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046A -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046A
KR20160132046A KR1020167027268A KR20167027268A KR20160132046A KR 20160132046 A KR20160132046 A KR 20160132046A KR 1020167027268 A KR1020167027268 A KR 1020167027268A KR 20167027268 A KR20167027268 A KR 20167027268A KR 20160132046 A KR20160132046 A KR 2016013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esource
user
time
data ser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멘디올라
Original Assignee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67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pre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04L12/1496Tariff-related aspects involving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웹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 하는 단계 및 웹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에 기초하여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가입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추가된 특징은 접속된 웹 리소스가 시간의 유휴 기간 후의 접속 또는 제1 시간 접속인 경우 가입자에게 무료-체험 기간의 프로비전이다. 상기 방법은 선불 사용자들의 인터넷 경험을 약화시키지 않고 이들 선불 가입자들에게 청구되는 가격 지점을 더 낮게 입찰하여 그들에게 작업/앱 특정 플랜들을 추천하도록 돕는데 특히 유리하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ALE OF PRODUCTS AND SERVICES TO A MOBILE DEVICE USER}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선불 플랜들 및 관련된 서비스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의 다음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의도된다. 논의는 참조된 임의의 물질(material)이 발표되고, 공지된 또는 본 발명의 우선일에서 임의의 재판권에서의 당업자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인 것의 인정(acknowledgement) 또는 승인(admission)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인터넷 서비스들에 대한 선불 가입자들은 보통 비용 민감하고 후불 가입자들에게 쉽게 이용가능한 데이터 연결 또는 '어웨이즈 온(always on)' 인터넷의 사치를 일반적으로 여유 있게 할 수 없다. 이러한 '어웨이즈 온' 인터넷 연결들은 하루 당 약 $1로 산출되는, 보통 약 $30의 한 달 패키지에 청구된다. 다른 대중적인 변형들은 1GB의 캡(cap)으로 하루 당 $1, 또는 20MB의 캡으로 하루 $0.25이다.
선불 마켓의 그들의 마켓 공유를 확장하고 공유 인터넷/데이터 접속의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통신 캐리어('통신 회사(telcos)')와 같은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는 다양한 선불 플랜들 및 관련된 결제 구조를 제공했다. 결제 구조 및 플랜의 다양한 조합들은 선불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용을 내리는 대상이 된다(targeted). 이들 플랜들은 하루 당 더 보통인 $1에 비교되는 다른 청구/결제 제도를 포함한다. 상기가 선불 가입자의 다른 요구들에 적합한 다양한 플랜들을 제공하는 반면, 구매하는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유형에 대한 정보화된 결정을 만드는, 엄청나게 다양한 옵션들에 직면되는, 선불 가입자를 도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선불 사용자에게 특정 웹 제품들 또는 서비스들로 선불 플랜을 맞춤화(tailor-made) 또는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분으로 필요성들을 충족하도록 모색한다.
본 발명자들은 그의 개인 컴퓨터(PC)에서의 및 (스마트폰과 같은) 그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사이에 행위의 특정 차이에 유의한다. 보통,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람은 특정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회화체로 '앱'이라 지칭됨)을 활성화하거나 인터넷에 연결할 특정 알림에 대해 행동할 것이다; PC 또는 랩탑(laptop)을 사용하는 사람이 인터넷 브라우저를 첫번째로 보통 실행할 동안, 메신저들 및/또는 이메일 앱들은 자동으로 배경에 열린다.
상기의 인사이트(insight)를 사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개발했다. 전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일측면은 사용자를 위한 커스터마이즈 또는 추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위하여 웹 리소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스마트폰에 설치에 특히 적합하다(하지만 한정되진 않음).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구매 시에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미리 설치될 수 있거나 그 후 무료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서, 웹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웹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에 기초하여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가입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된 특징은 접속된 웹 리소스가 시간의 유휴 기간 후의 접속 또는 제1 시간 접속인 경우 가입자에게 무료-체험 기간의 프로비전이다. 상기 방법은 선불 사용자들의 인터넷 경험을 약화시키지(diminishing) 않고 이들 선불 가입자들에게 청구되는 가격 지점을 더 낮게 입찰하여(bid) 그들에게 작업/앱 특정 플랜들(action/app specific plans)을 추천하도록 돕는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web resource)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접속(user device access)을 모니터하고 사용자 접속 데이터(user access data)를 생성하는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web resource traffic monitor); 및 상기 접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평가(subsequent assess)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data service planner)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특정 시간-당-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pay-per-specific time data service plan) 또는 작업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pay per action data service plan)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provisioning)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상기 모니터링(monitoring)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배경 어플리케이션(background application)으로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되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후속으로(subsequently) 접속가능하다(accessi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후속 미리 결정된 수(subsequent predetermined number)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상기 이전 접속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가장 최근 접속 사이의 시간 차(time differen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 차가 미리 결정된 기간 보다 크면,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subsequent access)은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이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기존 가입자인지 확인하도록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통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와 데이터 통신하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요금 무료 접속(toll free access)을 이용가능한 웹 리소스들의 리스트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를 접속하는 각 후속 작업은 데이터를 조작, 입력 또는 검색하는 작업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조작, 입력 또는 검색하는 각 작업은 후속 작업들의 정의된 세트에 대한 정액 요금(flat fee)에 기초하여 결제되거나 청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은 특정 시간-당-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작업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단계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하는 단계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후속으로 미리 결정된 수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이전 접속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가장 최근 접속 사이의 경과된 시간(time elapsed)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과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기간 보다 크면,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비용 없이 접속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기존 가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고, 단지 예시의 방식에 의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입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또는 제품의 무료 체험이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가입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입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은 가능하고, 따라서, 첨부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의 일반성(generality)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는다.
