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088A -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088A
KR20160129088A KR1020167029050A KR20167029050A KR20160129088A KR 20160129088 A KR20160129088 A KR 20160129088A KR 1020167029050 A KR1020167029050 A KR 1020167029050A KR 20167029050 A KR20167029050 A KR 20167029050A KR 20160129088 A KR20160129088 A KR 20160129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lcohol
cosmetic composition
irrita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453B1 (ko
Inventor
소래브 다스
나오히사 요시미
슈헤이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6012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5/00Assays, e.g. immunoassays or enzyme assays, involving lip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04Screening involving studying the effect of compounds C directly on molecule A (e.g. C are potential ligands for a receptor A, or potential substrates for an enzyme 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1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volving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피부 케어 활성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피부 미백제(skin lightening agent);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비사볼롤; 및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로서, 비사볼롤 대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는 2:1 내지 1:15이다.

Description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REDUCED IRRIT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 및 비사볼롤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에서 피부 케어 활성제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와 관련된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는 가격이 알맞고, 안전하고, 안정하며, 일상적인 사용 후에 소비자가 식별가능한 피부 미백(skin lightening)을 초래할 수 있는 피부 미백 제품을 종종 원한다.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는 피부 미백 제품이 자신의 피부색을 미백하고/하거나 피부 반점 또는 얼룩덜룩함(blotchiness)을 최소화시키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피부 미백제가 호르몬 변동 또는 UV 광과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색 변동에 대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피부 미백제는 피부색의 발현에 수반되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목표로 하거나 그에 영향을 줌으로써 작용한다. 인간 피부색은, 많은 멜라닌 세포가 위치될 수 있는, 피부의 최외측 층 (즉, 표피)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어두운 갈색/흑색 또는 밝은 적색-황색일 수 있는 색소인 멜라닌의 합성은 효소인 티로시나제를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이며,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솜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멜라노솜은 멜라닌 세포로부터 각질 세포로 이동될 수 있다.
상이한 피부 미백제들을 조합하는 것, 예를 들어 비타민 B3와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을 조합하는 것이 그들의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성분들을 조합하는 것은, 예를 들어, 국소 조성물이 도포되는 상태에 따라, 소정 피부-타입에서, 증가된 자극 및/또는 홍반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또한 가져올 수 있다. 화장 조성물 함유 피부 미백 제품을 사용할 때 소정 수준의 불쾌함 및/또는 자극성을 경험한 소비자는 상기 화장 조성물을 재구매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허용가능한 수준의 피부 미백 효능을 유지하면서 자극과 같은 악영향을 감소시키는 해결책을 찾을 필요가 있다.
국소 도포를 위해 적합한 화장 조성물이 제공된다.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제1 피부 케어 활성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피부 미백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비사볼롤; 및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이 제공되며, 이때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는 2:1 내지 1:15이다.
