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255A -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255A
KR20160130255A KR1020167026900A KR20167026900A KR20160130255A KR 20160130255 A KR20160130255 A KR 20160130255A KR 1020167026900 A KR1020167026900 A KR 1020167026900A KR 20167026900 A KR20167026900 A KR 20167026900A KR 20160130255 A KR20160130255 A KR 2016013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receiving
signal
reception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템페이 곤도
노리아키 시교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Abstract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飛翔體)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중앙국은,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비상체의 위치 측위(側位)를 실행한다. 수신국은,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군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관련시켜진 수신 신호군을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POSITION OF FLYING OBJECTS}
본 발명은, 복수의 수신국에서 위치 특정의 대상인 비상체(飛翔體)로부터 송출된 신호파를 받아서, 당해 비상체의 위치 측위(測位)를 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당해 시스템에 이용되는 수신국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은 예를 들면 항공기의 위치 측위에 이용할 수 있다.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수신국에서 임의의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신호파를 받았을 때에 각각의 수신국이 그 신호파를 정확한 수신 시각과 관련시킴으로써, 각각의 수신 타이밍을 대조하여 비상체의 위치 측위가 가능해진다.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에 관련되는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항공기의 측위를 중앙국과 복수의 수신국에서 실시하는 항공기 위치 측위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항공기의 측위를 실시할 때에, 수신 신호파에 타임스탬프를 부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각각의 수신국의 기준 시각을 높은 정밀도로 동기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항공기에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를 송출시키는 질문 신호를 송출하는 2차 감시 레이더 시스템(SSR 시스템 :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System)을 갖고, 항공기로부터의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의 종별을 중앙국에서의 정보 처리로 판별 가능케 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10-23044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12465호 공보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는, 항공기로부터 복수 종류의 신호파를 각 수신국이 받아 중앙국에서 위치 측위에 사용할 때에, 임의의 비상체가 송출한 복수의 신호파를 각 수신국이 동일 비상체가 송출한 신호파군으로서 식별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 때문에, 각 수신국은, 중앙국에게, 수신 시각을 부여한 다량의 신호파에 관한 정보를 기본적으로 모두 송출하고, 그 후에 중앙국이 각종 정보 처리(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2에서 개시한 방법)에 의해서 비상체의 위치를 특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는 몇 가지 개선점이 필요하다. 하나는, 각 수신국과 중앙국 사이에서 오가는 정보 양의 저감을 들 수 있다. 또한, 중앙국에서의 연산 처리 리소스의 양도 상기 기술에서는 다량으로 되기 때문에 개선이 요망된다.
상기 특허문헌 1이나 2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각 수신국에서 임의의 비상체가 송출한 복수의 신호파를 동일 비상체가 송출한 신호파군으로서 식별해서, 중앙국 등에서 생기는 처리 부담을 저감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이고,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은,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고,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군을 검출하고,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고,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국을, 각각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로서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각 수신국에서 임의의 비상체가 송출한 복수의 신호파를 동일 비상체가 송출한 신호파군으로서 식별해서, 중앙국 등에서 생기는 처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수신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기존의 SSR 응답 신호의 신호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기존의 SSR 응답 신호의 신호 형성 룰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위상차 검출부)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신호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리플라이(펄스열)군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국에서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비상체인 항공기의 기하학적 위치를 중앙국에서 멀티레터레이션(multilateration) 처리(쌍곡선 측위)를 실시함으로써 측위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중앙국에서의 비상체의 위치 측위 방법은 멀티레터레이션 처리(쌍곡선 측위)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앙국에서는, 각 수신국 간의 수신 시각차(TDOA :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해서 항공기의 기하학적 위치를 측위한다. 이 멀티레터레이션 처리를 위하여 각 수신기는, 항공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신호파와 그 신호파의 수신 시각을 관련시켜서 중앙국에 통지한다. 또한, 항공기는 신호파로서 복수 종류의 신호파를 이용한다. 각 신호파를 송출할 때에 항공기(무선기)가 이용하는 반송파 주파수는 동일 주파수를 이용한다.
또한, 기존의 항공기 위치 측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본 시스템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항공기는, 각 신호파로서 모드 A 응답 신호, 모드 C 응답 신호, 모드 S 응답, 스퀴터(squitter) 신호를 송출하는 예를 설명한다.
모드 A 및 모드 C 응답 신호는 항공기가 기존 SSR 장치로부터의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송출하는 응답 신호이다. 기설의 기존 SSR 시스템에서는, 항공기는 모드 A 및 모드 C의 각 질문 신호에 동기한 모드 A 및 모드 C 응답 신호를 응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항공기(A)의 위치를 중앙국(20)에서 측위한다. 본 시스템에는 복수의 수신국(10)(10-1∼10-4)과 중앙국(20)에 부가해 SSR 시스템으로서 송수신국(30)을 포함한다.
