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642A - 다기능 양변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642A
KR20160132642A KR1020150065443A KR20150065443A KR20160132642A KR 20160132642 A KR20160132642 A KR 20160132642A KR 1020150065443 A KR1020150065443 A KR 1020150065443A KR 20150065443 A KR20150065443 A KR 20150065443A KR 20160132642 A KR20160132642 A KR 20160132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toilet
opening
roll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505B1 (ko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조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현 filed Critical 조성현
Priority to KR102015006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5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와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배출구를 잇는 사이펀관과, 상기 오물유입구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양변기 내의 오물을 상기 사이펀관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오물배출구로 직접 배출하기 위한 직통배출관과, 상기 직통배출관의 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와, 상기 직통배출관의 일측 상부에 연통되어 용변 중 냄새를 흡입하여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하는 냄새배출관과, 상기 냄새배출관을 통해 냄새를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냄새배출장치와,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냄새배출장치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양변기 내에 수세수를 급수하면서 양변기 내부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개폐장치와 냄새배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부개폐방식으로 뛰어난 절수효과와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의 흡입, 배출 및 기존방식의 사이펀식 배출기능을 모두 구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양변기{Multifunctional toilet bowl}
본 발명은 다기능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개폐방식으로 뛰어난 절수효과와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의 흡입, 배출 및 기존방식의 사이펀식 배출기능을 모두 구비한 다기능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대변이나 소변의 용변을 마치고 배수 레버를 누르면 세정수조에 채워진 물이 양변기몸체로 공급되어 양변기몸체 내의 오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양변기로서,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814681호의 공보에 개시된 양변기는 세척보울의 벽면을 세척하기 위해서 수조 내에 급수관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수조의 수위에 따라 급수의 개폐 및 림측 또는 수조측으로 급수를 전환하는 기능을 하는 볼탭이 배치되고, 수조의 하부에는 배수로를 개폐하는 사이펀덮개가 배치되며, 사이펀덮개는 볼체인을 통하여 핸드레버 링크와 연결되고, 핸드레버 링크는 수조 외부의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사이펀덮개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와 연계된 자동 물내림장치로는 수조 내부의 세척수 배수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사이펀덮개를 작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압을 이용하는 방식(한국등록특허 제10-764836호 참조)과 공압을 이용하는 방식(한국공개특허 제2008-111240호 참조)이 있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내부의 오물배출기능에 있어 사이펀식의 구조에 의한 오물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양변기 내부에 급속히 급수를 하여 내부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오물배출이 되는데, 이때 많은 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 통상 양변기에서 오물배출을 하기 위한 필요한 물의 수량은 1회당 6~9ℓ로서 다량의 물을 배수하면서 오물을 배출해야 하므로 우리나라와 같은 물부족 국가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양변기 사용에 따른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한 절수형 양변기 보급을 위해 노력하여, 2012년도에는 환경부에서 이에 대한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절수형 양변기의 보급은 미미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이 더욱 시급하다.
한편, 용변 중에는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조성하는 바, 용변 중에 발생하는 냄새를 없앨 수 있도록 화장실에는 통상 팬이 설치되어 환기를 하게 된다.