제1 피부 케어 활성제 및 피부 미백제를 포함하는 피부 케어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화장 조성물이 각질 조직에 도포될 때 상기 화장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인간 대상에서 자극을 유발함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장 조성물에 비사볼롤 및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2:1 내지 1:15의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로 첨가하여 상기 자극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든 백분율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 백분율이다. 모든 비는,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모든 수치 범위는 더 좁은 범위를 포괄하며; 기재된 상한 및 하한 범위 한계치는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의 범위를 생성하도록 상호교환 가능하다. 유효 숫자의 개수는 나타낸 양에 대한 제한을 전하는 것도 아니고 측정의 정확성에 대한 제한을 전하는 것도 아니다. 모든 측정은 약 25℃에서 그리고 주위 조건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주위 조건"은 약 1기압의 압력 하에서의 약 50%의 상대 습도의 조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장 조성물"은 포유류 각질 조직에 국소 도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도체"는 주어진 화합물의 아미드,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노, 카르복실, 아세틸, 및/또는 알코올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희석제"는 화합물 (예를 들어 피부 케어 활성제 또는 피부 미백제)이 분산되거나, 용해되거나, 달리 포함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과다 색소 침착"은 색소 침착이 피부의 인접 부위의 색소 침착보다 큰 피부 부위 (예를 들어, 색소성 반점, 검버섯 등)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각질 조직"은 피부, 모발, 손발톱, 큐티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포유류의 최외측 보호 외피로서 배치된 케라틴 함유층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효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하지만 심각한 부작용 (예를 들어, 과도한 독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피하기에 충분히 낮은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염"은 주어진 화합물의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망간, 구리, 및/또는 마그네슘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케어 활성제"는 피부에 도포될 때 효과 또는 개선을 피부에 제공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피부 케어 활성제는 피부에의 도포뿐만 아니라, 모발, 손발톱 및 다른 포유류 각질 조직에의 도포에도 유용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미백제"또는 "피부 화이트닝제"(skin whitening agent)는 동일하며, 피부의 반점 (예를 들어 검버섯 및 주근깨)의 미백을 포함한다. 피부 미백제는 피부 케어 활성제의 하위 집합이며, 피부에 도포될 때, 예를 들어,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물리적 및/또는 생물학적 화이트닝을 가져오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피부 케어 활성제를 다른 피부 케어 활성제, 예를 들어 피부 미백제와 조합하는 것이 활성제(들)의 효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미백의 경우에, 나이아신아미드를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과 조합하는 것이 이들 피부 활성제 중 어느 하나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아신아미드는 잘 알려진 피부 케어 활성제이다.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은 침투 향상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특히 피부 미백을 목표로 하는 피부 케어 활성제로서 또한 알려져 있다. 나이아신아미드와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을 조합하는 것에 의한 효능 증가는 매우 바람직하지만, 이 조합은 때때로 소정 사용자가 겪게 되는 증가된 발적 및 홍반 형태의 자극의 증가로 이어진다. 비사볼롤은 염증 및 발적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한 비의 비사볼롤과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의 조합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나이아신아미드와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의 조합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놀랍게도 이제 밝혀졌다.
화장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포유류 각질 조직, 특히 인간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용액, 현탁액, 로션, 크림, 젤, 토너, 스틱, 펜슬, 스프레이, 에어로졸, 연고, 클렌징 리퀴드 워시(cleansing liquid wash) 및 고형 바(solid bar), 샴푸 및 헤어 컨디셔너, 페이스트, 폼(foam), 파우더,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스트립, 패치, 전동식 패치, 상처 드레싱 및 접착 밴드, 하이드로젤, 필름-형성 제품, 페이셜 및 스킨 마스크, 화장품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아이섀도) 등이 포함된다.