각 수신국(10)은, 항공기(A)로부터 송출된 모드 A나 모드 C 등의 복수의 응답 신호를 방수(傍受)해서, 수신한 모드 A나 모드 C 등의 응답 신호들에 수신 시각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부여하고 중앙국(20)에 통지한다.
이때, 각 수신국(10)은, 각각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군(이 경우는 항공기(A)로부터 송출된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군)을 검출한다. 그 후, 각 수신국(10)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고, 수신 시각을 부여해서 중앙국(20)에 각종 정보가 식별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지한다. 예를 들면, 수신국(10)은, 모드 A 응답 신호 및 모드 C 응답 신호를 관련시켰을 경우에, 모드 A/C 응답 신호로서 중앙국(20)에게 통지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각 수신국(10)은 축차로, 상기 항공기(A)로부터 송출되는 각종 신호에 대하여, 개개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의 위상을 이용해서,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키고, 동일한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응답 신호군으로서 간주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중앙국(20)에 통지한다.
이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를 관련시킬 때에, 예를 들면 거의 동일 타이밍으로 송출되고 있는 동일 종류의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해도 된다. 또한, 이 일괄 처리는 반드시 하나 이외를 삭제하지 않아도 그 수를 줄이면 유익하게 작용한다.
환언하면, 일정한 상관을 가진 동일한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응답 신호군으로서 간주된 수신 신호를 수신국(10)에서 집약(일원화)한다. 한편, 일정한 상관을 가진 동일한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응답 신호군으로서 간주된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 상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면 된다.
중앙국(20)에서는, 각 수신국(10)으로부터 통지된 비상체(A)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의 각 수신국(10)에의 도달 시각에 관한 정보를 한데 묶어서, 비상체(A)의 위치 측위를 실행한다. 또한, 중앙국(20)은 비상체(A)가 송출한 각 응답 신호로부터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정보(예를 들면, 식별 코드나 고도 정보)를 취득한다.
중앙국(20)에는, 각 수신국(10)에 의해, 일정한 상관을 가진 복수의 수신 신호가 관련시켜진 정보(집약 통지 정보)가 통지된다. 이 때문에, 개개의 수신국(10)에서 수신 신호가 관련시켜지지 않고 통지되는 시스템에 비해, 동일 내용의 수신 신호에 관한 정보 처리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해지는 처리 리소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 구성을 채용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임의의 항공기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각 수신국이 임의의 항공기가 송출한 1 내지 복수 종류의 신호파를 관련시켜서 타깃 정보로서 통지할 수 있으며, 각 수신국으로부터 타깃 정보를 접수하여 중앙국에서 항공기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국(10)의 구성예 및 처리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각종 기존 구성 요소는 기재를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도 2는 수신국(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수신국(10)은 수신부(11), 신호 처리부(12), 송신부(13)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11)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복수의 신호파를 받아서 그 복수의 신호파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11)는 각각 수신 신호의 반송파의 위상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반송파 신호를 신호 처리부(12)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2)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참조하여, 수신 신호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 주기 상호의 위상 차이에 의거해, 동일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신호파로 간주할 수 있는 수신 신호(즉,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갖고 있는 수신 신호)를 관련시킨다. 또한, 신호 처리부(12)는 수신 신호에 수신 시각(자국에의 도달 시각에 관한 정보)을 부여해서 송신부(13)로 출력한다.
송신부(13)는 각 수신 신호를 집약 통지 정보로서 중앙국(20)에 통지한다. 또한, 중앙국(20)은 필요에 따라서 개개의 수신 신호를 개별적으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신호 처리부(1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14),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15),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16), 시각 정보 부여부(17)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14)와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15)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본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시스템 요구에 맞춰서 신호 처리부(12)를 구축하면 된다.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14)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참조하여, 수신 신호 각각에 포함되어 있던 반송파의 위상을 식별해서, 각각의 수신 신호가 갖고 있던 반송파 주기의 상(相) 상태를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15)에 출력한다. 반송파의 위상량은, 수신국(10)에서 생성하는 기준파를 이용해서 수치화해도 되고, 임의의 수신 신호의 반송파를 기준파로 해서 다른 수신 신호의 반송파의 위상을 수치화해도 된다.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15)는, 각각의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기의 상 상태 상호의 위상차 양에 따라서,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관이 있는 수신 신호군을 나타낸 수신 정보 상관 정보를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16)에 통지한다.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16)는 수신 정보 상관 정보로 통지를 받은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킨다.