그러나, 팬에 의한 냄새제거는 화장실 내 냄새가 퍼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으므로, 냄새제거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8146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764836호 한국공개특허 제2008-1112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이펀 현상이 없이도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양의 물로도 수세처리가 되도록 하여 절수효과가 우수한 다기능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변기 내에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 및 배출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다기능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와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배출구를 잇는 사이펀관과, 상기 오물유입구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양변기 내의 오물을 상기 사이펀관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오물배출구로 직접 배출하기 위한 직통배출관과, 상기 직통배출관의 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와, 상기 직통배출관의 일측 상부에 연통되어 용변 중 냄새를 흡입하여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하는 냄새배출관과, 상기 냄새배출관을 통해 냄새를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냄새배출장치와,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냄새배출장치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양변기 내에 수세수를 급수하면서 양변기 내부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개폐장치와 냄새배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물유입구와 상기 직통배출관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양변기 내부에는 직통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직통배출관은 상기 직통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물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하측 연결부를 형성하여 직통배출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직통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기어축을 가진 롤러구동기어와, 상기 롤러구동기어와 맞물러 상기 롤러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랙기어가 형성된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연결되어 왕복이동하는 롤러샤프트와, 상기 롤러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직통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연결되어 개폐판의 개폐 시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사프트에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판을 밀어 직통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푸싱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의 하면에는 상기 푸싱롤러와 접하여 푸싱롤러를 가이드하는 푸싱롤러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푸싱롤러가이드와 회동중심축은 레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샤프트에 개재되어 롤러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도록 상기 직통배출관에 롤러궤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샤프트의 중심에는 위치감지자석을 삽입하고, 상기 직통배출관의 벽면에는 상기 위치감지자석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개폐장치가 구동할 때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하여 개폐장치의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냄새배출장치는, 평상 시 양변기의 오물배출구로부터 악취가 역류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 냄새배출구 차단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냄새배출구 차단판을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개폐모터와,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로 배출하는 냄새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변기의 시트에는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는 것을 감지하도록 시트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시트센서의 감지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개폐모터가 회전 후 정지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냄새흡입팬이 회전하면서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로 배출하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시트센서의 감지가 종료되어 제어부의 제어명령으로 개폐모터가 역회전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이 닫히고 냄새흡입팬은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에 의한 수세를 할 수 있도록 직수와 연결된 수세분사구와, 상기 수세분사구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수세급수밸브와, 상기 사이펀관에 물을 분사하도록 직수와 연결된 사이펀 분사급수구와, 상기 사이펀 분사급수구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사이펀급수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에서 기존방식의 사이펀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이펀관의 입구와 출구사이에 직접 연결되는 직통배출관을 만들어, 사이펀 현상이 없이도 직통배출관을 통해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양변기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의 물로도 수세처리가 됨으로써, 절수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양변기의 물 사용량은 6~9ℓ정도이나, 본 발명의 양변기는 2~2.5ℓ로서 절수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양변기 내에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 및 배출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탈취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양변기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물배출을 위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직통배출구가 개방되어 오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냄새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차단판이 닫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냄새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차단판이 열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세급수계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변기 내부의 수세경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양변기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물배출을 위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양변기에서 기존방식의 사이펀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이펀관(1f)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직접 연결되는 배출통로를 만들고, 상기 배출통로를 차단 또는 개방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사이펀관(1f)을 거치지 않고 직접 하부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사이펀관(1f)과, 직통배출관(2a)과, 상기 직통배출관(2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와, 냄새배출관(4e)과, 냄새배출장치와, 제어부(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이펀관(1f)은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1e)와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배출구(1g)를 이어주어 사이펀 방식으로 용변이 배출되도록 하는 관으로서, 상기 사이판 방식으로 용변을 배출하는 구조는 보통의 양변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직통배출관(2a)은 상기 오물유입구(1e)와 오물배출구(1g)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양변기 내의 오물을 상기 사이펀관(1f)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오물배출구(1g)로 직접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물유입구(1e)와 상기 직통배출관(2a)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양변기 내부에는 직통배출구(1d)가 형성되고, 상기 직통배출관(2a)은 상기 직통배출구(1d)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 연결부(2c)를 형성하고, 상기 오물배출구(1g)와 연결되도록 하측 연결부(2d)를 형성하여 직통배출통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직통배출관(2a)의 내부에는 직통배출관(2a)의 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직통배출관(2a)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3a)와, 상기 기어박스(3a)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기어축(3b)을 가진 롤러구동기어(3c)와, 상기 롤러구동기어(3c)와 맞물러 상기 롤러구동기어(3c)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랙기어(3i)가 형성된 롤러프레임(3d)과, 상기 롤러프레임(3d)에 연결되어 왕복이동하는 롤러샤프트(3e)와, 상기 롤러샤프트(3e)의 이동에 따라 직통배출구(1d)를 개폐하는 개폐판(3f)과, 상기 개폐판(3f)과 연결되어 개폐판(3f)의 개폐 시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중심축(3h)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사프트(3e)에는 상기 롤러프레임(3d)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판(3f)을 밀어 직통배출구(1d)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푸싱롤러(3m)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3f)의 하면에는 상기 푸싱롤러(3m)와 접하여 푸싱롤러(3m)를 가이드하는 푸싱롤러가이드(3l)가 설치된다.
