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099A -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099A
KR20160131099A KR1020167028096A KR20167028096A KR20160131099A KR 20160131099 A KR20160131099 A KR 20160131099A KR 1020167028096 A KR1020167028096 A KR 1020167028096A KR 20167028096 A KR20167028096 A KR 20167028096A KR 20160131099 A KR20160131099 A KR 2016013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or
connecting element
inlet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뱅 모로
모하메드 이브라힘
프랑소와 부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6013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29Double end plates; Single end plates with hollow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유체(L)와 제 2 유체(G) 사이의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커넥터(30), 및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코어(14)의 측면 단부 플랜지(37)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랜지(37)는 횡방향으로 정렬된 입구/출구 개구(47, 47')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요소(38)는 제 1 유체가 연결 요소(38)의 상기 입구/출구 개구(47, 47')에 대해 경사진 또는 종방향으로 정렬된 커넥터(30)의 입구 및 출구 개구(34, 36)와 코어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연결 요소(38)와 상기 커넥터(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 연장을 갖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CONNECTION DEVICE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SAID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증발기(evaporator)일 수 있다.
플레이트의 스택(stack)에 의해 형성된 번들(bundle)로서, 플레이트의 스택은 번들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과 번들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번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실(passenger compartment)을 위한 공조 장치용으로 의도된 증발기가 알려져 있다. 번들은 측방향 패널로 또한 지칭되는, 2개의 단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유형의 증발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문헌 FR 2 826 437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증발기의 단부 플레이트 중 하나는 각각 증발기 내로의 냉매의 유입 및 상기 유체의 유입을 위한 2개의 포트를 갖는다.
보통 금속 블록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장치에 의해 증발기를 팽창 밸브에 연결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팽창 밸브는 연결 장치의 내부 덕트를 통해 각각 증발기의 입구 및 출구 포트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유체 입구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팽창 밸브의 입구 및 출구 포트의 축은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팽창 밸브의 벌브(bulb)를 통과하는 평면 내에 놓인다.
사용 시에, 증발기의 번들은 보통 수직으로 배열되며, 증발기의 입구 및 출구 포트는 이에 따라 수평으로 개방된다. 연결 장치의 내부 유체 덕트가 직선적인 경우, 팽창 밸브가 이에 따라 또한 수평으로 배향된다.
그러나, 팽창 밸브의 벌브의 작동을 최적화하기 위해,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는 전술된 포트의 평면이 수직으로 배열되거나 수직으로부터 약간 경사지도록 팽창 밸브를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특히 그것의 내부 유체 덕트의 직선 배향이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연결 장치에 대한 설계 문제를 야기한다. 해법이 열교환기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또는, 특히 플레이트 스택의 방향으로, 약간만 그렇게 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전술된 문제를 해소하도록 의도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 1 유체와 제 2 유체 사이의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를 제안하며, 상기 장치는 커넥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번들의 측방향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방향 패널은 횡방향으로 정렬된 입구/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가지며, 상기 연결 요소는 제 1 유체가 연결 요소의 상기 입구/출구 개구에 관하여 경사지거나 종방향으로 정렬된 커넥터의 입구 및 출구 개구와 번들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요소와 상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측방향 패널은 번들과 커넥터 사이에서 제 1 유체를 안내하는 연결 요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의해 커넥터가 원하는 배향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그래서 상기 커넥터의 내부 유체 덕트의 배향이 직선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환경이 그것의 내부 유체 덕트를 향해 커넥터를 연장시키는 자유도를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그 결과, 연결 장치의 연결 요소가 이 방향에 있어서 너무 두꺼울지라도, 그것은 중요하지 않은 영역에서만 너무 두꺼운데, 왜냐하면 그것은 플레이트의 종방향에 있어서 커넥터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을 넘어 연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기의 것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취해질 수 있다:
- 연결 요소의 상기 입구/출구 개구는 번들의 입구 및 출구 수집기의 극단(extremity) 반대편에 배열되도록 설계되고,
- 연결 요소는 커넥터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와 그리고 연결 요소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와 동축으로 배열된 도관, 특히 메인 도관(main conduit)을 갖고,
- 연결 요소는, 상기 요소의 두께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고, 커넥터의 다른 입구/출구 개구와 동축인 극단, 및 연결 요소의 다른 입구/출구 개구와 동축인 반대편 극단을 포함하는 도관, 예를 들어 제 2 도관, 특히 엘보우 도관(elbow conduit)을 갖고,
- 상기 측방향 패널은, 번들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메인 하부 부분, 및 상기 연결 요소의 상부 극단에 가깝게 위치되고 메인 하부 부분에 관하여 주어진 거리(d)만큼 두께 내에서 오프셋된 보조 상부 부분을 갖는 제 1 플레이트를 갖고,
- 상기 측방향 패널은, 두께가 주어진 거리(d)와 일치하고 제 1 플레이트의 보조 상부 부분 상에 안착되는(seated) 제 2 플레이트를 갖고,
-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는 제 1 플레이트의 보조 상부 부분과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요소의 메인 도관 및 제 2 도관을 한정하고,
- 상기 메인 하부 부분은 보강 리브(rib)를 갖고,
- 상기 리브의 높이는 거리(d)보다 작고,
- 제 1 플레이트는 커넥터에 부착되고, 제 2 플레이트는 번들에 부착되도록 설계되고,
-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또한 번들에 부착되도록 설계되고,
- 상기 메인 도관 및/또는 상기 제 2 도관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형성되고,
- 연결 요소 및 커넥터는, 연결 요소 및 커넥터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적절한 크기의 개구를 갖는 케이싱 내에 안착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특히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것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취해질 수 있다:
- 열교환기의 번들과 상기 연결 장치는 경납땜(brazing)에 의해 조립되고,
- 제 1 플레이트의 종방향 및 횡방향 치수는 번들의 높이 및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 개관도,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일부의 사시 분해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극단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연결 요소의 대향하는 면(face)의 사시도.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품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은 "X", "Y", "Z" 축 시스템과 관련하여 배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를 도시한다. 열교환기는 번들(14)을 포함하며, 이 번들은 상기 번들을 통해 유동하는 제 1 유체(L)와 제 2 유체(G) 사이에서 열이 교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번들(14)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파이프(16)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16)는 제 1 유체(L)가 파이프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유체(G)가 파이프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번들은 또한 제 2 유체(G)와의 교환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파이프(16) 사이에 배열된 주름 잡힌 핀(fin) 또는 삽입체(58)(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교환기(10)는 제 1 유체를 위한 유동 파이프(16)를 형성하기 위해 쌍으로 조립된 복수의 플레이트(12)를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12)는 이 경우에 적층 방향 "X"로 적층되고, 플레이트(12)는 수직 방향 "Z" 및 횡방향 "Y"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번들(14)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이다.
플레이트(12)는, 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유체, 특히 플레이트(12)의 파이프 또는 쌍(16)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 특히 R134a, 1234yf, R734a 등으로 알려진 유체와 같은, 액체 및/또는 기체 상의 유체 "L"과, 플레이트의 파이프 또는 쌍(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같은 기체 "G"의 유동을 위한 교번하는 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플레이트(1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길이로는 방향 "Z"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폭으로는 방향 "Y"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12)는, 상부 극단(18)으로 지칭되는 그것의 수직 극단 중 하나에서, 상기 번들의 상부 에지로 지칭되는 하나의 수직 단부 에지(24)를 따라, 플레이트의 쌍(16) 각각에서 제 1 유체 "L"을 위해 상기 플레이트(12), 입구 도관 또는 수집기(26) 및 출구 도관 또는 수집기(28)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도록 설계된 2개의 횡방향으로 정렬된 개구(20, 2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2)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파이프(16) 내부에서, 제 1 유체는 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의 쌍 내의 개구 중 하나(20)로부터 반대편 종방향 극단 - 이 경우에서는 하부 극단 - 을 향해 U-형상의 경로를 따라 유동하며, 이 극단에서 제 1 유체는 출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개구(22)로 다시 유동하기 전에 U-턴을 수행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에는 예를 들어 개구(20, 22)와 플레이트의 반대편 극단 사이에서 제 1 유체를 안내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배열된 내부 칸막이가 제공된다.