URL들, API들 또는 다른 웹사이트들/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웹 리소스들에 대한 접속의 컨텍스트(context)에서 "무료 접속(free access)" 또는 "무료 체험(free trial)"은 요금 무료 '어웨이즈 온(always on)' 데이터 접속을 나타내며, 즉, 이들 URL들, API들, 웹사이트들/IP 주소들은 통신 캐리어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무료일 것이다. 이러한 '어웨이즈 온' 데이터 접속은 예를 들어 비디오들/오디오 파일들의 다운로딩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조작(manipulate), 입력 또는 검색하는 임의의 후속 작업들(subsequent actions)로부터 구별되는 것이다. 데이터에 스스로 접속하는 것은 요금 무료일 수 있지만, 데이터를 조작, 입력 또는 검색하는 작업들은 청구될(chargeable)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mobile applications)("앱들(apps)")과 같은 웹 리소스들에 대한 접속의 컨텍스트에서 "무료 접속"은 이러한 앱들을 다운로드 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다운로드/뷰(view)/스트림(stream)을 하는 이러한 '앱들'의 사용은 청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술(description)의 컨텍스트에서 '인터넷 접속'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GPRS,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속도(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3G, LTE, 4G 네트워크, Wi-Fi 테더링(tethering) 등과 같은 모바일 데이터 인터넷 서비스들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 제공들(offerings) 및 결제 구조의 다양한 예시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이들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다음과 같은 특정 시간-당-지불 및 작업-당-지불 결제 구조를 포함한다.
i.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파일 공유 또는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특정 활동들(activities)은 허용되지 않음) = 하루 당 $0.25 내지 $0.50(전형적인 하루 당 $1 대신(instead of the more typical $1 per day));
ii. 페이스북(Facebook)TM또는 인스타그램(Instagram)TM과 같은 선택된 웹 리소스들을 위한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은 하루 당 $0.10에 청구됨;
iii. 페이스북TM과 같은 특정 제한들(restrictions) 하지만 하루 당 $0.05에 5MB 한도; 또는 하루 당 $0.05에 비디오 없는 페이스북TM으로 선택된 웹 리소스들을 위한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
iv. 시간의 고정된 수(number) 동안 특정 웹 리소스들에 대한 접속을 위한 인터넷 연결 - 예를 들어, $0.20에 열(10) 개의 유튜브 비디오들의 다운로드;
v. 오프라인 사용과 연결되는 특정 작업들을 위한 인터넷 연결, 예를 들면 ($0.99에) 스트림된 비디오의 오프라인 플레이의 일주일 동안 비디오 스트리밍의 일일; 또는 ($0.20에) 스트림된/캐쉬된(streamed/cqched) 비디오의 오프라인 플레이의 삼일로 비디오 스트리밍의 한 시간.