시각 정보 부여부(17)는 수신 시각을 부여한다. 시각 정보는 물론 고정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수신국(10) 간에서 고정밀도로 동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신호군을 일괄한 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시각은, 예를 들면 일괄하는 수신 신호들 중에서 최초에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이나 마지막으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과 같이, 미리 설정한 규정 룰에 준거해서 부여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개개의 수신국(10)은, 각 수신 신호의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군을 관련시켜서, 중앙국(20)에 각각의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을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각 수신국으로부터 중앙국에 통지하고 있던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어서, 중앙국 등에서 생기는 처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항공기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 신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항공기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는, SSR 시스템으로부터 질문 신호로 요구에 따라서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 SSR 모드 C 응답 신호 및 모드 S 응답 신호 또는 SSR 확장 스퀴터 신호를 4국 이상의 수신국에서 각각 수신 처리(상관 판정, 시각 부여)한 후에, 각 수신국으로부터 통지된 수신 신호군을 중앙국에서 멀티레터레이션 처리하여 항공기의 위치 측정을 행한다.
항공기는, ATCRBS 트랜스폰더를 탑재하고 있으며, 펄스파를 나열한 응답 신호(펄스열)를 1090㎒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송출한다.
각 수신국(10)은, SSR 모드 A 응답 신호나 SSR 모드 C 응답 신호의 각 펄스를 구성하고 있는 반송파(1090㎒ 신호)와 자국의 기준 주파수 발진기에서 생성된 기준파(1090㎒ 신호)와의 위상차를 우선 구하고, 그 후 각 응답 신호 간의 위상차를 비교한다. 이 2단계의 비교로, 각 수신국(10)은, 위상차 양이 문턱값 범위 내에서 일치해 있는 응답 신호 상호를,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킨다.
그 결과, 많은 응답 신호가 다수의 항공기로부터 송출되는 커버리지 환경이어도, 동일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응답 신호를 일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항공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는 각각 개별적으로 일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항공기가 어지러이 날고 있는 커버리지 내에서, 임의의 항공기(A)로부터 비동기로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와 SSR 모드 C 응답 신호를, SSR 모드 A/C 응답 신호로서 시각 정보를 부여하여 중앙국(20)에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국(20)측에서 항공기(A)의 위치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멀티레터레이션 처리에 요하는 리소스량 등을 삭감할 수 있다.
[구성]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수신국(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국(100)은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송신부(130), 시각 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110)는,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항공기의 고주파 SSR 응답 신호를 수신파로서 안테나로부터 축차 접수하여 각 수신 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부(110)는 수신파를 증폭기(111), 수신 처리부(112), 수신 비디오 생성부(113)를 통해서 신호 처리함으로써 수신 비디오를 생성한다.
이 신호 처리 과정에서, 수신부(110)는 각각의 수신 신호의 반송파의 페이즈를 신호 처리부(120)에서 취득 가능하도록, 신호파를 분기해서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한다. 이 분기에서는, 고주파 SSR 응답 신호 자체를 분기해도 되고, 신호 부분만을 분기해도 되고, 개개의 펄스 마다 개별로 분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20)는, 리미팅 증폭부(121), 위상차 검출부(122), 펄스 위상차 상관부(123-1),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 브래킷 펄스 검출부(124), 리플라이 처리부(125), 목표 상관부(126), ATCRBS 응답 처리부(127), 모드 S 응답 처리부(128), 타깃 정보 생성부(129)를 이용해서 구성된다.
여기에서, 위상차 검출부(122)는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펄스 위상차 상관부(123-1) 및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는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목표 상관부(126) 및 ATCRBS 응답 처리부(127)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시각 정보 부여부로서 동작한다.
리미팅 증폭부(121)는, 수신부(110)로부터 분배된 각 신호파를 수신 강도에 의한 영향차를 없애도록 제한 증폭해서, 위상차 검출부(122)에 각 제한 증폭 신호파를 출력한다.
