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780A - 차폐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780A
KR20120097780A KR1020110017205A KR20110017205A KR20120097780A KR 20120097780 A KR20120097780 A KR 20120097780A KR 1020110017205 A KR1020110017205 A KR 1020110017205A KR 20110017205 A KR20110017205 A KR 20110017205A KR 20120097780 A KR20120097780 A KR 2012009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housing
elastic piece
assembly
housing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김진광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1001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780A/ko
Priority to PCT/KR2012/000680 priority patent/WO2012115359A2/en
Publication of KR2012009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차폐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는 도전하우징이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전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한 탄성편이 형성된 차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도전하우징을 갖는 제1조립체와, 내부에 상기 제1도전하우징을 수용하는 제2도전하우징을 갖는 제2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수용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전하우징 또는 제1도전하우징의 일부가 절개된 탄성편이 형성되는 차폐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폐 커넥터{A Shielded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차폐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는 도전하우징이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전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한 탄성편이 형성된 차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가 가속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차량의 운행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을 대신하여 구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기 배터리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 배터리는 충전용량이 한계가 있어 주행거리가 제한되고 충전을 위한 시간 또한 상당히 소요되므로 편의성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 대안으로 내연기관과 전기모터가 모두 설치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필요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수시로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동수단을 수시로 바꾸어가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화를 위한 다수의 전장품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전기의 공급이나 제어를 위한 다양한 커넥터들이 필요하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종래의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하여 사용되는 전압이 매우 높으므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또한 강도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이 강도가 매우 큰 전자파는 음향장치에 잡음을 발생시키거나 차량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특히 차량의 운행중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급발진과 같은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오작동이나 음향장치의 잡음발생 같은 전자기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커넥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차폐커넥터로서 별도의 탄성수단에 의해 접점이 항상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단락이 방지되는 차폐커넥터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863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커넥터는 서로 접촉되는 메탈하우징의 접촉부에 탄성수단인 탄성편을 삽입하여 양 메탈하우징이 탄성편에 의해 가압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는 메탈하우징의 탄성접촉을 위하여 별도의 부품인 탄성편을 구비하고, 구비된 탄성편을 메탈하우징 사이에 설치해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은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파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관리가 어려워 작업현장에서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될 것으로서, 별도의 탄성편을 구비하지 않고 도전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편으로 사용함에 따라 탄성편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이를 도전하우징 사이에 설치하는 공정 또한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하우징 사이에서 매개체인 탄성편을 통하여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탄성편이 도전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 도전하우징이 직접 통전되므로 전기저항이 줄어들어 차폐효율이 더욱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2도전하우징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도전하우징 사이의 결합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목시할 수 있으므로 검사가 용이하도록 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도전하우징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커넥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편의 자유단이 서로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결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탄성편이 도전하우징과 결합되므로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편의 자유단이 서로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고정단에서의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삽입시 저항이 줄어들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편의 자유단이 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편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면의 도전하우징에 돌기가 형성되어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편이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모멘트가 작용하는 고정단의 폭이 넓어지므로 고정단에서 응력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편 자유단의 양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응력집중을 방지하도록 된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의하면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제1단자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내부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제2도전하우징과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를 갖는 제2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된 차폐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고정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자유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고정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제1단자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내부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제2도전하우징과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를 갖는 제2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전하우징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된 차폐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고정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2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도전하우징은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자유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고정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2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별도의 탄성편을 구비하지 않고 도전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편으로 사용함에 따라 탄성편을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도전하우징 사이에 설치하는 공정이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도전하우징 사이에서 매개체인 탄성편을 통하여 통전되지 않고 탄성편이 도전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직접 통전되므로 전기저항이 줄어들어 차폐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도전하우징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도전하우징 사이의 결합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도전하우징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커넥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의 자유단이 서로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결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탄성편이 도전하우징과 결합되므로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의 자유단이 서로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고정단에서의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삽입시 저항이 줄어들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의 자유단이 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면의 도전하우징에 돌기가 형성되어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이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모멘트가 작용하는 고정단의 폭이 넓어지므로 고정단에서 응력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탄성편 자유단의 양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제2도전하우징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제2도전하우징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커넥터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20)를 포함한다.