상기 예시들은 완전하지(exhaustive) 않으며 다른 하이브리드(hybrid) 결제 제도/구조들 양식(form)에 혼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선불 사용자는 하나의 결제 구조로부터 다른 것으로 바꾸는 옵션(option)이 주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결제 기반구조(billing infrastructure) 및 작업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된 결제 모듈 사이를 토글링(toggling)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는 가입자들에 의한 웹 리소스들의 접속 및 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제공자 또는 통신 캐리어의 가입자들이 대상이 되는(targeted)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포함하고,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는 특히 선불 가입자들인 가입자들에 적합하다. 선불 가입자들은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과 관련된 비용들에 특히 비용-민감하고(cost-sensitive) 이러한 플랜들로부터 최대의 이익 및 유용성을 추출하기를 바라는 가입자들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웹 리소스들의 접속 및 접속의 빈도와 같은 데이터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추적되고 모니터 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에 의해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포함하고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이하, '앱'이라 함)는 선불 가입자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배경에서 실행하고 그의 인터넷 접속 패턴들을 설정하는 사용자의 작업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앱은 또한 청구 목적들을 위한 인터넷 접속에 소비된 시간의 양을 계산하는 것을 담당한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웹 리소스,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TM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인스타그램TM과 같은 이미지-공유 플랫폼에 접속한다(단계 110). 앱은 다음 시퀀스(sequence)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i. 웹 리소스에 접속하는 사용자를 위한 유효 데이터 서비스 플랜이 있는지 활동 백엔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backend subscriber database)를 확인한다(단계 120);
ii. 유효 서비스 데이터 플랜이 있는 경우 제대로 실행하도록 인스타그램TM을 허용하고, 앱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단계 130);
iii. 데이터 플랜이 없는 경우, 앱은 다음과 같은 특정 데이터 서비스를 '교차-판매들/상향-판매들(cross-sells/ up-sells) 등'을 추천하거나 프롬프트한다(단계 140):-
a. 하루 당 $0.10에 청구된 인스타그램TM을 위한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또는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가격);
b. 하루 당 $0.25 내지 $0.50에 청구된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또는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다른 가격);
또는
c. 번들된 양식(bundled form)에서의, 다른 유사한 소셜 네트워크 앱들과 함께, 인스타그램TM 앱을 포함하는 다른 플랜들
추천들은 그의 작업을 위해 가입자 사용자에게 프롬프트된다(150). 만일 가입자가 단계(160)에 기초하여 추천을 수락하면, 가입자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완료하기 위한 필요한 세부사항들 및 정보를 제공하도록 프롬프트될 것이다(단계 170). 만일 가입자가 추천을 수락하지 않으면, 응답(response)은 향후 참조 및 추천을 위하여 로그될 것이다(단계 180). 단계(170)에서 가입자의 수락은 또한 향후 참조 및 추천들을 위하여 로그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가입자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페이스북TM 또는 트위터(Twitter)TM와 같은)에서 '멘션(mentioned)' 또는 '태그(tagged)'되는 것의 양식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가입자는 그가 유효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상관 없이 비-청구 베이시스(no-charge basis)에 이러한 알림들이 제공될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사용자 가입자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그의 '태그' 또는 '멘션' 상태의 알림을 받는다.
사용자 가입자는 팔로우 업(follow up)하고자 하는 경우, 그는 알림을 클릭할 수 있다. 알림을 클릭할 때, 앱은 다음과 같이 작동가능하다:-
i. 사용자를 위해 있는 이러한 앱의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 데이터 플랜이 있는 경우 백엔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신호를 보낸다(interrogate);
ii. 데이터 플랜이 있는 경우, 앱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iii. 데이터 플랜이 없는 경우, 앱은 다음과 같은 특정 데이터 플랜을 '교차-판매' 또는 프롬프트한다;
a. 하루 당 $0.10에 청구된 선택된 페이스북TM 또는 트위터TM에 대한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또는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가격);
b. 어웨이즈-온 인터넷 연결(파일 공유 또는 비디오 공유와 같은, 특정 활동들은 허용되지 않음) = 하루 당 $0.25 내지 $0.50(또는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가격);
또는
c. '번들된 앱' 양식에서의 다른 유사한 앱들 및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른 유사한 플랜들
다른 실시예에서, 가입자는 검색 엔진(search engine)을 사용하여 빠른 검색을 하거나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도록 그의 브라우저를 이용할(utilize) 수 있다. 앞의 예시들에서와 같이, 앱은 사용자가 브라우징을 허용할 기존 데이터 플랜을 가지는지 확인하고 아닌 경우, 특정 플랜을 가입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고 그가 검색을 지속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앱은 검색 결과들에 무료 접속을 허용하고 검색 결과들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검색 결과에 따라 데이터 플랜을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가 단순 URL 웹 링크를 선택하면, 추천된 플랜은 $0.20를 위한 하루 종일 브라우징 플랜(all day browsing plan) 과 같은, 일반 플랜과 같은 것 또는 웹 링크의 콘텐츠에 고유할(specific) 수 있다. 가입자가 유튜브TM 비디오를 선택하면, 추천된 플랜은 예를 들면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된 바의 임의의 다른 가격에 또는 ($0.99에) 오프라인 플레이를 위한 비디오들의 한 주 캐시잉으로 무제한 비디오 스트리밍의 일일; 또는 (비디오 당 $0.05에) 캐시된 유튜브TM 비디오의 오프라인 플레이의 이일로 비디오 스트리밍의 한 시간; 또는 $0.20 또는 통신 회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된 바의 임의의 다른 가격에 유튜브TM 비디오들 열(10) 개까지의 캐시잉(cache-ing) 또는 후속 다운로딩 및 스트리밍을 위한 플랜일 수 있다.