상기 푸싱롤러가이드(3l)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푸싱롤러(3m)와 접하는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푸싱롤러(3m)가 상기 롤러프레임(3d)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푸싱롤러가이드(3l)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개폐판(3f)을 밀어줄 때, 상기 경사진 면으로 인해 푸싱롤러(3m)가 푸싱롤러가이드(3l)를 밀어주는 압력이 더 세지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3f)의 폐쇄 동작 시 수압을 이기면서도 확실하게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푸싱롤러가이드(3l)의 경사진 하면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3f)이 닫히는 상태에 푸싱롤러(3m)가 위치하게 될 때 푸싱롤러가이드(3l)에 가장 많은 압력을 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푸싱롤러가이드(3l)는 개폐판(3f)의 개방 시에는 용이하게 개폐판(3f)이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푸싱롤러가이드(3l)는 상기 회동중심축(3h)과 레버(3k)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중심축(3h)은 직통배출관(2a)의 벽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개폐판(3f)의 개폐 시 회동중심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샤프트(3e)에 개재되어 롤러프레임(3d)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3j)를 안내하도록 상기 직통배출관(2a)에는 롤러궤도(2e)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궤도(2e)는 상기 롤러프레임(3d)의 이동 시 롤러샤프트(3e)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프레임(3d)의 이동궤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롤러샤프트(3e)에 개재된 가이드롤러(3j)를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3f)에는 양변기 내부(1b)의 양변기 보충수(1c)가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실링을 위한 실리콘팩킹(3g)이 더 설치된다.
상기 롤러샤프트(3e)의 중심에는 위치감지자석(3n)을 삽입하고, 상기 직통배출관(2a)의 벽면에는 상기 위치감지자석(3n)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도시안함)를 설치하여 개폐장치가 구동할 때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하여 개폐장치의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통배출관(2a)의 일측 상부에 연통되어 용변 중 냄새를 흡입하여 상기 오물배출구(1g)로 배출하도록 하는 냄새배출관(4e)과, 상기 냄새배출관(4e)을 통해 냄새를 상기 오물배출구(1g)로 배출하기 위한 냄새배출장치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냄새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차단판이 닫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냄새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차단판이 열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냄새배출장치는 평상 시 양변기의 오물배출구(1g)로부터 악취가 역류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제어부(6a)에 의해 개방되는 냄새배출구 차단판(4c)과, 상기 제어부(6a)에 의해 상기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을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개폐모터(4f)와,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1g)로 배출하는 냄새흡입팬(4b)을 포함한다.
상기 냄새흡입팬(4b)의 선단에는 용변 중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냄새흡입구(4a)가 구비된다. 또한 냄새를 상기 냄새흡입구(4a)에서 냄새흡입팬(4b)으로 유도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냄새배출관(4e)의 상단에는 상기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이 설치되어 개폐되는 상부 냄새배출구(4d)가 구비되고, 냄새배출관(4e)의 하단은 상기 직통배출관(2a)의 상측에 형성된 하부 냄새배출구(2b)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양변기의 시트에는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는 것을 감지하도록 시트센서(6b)가 부착되어, 상기 시트센서(6b)의 감지가 제어부(6a)에 전달되면 상기 개폐모터(4f)가 회전 후 정지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냄새흡입팬(4b)이 회전하면서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1g)로 배출하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시트센서(6b)의 감지가 종료되어 제어부(6a)의 제어명령으로 개폐모터(4f)가 역회전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이 닫히고 냄새흡입팬(4b)은 정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세급수계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직수에 의한 수세를 할 수 있도록 직수와 연결된 수세분사구(5c)와, 상기 수세분사구(5c)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수세급수밸브(5a)와, 상기 사이펀관(1f)에 물을 분사하도록 직수와 연결된 사이펀 분사급수구(1h)와, 상기 사이펀 분사급수구(1h)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사이펀급수밸브(5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세수 급수의 수단으로 저수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직수에 의한 수세로서 도 7과 같이 수세급수밸브(5a)와 사이펀급수밸브(5b)가 연결된 구조의 밸브를 형성하고, 수세급수밸브(5a)의 출수구에는 수세분사구(5c)를 구비하고, 사이펀급수밸브(5b)의 출수구에는 사이펀분사파이프(5e)와 사이펀 분사급수구(1h)를 구비하여 양변기의 오물유입구(1e)의 후면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다기능 양변기에서, 평소에는 도 5와 같이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이 닫혀서 양변기의 오물배출구(1g)로부터 악취가 역류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시트에 부착된 시트센서의(6b) 감지가 도 9의 제어부(6a)에 전달되어 냄새배출구 개폐모터(4f)가 회전 후 정지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냄새흡입팬(4b)이 회전하면서 용변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1g)로 연결되는 냄새배출경로로 배출된다.