제1조립체(10)는 제1절연하우징(14)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12) 및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에 형성된 제1단자(18)를 갖는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단자(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18)는 제2조립체(20)의 후술하는 제2단자(2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전하우징(1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조립체(20)는 내부에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이 삽입되는 제2도전하우징(22)과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의 내부에 상기 제1단자(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단자(28)는 제1조립체(10)의 제1단자(1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이 내부에 삽입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12)과 통전되어 커넥터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는 차폐회로를 형성하여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하우징(2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은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편(2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6)은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을 가압하므로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에 삽입된 상태일 때는 항상 통전되어 차폐회로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26)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2도전하우징(22)에 구비되어 제1도전하우징(12)과 제2도전하우징(22) 사이의 결합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26)은 고정단(26a)이 상기 제1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26b)이 상기 제1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단(26a)에서의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결합시 저항이 줄어들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탄성편(26)은 자유단(26b)의 상기 제1도전하우징(12)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26c)가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26b)에 형성된 돌기(26c)는 탄성편(26)이 제1도전하우징(12)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제1도전하우징(12)과 제2도전하우징(22)의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되므로 접점에서 단락으로 인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26b)이 접촉하는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될 경우도 탄성편(26)의 자유단(26b)에 돌기(26c)가 형성된 때와 마찬가지로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단락으로 인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26)은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고정단(26a)에서 응력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단(26a)에서 자유단(26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단(26a)의 양측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된 구멍(26d)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제1도전하우징(12)의 양측면에 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하우징(22)의 측면에 상기 돌기(12a)와 대응되는 슬롯(25a)이 개구된 회동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의 돌기(12a)가 회동부(25)의 슬롯(25a)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12a)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부(25)가 회동함에 따라 돌기(12a)가 슬롯(25a)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20)가 서로 마주보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30)를 포함한다.
제1조립체(10)는 제1절연하우징(14)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12) 및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에 형성된 제1단자(18)를 갖는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14)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단자(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18)는 제2조립체(30)의 후술하는 제2단자(3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전하우징(1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조립체(30)는 내부에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이 삽입되는 제2도전하우징(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도전하우징(32)의 내부에는 제2도전하우징(32)과 절연된 단자(38)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38)는 제1조립체(10)의 단자(1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도전하우징(3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하우징(3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2도전하우징(32)은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편(3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6)은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을 가압하므로 항시 통전되어 차폐회로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36)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2도전하우징(32)에 구비되어 제1도전하우징(12)과 제2도전하우징(32) 사이의 결합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36)은 고정단(36a)이 상기 제1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자유단(36b)이 상기 제1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의 삽입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탄성편(36)이 제1도전하우징(12)과 접촉되므로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36)은 자유단(36b)의 상기 제1도전하우징(12)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36c)가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36b)에 형성된 돌기(36c)는 탄성편(36)이 제1도전하우징(12)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36b)이 접촉하는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도전하우징(12)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될 경우도 탄성편(36)의 자유단(36b)에 돌기(36c)가 형성된 때와 마찬가지로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단락으로 인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36)은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고정단(36a)에서 응력을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단(36a)에서 자유단(36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단(36a)의 양측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된 구멍(36d)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제1도전하우징(12)의 양측면에 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하우징(32)의 측면에 상기 돌기(12a)와 대응되는 슬롯(35a)이 개구된 회동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12)의 돌기(12a)가 회동부(35)의 슬롯(35a)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12a)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부(35)가 회동함에 따라 돌기(12a)가 슬롯(35a)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30)가 서로 마주보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제1조립체(40)와 제2조립체(50)를 포함한다.
제2조립체(50)는 내부에 상기 제1조립체(40)의 후술하는 제1도전하우징(42)이 삽입되는 제2도전하우징(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도전하우징(52)의 내부에는 제2도전하우징(52)과 절연된 단자(58)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58)는 제1조립체(40)의 후술하는 단자(4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하우징(5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조립체(40)는 제1절연하우징(44)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4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42) 및 상기 제1절연하우징(44)에 형성된 제1단자(48)를 갖는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44)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단자(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48)는 제2조립체(50)의 제2단자(5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4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전하우징(4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42)은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편(4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6)은 탄성에 의해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의 내면을 가압하므로 항시 통전되어 차폐회로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46)은 제2도전하우징(2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므로 커넥터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46)은 고정단(46a)이 상기 제2조립체(50)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46b)이 상기 제2조립체(5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최대의 모멘트가 발생하는 고정단(46a)에서 굽힘응력이 점진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결합시 저항이 줄어들어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탄성편(46)은 자유단(46b)의 상기 제2도전하우징(52)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46c)가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46b)에 형성된 돌기(46c)는 탄성편(46)이 제2도전하우징(52)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42)과 제2도전하우징(52)의 접점에서 단락으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46)의 자유단(46b)이 접촉하는 제2도전하우징(52)의 내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도전하우징(52)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될 경우도 탄성편(46)의 자유단(46b)에 돌기(46c)가 형성될 때와 마찬가지로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단락으로 인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46)은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고정단(46a)에서 굽힘응력을 줄이기 위하여 고정단(46a)에서 자유단(46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립체(40)와 제2조립체(5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제1도전하우징(42)의 양측면에 돌기(4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의 측면에 상기 돌기(42a)와 대응되는 슬롯(55a)이 개구된 회동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42)의 돌기(42a)가 회동부(55)의 슬롯(55a)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42a)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부(55)가 회동함에 따라 돌기(42a)가 슬롯(55a)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제1조립체(40)와 제2조립체(50)가 서로 마주보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 커넥터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제1조립체(60)와 제2조립체(50)를 포함한다.
