만, 수송 중인 분체 플러그가 밀집하며, 운동량의 변동이 커져, 수송관의 흔들림이나 소음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압축 공기의 소비량의 변동도 커져, 이를 완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고 비용도 든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일부 가압 탱크를 휴지(休止)시키면, 수송관의 압력이 제 2 체크 밸브가 작동하기에 충분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는, 휴지 중인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이 역류하기 때문에, 휴지하는 가압 탱크를 수송관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장치나 처치가 필요하므로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일본 특허 제 4893993호 공보
[000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체를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할 때에, 수송관의 잔압(殘壓)이 가압 탱크측으로 새는 일이 없는 가압 탱크 및 복수의 가압 탱크를 사용하여도 수송관으로부터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이 역류하는 일이 없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0006]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는, 가압 탱크는, 수송관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통해 분체를 플러그 수송함에 있어서, 소정량의 분체를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이용되는 가압 탱크로서, 압력 용기 구조를 이루며, 상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상부 구획 부재 및 하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제 1 가압 챔버와, 제 1 가압 챔버의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1 체크 밸브와,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2 체크 밸브와,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다는 기술적 수단을 이용한다.
[0007]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체크 밸브는 근소한 차압으로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수송관의 잔압(殘壓)이 가압 탱크측으로 새는 일이 없게 되어, 압축 공기를 쓸데없이 소비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0008]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제 1 양태의 가압 탱크에 있어서, 탄성체는, 제 2 체크 밸브를 매달아 올림으로써 지지하여 제 2 체크 밸브의 중량을 상쇄하는 스프링력을 가진 코일 스프링이라는 기술적 수단을 이용한다.
[0009]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이 제 2 체크 밸브의 중량을 상쇄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근소한 차압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는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가 있다.
[0010]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가압 탱크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분체를 상기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수송해야 할 분체를 저장하며 또한 분체 배출구가 하단(下端)에 있고, 컷오프 게이트(cutoff gate)를 가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분체 배출구와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연통 접속하는 중공 챔버와, 일단이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외면에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포위하여 기밀(氣密)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송관의 기단에 연통 접속된 제 2 가압 챔버와, 상기 제 1 체크 밸브의 하면과 압축 공기원의 사이를 제 1 도관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제 2 체크 밸브의 하면과 상기 압축 공기원의 사이를 제 2 도관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2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도관 내의 압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 3 개폐 밸브와, 상기 가압 탱크의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에 있어서의 분체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컷오프 게이트 및 상기 제 1~제 3 개폐 밸브가 서로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이용한다.
[0011]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체크 밸브는 근소한 차압으로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된다. 따라서, 수송관의 잔압이 가압 탱크측으로 새는 일이 없게 되어, 압축 공기를 쓸데없이 소비하지 않고 분체를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0012]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서는, 제 3 양태의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없음」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 1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3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가압 탱크의 상기 제 1 가압 챔버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고, (2) 상기 컷오프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 내의 분체를 상기 중공 챔버로 송출하며, 이미 개방되어 있는 상기 제 2 개폐 밸브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상기 제 2 체크 밸브 및 상기 제 2 가압 챔버 내에 공급되고, 이로써, 상기 제 2 체크 밸브가 상승하여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의 개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수송관 내의 기존의 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플러그 수송되며, 또한, 상기 제 1 체크 밸브의 자중 및 호퍼로부터 유입되어 온 분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체크 밸브를 하강시켜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개방하고, 중공 챔버 내의 분체를 제 1 가압 챔버에 투입시켜,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없음」의 검지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 및 제 2 가압 챔버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을 멈추며, (3)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부로의 분체의 유입에 의한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있음」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컷오프 게이트를 폐쇄하고, 상기 제 3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1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체크 밸브 및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시키며, 상기 제 1 체크 밸브를 상승시켜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압력과 분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 체크 밸브가 하강하여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가 개방되고, (4) 상기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가 개방된 직후에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에 압축 공기를 공급시키며, 상기 제 2 체크 밸브는 상승하지 않고 상기 제 2 체크 밸브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통과하는 분체가 유동화하여,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의 분체를 상기 제 2 가압 챔버를 통해 상기 수송관 내부로 이송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이용한다.