위상차 검출부(122)는 1090㎒ 기준 신호를 기준으로 제한 증폭된 각 신호파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의 위상을 검출한다. 즉, 고주파 SSR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를 구성하고 있는 반송파와 기준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한다. 또한, 이 기준 신호의 1090㎒는 항공기가 이용하는 반송파 주파수이다. 반송파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처리하고 싶을 경우, 위상차 검출부(122)는 그 처리하고 싶은 주파수의 기준 신호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복수 종류의 반송파 주파수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복수 종류의 반송파 기준 신호를 접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펄스 위상차 상관부(123-1)는, 브래킷 펄스 검출부(124)에서 검출된 SSR 응답 신호의 브래킷 펄스(후술하는 도 6의 2. F1, F2 참조)에 의거하여, 펄스마다의 반송파의 위상차가 문턱값 범위 내에서 일치해 있는 펄스 신호군을 동일 펄스 신호열로 간주하는 판별 처리를 실시한다. 펄스 위상차 상관부(123-1)는, 동일 항공기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열로 간주할 수 있는 펄스 신호군으로부터 리플라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플라이 데이터를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에 보낸다. 이 처리에 의해서, 예를 들면 멀티패스파나 다른 항공기의 신호 등과 섞인 펄스파군이어도, 동일 항공기의 직접파(동일 경로)의 펄스파군만으로 구성된 응답 신호가 추출된다.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는, 리플라이 데이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위상차 정보와 다음으로 입력된 리플라이 데이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위상차 정보(다른 펄스파열)의 상관 검출에 의해, 위상차가 문턱값 범위 내에서 일치해 있는 리플라이 데이터 상호를 식별한다.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는, 상관 검출을 실시한 응답 신호군에 대하여, 판정 결과를 타깃 리플라이 상관 데이터로서 목표 상관부(126)에 보낸다. 이 판정 결과에 의해서, 다른 타이밍으로 수신한 응답 신호군이어도 동일 항공기로부터 송출되고 있었던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면 그룹화할 수 있다.
목표 상관부(126)는, 리플라이 처리부(125)에서 생성된 각 응답 신호(타깃 리플라이 데이터)에 시각 정보를 관련시킴과 함께,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에서 생성된 타깃 리플라이 상관 데이터에 따라, 각 응답 신호를 동일 항공기의 타깃 정보로서 관련시켜서 ATCRBS 응답 처리부(127)에 출력한다.
또한, 목표 상관부(126)는, 타깃 리플라이 상관 데이터에 따라, 소정 기간 내에서 동일 항공기로부터 동일한 종별의 타깃 정보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었던 타깃 정보를 파기한다. 이 소정 기간은 임의로 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항공기가 출력한 응답 신호군을 일괄할 때에, 모드 A 응답 신호나 모드 C 응답 신호가 연속해서 보내져 오는 기간을 근거로 한 설정값이면, 백 수십 밀리초를 설정값으로 할 수 있다. 이 소정 기간에 의하면, 후술하는 도 7의 하나의 리플라이열에 포함되는 동일 종류의 응답 신호를 일괄할 수 있다. 설정값은 시스템 요구에 맞춰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이 처리에 의해서 중앙국의 처리 부하의 경감이 도모된다.
ATCRBS 응답 처리부(127)는, 상관이 취해진 타깃 정보군을 동일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신호군으로서 묶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값의 리플라이 데이터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최종적인 모드 A/C 타깃 정보로서 타깃 정보 생성부(129)에 출력한다.
모드 S 응답 처리부(128)는, 시각 정보를 부여하고, 수신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모드 S 타깃 정보 및 모드 S 스퀴터 타깃 정보를 타깃 정보 생성부(129)에 출력한다.
타깃 정보 생성부(129)는, 모드 S 응답 처리부(128)로부터 수신한 모드 S 타깃 정보 및 모드 S 스퀴터 타깃 정보와, ATCRBS 응답 처리부(127)로부터 수신한 SSR 모드 A/C 타깃 정보를 혼합한 소정 형식의 타깃 정보(집약 통지 정보)를 생성해서 통지부(130)에 출력한다. 또한, 목표 상관부(126)나 모드 S 응답 처리부(128)에서 부여된 시각 정보는, 반드시 수신 신호군 전부의 시각 정보를 남겨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120)는, 출력하는 타깃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종류마다, 최초에 수신한 동일 종류의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120)는 마지막으로 수신한 동일 종류의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를 일괄한 신호에 대해서도, 최초에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이나, 특정 종류의 최초에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시각과 같이, 신호 처리부(120)는 미리 설정된 규정룰에 준거해서 부여하는 수신 시각을 결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드 A/C 응답 신호로 일괄한 리플라이군이면, 최초에 수신한 고도 정보를 나타내는 모드 C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을 모드 A/C 응답의 수신 시각으로서 채용하는 일례를 들 수 있다.
통지부(130)는, 중앙국(200)에, 수신 시각을 부여한 동일한 항공기로부터 출력된 신호파군을 타깃 정보(집약 통지 정보)로서 출력한다.