화장 조성물은 제1 피부 케어 활성제, 예를 들어 비타민 B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타민 B 화합물은 B1 화합물, B2 화합물, B3 화합물, 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미드, B5 화합물, 예를 들어 판테놀 또는 "프로-B5", 판토텐산, 판토테닐, B6 화합물, 예를 들어 피록시딘,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카르니틴, 티아민, 및 리보플라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비타민 B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B3 화합물, 이의 유도체, 및 전술한 것들 중 임의의 것의 염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ONH2 (즉, 나이아신아미드), -COOH (즉, 니코틴산) 또는 -CH2OH (즉, 니코티닐 알코올)이다. 일부 예에서, 화장 조성물은 비타민 B 화합물의 농도가, 화장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5%, 0.00056%, 1%, 2%, 3%, 4%, 또는 5% 초과 및/또는 11%, 10%, 8%, 또는 6% 미만일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은 또한 피부 미백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미백제는 임의의 공지된 미백제,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및 유도체, 비타민 E 및 유도체, 레소르시놀, 아젤라산,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 갈산 및 그의 유도체, 엘라그산,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레틴산, 하이드로퀴논, 코지산,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오디(mulberry) 추출물, 글루코사민, N-아세틸 글루코사민, 튜니카마이신, 프로테아제 억제제, 레티노이드, 하이드로코르티손, 피토스테롤, 살리실산, 루시놀, 카모마일 추출물, 리놀레산, 트라넥삼산, 매그놀리그란(magnoligran),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피부 미백제는 N-아실 아미노산, 예를 들어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 N-팔미토일 알라닌, N-팔미토일 글라이신, N-팔미토일 아이소류신 및 N-코코일 알라닌, N-라우로일-L-페닐알라닌, N-카프로일-L-페닐알라닌, N-미리스토일-L-페닐알라닌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미백제는, 세픽(SEPPIC)(등록상표)으로부터 구매가능하며 세피화이트(Sepiwhite)(등록상표)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이다. 일부 예에서, 화장 조성물은, 화장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0.001%, 0.01% 내지 약 1%, 2%, 3% 또는 5%의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을 포함할 수 있다.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2
화장 조성물은 또한 비사볼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사볼롤은 이전에는 방향제 성분으로서 고급 방향제, 샴푸, 비누, 및 화장품과 같은 소비자 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비사볼롤은 천연 유래 또는 합성 유래될 수 있거나, 천연 및 합성 유래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사볼롤은, 예를 들어, 순수한 형태로, 염으로서, 추출물로서, 또는 임의 다른 형태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비사볼롤은, 예를 들어, "알파-비사볼롤"을 포함하며, 이는 (+)-알파-비사볼롤, (-)-알파-비사볼롤, (+)-에피-알파-비사볼롤, (-)-에피-알파-비사볼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화장 조성물은, 화장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0.001% 또는 0.005% 내지 0.01%, 0.1% 또는 0.2%의 비사볼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사볼롤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3
화장 조성물은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및/또는 불포화, 분지형 및/또는 비분지형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및/또는 불포화, 분지형 및/또는 비분지형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의 예는 하기와 같다:
하기 화학식을 갖는 바틸 알코올:
Figure pct00004
하기 화학식을 갖는 키밀 알코올:
Figure pct00005
하기 화학식을 갖는 세라킬 알코올:
Figure pct00006
일부 예에서, 화장 조성물은, 화장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0.01%, 0.1%, 0.5% 또는 1% 내지 약 2%, 3%, 4%, 5% 또는 10%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화장 조성물은 약 2:1, 1:1, 1:2, 1:2.5 내지 1:5, 1:10 또는 1:15의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를 포함한다.
나이아신아미드의 국소 도포는 다양한 화장 피부 케어 효과와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는: i) 피부 내의 니코틴아미드 조효소의, 나이와 관련된 고갈의 정상화, ii) 동시적인 표피 장벽 효과와 함께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의 상향 조절, iii) UV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손상에 대한 보호, iv) 멜라닌 세포로부터 각질 세포로의 멜라노솜 이동의 억제 (그에 의해 잠재적인 피부톤 효과 제공), 및 피지 생성(sebaceous lipogenesis)의 감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경우에, 노화/광-손상된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도록 화장 조성물 내에 나이아신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습윤제(humectant)를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소르비톨, 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글리세린은 실온에서 액체이고 물과 혼화성인 작은 극성 분자이다. 내인성 글리세린은 피부 수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것으로 여겨지며,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국소 도포는 장벽 기능의 개선, 각질 세포 증식 및 상처 치유와 관련된 생체지표의 유도, 멜라닌 강도의 감소, 표피 두께의 증가, 및 일반적인 피부 외관의 개선과 관련될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은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담체"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음)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담체 내에 비타민 B3 화합물 및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 화합물들과 선택적인 다른 성분들이 피부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담체는 하나 이상의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용매, 증량제 성분, 물질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담체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담체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예에는 단순 용액 (수성 또는 오일계), 에멀전, 및 고체 형태 (예를 들어, 젤, 스틱, 유동성 고체, 비정질 물질)가 포함된다.