추가된 특징으로서, 앱은 다음의 입력 변수들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가입자에게 대상이 된 추천들을 제공하도록 향후 구성될 수 있다:-
i. 이전 추천들에 대해 만들어진 거절들/수락의 수;
ii.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빈도;
iii.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기간;
입력 변수들의 상기 비-완전한 리스트(non-exhaustive)는 사용자가 낮은 가격의 앱-특정 데이터 서비스 플랜, 번들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하이브리드 유형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의 다른 유형들로 진행될 것 같은지를 결정하도록 분석될 것이다. 특히, 입력 변수들은 가입자의 웹 리소스 접속 행위에 더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 또는 가입자에 의해 수락될 가능성이 더 있는 마케팅/추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 또는 상향-판매를 위한 효과적인 툴로서 사용된다.
일예시로서 '이전 추천들에 대해 만들어진 거절들/수락의 수' - 입력 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가입자가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그의 높은 빈도에 기초한 추천일지라도 추천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예컨대, 하루 당 고정된 비용에 페이스북TM 접속)을 반복적으로 거절하면, 그것은 앱 및/또는 임의의 백엔드 시스템에 제안한다 앱은 추천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이 사용자 가입자가 찾던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다른 웹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하루 종일 서핑(all day surfing)으로 웹 리소스에 접속하는 하루 당 페이스북TM에 대한 접속으로부터, 만들 수 있는 추천을 특정 미세 조정에 대해 데이터 통신된다. 그러면 이들 수정되거나(tweaked) 미세-조정된(fine-tuned)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사용자 가입자에게 추천될 것이고 거절들/허락은 향후 추천들을 위해 로그될 것이다.
일예시로서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빈도 및 기간' - 입력 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가입자가 추천된 플랜(예컨대, 페이스북TM 하루 종일 플랜)을 거절함을 유지하고, 하지만 가입자가 사실 임의의 다른 플랜을 살 때임을 주목되는 경우, 그는 대부분 단지 뉴스 및 서핑이 될 수 있는 주제들(뷰된 비디오 스트리밍에 반대로) 및 URL 링크들 외부와 같은 다른 웹 리소스들을 방문하고 대부분 페이스북TM에 접속하면, 특정 비용을 위한 페이스북TM 하루 종일 플러스 서핑(FacebookTM All Day plus Surfing)의 추천들은 만들어질 것이다.
기재된 실시예들에 더해, 앱은 가입자가 서비스의 구매를 하는 의사를 밝히기 전에 시간의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무료 체험 베이시스에 가정된 지불 데이터 서비스를 테스트 및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무료 체험의 논리 흐름을 도시한다. 일예시에 따라, 가입자 사용자는 구글(Google)TM 플레이스토어(Playstore)TM로부터 다운로드된 앱과 같은 특정 웹 서비스를 실행한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앱은 그가 다운로드된 앱의 제대로 된 기능을 허용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단계 210).
만일 예(YES)라면, 사용자는 진행하는 것이 허용될 것이다.
만일 아니오(NO)라면, 앱은 사용자가 처음으로 웹 리소스(다운로드된 앱)를 접속/사용하거나 다운로드했는지를 더 결정한다(단계 220).
만일 사용자가 처음으로 웹 리소스를 접속하지 않으면, 다른 확인은 사실 그가 정규 사용자인가 및 앱에 재미있고 새로운 무언가가 있는지 단지 보고 확인하는가 여부 또는 사용자가 "꽤 오랫동안 유휴(idle)인가?"를 결정하도록 현재 접속 및 앱의 마지막 사용자 사이의 기간을 계산하도록 수행된다(결정 단계 230 보기). 다시,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와 관련한 더 세분화(granular)를 위한 페이스북TM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합의 더 깊은 레벨에 이상적일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유효성(activeness) 또는 새로움(newness)의 레벨을 고려한 더 정확한 데이터.