시각 정보 생성부(140)는, 본 구성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41) 및 시각 동기 신호 생성부(142)를 갖는다. 또한, 시각 정보 생성부(140)는, GPS 신호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이외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고정밀도 시계 등으로 시각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수신국 간이나 중앙국 간의 동기 방법도 GPS 이용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동기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이 수신국(100)을 포함하는 항공기 위치 측정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관계와 마찬가지이며 복수의 수신국(100-1∼100-4) 및 중앙국(200)으로 이루어진다.
수신국(100-1∼100-4) 및 중앙국(200)은 GPS 위성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GPS 신호를 이용해서 국간 동기 및 시각 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있다.
각 수신국(100-1∼100-4)은 각각, 수신부(110)에서, 시스템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타깃 항공기 및 다른 항공기로부터 모드 A 응답, 모드 C 응답, 모드 S 응답/확장 스퀴터 신호를 축차 수신한다.
각 수신국(100-1∼100-4)은 각각, 신호 처리부(120)에서, 수신한 각종 신호를 신호 해독하여, 수신 신호군을 식별한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를 일괄함과 함께 시각의 타임스탬프를 부여해서, 송신부(130)로부터 중앙국(200)에 항공기마다의 타깃 정보를 통지한다.
중앙국(200)은, 수신한 각각의 타깃 정보에 부여된 도착 시각의 타임스탬프로부터, 개개의 항공기가 송출한 신호파의 각 수신국(100-1∼100-4)에의 도착 시각차에 의거해서 항공기마다의 위치 측위를 실시한다. 이 위치 측위에서는 4국 이상으로, 고도를 포함하는 항공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될 수 있다.
모드 A/C 질문 신호/응답 신호를 이용하는 기존의 항공기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는, 항공기의 모드 A/C 응답 신호가 비동기로 운용되어 있으며, 또한 각 수신국에서는, 감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1 내지 복수의 항공기의 모드 A/C 응답 신호를 모두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수신국에서, 수신한 응답 신호를, 어느 1대의 항공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로서 하나로 묶는 것을 기존의 항공기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는 할 수 없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이 비동기의 모드 A 및 모드 C 응답 신호를 각각의 수신국에서 종별을 근거로 해서 하나로 묶는다. 이 때문에, 기존의 수신국에서 행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한 모든 응답 신호를 중앙국에 통지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그 결과, 중앙국(200)과 각 수신국(100) 간의 타깃 정보의 통신 회선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팽대한 타깃 정보를 중앙국(200)이 처리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처리 리소스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통신 회선 용량의 삭감으로, 수신국-중앙국 간의 거리 연장이 용이해지며,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커버리지 확대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중앙국(200)에서의 1 항공기당에 요하는 처리 리소스를 저감함으로써, 동시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항공기 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한 다수의 수신 신호의 반송파의 상관을 조사해서 일괄하는 구조를 수신국(100)에 도입함으로써, 시스템의 탐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항공기의 트랜스폰더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존 신호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기존의 SSR 응답 신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공기(트랜스폰더)로부터 송출되는 신호파는, 1090㎒ 반송파를 이용해서 펄스 형상으로 전파를 온/오프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펄스열을 형성한다.
SSR 모드 A 신호와 SSR 모드 C 신호, 및 SSR 모드 A/C 신호의 관계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6은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위상차 검출부)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신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국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1090㎒의 기준파)와, 수신 SSR 응답 신호의 각 펄스를 형성하고 있는 신호파(항공기 트랜스폰더의 반송파 : 1090㎒)는, 동일 주기이지만 위상이 변동하는 관계에 있다. 도면 중의 TA 및 TB는 각 펄스 신호의 기준 신호에 대한 지연/진행 시간이다. 이 시간이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도면 중 θA, θB)에 상당한다.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는, 이 위상차를 대비해서 동일 위상차로 간주할 수 있는 펄스는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펄스로 취급한다. 한편, 다른 비상체나 다른 시간(위치)으로부터 송출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펄스열의 펄스를 형성하고 있는 신호파(반송파)는 다른 위상차의 값으로 되기 때문에 비상관(非相關)으로 된다.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는, 비상관의 펄스는 다른 수신 신호(펄스 신호열의 일부)로서 취급한다.
이 상관 관계의 검출에 의해서, 다른 위상차를 갖는 펄스(멀티패스 노이즈나, 다른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펄스)를 수신 신호를 형성하는 펄스열에 포함되지 않는 펄스로서 취급함으로써,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펄스만으로 펄스열(수신 신호)을 식별 가능해진다.