담체는 하나 이상의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친수성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친수성 희석제에는 물, 유기 친수성 희석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200 내지 600 g/몰의 분자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예를 들어, 425 내지 2025 g/몰의 분자량),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1,2,4-부탄트라이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1,2,6-헥산트라이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부탄다이올, 에테르 프로판올, 에톡실화 에테르, 프로폭실화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저급 1가 알코올 (예를 들어, C1-C4)과 저분자량 글리콜 및 폴리올이 포함된다.
담체는 또한 수중유 에멀전, 유중수 에멀전, 및 실리콘중수 에멀전과 같은 에멀전의 형태일 수 있다. 에멀전은 일반적으로 연속 수성 상 (예를 들어, 수중유 및 수중유중수) 또는 연속 오일 상 (예를 들어, 유중수 및 유중수중유)을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오일 상은 실리콘 오일, 비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에테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상은 물, 예를 들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수성 상은 수용성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미생물제, 습윤제 및/또는 다른 수용성 피부 케어 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물 이외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의 물이 아닌 성분은 글리세린 및/또는 다른 폴리올과 같은 습윤제를 포함한다. 에멀전은, 담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2% 내지 약 5%의 유화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유화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일부 적합한 유화제가, 예를 들어, 1973년 8월 28일자로 등록된 디커트(Dickert) 등의 미국 특허 제3,755,560호; 1983년 12월 20일자로 등록된 딕슨(Dixon) 등의 미국 특허 제4,421,769호; 및 문헌[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North American Edition, pages 317-324 (1986)]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매우 다양한 선택적인 구성 요소/성분이 화장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 조성물은 흡수제, 연마제, 고결방지제(anti-caking agent), 소포제, 항미생물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벌킹제(bulking agent), 화학적 첨가제, 화장품용 살생제, 변성제, 화장품용 수렴제, 약용 수렴제, 외용 진통제, 필름 형성제, 습윤제, 불투명화제, 방향제, 안료, 착색제, 에센셜 오일, 피부 센세이트(skin sensate), 연화제, 피부 진정제(skin soothing agent), 피부 치유제, pH 조정제, 가소제, 방부제, 방부 향상제, 추진제, 환원제, 추가적인 피부 컨디셔닝제, 피부 침투 향상제, 피부 보호제, 용매, 현탁제, 유화제, 증점제, 가용화제, 썬스크린, 썬블록, 자외광 흡수제 또는 산란제, 썬리스 태닝제(sunless tanning agent), 산화방지제 및/또는 라디칼 제거제, 킬레이팅제, 격리제(sequestrant), 항여드름제, 항염증제, 항남성호르몬제, 제모제, 박리제(desquamation agent)/각질제거제(exfoliant), 유기 하이드록시산,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기타 물질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물질의 비배타적인 예는 문헌[Harry's Cosmeticology, 7th Ed., Harry & Wilkinson (Hill Publishers, London 1982)]; 문헌[Pharmaceutical Dosage Forms--Disperse Systems; Lieberman, Rieger & Banker, Vols. 1 (1988) & 2 (1989); Marcel Decker, Inc.]; 문헌[The Chemistry and Manufacture of Cosmetics, 2nd. Ed., deNavarre (Van Nostrand 1962-1965)]; 및 문헌[The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1st Ed. Knowlton & Pearce (Elsevier 1993)]에 기재되어 있다.
다양한 화장 처리가 상이한 피부 표면들 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관심 있는 피부 표면은 안면 피부 표면, 손 및 팔 피부 표면, 발 및 다리 피부 표면, 및 목 및 가슴 피부 표면과 같이 전형적으로 의복에 의해 덮이지 않는 곳들이다. 특히, 이마, 입 주위, 턱, 눈 주위, 코, 및/또는 볼 피부 표면을 포함하는 안면 피부 표면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처리 방법은, 처리가 필요한 피부의 미리 확인된 영역, 또는 검버섯의 출현을 방지, 처리, 또는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피부톤 균일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영역에 화장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 조성물의 도포를 위한 많은 요법(regimen)이 존재한다. 화장 조성물은, 처리 기간 동안에, 적어도 1일 1회, 1일 2회, 또는 더 빈번한 매일의 횟수를 기초로 도포될 수 있다. 매일 2회 도포되는 경우, 첫 번째 도포와 두 번째 도포는 1 내지 12시간 이상 떨어져 있다. 전형적으로, 화장 조성물은 아침에 및/또는 저녁 취침 전에 도포될 수 있다.