[0013]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체크 밸브는 근소한 차압으로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따라서, 수송관의 잔압이 가압 탱크측으로 새는 일이 없게 되어, 압축 공기를 쓸데없이 소비하지 않고 분체를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보낼 수가 있다.
[0014]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서는, 제 3 양태에 따른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를 복수로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컷오프 게이트 및 상기 제 1~제 3 개폐 밸브의 동작 시점을, 이용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의 수(N)로 나눈 시간(1/N)씩 늦춘다는 기술적 수단을 이용한다.
[0015]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근소한 차압으로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분체를 복수의 이송 장치에 의해 1개의 수송관으로 보내는 경우에도, 수송관으로부터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분체)이 역류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각각의 가압 탱크의 공정(이송 장치의 동작의 타이밍)을 순차적으로 늦출 수가 있다. 그리고, 이송 장치의 동작의 타이밍을 순차적으로 늦춤으로써, 압축 공기의 소비 피크(peak)를 분산시킬 수 있어, 압축 공기 공급 계통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 수송관으로의 이송의 피크도 분산되므로, 작은 플러그 류(plug flow)가 되어 수송시의 소음이나 수송관의 흔들림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0016]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체를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보낼 때에, 수송관의 잔압이 가압 탱크측으로 새는 일이 없는 가압 탱크, 이 가압 탱크를 이용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그리고, 복수의 가압 탱크를 사용하여도 수송관으로부터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이 역류하는 일이 없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0017]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4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공보 제2014-051760호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으로서 그 일부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만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개변(改變)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하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기재된 실시형태 중 어느 것도 공중(公衆)에 헌상할 의도는 없으며, 개시된 개변, 대체안 중, 특허청구범위 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지 모르는 것도, 균등론 하에서의 발명의 일부로 한다.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명사 및 동일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양방(兩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제공된 어떠한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컨대, 「등」)의 사용도, 단순히 본 발명을 설명하기 쉽게 한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임에 불과하며, 특별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0018] 도 1은 본 발명의 가압 탱크를 사용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대의 이송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이송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0019]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B)에 대해 도 1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0020] 우선, 수송관(7)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통해 분체를 플러그 수송함에 있어서, 소정량의 분체를 수송관(7)으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장치에 이용되는 가압 탱크(A)는, 압력 용기 구조를 이루며, 상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상부 구획 부재(3) 및 하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 구획 부재(4)를 구비하는 제 1 가압 챔버(6)와,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1 체크 밸브(9)와,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그 상기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2 체크 밸브(10)와, 제 2 체크 밸브(10)를 상방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탄성체(2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24)을 이용하며,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10)를 매달아 올리고 있지만, 탄성체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종 스프링이나 신축성이 있는 끈 등으로 매달아도 무방하고, 각종 스프링이나 신축성이 있는 기둥 혹은 블록 등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부 구획 부재(3) 및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는, 깔때기 형상의 중앙부에 성형하면, 제작도 용이해지고, 또한, 분체의 치우침도 피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0021] 그리고,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B)는, 수송해야 할 분체를 저장하며 또한 컷오프 게이트(25)가 하단의 분체 배출구에 도달하는 경로에 있는 호퍼(1)와, 호퍼(1)의 분체 배출구와 가압 탱크(A)의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를 연통되도록 접속하는 중공(中空) 챔버(5)와, 일단(一端)이 제 1 가압 챔버(6)의 하부 외면에 제 1 가압 챔버(1)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를 포위하여 기밀(氣密)하게 장착되고, 타단(他端)이 수송관(7)의 기단에 연통 접속된 제 2 가압 챔버(8)와, 제 1 체크 밸브(9)의 하면과 압축 공기원(空氣源; 11)의 사이를 제 1 도관(導管; 12)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1 개폐 밸브(13)와, 제 2 체크 밸브(10)의 하면과 압축 공기원(11)의 사이를 제 2 도관(14)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2 개폐 밸브(15)와, 제 1 도관(12) 내의 압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 3 개폐 밸브(16)와, 가압 탱크(A)의 제 1 가압 챔버(6) 내에 있어서의 분체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17)과, 상기 검지 수단(17)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컷오프 게이트(25) 및 제 1~제 3 개폐 밸브(13·15·16)가 서로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8)를 구비한다. 제 1~제 3 개폐 밸브(13·15·16)로서는, 전자 밸브를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공압(空壓)식, 기계식 등 그 밖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밸브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0022] 여기서, 제 1· 제 2 체크 밸브(9·10)는,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어느 정도 상승한 후, 또는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지 않게 된 후, 공급된 압축 공기가 하부 주위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 1·제 2 체크 밸브(9·10)를 상승시키는 힘을 가한 채로, 제 1·제 2 체크 밸브(9·10)의 하방의 제 1·제 2 가압 챔버(6·8)에도 압축 공기를 보내고 있다.