상기 확인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처음으로 앱에 접속하거나 사용자가 꽤 오랫동안 유휴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불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기초하여 웹 리소스를 접속하는 것을 지속하고 싶은지를 결정하는데 충분한, 시간의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을 위한 무료 체험을 제공 또는 추천될 것이다(단계 240). 시간의 길이는 앱의 종류에 의존할 것이다. 그것이 게임 앱인 경우, 하루 또는 이일을 말하는(say a day or two), 무료 체험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기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것이 소셜 네트워크 앱 또는 메신저 앱(messenger app)인 경우, 무료 체험은 상대적으로 길 수 있고(수개월이 아니라도 수주(weeks if not months)),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된 앱의 유용성(usefulness)을 '보기(see)' 위하여 그의 네트워크를 만들 시간을 충분하게 제공한다.
반면 가입자가 정규 사용자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는 웹 리소스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 이미 안다. 그는 아마 흥미로운 "해프닝 투데이(happening today)"가 있는지 보기 위해 단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무료 체험 기간은, 몇 분 내지 약 30분으로 말하는, 상당히 더 짧아질 것이다(단계 250). 앞 단락에 기재한 바와 같이, 허용되는 "더 짧은 무료 체험 시간"의 길이는 앱 또는 웹 서비스의 종류에 의존할 것이다.
제1 시간 사용자 및 정규 사용자 사이의 차이는 그의 네트워크를 만들거나 아니면 앱 또는 서비스에 그 스스로 익숙해지도록 제1 시간 사용자에게 제공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그것은 그가 앱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평가하는데 수일 또는 수주가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정규 사용자는 앱을 위한 그가 가진 계약(engagement)의 레벨을 강화하는데 아마도 거의 수분이 걸릴 것이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무료 체험의 기간을 도시하는 일예시로서, 서비스 제공자/통신 회사는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social networking platform) 페이스북TM과 제휴할(tied-up)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앱은 사용자가 이미 페이스북TM의 멤버인지 만일 그렇다면, 사용자가 유효한지, 및/또는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통해 유효한지를 찾도록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페이스북TM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향후 구매의 가능성을 증가하는 지시가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체험 제공의 가장 적절한 길이 및 유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무료 체험이 종료되면(단계 260),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특정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을 위하여 가입자에게 추천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10)은 모바일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과 같은, 제품들 및 서비스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한다.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사용자 디바이스(14) 접속을 모니터하고 사용자 접속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arranged)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web resource traffic monitor)(12); 및 접속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평가를 위한 복수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모바일 가입자에게 추천하도록 구성된 추천 엔진 또는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recommendation engine or data service planner)(16)를 포함한다.
모바일 가입자는 보통 선불 가입자이다. 복수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특정 시간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 및 작업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이전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고 더 자세히 설명되진 않을 임의의 다른 하이브리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포함한다.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12)는 웹 리소스들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14)의 접속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웹 리소스들은 URL 링크들, 비디오들, 소셜 미디어 알림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또한,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12)는 사용자 디바이스(14)로부터 데이터 또는 위치 기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가입자에 대하여,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12)는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16)에 의해 수신될 접속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16)는 웹 리소스 모니터(12)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수신하고 획득된 사용자 디바이스(14)의 접속 데이터에 기초한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가입자에게 추천하도록 작동가능하다. 획득된 접속 데이터는 특정 시간 기간 또는 시간 프레임 동안 사용자 디바이스(14)에 의해 접속된 웹 리소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의 통계적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의 이전 추천들에 대해 만들어진 거절들/수락의 수;
ii.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빈도;
iii.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기간;
입력 변수들의 상기 비-완전한 리스트는 사용자가 낮은 가격의 앱-특정 데이터 서비스 플랜, 번들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하이브리드 유형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의 다른 유형들로 진행될 것 같은지를 결정하도록 분석될 것이다. 특히, 입력 변수들은 가입자의 웹 리소스 접속 행위에 더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 또는 가입자에 의해 수락될 가능성이 더 있는 마케팅/추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 또는 상향-판매를 위한 효과적인 툴로서 사용된다.
일예시로서 '이전 추천들에 대해 만들어진 거절들/수락의 수' - 입력 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가입자가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그의 높은 빈도에 기초한 추천일지라도 추천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예컨대, 하루 당 고정된 비용에 페이스북TM 접속)을 반복적으로 거절하면, 그것은 앱 및/또는 임의의 백엔드 시스템에 제안한다 앱은 추천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이 사용자 가입자가 찾던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다른 웹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하루 종일 서핑(all day surfing)으로 웹 리소스에 접속하는 하루 당/페이스북TM에 대한 접속으로부터, 만들 수 있는 추천을 특정 미세 조정에 대해 데이터 통신된다. 그러면 이들 수정되거나 미세-조정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사용자 가입자에게 추천될 것이고 거절들/허락은 향후 추천들을 위해 로그될 것이다.