처리 기간은 이상적으로는 검버섯 또는 피부톤 균일성의 외관의 개선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처리 기간은 1주 이상일 수 있으며, 일부 실시 형태에서, 처리 기간은 약 4주, 8주, 또는 12주간 지속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처리 기간은 수개월 (즉, 3 내지 12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계속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화장 조성물은 4주, 8주, 또는 12주 이상의 처리 기간 동안 1일 1회 이상 도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화장 조성물은 4주, 8주, 또는 12주 이상의 처리 기간 동안 1일 2회 도포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피부 케어 활성제 및 피부 미백제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이 각질 조직에 도포될 때, 상기 화장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인간 대상에서 자극을 유발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 조성물에 비사볼롤 및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2:1 내지 1:15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로 첨가하여 자극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피부 자극은 PGE-2 분석 (하기에 기재됨)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PGE-2 분석
피부에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을 도포한 때의 발적 및 부기는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매개체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생성의 증가와 관련된다. 국제특허 공개 WO 93/17336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물질의 도포시 시험관 내 각질 세포에서의 PGE2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이 피부에 도포 시에 피부 자극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다.
하기 방법이 시험관 내 PGE2의 생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Tert-각질 세포를 약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한다. PGE2 생성에 대한 각 물질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나이아신아미드,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 비사볼롤, 및 바틸 알코올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나 있는 각각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PGE2를 형성하도록 기질로서 아라키돈산이 또한 모든 샘플을 위한 처리 배지에 포함되었다. 처리된 세포를 하룻밤 추가로 배양하였는데, 이때 균일 시간 분해 형광(homogeneous time resolved fluorescence; HTRF) 기술 시스템 (제조사: 시스바이오(CisBio)(등록상표))을 사용하는 PGE2 정량화를 위해 상청액을 채취하였다. 셀 티터 글로 (Cell Titer Glo) 시스템 (프로메가(Promega)(등록상표))을 사용하여 세포를 ATP에 대해 분석하였다. PGE2 방출을 ATP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물질의 첨가 시에 측정된 PGE2 양을 화학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베이스라인(baseline)(배양 배지 단독)과 비교하였다.
실시예
본 출원에 제공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데, 그의 많은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모든 농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량%로 열거되며, 희석제, 충전제 등과 같은 미량(minor) 물질은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열거된 제형은 열거된 성분 및 그러한 성분과 연관된 임의의 미량 물질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량 물질의 선택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되는 특정 성분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하기 표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염증 매개체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분석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에 대한 상이한 시험 조건의 영향을 예시한다. 실시예 2를 실시예 1 (대조군)과 비교하면, PGE2 점수의 상당한 증가를 알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자극의 상당한 증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나이아신아미드 및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 둘 모두의 포함이 피부 자극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실시예 2와 비교하면, PGE2 표지가 감소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비사볼롤 또는 바틸 알코올 중 하나의 포함이 나이아신아미드 및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는 PGE2 표지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에 비해서는 피부 자극이 여전히 증가한다. 실시예 5를 실시예 2와 비교하면, PGE2 표지가 상당히 감소하여, PGE2 표지가 실시예 1의 대조군 PGE2 수준 미만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2에 대비하여 실시예 5에 대한 PGE2 표지의 감소 크기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실시예 2와 비교할 때의 PGE2 점수 감소의 합계보다 크다.