또, 제 3 개폐 밸브(16)는, 집진기(도시 생략)에 연통 접속시킨 덕트(duct, 21)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 가압 탱크(A)의 중공 챔버(5)는, 도관(22)을 통해 호퍼(1)의 상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으며 중공 챔버(5) 내부와 호퍼(1)의 상부 내부는 동일한 압력으로 되어 있다. 또, 수송관(7)의 선단은 분체 저장 탱크(23)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26은 유량 조정 밸브이다.
또, 코일 스프링(24)은, 제 2 체크 밸브(10)를 지지하여 그 중량을 상쇄하고 있다. 유량 조정 밸브(26)는 압축 공기원(11)으로부터 이송 장치(B) 전체로의 공기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실시예 1]
[0023]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가압 탱크를 사용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배기 공정)
검지 수단(17)의 「분체 없음」의 검지에 따라, 제어장치(18)에 의해, 제 1 개폐 밸브(13)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3 개폐 밸브(16)를 개방하여 가압 탱크(A)의 제 1 가압 챔버(6)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시킨다.
[0024] (투입 공정)
다음으로, 컷오프 게이트(25)를 개방하여, 호퍼(1) 내의 분체를 분체 배출구 방향으로 송출한다. 분체는 자중(自重)에 의해 활강(滑降)하여 가압 탱크(A)의 중공 챔버(5)에 유입된다.
그동안, 제 2 개폐 밸브(15)가 개방되어 있어 제 2 체크 밸브(10) 및 제 2 가압 챔버(8) 내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배기 공정에 있어서, 제 1 가압 챔버(6)는 감압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되어 있는 제 2 개폐 밸브(15)로부터의 압축 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제 2 가압 챔버(8)가 고압(高壓)이 되며, 그 차압에 의해,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지지된 제 2 체크 밸브(10)가 상승하여 제 1 가압 챔버(6)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수송관(7) 내의 기존의 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플러그 수송되고 있다.
[0025] 또, 배기 공정에 있어서 제 1 가압 챔버(6)는 감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체크 밸브(9)의 자중 및 호퍼(1)로부터 유입되어 온 분체의 자중에 의해 제 1 체크 밸브(9)는 하강하여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중공 챔버(5) 내의 분체가, 제 1 가압 챔버(6)에 투입된다.
[0026] 나아가, 제어장치(18)에 의해, 검지 수단(17)의 「분체 없음」의 검지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제 2 개폐 밸브(15)를 폐쇄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 및 제 2 가압 챔버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을 멈춘다. 또, 제 2 개폐 밸브(15)를 폐쇄하여도, 수송관(7) 내부에는 플러그 상태의 분체가 체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가압 챔버는 곧바로 분체 저장 탱크(23)와 동일한 압력이 될 정도로 감압(減壓)은 되지 않는다. 그 일정 시간이란, 이하에 설명하는 시간이다. 제 1 개폐 밸브(13)가 개방된 시점과, 검지 수단(17)이 「분체 없음」을 검지하는 시점을 검출한다. 이들 2 시점 사이의 시간은, 제 1 가압 챔버(6) 내의 분체가 수송관(7)으로 이송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다음의 분체를 제 1 가압 챔버(6)로부터 수송관(7) 내부로 이송할 때까지의 시간, 환언하면, 2개의 플러그 상태의 분체가 간격(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시간을 일정 시간으로 한다. 일정 시간은, 이 2 시점 간의 시간에, 수송관(7)의 내용적(內容積)과 제 1 가압 챔버(6)의 용적의 비(최소 약 3:1)로부터 정해지는 계수를 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수송관(7)의 내용적에서 차지하는 플러그 상태 분체의 비율에 따라, 계수를 정하여 일정 시간으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계산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시간을 설정하여 행할 수도 있다.