열교환기는 또한 번들(14)의 측방향 단부 패널(37)을 갖는다. '측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배향에 따라 평면 Y, Z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패널(37)은 상기 패널(37)과 접촉하는 번들(14), 특히 번들의 측부 에지를 형성하는 삽입체(58)를 적층 방향 X에 있어서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열교환기(10)는 또한 몸체(32), 및 번들(14)의 입구 및 출구 수집기(26, 28)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계된 2개의 외부 입구/출구 개구(34, 36)를 포함하는 커넥터(30)를 갖는다. 상기 입구/출구 개구(34, 36)는, 예를 들어, 이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32) 내부에 형성되고 잠재적으로 노즐로 이어지는 덕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다. 상기 통로는 유리하게는 직선적이고/이거나 평행하며, 특히 방향 X로 배향된다. 상기 커넥터(30)에는 배관 및/또는 팽창 밸브(도시되지 않음)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오리피스, 특히 나사산 형성된(threaded) 오리피스가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커넥터(30)는 번들(14)의 실질적인 연속부(continuation)인데, 즉 그것은 횡방향으로도 수직으로도 돌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12)의 돌출부(도시되지 않음) 내에, 즉 파이프(16) 또는 플레이트(12)의 적층 방향 X에 있어서의 플레이트(12)의 번들(14)의 연속부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패널(37)은, 번들(14)과 커넥터(30) 사이에 개재되고, 번들의 단부 플레이트(12F)의 개구(20, 22)에 그리고 커넥터(30)의 입구/출구 개구(34, 36)에 대응하는, 번들의 입구 및 출구 수집기(26, 28)의 횡방향으로 정렬된 극단을 연결하는 연결 요소(38)를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연결 요소(38)는 특히 번들(14)의 입구 및 출구 수집기(26, 28)와 대면하도록 설계된 입구/출구 개구(47, 47')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커넥터(30)의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34, 36)는 종방향으로, 즉 이 경우에서는 방향 Z로 정렬되거나, 연결 요소(38)의 상기 입구/출구 개구(47, 47')에 관하여 경사지는데, 즉 방향 Y에 관하여 유리하게는 45°또는 60° 초과인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한다. 이것은 커넥터가 원하는 배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요소(38)와 상기 커넥터(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 즉, 방향 Z에 있어서 - 를 갖는다. 이것은 연결 요소(38)가 이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임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측방향 패널(37)은 이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30)의 연속에 있어서 방향 X에 있어서만 열교환기의 크기를 증가시킬 뿐이다.
상기 연결 요소(38)는 커넥터(30)보다 넓을 수 있는데, 특히 측방향 패널(37)의 나머지만큼 넓을 수 있다.
전술한 것에 따라 제 1 유체를 안내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서의 연결 요소(38)는 커넥터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36) 및 연결 요소(38)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47), 예를 들어 출구 수집기(28)와 대면하는 것과 동축으로 정렬된 메인 도관(40)을 갖는다.