따라서, 비사볼롤 및 바틸 알코올의 포함은 나이아신아미드와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의 조합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의 상승 작용적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7
게다가, 하기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PGE2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할 때, 존재하는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의 비가 놀랍게도 피부 자극의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2에 나타나 있는 각각의 샘플에서 동일한 수준의 나이아신아미드 및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이 사용된다 (0.0015% 나이아신아미드; 0.00032%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 - 단지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의 각각의 양만 변경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을 실시예 7과 비교하면, PGE2 점수의 상당한 감소가 있게 되어, 모든 경우에, PGE2 수준이 실시예 6의 PGE2 수준으로 또는 그 미만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1:2.5의 비의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실시예 11을 살펴보면, PGE2 수준이 대조군 PGE2 수준보다 현저히 아래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1:25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의 비를 갖는 실시예 8을 살펴보면, 오직 나이아신아미드 및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을 포함하는 실시예 7에 비해 PGE2 수준이 단지 근소하게 감소한다.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를 살펴보면, 비사볼롤 및 바틸 알코올을 2:1의 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3은 실시예 6의 기본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PGE2 표지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25:1의 비를 포함하는 실시예 14는 대조군 실시예 7 또는 실시예 6에 대비하여 PGE2 수준의 증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순히 제형 내의 비사볼롤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은 피부 자극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표 2에 나타나 있는 결과로부터, 비사볼롤 및 바틸 알코올의 각각의 부피가 PGE2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피부 자극의 수준에 영향을 주며, 특히, 약 2:1 내지 1:15의 비 (비사볼롤:바틸 알코올)가 바람직함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예가 하기에 제공되어 있다.
Figure pct00009
본 명세서 전반에 제시된 모든 최대 수치 제한은,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이 마치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그러한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제시된 모든 최소 수치 제한은,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마치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그러한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제시된 모든 수치 범위는 그러한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더 좁은 수치 범위가 마치 본 명세서에 모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그러한 더 좁은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언급된 값과,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0 mm"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mm"를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임의의 상호 참조되거나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 및 본 출원이 우선권 또는 이득을 주장하는 임의의 특허 출원 또는 특허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백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인 것으로 인정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참조 문헌 또는 참조 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하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에서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그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재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3)

  1. 제1 피부 케어 활성제 및 피부 미백제(skin lightening agent)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화장 조성물이 각질 조직에 도포될 때 상기 화장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인간 대상에서 자극을 유발함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장 조성물에 비사볼롤 및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를 2:1 내지 1:15의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로 첨가하여 상기 자극을 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GE2 분석을 사용하여 상기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는 탄소 사슬 길이가 12 내지 24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는 바틸 알코올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2% 이하의 비사볼롤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볼롤 대 글리세롤 에테르의 비는 1:1.5 이상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활성제는 비타민 B3 또는 이의 유도체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활성제는 나이아신아미드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제는 N-아실 아미노산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제는 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인, 화장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1. 자극성이 감소된 피부 미백용 화장 조성물로서,
    a)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피부 케어 활성제;
    b)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피부 미백제;
    c)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비사볼롤; 및
    d)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또는 세라킬 알코올을 포함하며,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또는 세라킬 알코올의 비는 2:1 내지 1:15인, 자극성이 감소된 피부 미백용 화장 조성물.
  12. 자극성이 감소된 피부 미백용 화장 조성물로서,
    a)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05% 내지 약 11%의 피부 케어 활성제;
    b)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01% 내지 약 5%의 피부 미백제;
    c)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01% 내지 약 0.2%의 비사볼롤; 및
    d) 약 0.001%의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또는 세라킬 알코올을 포함하며,
    비사볼롤 대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또는 세라킬 알코올의 비는 2:1 내지 1:15인, 자극성이 감소된 피부 미백용 화장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활성제는 비타민 B3 화합물이고 상기 피부 미백제는 N-아실 아미노산인, 자극성이 감소된 피부 미백용 화장 조성물.