1 사이클의 시간이나, 가압의 타이밍에 따라서는, 이 제 2 체크 밸브 및 제 2 가압 챔버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은 멈추지 않는 경우도 있다.
[0027] (압출(押出)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제 1 가압 챔버(6) 내부에 대한 분체의 투입에 의해, 검지 수단의 「분체 있음」의 검지를 받으면, 제어장치(18)의 작동에 의해, 제 3 개폐 밸브(16)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1 개폐 밸브(13)를 개방하여, 제 1 체크 밸브(9) 및 제 1 가압 챔버(6)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시킨다. 또, 컷오프 게이트(25)를 폐쇄한다.
이로써, 제 1 체크 밸브(9)를 상승시켜 제 1 가압 챔버(6)의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1 가압 챔버(6) 내부가 가압된다. 그리고, 제 1 가압 챔버(6)와 하방의 제 2 가압 챔버(8) 및 수송관(7) 내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 제 1 가압 챔버(6)의 압력과 분체의 자중에 의해 제 2 체크 밸브(10)가 밀려 하강하여 제 1 가압 챔버(6)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가 개방된다. 그 직후에 제 2 개폐 밸브(15)를 개방하여 제 2 체크 밸브(1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제 2 체크 밸브(1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있지만, 제 2 체크 밸브(10)는 상승하지 않고, 제 1 가압 챔버(6)의 하부 구획 부재(4)의 개구를 통과하는 분체가 제 2 체크 밸브(10)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의해 유동화된다. 그 유동화된 분체는, 상기 제 2 가압 챔버(8)로부터 수송관(7) 내부로 단번에 이송된다. 이러한 분체의 유동화에 의해 유동성이 양호해져, 분체를 저항 없이 수송관(7)으로 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제 1 가압 챔버(6) 내의 분체가 적어지거나, 수송관(7) 내부로의 이송이 완료되면, 검지 수단(17)이 「분체 없음」을 검지하고, 그 후, 상술한 작동이 반복된다.
[0028]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호퍼(1) 내의 분체는, 정량적(定量的)으로 하여 수송관(7) 내부로 간헐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수송관(7) 내에 이송된 분체는 분체 저장 탱크(23)로 플러그 수송된다.
[0029]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호퍼(1)의 분체 배출구와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는, 중공 챔버(5)를 통해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지만, 분체가 모래 등과 같이 비교적 비산(飛散)하지 않는 것이라면, 중공 챔버(5)를 생략하고 호퍼(1)의 분체 배출구를 제 1 가압 챔버(6)의 상부 구획 부재(3)의 개구부에 직접 면(面)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0030] 또, 검지 수단(17)은, 제 1 가압 챔버(6) 내에 분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면 무엇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정전용량식의 레벨 센서나 진동식의 레벨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0031] 또, 상기와 같이 배기 공정, 투입 공정, 압출 공정으로 나누고 있지만,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나눈 것이다. 수송관(7) 내의 분체의 플러그 수송은, 투입 공정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제 2 개폐 밸브(15)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행해지며, 항시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2]
[0032] 다음으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 3대를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보내는 방법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3] 또한, 사용하는 이송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른 점은, 복수의 수송관이 접속되어 있으며,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검지 수단(17), 컷오프 게이트(25), 제 1~제 3 개폐 밸브(13·15·16)는, 모두 1개의 제어장치(18)에 접속되어 있다.