일예시로서 '웹 리소스의 특정 유형의 접속의 빈도 및 기간' - 입력 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가입자가 추천된 플랜(예컨대, 페이스북TM 하루 종일 플랜)을 거절함을 유지하고, 하지만 가입자가 사실 임의의 다른 플랜을 살 때임을 주목되는 경우, 그는 대부분 단지 뉴스 및 서핑이 될 수 있는 주제들(뷰된 비디오 스트리밍에 반대로) 및 URL 링크들 외부와 같은 다른 웹 리소스들을 방문하고 대부분 페이스북TM에 접속하면, 특정 비용을 위한 페이스북TM 하루 종일 플러스 서핑(FacebookTM All Day plus Surfing)의 추천들은 만들어질 것이다.
웹 리소스 모니터(12)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수신할 때,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16)는 도 1 및 2에 이전 기재된 과정에 기초하여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가입자에게 추천한다.
구조된 또는 반-구조된 양식에서 및 다중 소스들로부터 일 수 있는 가입자 데이터세트들(datasets)의 엄청난 양 때문에, 추천 엔진(16)은 가입자들에게 대상이 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입력 변수들)를 처리 및 산출(yield)하도록 딥 데이터(Deep Data) 또는 빅 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tics)을 이용한다.
시스템(10)은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obile network operator) 또는 통신 캐리어(telecommunications carrier)에 의해 호스트된다(hosted).
사용자 디바이스(14)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폰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14)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다. 웹 리소스들 접속을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4)는 GPRS,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속도(EDGE), 3G, Wi-Fi, LTE, 4G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들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또는 통신 캐리어에 의해 호스트된다. 시스템(10)은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16)와 데이터 통신하는 화이트리스트(24) 및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Internet access adjustment facilitator)(22)와 데이터 통신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22)는 인터넷 접속의 제어를 위한 호스트에 대해 사용자 디바이스(14)로부터의 요청들을 처리하도록 적응된다. 이런 의미에서(In this sense),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22)는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내에 있다. 요청들은 보통 전자 신호/메시지의 양식이고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4)에 설치된다. 조정 퍼실리테이터(22)와 통신하는 것의 다른 수단들은 단순 텍스트(simple text)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들 또는 다른 유사한 메시지 서비스의 양식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subscriber database)(18)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는 각 가입자 모바일 폰의 모바일 가입자 통합 서비스들 디지털 네트워크 번호(MSISDN; 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 및 가입자가 임의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에 있는지 뿐만 아니라 (적용된다면) 선불 플랜의 만료 날짜를 포함하는 이러한 플랜들의 세부사항들과 같은, 가입자들의 세부사항들을 유지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는 사용자 디바이스(14)에 대한 가입자를 위한 이용가능한 자금의 확인 및 지불(settlement)을 위한 계산 데이터베이스(accounting database)(26)와 더 데이터 통신한다. 계산 데이터베이스(26)는 각 가입자의 트랜잭션의 히스토리(history)를 더 유지한다.
화이트리스트(24)는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22)와 데이터 통신한다. 화이트리스트(24)는 URL들 및 API들 및 통신 캐리어(12)에 의해 승인된 바의 다른 웹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웹 리소스들의 리스트를 유지한다. 이들 승인된 URL들 및 API들은 "요금 무료"가 고려된다, 즉, 통신 네트워크(12)의 데이터 네트워크가 고려된 것에 기초하여 청구/결제에 관한 한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무료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4)에 의해 무료 접속이 이용가능함. 화이트리스트(24)는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22)와 데이터 통신한다.
화이트리스트(24) 및 인터넷 접속 조정 퍼실리테이터(22)는 기재된 바와 같이 "무료 접속" 또는 "요금 무료" 접속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화이트리스트(24) 내부의 웹 리소스가 접속될 때 결제 기반구조를 끄거나 제로 요금을 정하는 것(zero tariff)처럼 데이터 대역폭 연결의 설정으로,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결제 기반구조 및 작업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 결제 모듈 사이를 토글링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사례로 제공되었음이 이해될 것이고, 아래 상세하게 기재된 것과 같은, 그에 대한 개선들 및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 폰을 다시 유효시키는 단순 스와이핑(simply swiping active the phone again) 또는 가속도센서처럼 이러한 특징들의 트리거링을 포함하는, 임의의 활동, GPS 기능을 켜는 것과 같은 임의의 특징,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임의의 앱, 폰의 전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앱들의 교차-판매 및 알림을 위한 스토어프론트(storefront)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임의의 아림을 뷰하는 사용자에 의해 '스와이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와이핑 작업들은 다양한 선불 데이터 플랜들의 교차-판매를 위한 예비 트리거들(prospective triggers)로서 사용될 수 있다.
