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545A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545A
KR20160129545A KR1020150061851A KR20150061851A KR20160129545A KR 20160129545 A KR20160129545 A KR 20160129545A KR 1020150061851 A KR1020150061851 A KR 1020150061851A KR 20150061851 A KR20150061851 A KR 20150061851A KR 20160129545 A KR20160129545 A KR 2016012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uter housing
mating connector
high voltag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814B1 (ko
Inventor
김세권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6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8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을 위해 선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후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 및 결합되며, 전도성 차폐 수지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상대 커넥터가 체결되는 체결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에 설치된 레버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 단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접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접점 신뢰성이 향상된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자동차용 케이블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도체 심선에 접속되는 단자와, 이 단자를 감싸 보호하면서 착탈되며 결합되는 한 조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를 살펴보면,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외부하우징(10)과, 외부하우징(10)에 조립되는 내부하우징(20) 및 외부 및 내부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씰링부재(30)는 실리콘이나 연성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혹은 타원형의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밀착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골/마루 구조가 반복되는 실질적인 주름구조가 외부면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20)은 단자(23)의 삽입을 위한 단자수용부(22)와, 씰링부재(30)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홈(21)이 하우징 몸체에 형성되도록 절연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예컨대, 자동차 내부의 엔진룸과 같은 케이블 도입 대상체에 고전압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체결되는 플랜지(Flange)(11)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바람직하게 메탈(Metal) 소재에 의해 다이캐스팅(Die casting) 성형 또는 차폐판 타입으로 성형된다.
상기 구조의 종래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체결 시, 외부하우징(120)에 설치된 레버가 회동하여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체결을 락킹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체결 시,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점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와 대응하여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체결과 동시에 접점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체결 시, 접점 효율이 향상된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으로 인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케이블 접속을 위해 선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후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 및 결합되며, 전도성 차폐 수지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상대 커넥터가 체결되는 체결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에 설치된 레버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 단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접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 체결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을 차폐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이 조립된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면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어 별도의 차폐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외부하우징을 차폐수지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비교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의 제품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가 체결될 때, 상대 커넥터의 일 단과 접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에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대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 체결 시, 상대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대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 체결 시 레버가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레버장착부에 삽입되며 장착되고, 레버의 단부가 레버장착부와 대향되게 형성된 탄성접촉부를 가압하여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탄성접촉부가 상대 커넥터를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체결 시,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넥터의 접점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외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체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외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체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케이블 접속을 위해 선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200)와 체결되고, 후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140)과, 내부하우징(140)이 삽입 및 결합되며, 전도성 차폐 수지로 형성된 외부하우징(120)과, 상대 커넥터(200)가 체결되는 체결위치(도 4의 (a))와 상대 커넥터(200)가 분리되는 분리위치(도 4의 (b))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120)에 설치된 레버(160)와, 외부하우징(120)의 일 단에서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되어 체결위치 시, 상대 커넥터(200)와 접하는 접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에 접점부(300)를 형성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체결되면, 상기 접점부(300)가 상대 커넥터(200)에 의해 가압되며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의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차폐수지로 성형되고, 외부하우징(120)은 내부하우징(14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전 후면이 개구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하우징(120)이 차폐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내부하우징(140)과 외부하우징(120)이 조립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어 별도의 차폐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하우징(120)을 