연결 요소(38)는 또한 상기 연결 요소(38)의 두께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된 엘보우 도관(42)을 갖는다. 이러한 엘보우 도관(42)은 커넥터(30)의 다른 입구/출구 개구(34)와 동축인 극단(44), 및 연결 요소(38)의 다른 입구/출구 개구(47') - 이 경우에서는 입구 수집기(26)와 대면하는 것 - 와 동축인 반대편 극단(46)을 갖는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요소(38)는 예를 들어 단부 플레이트(12F)에 평행하게 배열된 메인 하부 부분(50) 및, 연속하여, 상기 연결 요소(38)의 상부 극단(54)에 가깝게 위치된 보조 부분(52)을 포함하는 제 1 플레이트(4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요소(38)의 상기 상부 극단(54)은 메인 하부 부분(50)에 관하여 주어진 거리 "d"만큼 종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연결 요소(38)는 또한 제 1 플레이트(48)의 보조 상부 부분(52)과 대면하여 안착된 제 2 플레이트(56)를 갖는데, 제 2 플레이트(56)의 두께는 주어진 거리 "d"와 일치한다.
요소(38)의 메인 도관(40) 및 엘보우 도관(42)은 제 1 플레이트(48)의 보조 상부 부분(52)과 제 2 플레이트(56) 사이에 한정된다.
제 1 플레이트(48)의 보조 상부 부분(52)이 거리 "d"만큼 오프셋된 이러한 배열에서, 제 1 플레이트(48)는 커넥터(30)에 부착되고, 제 2 플레이트(56)는 번들(14)의 단부 플레이트(12F)에, 수집기(26, 28)를 형성하는 그것의 부분에서 그리고 삽입체(58)의 제 1 부분에서 부착된다. 제 1 플레이트(48)의 메인 하부 부분(50)은 이 경우에 삽입체(58)의 상기 제 1 부분을 번들(14)의 저부를 향해 연장시키는 삽입체(58)의 제 2 부분에 부착된다.
이러한 레이아웃(layout)은 유리하게도 제 2 플레이트(56)가 제 1 플레이트(48)와 번들(14)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조립체의 견고성을 보장한다.
기계적 반전(mechanical inversion)을 통해 제 1 플레이트(48)가 번들(14)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56)가 커넥터(30)에 부착될 수 있다. 가능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배열은 더 약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에 제 2 플레이트(56)가 외팔보형(cantilevered) 커넥터(30)에 의해 응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번들(14)은 쌍(16)으로 조립된 플레이트(1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들(14)의 플레이트(12)의 쌍(16) 사이에 개재된, 주어진 두께 "e"의 삽입체(5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 1 플레이트(48)는 단부 삽입체 요소(58)를 측방향 패널(37)과 번들(14)의 단부 플레이트(12F) 사이에 안착시키도록 선택된 두께 "e"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단부 플레이트(12F)로부터 분리된다. 번들(14)의 다른 삽입체 요소(58)와 유사한 삽입체 요소(58)가 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38)의 제 1 및 제 2 플레이트(48, 56)는 시트 금속(sheet metal)의 커팅 및/또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 도관(42)은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플레이트(48, 56) 내로 각각 스탬핑된 2개의 대면하는 L-형상부(60, 62)에 의해 한정된다.
제 1 플레이트(48) 내로 스탬핑된 형상부(62)의 하부 부분은 도관(42)의 극단(44)과 일치하는 제 1 절결부(cutout)를 통해 제 1 플레이트(48) 내로 개방된다. 제 2 플레이트(56) 내로 스탬핑된 형상부(60)의 상부 부분은 도관(42)의 극단(46)과 일치하는 제 2 절결부를 통해 제 2 플레이트(56) 내로 개방된다.
열교환기의 측방향 패널(37)을 한정하는 제 1 플레이트(48)의 상기 메인 하부 부분(50)은, 이 경우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보강 리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100)의 높이는 유리하게는 거리(d)보다 작다.
번들(14)의 플레이트(12) 및 커넥터(30)가 또한 시트 금속의 커팅 및/또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번들(14)의 플레이트(12, 12F), 측방향 패널(37)의 플레이트(48, 56), 및 커넥터(30)의 몸체(32)는 경납땜에 의해, 유리하게는 단일 작업에서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 "L"과 기체 상태의 유체 "G" 사이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열교환기(10)와 관련하여, 플레이트(12)의 번들(14), 연결 요소(38) 및 커넥터(30)의 몸체(32)는, 치수가 보조 상부 부분(52)의 치수와 일치하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케이싱(도시되지 않음) 내에 안착되도록 의도되며, 이에 의해 커넥터(30)가 돌출한다. 상기 연결 요소(38)는 또한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한 케이싱은 전체 번들(14)을 보호하는 것, 그리고 열교환기(10)를 통과하는 기체 "G"를 보내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기체 "G"가 플레이트의 번들(14)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번들(14)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방향 "X"에 수직인 2개의 대향하는 면을 갖는다.