* 대안적으로, 리턴된(returned) 검색 결과들 리스트와 반환 검색 엔진(예컨대, 구글)에 대한 접속은 관련된 서비스들 및 선불 플랜들의 추가 추천들을 위한 스토어프론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검색들의 결과는 임의의 데이터 차지 없이 디스플레이 될 것이고; 그러나 임의의 후속 선택된 결과는 추천된 선불 플랜을 구매하도록 프롬프트를 트리거하거나 결과가 '무료' 존(zone)(무료 체험 기간 하에서와 같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청구될 수 있다.
*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수들이 추천들을 만들도록 설정하는 백엔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는 전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가입자들의 작업들의 모니터링은 통신 캐리어로부터 시작된 텍스트/SMS 메시지들의 양식으로 만들어진 추천들, 및 사용자가 통신 캐리어로부터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소프트웨어 제품군의 일부로서 제공된 다른 특정 배경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 상기에 더해, 가입자들의 작업들의 모니터링은 서비스 제공자(예컨대, 통신 캐리어) 단에서 또는 ('앱'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 모니터링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가지는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쉐이핑 툴(network traffic monitoring/shaping tool) 또는 대역폭 조정 퍼실리테이터(bandwidth adjustment facilitator)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서버들은 클라우드 아키텍처(cloud architecture)를 통해 또는 사이트에 호스트될 수 있다.
* 다른 변형에서, 두 서비스 제공자(통신 캐리어) 및 디바이스 단(device end)에서의 모니터링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 기재된 실시예들이 사용자 가입자들에 일반적으로 제공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의 예시들을 제공되는 반면, 그것은 특정 사람에 적합한 동적으로 창조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분 당 가격(Price Per Minute), 뷰 당 가격(Price Per View), 위치 및 날짜의 시간에 따른 가격과 같은(Price depending on Time of Day and Location), 더 세분화한 레벨에서 정의되고 이용가능 할 수 있다.
대안들 또는 대체물들이 아닌, 상기 설명된 특징들의 조합들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추가 실시예들을 형성하는데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접속을 모니터하고 사용자 접속 데이터를 생성하는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 및
    상기 접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평가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은 특정 시간-당-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작업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합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상기 모니터링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배경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되는지 결정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후속으로 접속가능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후속 미리 결정된 수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이전 접속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가장 최근 접속 사이의 시간 차를 결정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차가 미리 결정된 기간 보다 크면,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은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래너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기존 가입자인지 확인하도록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 트래픽 모니터와 데이터 통신하는 화이트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요금 무료 접속을 이용가능한 웹 리소스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를 접속하는 각 후속 작업은 데이터를 조작, 입력 또는 검색하는 작업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조작, 입력 또는 검색하는 각 작업은 후속 작업들의 정의된 세트에 대한 정액 요금에 기초하여 결제되거나 청구되는 시스템.
  13.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후속 접속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들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은 특정 시간-당-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 또는 작업 당 지불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플랜을 프로비저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모니터하는 단계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하는 단계는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접속되는 경우, 상기 웹 리소스는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접속의 후속 미리 결정된 수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비용 없이 접속가능한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 리소스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이전 접속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리소스의 가장 최근 접속 사이의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기간 보다 크면, 상기 웹 리소스는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비용 없이 접속가능한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기존 가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27268A 2014-03-13 2015-03-13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2706P 2014-03-13 2014-03-13
US61/952,706 2014-03-13
PCT/SG2015/050036 WO2015137886A1 (en) 2014-03-13 2015-03-13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ale of products and services to a mobile device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046A true KR20160132046A (ko) 2016-11-16

Family

ID=5406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268A KR20160132046A (ko) 2014-03-13 2015-03-13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50262155A1 (ko)
EP (1) EP3117636A4 (ko)
JP (1) JP6587629B2 (ko)
KR (1) KR20160132046A (ko)
CN (1) CN106104599A (ko)
AR (1) AR099758A1 (ko)
AU (1) AU2015230032A1 (ko)
CA (1) CA2941916A1 (ko)
HK (1) HK1225840A1 (ko)
PH (1) PH12016501781A1 (ko)
RU (1) RU2016139973A (ko)
SG (2) SG10201702509PA (ko)
TW (1) TW201546736A (ko)
WO (1) WO2015137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941B1 (ko) * 2022-01-21 2022-08-08 구다스얼라이언스 유한회사 트래픽 기반 화장품 신제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90505A1 (en) * 2011-11-24 2013-06-28 Chikka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oadband service and a charging mechanism for same