차폐수지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비교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품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100)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200)는 상대 커넥터 외부하우징과 상대 커넥터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대 커넥터 외부하우징은 도전성 수지로 성형되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체결 시 커넥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점부(300)는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접점부(300)는 외부하우징(120)의 일 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 체결 시, 외부하우징(120)의 일 면(122)보다 상기 접점부(300)가 상대 커넥터(200)와 접촉되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의 전기적 접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점부(3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접점부(300)는 상기 외부하우징(120)의 일 면(122)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접점돌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일 면(122)은 체결위치 시, 상대 커넥터(200)와 접하는 외부하우징(120)의 외측면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점점돌부(320)는 외부하우징(120)의 일 면(122)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접점부(300)가 복수 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시, 다수의 위치에서 상대 커넥터(200)와 접촉하게 되므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용이하게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300)는 외부하우징(120) 성형 시, 외부하우징(120)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별도의 돌부 형상의 차폐부재를 외부하우징(120)의 일 면(122)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접점부(30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접점부(300)의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접점부(300)는 체결위치 시, 결합공간(S)에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200)의 일 단과 접하는 외부하우징(12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 접점돌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과 내부하우징(140)이 조립될 때, 상대 커넥터(200)가 삽입, 체결되도록 결합공간(S)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하우징(120)과 내부하우징(140)의 조립위치(f)에 위치한 외부하우징(120)의 내면(128)이 결합공간(S)과 마주한다. 상기 결합공간(S)과 마주하는 외부하우징(120)의 내면(128)에서 결합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공간(S)에 삽입되어 체결될 때, 상대 커넥터(200)의 일 단과 상기 제2 접점돌부(340)가 접함으로써,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하우징(120)이 탄성력이 있는 차폐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돌부 형상의 접점부(300)만으로도 접촉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종래 금속 재질의 경우 별도의 스프링 형상의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여 하며, 외부하우징이 상기 탄성 접촉편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별도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순한 돌부 형상의 접점부(300) 만으로도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외부하우징(120)의 체결위치 시, 레버(160)의 체결부(162)가 장착되어 락킹되는 레버장착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설명에 앞서, 레버(160)의 분리위치는, 레버(160)가 고전압 커넥터(10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고, 체결위치는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체결되면 레버(160)가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장착부(126)는 외부하우징(120)의 표면에 체결부(162)가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도록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160)가 체결위치에 위치하면, 레버(160)의 체결부(162)를 레버장착부(126)를 향해 가압하여 체결부(162)가 홀 형상의 레버장착부(126)에 끼워지며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착부(126)에 의하여 레버(160)가 체결위치일 때, 레버(160)의 체결부(162)가 레버장착부(126)에 끼워지며 락킹되므로 별도로 레버(160)를 홀드하기 위한 부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레버장착부(126)는 상대 커넥터(200)의 체결방향과 가로지르는 외부하우징(120)의 일 단의 길이 방향을 따가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62)는 레버장착부(126)과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되어 레버(160)가 체결위치일 때, 레버장착부(126)에 장착되면서 레버(160)와 외부하우징(120)의 체결 고정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착부(126)는 외부하우징(120)의 일 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부(162)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162)가 장착될 때 억지 끼움되어 체결부(162)와 레버장착부(126)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외부하우징(120)은 레버장착부(126)와 대향되며, 체결위치 시, 일 면은 체결부(162)가 안착되고, 타 면은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탄성 변형되는 상대 커넥터(200)와 접촉하는 탄성접촉부(124)를 포함한다.
즉, 레버(160)가 체결위치 시, 체결부(162)가 레버장착부(126)에 장착되면 상기 체결부(162)가 레버장착부(126)와 대향되게 형성된 탄성접촉부(124) 상에 안착된다. 이때, 작업자가 레버(160)를 가압하여 체결부(162)가 탄성접촉부(124)를 가압하면서 탄성접촉부(124)가 상대 커넥터(200)와 맞물리며 상대 커넥터(200)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접촉부(124)는 상대 커넥터(200)와 접할 때 상대 커넥터(200)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대 커넥터(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촉부(124)의 일 단은 외부하우징(120)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 단은 개구되게 형성되어 레버장착부(126)에 안착된 체결부(162)를 가압하면 탄성접촉부(124)의 일 단이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밀리도록 탄성 변형되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체결 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전기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접촉부(124)는 외부하우징(120)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차폐수지 재질로 별도로 형성하여 외부하우징(120) 내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의 설명에 앞서,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중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고 가정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레버(160)의 체결부(162)는 체결위치 시, 탄성접촉부(124)의 일 면과 접하며, 탄성접촉부(124)의 타 면을 상대 커넥터(200)로 접압시키는 접압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접압부(164)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체결부(162)가 탄성접촉부(124)의 상면에 위치할 때, 체결부(162)와 탄성접촉부(124)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탄성접촉부(124)가 상대 커넥터(200) 상으로 보다 많이 탄성 변형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탄성접촉부(124)와 상대 커넥터(200) 상면과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접압부(164)는 