그러한 열교환기(10)는 유리하게도 자동차 내의 공조 회로에 있어서 증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제 1 유체(L)와 제 2 유체(G) 사이의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커넥터(30), 및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번들(bundle)(14)의 측방향 단부 패널(37)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 단부 패널(37)은 횡방향으로 정렬된 입구/출구 개구(47, 47')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요소(38)는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연결 요소(38)의 상기 입구/출구 개구(47, 47')에 대해 경사진 또는 종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커넥터(30)의 입구 및 출구 개구(34, 36)와 상기 번들 사이에서 유동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연결 요소(38)와 상기 커넥터(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8)는,
    상기 커넥터(30)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36) 및 상기 연결 요소(38)의 입구/출구 개구 중 하나(47)와 동축으로 배열된 메인 도관(main conduit)(40), 및
    상기 연결 요소(38)의 두께 내에 실질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커넥터(30)의 입구/출구 개구 중 다른 하나(34)와 동축인 극단(extremity)(44) 및 상기 연결 요소(38)의 입구/출구 개구 중 다른 하나(47')와 동축인 반대편 극단(46)을 갖는 엘보우 도관(elbow conduit)(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단부 패널(37)은,
    상기 번들(1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메인 하부 부분(50), 및 상기 연결 요소(38)의 상부 극단(54)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 하부 부분(50)에 관하여 주어진 거리(d)만큼 상기 두께 내에서 오프셋된 보조 상부 부분(52)을 갖는 제 1 플레이트(48), 및
    두께가 상기 주어진 거리(d)와 일치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보조 상부 부분(52)에 안착되는(seated) 제 2 플레이트(56)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48)의 보조 상부 부분(52)과 상기 제 2 플레이트(56) 사이에 상기 연결 요소(38)의 메인 도관(40) 및 엘보우 도관(42)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부 부분(50)은 보강 리브(rib)(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00)의 높이는 상기 거리(d)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48)는 상기 커넥터(30)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56)는 상기 번들(14)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48)가 또한 상기 번들(14)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또는 엘보우 도관(40, 42)은 상기 제 1 플레이트(48) 및/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56)를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8) 및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연결 요소(38) 및 상기 커넥터(3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적절한 크기의 개구를 갖는 케이싱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열교환기(10)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증발기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번들(14)과 상기 연결 장치는 경납땜(brazing)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67028096A 2014-03-12 2015-03-04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 KR20160131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026A FR3018601B1 (fr) 2014-03-12 2014-03-12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dit dispositif de connexion
FR1452026 2014-03-12
PCT/EP2015/054530 WO2015135813A1 (fr) 2014-03-12 2015-03-04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dit dispositif de connex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099A true KR20160131099A (ko) 2016-11-15

Family

ID=5087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096A KR20160131099A (ko) 2014-03-12 2015-03-04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88246B2 (ko)
EP (1) EP3117173B1 (ko)
JP (1) JP6482571B2 (ko)
KR (1) KR20160131099A (ko)
CN (1) CN106461355A (ko)
BR (1) BR112016020836B1 (ko)
FR (1) FR3018601B1 (ko)
WO (1) WO2015135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6324B (zh) * 2017-09-27 2021-09-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换热器及一种空调系统
DE102017218816A1 (de) 2017-10-20 2019-04-25 Mahle International Gmbh Anschlussanordnung zur fluidischen Versorgung eines Sammelkastens eines Wärmeübertragers
CN110095008A (zh) * 2018-01-27 2019-08-06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一种换热器转接装置