그 결과, 노이즈 내성을 가져, 도 6의 2. 수신 SSR 응답 신호(F1 내지 F2의 펄스열)를 하나의 묶음으로 판별해서 하나의 리플라이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비상체로부터 거의 동일 시간(위치)에 송출된 동일 종별이나 다른 종별의 리플라이를 식별할 수 있어 일괄할 수 있다.
도 7은,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15),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123-2))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리플라이(펄스열)군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개개의 상자가 하나의 리플라이를 가리키고 있다.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에서는, 리플라이 상호의 판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리플라이와 다른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리플라이를 구별할 수 있다. 이 구별한 결과를 이용하면 각각의 비상체마다 하나의 리플라이열로서 일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존의 항공 신호이면, 도 7의 "1. SSR 응답 신호군(리플라이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항공기로부터의 모드 A 및 모드 C 응답 신호는 일반적으로 수 밀리초 간격으로 6∼15 응답이 SSR의 질문 신호에 대해서 송출된다.
이와 같이 수신국은, 리플라이마다 기준 신호를 이용한 위상차 판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거의 같은 위상으로 되는 리플라이 상호를 종별을 근거로 해서 일괄할 수 있다.
그 결과, 도면 중에 나타내고 있는 2대의 비상체의 리플라이열과 같이, 복수의 비상체로부터, 다른 시각에 각각 송출된 응답 신호군(리플라이열)을 수신했다고 해도, 수신국은 응답 신호 상호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응답 신호 상호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 공역에 존재하는 항공기마다 가령 비동기로 송출되는 복수 신호여도 각 수신국에서 반송파를 참조함으로써 수신국은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켜서 중앙국에 통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각 수신국에서 임의의 비상체가 송출한 복수의 신호파를 동일 비상체가 송출한 신호파군으로서 식별해서, 중앙국 등에서 생기는 처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수신국의 신호 처리부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이용해서 실현해도 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한 형태에서는, RAM(Random Access Memory)에 수신국용 프로그램이 전개되고, 프로그램에 의거해서 제어부(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각 부를 실현하면 된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비일시적으로 기록되어 배포되어도 된다.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유선, 무선, 또는 기록 매체 자체를 통해서, 메모리에 읽어들여져 제어부 등을 동작시킨다. 또한, 기록 매체를 예시하면, 광학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장치, 하드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를 다른 표현으로 설명하면, 이 프로그램은, 수신국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를, 수신 신호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의 위상을 참조해, 반송파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수신 신호를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도록 동작시킨다.
또한, 수신국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이 프로그램에 의거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 송신 수단을 동작시킨다. 처리 플로차트예를 나타내면 도 8과 같아진다. 도 8에 나타낸 처리 플로에서는, 수신국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부로서 각 수신 신호의 반송파 위상을 식별(S101)하고, 수신 신호 간의 상관을 검출(S102)하고, 상관한 수신 신호를 관련시켜(S103), 적절히 시각 정보를 부여(S104)한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도시해서 설명했지만, 그 블록 구성의 분리 병합, 수순의 교체 등의 변경은 본 발명의 취지 및 설명되는 기능을 만족시키면 자유이며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부기는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2]
상기 수신국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3]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동일 종류의 복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함과 함께,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4]
상기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상기 복수 신호로서, 상기 반송파를 이용해서 형성된 펄스파를 나열한 펄스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하나의 수신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펄스마다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을 참조해, 일정한 상관을 갖는 펄스들을 일괄해서 하나의 수신 신호로서 취급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5]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측위 대상으로 되는 비상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파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를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차 상호를 대비해서 상관을 검출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6]
상기 수신국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관을 검출할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제한 증폭한 후에, 상기 기준파를 이용해서 일정한 상관을 가진 반송파를 갖는지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7]
상기 수신국은,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상기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킬 때에, 상관의 유무를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 양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8]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 및 SSR 모드 C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타깃 정보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복수의 상기 타깃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항공기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국은,
복수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펄스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하나의 응답 신호로서 간주함과 함께,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다른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하나의 응답 신호군으로 관련시키는 신호 처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응답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부기 9]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수신국.
[부기 10]
상기 수신국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의 수신국.
[부기 11]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동일 종류의 복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함과 함께,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2]
상기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상기 복수 신호로서, 상기 반송파를 이용해서 형성된 펄스파를 나열한 펄스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하나의 수신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펄스마다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을 참조해, 일정한 상관을 갖는 펄스들을 일괄해서 하나의 수신 신호로서 취급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3]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측위 대상으로 되는 비상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파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를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차 상호를 대비해서 상관을 검출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4]
상기 수신국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관을 검출할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제한 증폭한 후에, 상기 기준파를 이용해서 일정한 상관을 가진 반송파를 갖는지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5]
상기 수신국은,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상기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킬 때에, 상관의 유무를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 양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6]
상기 수신국은,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 및 SSR 모드 C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타깃 정보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는,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펄스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하나의 응답 신호로서 간주하고,
상기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는,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다른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하나의 응답 신호군으로 관련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국.