[0034] 여기서, 복수의 이송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분체의 이송 방법은, 상기 컷오프 게이트(25) 및 상기 제 1~제 3 개폐 밸브(13·15·16)의 동작 시점을, 이용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의 수(N)로 나눈 시간(1/N)씩 늦추는 것이다.
[0035] 동작 시점을 1/N씩 늦춘다는 것은, 배기 공정, 투입 공정, 압출 공정을 1 사이클로 하여, 사용하는 이송 장치의 대수(N)로 나눈 타이밍으로 1 사이클을 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실시예 2에서는, 3대의 이송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1 사이클이 12초 걸렸다고 한다면, 12/3=4초씩 타이밍을 늦추어 각각의 이송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0036] 예컨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No.1의 이송 장치는 투입 공정이고, No.2의 이송 장치는 압출 공정이며, No.3의 이송 장치는 배기 공정이다. 1 사이클의 시간이나, 가압의 타이밍 등에 따라서는, 상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마다 공정이 나뉘는 경우도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만일 압출 공정이 길거나 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가압 탱크를 이용함으로써, 제 2 체크 밸브(10)가 확실하게 동작하므로 수송 조건(가압의 타이밍)에 관계없이, 수송관으로부터 가압 탱크로 공기나 수송물(분체)이 역류하는 일은 없다. 또, 3대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보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송 장치의 대수는 3대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대수여도 무방하다.
[0037] 이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이용한 주된 부호를 정리하여 기재한다.
1; 호퍼
3; 상부 구획 부재
4; 하부 구획 부재
5; 중공 챔버
6; 제 1 가압 챔버
7; 수송관
8; 제 2 가압 챔버
9; 제 1 체크 밸브
10; 제 2 체크 밸브
11; 압축 공기원
12; 제 1 도관
13; 제 1 개폐 밸브
14; 제 2 도관
15; 제 2 개폐 밸브
16; 제 3 개폐 밸브
17; 검지 수단
18; 제어장치
22; 도관
23; 분체 저장 탱크
24; 탄성체(코일 스프링)
25; 컷오프 게이트
26; 유량 조정 밸브
A; 가압 탱크
B;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이송 장치)

Claims (5)

  1. 수송관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통해 분체(粉體)를 플러그(plug) 수송함에 있어서, 소정량의 분체를 상기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이용되는 가압 탱크로서,
    압력 용기 구조를 이루며, 상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상부 구획 부재 및 하방에는 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제 1 가압 챔버와,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1 체크 밸브(check valve)와,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의 하방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압축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제 2 체크 밸브와,
    상기 제 2 체크 밸브를 상방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 2 체크 밸브를 매달아 올림으로써 지지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의 중량을 상쇄하는 스프링력을 가진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탱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가압 탱크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분체를 상기 수송관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수송해야 할 분체를 저장하며 또한 분체 배출구가 하단(下端)에 있고, 컷오프 게이트(cutoff gate)를 가지는 호퍼(hopper)와,
    상기 호퍼의 분체 배출구와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연통(連通) 접속하는 중공 챔버와,
    일단이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외면에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포위하여 기밀(氣密)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송관의 기단(基端)에 연통 접속된 제 2 가압 챔버와,
    상기 제 1 체크 밸브의 하면과 압축 공기원(空氣源)의 사이를 제 1 도관(導管)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제 2 체크 밸브의 하면과 상기 압축 공기원의 사이를 제 2 도관을 통해 접속·차단하는 제 2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도관 내의 압축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 3 개폐 밸브와,
    상기 가압 탱크의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에 있어서의 분체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컷오프 게이트 및 상기 제 1~제 3 개폐 밸브가 서로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기재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없음」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 1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3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가압 탱크의 상기 제 1 가압 챔버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고,
    (2) 상기 컷오프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 내의 분체를 상기 중공 챔버로 송출하며, 이미 개방되어 있는 상기 제 2 개폐 밸브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상기 제 2 체크 밸브 및 상기 제 2 가압 챔버 내에 공급되고, 이로써, 상기 제 2 체크 밸브가 상승하여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의 개구가 폐쇄되는 동시에, 수송관 내의 기존의 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플러그 수송되며, 또한, 상기 제 1 체크 밸브의 자중(自重) 및 호퍼로부터 유입되어 온 분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체크 밸브를 하강시켜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개방하고, 중공 챔버 내의 분체를 제 1 가압 챔버에 투입시키며,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없음」의 검지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 및 제 2 가압 챔버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을 멈추고,
    (3)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부로의 분체의 유입에 의한 상기 검지 수단의 「분체 있음」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컷오프 게이트를 폐쇄하고, 상기 제 3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 1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체크 밸브 및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시키며, 상기 제 1 체크 밸브를 상승시켜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상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압력과 분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 체크 밸브가 하강하여 제 1 가압 챔버의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가 개방되며,
    (4) 상기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가 개방된 직후에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체크 밸브로 압축 공기를 공급시키고, 상기 제 2 체크 밸브는 상승하지 않고 상기 제 2 체크 밸브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가압 챔버의 상기 하부 구획 부재의 개구를 통과하는 분체가 유동화되어, 상기 제 1 가압 챔버 내의 분체를 상기 제 2 가압 챔버를 통해 상기 수송관 내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방법.