도 4는 도 3에서의 직통배출구가 개방되어 오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냄새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차단판이 닫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일어나면 시트센서(6b)의 감지가 종료되어 제어부(6a)의 제어명령으로 냄새배출구 개폐모터(4f)가 역회전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4c)이 닫히고, 상기 냄새흡입팬(4b)은 정지함과 동시에 수세급수밸브(5a)를 열어 양변기 내에 수세수를 급수하면서 롤러구동기어(3c)의 기어축(3b)에 연결된 직통배출구 개폐모터(2h)가 회전하여 상기 롤러구동기어(3c)가 회전한다.
상기 롤러구동기어(3c)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3i), 롤러프레임(3d), 가이드롤러(3j) 및 푸싱롤러(3m)가 이동하다가 위치감지자석(3n)이 위치감지센서에 접근하면 직통배출구 개폐모터(2h)는 정지하고 이때 푸싱롤러(3m)가 받치고 있던 직통배출구 개폐판(3f)의 푸싱롤러 가이드(3l)가 해제되고, 직통배출구 개폐판(3f)은 양변기 내의 수압에 밀려서 완전히 개방되어 양변기 내부의 오물은 수세수와 함께 하부의 오물배출구(1g)로 배출이 되면서 완전히 수세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제어부(6a)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직통배출구 개폐모터(2h)의 역회전에 의하여 롤러프레임(3d)이 전진하면서 푸싱롤러(3m)가 직통배출구 개폐판(3f)의 푸싱롤러 가이드(3l)면을 밀어서 직통배출구 개폐판(3f)은 직통배출구(1d)를 차단하고 계속되는 급수에 의하여 양변기 내에 보충수(1c)를 급수한 후 수세급수밸브(5a)는 닫혀서 수세공정이 끝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물의 양은 사이펀관(1f)을 통해서 오물이 배출되는 때와 비교해서 크게 절약이 된다.
이때, 직통배출부에 고장이 생겼거나 어떤이유로 직통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어부(6a)에서 이를 감지하여 도 7과 같이 수세급수밸브(5a)의 수세수 급수에 이어서 사이펀급수밸브(5b)의 급수로 사이펀 분사급수구(1h)에 물을 분사하여 사이펀현상을 일으켜서 사이펀관(1f)에 의한 수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a: 양변기 몸체 1b: 양변기 내부
1c: 양변기 보충수 1d: 직통배출구
1e: 오물유입구 1f: 사이펀관
1g: 오물배출구 1h: 사이펀 분사급수구
1i: 사이펀 분사구 2a: 직통배출관
2b: 하부 냄새배출구 2c: 상측 연결부
2d: 하측 연결부 2e: 롤러궤도
2h: 직통배출구 개폐모터 3a: 기어박스
3b: 기어축 3c: 롤러구동기어
3d: 롤러프레임 3e: 롤러샤프트
3f: 개폐판 3g: 실리콘팩킹
3h: 회동중심축 3i: 랙기어
3j: 가이드롤러 3k: 레버
3l: 푸싱롤러 가이드 3m: 푸싱롤러
3n: 위치감지자석 4a: 냄새흡입구
4b: 냄새흡입팬 4c: 차단판
4d: 상부 냄새배출구 4e: 냄새배출관
4f: 냄새배출구 개폐모터 5a: 수세급수밸브
5b: 사이펀급수밸브 5c: 수세분사구
5d: 밸브고정너트 5e: 사이펀분사파이프
5f: 수도연결구 5g: 밸브 입수구
5h: 수세수 유로 5i: 수세수 경사로
6a: 전자제어부 6b: 시트센서

Claims (9)

  1.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와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배출구를 잇는 사이펀관;
    상기 오물유입구와 오물배출구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양변기 내의 오물을 상기 사이펀관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오물배출구로 직접 배출하기 위한 직통배출관;
    상기 직통배출관의 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
    상기 직통배출관의 일측 상부에 연통되어 용변 중 냄새를 흡입하여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하는 냄새배출관;
    상기 냄새배출관을 통해 냄새를 상기 오물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냄새배출장치; 및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냄새배출장치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양변기 내에 수세수를 급수하면서 양변기 내부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개폐장치와 냄새배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물유입구와 상기 직통배출관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양변기 내부에는 직통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직통배출관은 상기 직통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물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하측 연결부를 형성하여 직통배출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직통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기어축을 가진 롤러구동기어;
    상기 롤러구동기어와 맞물러 상기 롤러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랙기어가 형성된 롤러프레임;
    상기 롤러프레임에 연결되어 왕복이동하는 롤러샤프트;
    상기 롤러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직통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과 연결되어 개폐판의 개폐 시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중심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사프트에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판을 밀어 직통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푸싱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의 하면에는 상기 푸싱롤러와 접하여 푸싱롤러를 가이드하는 푸싱롤러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푸싱롤러가이드와 회동중심축은 레버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샤프트에 개재되어 롤러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도록 상기 직통배출관에 롤러궤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샤프트의 중심에는 위치감지자석을 삽입하고, 상기 직통배출관의 벽면에는 상기 위치감지자석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개폐장치가 구동할 때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하여 개폐장치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냄새배출장치는,