[부기 17]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고,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고;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며; 또한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18]
상기 수신국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19]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동일 종류의 복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함과 함께,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0]
상기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상기 복수 신호로서, 상기 반송파를 이용해서 형성된 펄스파를 나열한 펄스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하나의 수신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펄스마다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을 참조해, 일정한 상관을 갖는 펄스들을 일괄해서 하나의 수신 신호로서 취급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1]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측위 대상으로 되는 비상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파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를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차 상호를 대비해서 상관을 검출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2]
상기 수신국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관을 검출할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제한 증폭한 후에, 상기 기준파를 이용해서 일정한 상관을 가진 반송파를 갖는지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3]
상기 수신국은,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상기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킬 때에, 상관의 유무를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 양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판별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4]
상기 수신국은,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 및 SSR 모드 C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타깃 정보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고,
상기 수신국은,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펄스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하나의 응답 신호로서 간주하며, 또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다른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하나의 응답 신호군으로 관련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부기 25]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국의 제어부를,
각각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및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
[부기 26]
상기 제어부에,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의 프로그램.
[부기 27]
상기 제어부에,
상기 수신 신호군을 관련시킬 때에,
동일 종류의 복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함과 함께,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28]
상기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상기 복수 신호로서, 상기 반송파를 이용해서 형성된 펄스파를 나열한 펄스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하나의 수신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펄스마다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을 참조해, 일정한 상관을 갖는 펄스들을 일괄해서 하나의 수신 신호로서 취급하게 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29]
상기 제어부에,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측위 대상으로 되는 비상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파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를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차 상호를 대비해서 상관을 검출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30]
상기 제어부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관을 검출할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제한 증폭한 후에, 상기 기준파를 이용해서 일정한 상관을 가진 반송파를 갖는지 판별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31]
상기 제어부에,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상기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킬 때에, 상관의 유무를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 양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판별시키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32]
상기 제어부에,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펄스군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하나의 응답 신호로서 간주하게 하며, 또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다른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하나의 응답 신호군으로 관련시키게 하는,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부기 33]
상기 부기 기재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비일시적으로 기록한 기록 매체.
이 출원은, 2014년 3월 4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4-041172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도입한다.
10(10-1∼10-4) : 수신국
11 : 수신부
12 : 신호 처리부
13 : 송신부
14 : 수신 신호 반송파 위상 식별부
15 : 수신 신호 상관 검출부
16 :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17 : 시각 정보 부여부
20 : 중앙국
30 : 송수신국
100 : 수신국
110 : 수신부
111 : 증폭기
112 : 수신 처리부
113 : 수신 비디오 생성부
120 : 신호 처리부
121 : 리미팅 증폭부
122 : 위상차 검출부
123-1 : 펄스 위상차 상관부
123-2 : 리플라이 위상차 상관부
124 : 브래킷 펄스 검출부
125 : 리플라이 처리부
126 : 목표 상관부
127 : ATCRBS 응답 처리부
128 : 모드 S 응답 처리부
129 : 타깃 정보 생성부
130 : 송신부
140 : 시각 정보 생성부
141 : GPS 수신기
142 : 시각 동기 신호 생성부

Claims (12)

  1.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飛翔體)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側位)를 실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동일 종류의 복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를 제외하고 삭제함과 함께, 다른 종류의 수신 신호는 하나의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켜서,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상기 복수 신호로서, 상기 반송파를 이용해서 형성된 펄스파를 나열한 펄스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하나의 수신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펄스마다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을 참조해, 일정한 상관을 갖는 펄스들을 일괄해서 하나의 수신 신호로서 취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상기 수신 신호들을 관련시킬 때에,
    측위 대상으로 되는 비상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파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를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차 상호(相互)를 대비(對比)해서 상관을 검출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6.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의 상관을 검출할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제한 증폭한 후에, 상기 기준파를 이용해서 일정한 상관을 가진 반송파를 갖는지 판별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반송파 주기에 일정한 상관을 가진 상기 수신 신호 상호를 관련시킬 때에, 상관의 유무를 상기 기준파에 대한 위상차 양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판별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8.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항공기로부터 송출된 SSR 모드 A 응답 신호 및 SSR 모드 C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타깃 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중앙국에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복수의 상기 타깃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항공기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국은,
    복수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를 이루고 있는 펄스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펄스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하나의 응답 신호로서 간주함과 함께,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다른 종류의 상기 응답 신호를 하나의 응답 신호군으로 관련시키는 신호 처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응답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9.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및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중앙국에 통지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의 수신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은,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에 일괄해서 수신 시각을 부여하여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수신국.