  5. 제 3 항에 기재된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를 복수로 이용하여 분체를 간헐적으로 수송관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컷오프 게이트 및 제 1~제 3 개폐 밸브의 동작 시점을, 이용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장치의 수(N)로 나눈 시간(1/N)씩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관으로의 분체의 이송 방법.
KR1020167026714A 2014-03-14 2014-07-17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KR20160132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1760 2014-03-14
JPJP-P-2014-051760 2014-03-14
PCT/JP2014/068989 WO2015136724A1 (ja) 2014-03-14 2014-07-17 加圧タンク、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およびその送込み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880A true KR20160132880A (ko) 2016-11-21

Family

ID=5407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714A KR20160132880A (ko) 2014-03-14 2014-07-17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59666B2 (ko)
EP (2) EP3118145A4 (ko)
JP (1) JP6281630B2 (ko)
KR (1) KR20160132880A (ko)
CN (1) CN106103319B (ko)
BR (1) BR112016020074B8 (ko)
MX (1) MX2016011806A (ko)
RU (1) RU2667442C2 (ko)
TW (1) TWI612000B (ko)
WO (1) WO2015136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2969B (zh) * 2018-03-23 2023-07-25 浙江海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再生纤维的洁净瓶片输送装置及输送方法
DE102019100339B4 (de) 2019-01-08 2023-07-06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Bioprozesstechnische Anlage
JP7324417B2 (ja) * 2019-08-09 2023-08-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鉱石連続供給装置
CN116715028B (zh) * 2023-08-09 2023-10-27 绵阳沃思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气力输送的吸料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3993B2 (ja) 2006-04-24 2012-03-07 新東工業株式会社 加圧タンク、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およびその送込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706C (ko) *
FR1478971A (fr) * 1966-05-06 1967-04-28 Salzgitter Erzbergbau Ag Appareil pour l'évacuation de matériaux en grains fins ou pulvérulents
US3776600A (en) 1971-06-07 1973-12-04 Thoreson Mc Cosh Inc Valve for vacuum loader
SU502809A1 (ru) 1973-10-02 1976-02-15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нергоцветм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груз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з области пониженного давлени в область повышенного давлени
JPS5842083B2 (ja) * 1976-12-07 1983-09-17 株式会社細川粉体工学研究所 粉粒物、泥状物の圧送ポンプ装置
SU719950A1 (ru) 1978-03-17 1980-03-05 Белорусское отделение Всесоюзн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ВНИПИэнергопр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диспер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зоны с меньшим давлением в зону с большим давлением
DE3435907A1 (de) * 1984-09-29 1986-04-10 AVT Anlagen- und Verfahrenstechnik GmbH, 7981 Vog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pneumatischen und hydraulischen transport von feststoffen durch rohrleitungen
SU1389188A1 (ru) 1985-01-02 1991-06-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844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DE3528301A1 (de) * 1985-08-07 1987-02-19 Ibau Hamburg Ing Ges Vorrichtung zum einschleusen von staubfoermigem gut in ein pneumatisches foerdersystem
JPH0198522A (ja) * 1987-10-12 1989-04-1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粉粒体の空気輸送方法