WO2019245334A1 (ko) * 2018-06-21 2019-1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190143818A (ko) 2018-06-21 2019-12-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12460853A (zh) * 2020-11-09 2021-03-0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冷凝蒸发换热器、空调系统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070A (ja) * 1995-08-22 1997-03-07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0179990A (ja) * 1998-12-10 2000-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積層型熱交換器
JP2002195784A (ja) * 2000-12-27 2002-07-10 Japan Climate Systems Corp 熱交換器
JP4190289B2 (ja) * 2001-02-28 2008-12-03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622A (en) * 1982-04-27 1984-11-27 The Garrett Corporation Integral header heat exchanger
US5964281A (en) * 1996-07-31 1999-10-12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with adapter
JP3837621B2 (ja) * 1996-05-23 2006-10-25 昭和電工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81685A (ja) * 1997-03-31 1998-10-23 Zexel Corp 積層型熱交換器
US6179049B1 (en) * 1998-05-18 2001-01-30 Lattimore & Tessmer, Inc.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ted tank and head sheet
JP4328445B2 (ja) * 2000-03-01 2009-09-09 昭和電工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
FR2826437B1 (fr) 2001-06-20 2007-03-02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evaporateur de climatisation de vehicule
JP2003011652A (ja) * 2001-06-29 2003-01-15 Denso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5147427A (ja) * 2003-11-11 2005-06-09 Sanden Corp 積層型熱交換器
US20110108259A1 (en) * 2009-11-06 2011-05-12 Twin Air B.V. Holland Oil Cooler For A Motorized Vehicle
US8434324B2 (en) * 2010-04-05 2013-05-07 Denso Corporation Evaporator unit
FR2966581B1 (fr) * 2010-10-25 2014-12-26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de chaleur avec alimentation en fluide latera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070A (ja) * 1995-08-22 1997-03-07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0179990A (ja) * 1998-12-10 2000-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積層型熱交換器
JP2002195784A (ja) * 2000-12-27 2002-07-10 Japan Climate Systems Corp 熱交換器
JP4190289B2 (ja) * 2001-02-28 2008-12-03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190289호(2008.12.0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7173B1 (fr) 2020-09-09
JP2017509854A (ja) 2017-04-06
BR112016020836B1 (pt) 2021-01-05
US10088246B2 (en) 2018-10-02
JP6482571B2 (ja) 2019-03-13
FR3018601A1 (fr) 2015-09-18
CN106461355A (zh) 2017-02-22
EP3117173A1 (fr) 2017-01-18
FR3018601B1 (fr) 2018-04-27
US20170153070A1 (en) 2017-06-01
WO2015135813A1 (fr)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099A (ko) 열교환기용 연결 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 열교환기
US9909812B2 (en) Heat exchanger
EP2638349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circuit for a vehicle
JP2015534030A (ja) 熱交換器
KR101841373B1 (ko) 증발기를 팽창 밸브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
WO2017097133A1 (zh) 一种换热器
US20140338873A1 (en) Stacked-Plate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llector
WO2014205799A1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s
CN105580505A (zh) 用于冷却电气元件的热交换器
EP2982924A1 (en) Heat exchanger
US9989314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WO2018123335A1 (ja) インタークーラ
CN106855327B (zh) 一种换热器
WO2016175193A1 (ja) 熱交換器
CN109595951B (zh) 一种换热装置
CN215295918U (zh) 一种换热器
JP6111024B2 (ja) 熱交換器
KR100943573B1 (ko) 열교환기
JP2014001897A (ja) 熱交換器
US9234708B2 (en) Heat exchanger folded from a single metal sheet and having two separate chambers
CN112033184A (zh) 换热器及其制造方法
EP3757503A1 (en) Heat exchanger with a connector
CN114608360A (zh) 一种换热器
JP2009008371A (ja) 熱交換器
CN114593618A (zh) 一种换热组件及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