  11. 복수의 수신국과 중앙국을 포함하는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국은,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복수 신호를 각각 수신 신호로서 수신하여, 상기 중앙국에 각각의 수신 신호를 각각 통지하고,
    상기 중앙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국으로부터 각각 통지된 상기 비상체가 송출한 각 수신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비상체의 위치 측위를 실행하고,
    상기 수신국은, 상기 복수의 수신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각각의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고;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며; 또한
    관련시켜진 상기 수신 신호군을 상기 중앙국에 통지하는
    비상체 위치 측위 방법.
  12.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국을,
    각각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반송파와 기준파의 위상차를 참조해서, 일정한 상관을 갖는 수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 신호 위상차 검출부; 및
    소정 범위 내의 위상차를 가진 수신 신호들을 동일 비상체로부터 송출된 수신 신호군으로서 관련시키는 수신 신호 관련 부여부
    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67026900A 2014-03-04 2015-02-24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KR20160130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1172 2014-03-04
JP2014041172 2014-03-04
PCT/JP2015/056022 WO2015133415A1 (ja) 2014-03-04 2015-02-24 飛翔体位置測定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255A true KR20160130255A (ko) 2016-11-10

Family

ID=5405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00A KR20160130255A (ko) 2014-03-04 2015-02-24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15133415A1 (ko)
KR (1) KR20160130255A (ko)
WO (1) WO2015133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6596A1 (de) * 2015-09-30 2017-03-30 Wobben Properties Gmbh Windparkflugbefeuerungssystem sowie Windpark damit und Verfahren zur Befeuerung eines Windpa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26A (ja) * 1994-06-16 1996-01-12 Nec Corp 二次監視レーダ装置
JP2010230448A (ja) 2009-03-26 2010-10-14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受信局、航空機位置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12465A (ja) 2009-11-25 2011-06-09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応答信号判別方法及び応答信号判別プログラム
JP2011209211A (ja) * 2010-03-30 2011-10-20 Nec Corp 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システム、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受信局の信号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26A (ja) * 1994-06-16 1996-01-12 Nec Corp 二次監視レーダ装置
JP2010230448A (ja) 2009-03-26 2010-10-14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受信局、航空機位置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12465A (ja) 2009-11-25 2011-06-09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応答信号判別方法及び応答信号判別プログラム
JP2011209211A (ja) * 2010-03-30 2011-10-20 Nec Corp 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システム、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受信局の信号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415A1 (ja) 2015-09-11
JPWO2015133415A1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7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ming services and DME aided multilateration for ground surveillance
US9218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navigation based on diverse ranging algorithm using ADS-B messages and ground transceiver responses
EP1751580B1 (en) High precision surveillance system by means of multilateration of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ssr) signals
US201000018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me reply efficiency
US7557754B2 (en) Method for use in a multilateration system and a multilateration system
US201300098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 baseline, low cost determination of airborne aircraft location
JP5115580B2 (ja) 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システム、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受信局の信号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KR101690848B1 (ko) 이동체 위치 측정 시스템, 중앙 처리부 및 이들에 사용되는 질문 제어 방법
KR101635871B1 (ko) 이동체 위치 측정 시스템, 중앙국 및 그들에 이용되는 질문 제어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 매체
EP2927708B1 (en) Target detection apparatus and target detection method
KR20160130255A (ko) 비상체 위치 측정 시스템
KR101871554B1 (ko) 중앙국, 측위 시스템, 측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40335B1 (ko) 이동체 위치 측정 시스템, 중앙국, 이들에 이용되는 질문 제어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
JP6780700B2 (ja) 移動体位置測定システム、中央局及びその質問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78652B2 (ja)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受信局、データ量削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4323A (ko) 다변측정 감시시스템용 질문송신장치
JP6139210B2 (ja) 航空機監視システム
Eier et al. Method for GPS and GNSS Independent MLAT System Synchronization
US20220137206A1 (en) Aviation detect and avoid method and system
JP5759862B2 (ja) 受信装置
JP5759863B2 (ja) 受信装置
JP5892214B1 (ja) 中央局、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h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Pulse Positioning Using Adaptive Threshold Detector (ATD)
JP2021047106A (ja) パッシブ型レーダ装置、パッシブ型レーダ信号処理方法
JP2012237710A (ja) 広域マルチラテ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