SU1770238A1 (ru) 1990-07-31 1992-10-23 Mo Energeticheskij Institut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JP3586805B2 (ja) * 1998-04-24 2004-11-10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掘削土砂の搬出制御装置
JP4494923B2 (ja) * 2004-10-07 2010-06-30 富士テック株式会社 急結剤供給装置
JP2006131330A (ja) * 2004-11-05 2006-05-25 Sintokogio Ltd 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
US8113745B2 (en) * 2006-05-31 2012-02-14 Sintokogio, Ltd. Pressure tank, an device for feeding powder to a conveying pipe, and its feeding method, and method for determining feeding intervals of powder to the conveying pipe
CN201842504U (zh) * 2010-09-07 2011-05-25 胡占全 一种粉料给料设备
CN201902616U (zh) * 2010-12-22 2011-07-20 艾维(廊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止回阀
JP2012184820A (ja) * 2011-03-07 2012-09-27 Mikuni Corp 流体通路を内部に備えたハウジングへのチェックバルブの取付け手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3993B2 (ja) 2006-04-24 2012-03-07 新東工業株式会社 加圧タンク、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およびその送込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0074B1 (pt) 2021-08-10
US20180170691A1 (en) 2018-06-21
JPWO2015136724A1 (ja) 2017-04-06
CN106103319A (zh) 2016-11-09
WO2015136724A1 (ja) 2015-09-17
BR112016020074B8 (pt) 2021-09-14
JP6281630B2 (ja) 2018-02-21
TWI612000B (zh) 2018-01-21
RU2667442C2 (ru) 2018-09-19
TW201534546A (zh) 2015-09-16
US10259666B2 (en) 2019-04-16
EP3301045A1 (en) 2018-04-04
EP3118145A4 (en) 2018-03-07
BR112016020074A2 (pt) 2017-10-10
RU2016138545A (ru) 2018-04-19
EP3118145A1 (en) 2017-01-18
CN106103319B (zh) 2018-07-13
MX2016011806A (es)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880A (ko) 가압 탱크, 수송관으로의 분체(粉體)의 이송 장치 및 그 이송 방법
US8113745B2 (en) Pressure tank, an device for feeding powder to a conveying pipe, and its feeding method, and method for determining feeding intervals of powder to the conveying pipe
KR101608832B1 (ko) 풉 스테이지 노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로드 포트
WO2014153553A3 (en) Framed transport and distribution container for bulk granular product and method
NO20070629L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pneumatisk transport av massegods i stromningsprosess med hoy tetthet
US9695028B2 (en) Filling unit and method for filling an article with a pourable product
KR101632686B1 (ko) 주형 조형기에 있어서의 샌드탱크의 급배기 장치 및 급배기 방법
JP2014530938A (ja) 触媒および/または添加剤を流動接触分解装置に注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方法および使用する方法
WO2016074797A8 (de) Verfahren zum ausgleich des gasdruckes in einem massenflusstrichter und massenflusstrichter
CN107407613A (zh) 测试柔性容器的完整性的系统和方法
CN104180014A (zh) 一种气囊式闸阀
WO2017059955A8 (de) Verfahren und fördervorrichtung zur förderung eines mediums
RU2418732C2 (ru) Способ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5174557B2 (ja) 真空・ガス置換包装装置
CN203241202U (zh) 防爆产品水压试验装置
JP4893993B2 (ja) 加圧タンク、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およびその送込み方法
KR100940753B1 (ko) 케미컬 공급장치
JP2006131330A (ja) 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
CN112533863B (zh) 氧浓缩装置
JP2007320695A (ja) 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間隔の決定方法
KR101267143B1 (ko) 기체-고체 접촉기를 재시동시키는 장치
KR101826304B1 (ko) 구명정용 압축공기 공급장치
CN204872256U (zh) 带有仓外均化器的下料装置
JP2016207409A5 (ko)
KR102034487B1 (ko) 가스 치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