제2조립체(50)는 내부에 상기 제1조립체(60)의 후술하는 제1도전하우징(62)이 삽입되는 제2도전하우징(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도전하우징(52)의 내부에는 제2도전하우징(52)과 절연된 단자(58)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58)는 제1조립체(60)의 후술하는 단자(6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하우징(5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조립체(60)는 제1절연하우징(64)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6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62) 및 상기 제1절연하우징(64)에 형성된 제1단자(68)를 갖는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64)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단자(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68)는 제2조립체(50)의 제2단자(58) 및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62)은 전기전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커넥터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전하우징(62)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체인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도전하우징(64)은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편(6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66)은 탄성에 의해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의 내면을 가압하므로 항시 통전되어 차폐회로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66)은 제2도전하우징(5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므로 커넥터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66)은 고정단(66a)이 상기 제2조립체(50)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자유단(66b)이 상기 제2조립체(50)가 결합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편(66)의 자유단(66b)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탄성편(66)이 제2도전하우징(52)과 결합되므로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66)은 자유단(66b)의 상기 제2도전하우징(52)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66c)가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66b)에 형성된 돌기(66c)는 탄성편(66)이 제2도전하우징(52)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접촉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제1도전하우징(62)과 제2도전하우징(52)의 접점에서 단락으로 인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66)은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고정단(66a)에서 응력을 줄이기 위하여 고정단(66a)에서 자유단(66b)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립체(60)와 제2조립체(5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제1도전하우징(62)의 양측면에 돌기(6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하우징(52)의 측면에 상기 돌기(62a)와 대응되는 슬롯(55a)이 개구된 회동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62)의 돌기(62a)가 회동부(55)의 슬롯(55a)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62a)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부(55)가 회동함에 따라 돌기(62a)가 슬롯(55a)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제1조립체(60)와 제2조립체(50)가 서로 마주보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10, 40, 60 : 제1조립체
20, 30, 50 : 제2조립체
16, 36, 46, 66 : 탄성편

Claims (22)

  1.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제1단자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내부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제2도전하우징과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를 갖는 제2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고정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도록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자유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고정단이 상기 제1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0.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제1도전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제1단자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내부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제2도전하우징과 상기 제2도전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를 갖는 제2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하우징이 상기 제2도전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전하우징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고정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자유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2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6.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은 자유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고정단이 상기 제2조립체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2도전하우징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단의 양측에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하우징은 상기 제1도전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KR1020110017205A 2011-02-25 2011-02-25 차폐 커넥터 KR20120097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05A KR20120097780A (ko) 2011-02-25 2011-02-25 차폐 커넥터
PCT/KR2012/000680 WO2012115359A2 (en) 2011-02-25 2012-01-30 A shielded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05A KR20120097780A (ko) 2011-02-25 2011-02-25 차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80A true KR20120097780A (ko) 2012-09-05

Family

ID=4672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05A KR20120097780A (ko) 2011-02-25 2011-02-25 차폐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97780A (ko)
WO (1) WO201211535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37A1 (ko) * 2014-04-14 2015-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서비스 플러그 유닛, 디바이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KR20160129545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53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44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46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3B1 (ko) * 2008-04-01 2010-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KR100993105B1 (ko) * 2008-12-18 2010-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KR101512112B1 (ko) * 2009-02-02 2015-04-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연결용 탄성편,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및 차폐 커넥터 세트
KR100988974B1 (ko) * 2010-03-12 2010-10-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성 접촉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37A1 (ko) * 2014-04-14 2015-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서비스 플러그 유닛, 디바이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KR20150118338A (ko) * 2014-04-14 2015-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서비스 플러그 유닛, 디바이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US10003157B2 (en) 2014-04-14 2018-06-19 Ls Ev Korea Ltd.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KR20160129545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53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44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KR20160129546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359A3 (en) 2012-12-20
WO2012115359A2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954B1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KR20120097780A (ko) 차폐 커넥터
US20120289101A1 (en) Connector Terminal
JP2005235443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2008034389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467833Y1 (ko) 차량용 노이즈 저감 고전압 커넥터
EP2642163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4974153B2 (ja) シールド端末処理構造
US20110259307A1 (en) Ignition coil
WO2001080392A1 (fr) Structure de connexion blindee pour cables
CN104685666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这种电池模块的电池和机动车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20040022186A (ko)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8370198B (zh) 用于刮水器马达的连接单元和刮水器马达
JP2008262811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130040190A1 (en) High voltage secondary battery with earth member
JP200330893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48814Y1 (ko)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JP2015228328A (ja) コネクタ
KR20070035192A (ko) 실드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CN219801378U (zh) 采样线束与电池包内电阻的固定结构、电池包及电动汽车
CN104303403A (zh) 风挡擦拭器马达和用于风挡擦拭器马达的抑制组件
JP2010055924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