CA2844724A1 (en) 2014-03-04 2015-09-04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Leveraging push notification capabilities of mobile app to send event-triggered invitations to upgrade service offered by hospitality establishment
CN108279961B (zh) * 2017-04-11 2021-08-03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应用程序推广方法、装置及服务端
US20200184434A1 (en) * 2018-12-07 2020-06-11 Wells Fargo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goods and services based on disuse
JP6573267B1 (ja) * 2019-04-11 2019-09-11 Celumix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85660A (zh) * 2021-01-06 2021-04-20 北京明略软件系统有限公司 物料的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7330314B2 (ja) 2021-03-22 202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166B2 (ja) * 1996-12-25 2002-01-07 ユニデン株式会社 情報予約送信方式及び情報予約送信方法並びに送信サーバ
JP2001078171A (ja) * 1999-09-08 2001-03-23 Canon Inc 機器制御装置、カメラ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333225A (ja) * 2000-05-22 2001-11-30 Sony Corp 通信料金情報提供方法および通信料金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366680A (ja) * 2001-06-11 2002-12-20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の無料体験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5341002A (ja) * 2004-05-25 2005-12-0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利用料金管理装置、及び携帯電話端末上利用料金計算システム
US7844215B2 (en) * 2006-08-08 2010-11-30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obile audio content delivery system
US8538378B2 (en) * 2007-08-24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billboard and usage advisor
CN100563214C (zh) * 2007-09-01 2009-1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提高访问网络资源速度的方法及系统
JP5403895B2 (ja) * 2007-10-31 2014-01-29 株式会社東芝 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1340449B (zh) * 2008-08-15 2011-09-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获得上网信息的方法
WO2010034759A1 (en) * 2008-09-23 2010-04-01 Cvon Innovations Ltd Systems, methods, network elements and applications in connection with browsing of web/wap sites and services
JP2011205404A (ja) * 2010-03-25 2011-10-13 Ntt Docomo Inc 装置及びシステム
US8484568B2 (en) * 2010-08-25 2013-07-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ata usage monitoring per application
US20120123870A1 (en) * 2010-11-16 2012-05-17 Gen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ersonalization of data service plans
CN103782540B (zh) * 2011-08-25 2017-04-12 电子创新控股私人有限公司 用于对计算装置提供因特网接入的系统及方法
JP5579157B2 (ja) * 2011-11-29 2014-08-27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サービス推奨装置及びサービス推奨方法
JP5711317B2 (ja) * 2012-08-03 2015-04-30 日本通信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品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941B1 (ko) * 2022-01-21 2022-08-08 구다스얼라이언스 유한회사 트래픽 기반 화장품 신제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1916A1 (en) 2015-09-17
US20150262155A1 (en) 2015-09-17
CN106104599A (zh) 2016-11-09
HK1225840A1 (zh) 2017-09-15
WO2015137886A1 (en) 2015-09-17
RU2016139973A (ru) 2018-04-13
EP3117636A1 (en) 2017-01-18
JP2017513103A (ja) 2017-05-25
EP3117636A4 (en) 2017-08-02
PH12016501781A1 (en) 2016-11-07
TW201546736A (zh) 2015-12-16
SG11201607273WA (en) 2016-09-29
AU2015230032A1 (en) 2016-09-15
JP6587629B2 (ja) 2019-10-09
AR099758A1 (es) 2016-08-17
SG10201702509PA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046A (ko)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및 제품들의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070681B2 (en) Platform for enabling sponsors to sponsor functions of a computing device
JP6023802B2 (ja) ワイヤレス音声、データ及びメッセージング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ためのコアサービスプラットホーム
US2017017819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a sponsored mobile data usage platform
US857732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arrier-centric mobile device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US10097699B2 (en) Advertiser supported bandwidth platform
US88740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mount of data bandwidth provided to a mobile device
US9544195B1 (en) Bandwidth monitoring for data plans
US2011027644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ser-Centric Mobile Device-Based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KR20140009171A (ko) 사용자 통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313532B2 (en) Platform for enabling users to sign up for sponsored functions on computing devices
US8897146B2 (en) Core services platform for wireless voice, data and messaging network services
US20140095690A1 (en) Real time rules engine for policies orchestr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4488223A (zh) 用于内容、服务和接入的收费和计费
US10291789B2 (en) Sharing data and points with group members
US20140372286A1 (en) Platform for enabling sponsored functions of a computing device
US20150381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usage for a service across multiple devices
US10009406B2 (en) Incentivized sharing for toll-free data
US10979907B2 (en) Single-action input to provision a third-party service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1601704B2 (en) Notification for accoun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