레버(160)의 체결부(162)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레버(160)의 체결부(162)와 접하는 탄성접촉부(124)의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접압부(164)는 체결부(162) 또는 탄성접촉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고전압 커넥터(100) 제조 시, 별도의 부품을 체결부(162) 또는 탄성접촉부(124)에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대 커넥터(200)와 체결하는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을 차폐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내부하우징(140)과 외부하우징(120)이 조립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어 별도의 차폐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외부하우징(120)을 차폐수지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비교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품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가 체결될 때, 상대 커넥터(200)의 일 단과 접하는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에 상대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부(300)를 형성함으로써,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 체결 시,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의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대 커넥터(200)와 고전압 커넥터(100) 체결 시 레버(160)가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에 형성된 레버장착부(126)에 삽입되며 장착되고, 레버(160)의 단부가 레버장착부(126)와 대향되게 형성된 탄성접촉부(124)를 가압하여 외부하우징(120)에 형성된 탄성접촉부(124)가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체결 시,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넥터의 접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100)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고전압 커넥터 120: 외부하우징
122: 일 면 124: 탄성접촉부
126: 레버장착부 140: 내부하우징
160: 레버 162: 체결부
200: 상대 커넥터 300: 접점부
320: 제1 접점돌부 340: 제2 접점돌부

Claims (7)

  1. 케이블 접속을 위해 선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후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 및 결합되며, 전도성 차폐 수지로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상대 커넥터가 체결되는 체결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에 설치된 레버;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 면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접하는 접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결합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외부하우징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레버의 체결부가 장착되어 락킹되는 레버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착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체결 방향과 가로지르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 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레버장착부와 대향되며,
    상기 체결위치 시, 일 면은 상기 체결부가 안착되고, 타 면은 상대 커넥터를 향해 탄성 변형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탄성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탄성접촉부의 일 면과 접하며 상기 탄성접촉부의 타 면을 상기 상대 커넥터로 접압시키는 접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 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접점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결합공간에 체결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일 단과 접하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 접점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061851A 2015-04-30 2015-04-30 고전압 커넥터 KR10169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51A KR101692814B1 (ko) 2015-04-30 2015-04-30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51A KR101692814B1 (ko) 2015-04-30 2015-04-30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45A true KR20160129545A (ko) 2016-11-09
KR101692814B1 KR101692814B1 (ko) 2017-01-05

Family

ID=575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51A KR101692814B1 (ko) 2015-04-30 2015-04-30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164A (zh) * 2018-02-23 2018-06-2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145A (ko) * 2010-04-08 2011-10-1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KR20120097780A (ko) * 2011-02-25 2012-09-05 타이코에이엠피(유) 차폐 커넥터
JP2012212677A (ja) * 2006-02-13 2012-11-01 Eepd Electronic Equipment Produktion & Distribution Gmbh ハウジング壁の開口部に取り付けられた電気的接続装置の領域における遮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677A (ja) * 2006-02-13 2012-11-01 Eepd Electronic Equipment Produktion & Distribution Gmbh ハウジング壁の開口部に取り付けられた電気的接続装置の領域における遮蔽
KR20110113145A (ko) * 2010-04-08 2011-10-1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KR20120097780A (ko) * 2011-02-25 2012-09-05 타이코에이엠피(유) 차폐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164A (zh) * 2018-02-23 2018-06-2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CN108199164B (zh) * 2018-02-23 2024-03-1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814B1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48B1 (e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7834276B (zh) 密封垫和屏蔽连接器
US8808026B2 (en) Waterproof structure
EP2532056B1 (en) Header connector assembly
JP380274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9038032A (ja) 配電モジュール
CN109089389B (zh) 电缆衬套和在机动车辆中的控制装置
US11539149B2 (en) Terminal block with a removable busbar assembly
EP3691046A1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5585106B2 (ja) コネクタ装置
JPWO2014181841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CN113795982A (zh) 连接器
US10446976B2 (en) Shield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KR101692814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2463691B1 (ko) 커넥터
KR101692812B1 (ko) 고전압 커넥터
US20220416478A1 (en) Shielded connector
KR101608357B1 (ko) 고전압 커넥터
US11955751B2 (en) Connector
KR101692813B1 (ko) 고전압 커넥터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872838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WO2022024762A1 (ja) コネクタ
WO2023008059A1 (ja) コネク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