    평상 시 양변기의 오물배출구로부터 악취가 역류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 냄새배출구 차단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냄새배출구 차단판을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개폐모터;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로 배출하는 냄새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양변기의 시트에는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는 것을 감지하도록 시트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시트센서의 감지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개폐모터가 회전 후 정지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냄새흡입팬이 회전하면서 용변 중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양변기 하부의 오물배출구로 배출하고,
    사용자가 용변 후 일어나면 시트센서의 감지가 종료되어 제어부의 제어명령으로 개폐모터가 역회전하여 냄새배출구 차단판이 닫히고 냄새흡입팬은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직수에 의한 수세를 할 수 있도록 직수와 연결된 수세분사구와, 상기 수세분사구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수세급수밸브와, 상기 사이펀관에 물을 분사하도록 직수와 연결된 사이펀 분사급수구와, 상기 사이펀 분사급수구에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사이펀급수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변기.

KR1020150065443A 2015-05-11 2015-05-11 다기능 양변기 KR10171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43A KR101719505B1 (ko) 2015-05-11 2015-05-11 다기능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43A KR101719505B1 (ko) 2015-05-11 2015-05-11 다기능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42A true KR20160132642A (ko) 2016-11-21
KR101719505B1 KR101719505B1 (ko) 2017-04-04

Family

ID=5753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43A KR101719505B1 (ko) 2015-05-11 2015-05-11 다기능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5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83A (ja) * 2000-09-21 2002-03-27 Toto Ltd サイホンジェット式水洗便器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KR100764836B1 (ko) 2006-09-04 2007-10-09 이재통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0814681B1 (ko) 2007-06-25 2008-03-18 이수인 (주)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KR20080111240A (ko) 2007-06-18 2008-12-23 동양매직 주식회사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140091661A (ko) * 2014-06-23 2014-07-22 조성현 하부개폐식구조를가진초절수양변기
KR101469865B1 (ko) * 2013-03-21 2014-12-09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의 유체 흐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83A (ja) * 2000-09-21 2002-03-27 Toto Ltd サイホンジェット式水洗便器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KR100764836B1 (ko) 2006-09-04 2007-10-09 이재통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20080111240A (ko) 2007-06-18 2008-12-23 동양매직 주식회사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100814681B1 (ko) 2007-06-25 2008-03-18 이수인 (주)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KR101469865B1 (ko) * 2013-03-21 2014-12-09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의 유체 흐름 조절 장치
KR20140091661A (ko) * 2014-06-23 2014-07-22 조성현 하부개폐식구조를가진초절수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505B1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JP4517978B2 (ja) 便器洗浄装置
KR100941294B1 (ko) 수세식 좌변기
KR100946391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WO2004029374A1 (ja) 便器装置
JP2007063980A (ja)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EP2960386A1 (en) Sanitary toilet
JP2009249819A (ja) トイレ装置
JP472802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CN105002969A (zh) 多功能隐形全自动蹲坐一体式如厕器
JP2007046307A (ja) 便器洗浄装置
JP2008202267A (ja) 温水洗浄装置
KR100690335B1 (ko) 자동식 절수 양변기
KR101719505B1 (ko) 다기능 양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KR20120128766A (ko) 수세식 좌변기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JPH11350578A (ja) 水洗式大便器
JP2002364040A (ja) 圧送排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送排水便器
JP2008267002A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AU2002341455B2 (en) An improved toilet and flushing system
JP4260780B2 (ja) 圧送装置付き衛生機器
KR200466597Y1 (ko) 가정용 배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