KR1020167029050A 2014-04-23 2015-04-21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KR101939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2883P 2014-04-23 2014-04-23
US61/982,883 2014-04-23
PCT/US2015/026737 WO2015164290A1 (en) 2014-04-23 2015-04-21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reduced irr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88A true KR20160129088A (ko) 2016-11-08
KR101939453B1 KR101939453B1 (ko) 2019-01-16

Family

ID=5305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050A KR101939453B1 (ko) 2014-04-23 2015-04-21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80634B2 (ko)
EP (1) EP3134062B1 (ko)
JP (1) JP6416284B2 (ko)
KR (1) KR101939453B1 (ko)
CN (1) CN106470665B (ko)
CA (1) CA2944157C (ko)
WO (1) WO2015164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4497A1 (en) 2016-06-10 2017-12-14 Clarity Cosmetics Inc. Non-comedogenic hair and scalp care formulations and method for use
JP2020516661A (ja) 2017-04-11 2020-06-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化粧品組成物
WO2018220916A1 (ja) * 2017-06-02 2018-12-06 味の素株式会社 外用組成物
JP7102687B2 (ja) * 2017-06-02 2022-07-20 味の素株式会社 外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7336A1 (en) * 1992-02-19 1993-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 vitro model for eye and skin irritation testing
DE4420625C1 (de) * 1994-06-14 1995-11-02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mit einem Gehalt an Glycerylalkylethern und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solche Wirkstoffkombinationen enthaltend
WO2013158824A2 (en) * 2012-04-19 2013-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5560A (en) 1971-06-30 1973-08-28 Dow Chemical Co Nongreasy cosmetic lotions
US4421769A (en) 1981-09-29 1983-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DE19538555A1 (de) * 1995-10-17 1997-04-24 Beiersdorf Ag Gegen Akne und entzündete Comedonen wirksame Wirkstoffkombinationen
JP3539534B2 (ja) * 1997-04-01 2004-07-07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3043673B2 (ja) * 1997-08-19 2000-05-22 重男 芹沢 化粧料
US7270805B1 (en) * 2006-03-30 2007-09-18 Conopco, Inc. Skin lightening agent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10515720A (ja) * 2007-01-16 2010-05-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化粧品組成物
KR100823533B1 (ko) * 2007-02-27 2008-04-3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US8031366B2 (en) 2007-07-31 2011-10-04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689026B2 (ja) 2010-06-17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5570442B2 (ja) 2011-01-24 2014-08-13 株式会社シャネル化粧品技術開発研究所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68525B (zh) * 2013-05-01 2017-09-26 宝洁公司 化妆品组合物和用于抑制黑素合成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7336A1 (en) * 1992-02-19 1993-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 vitro model for eye and skin irritation testing
DE4420625C1 (de) * 1994-06-14 1995-11-02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mit einem Gehalt an Glycerylalkylethern und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solche Wirkstoffkombinationen enthaltend
JPH083034A (ja) * 1994-06-14 1996-01-09 Beiersdorf Ag グリセロールアルキルエーテル類の内容物を有する活性化合物組み合わせ、並びに上記活性化合物組み合わせを含んでいる化粧品および皮膚科学調合物
WO2013158824A2 (en) * 2012-04-19 2013-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3868A (ja) 2017-06-01
EP3134062B1 (en) 2019-09-04
US20150305994A1 (en) 2015-10-29
CN106470665B (zh) 2019-12-24
CA2944157A1 (en) 2015-10-29
WO2015164290A1 (en) 2015-10-29
KR101939453B1 (ko) 2019-01-16
US9480634B2 (en) 2016-11-01
CN106470665A (zh) 2017-03-01
CA2944157C (en) 2020-01-07
EP3134062A1 (en) 2017-03-01
JP6416284B2 (ja)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6411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skin-lightening resorcinol and a skin darkening agent
JP2020524146A (ja) 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RU2562140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лечения признаков старения кожи
TW201532621A (zh) 抗氧化劑組成物及其使用方法
KR101939453B1 (ko) 자극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JP2021530447A (ja) 皮膚状態の治療方法
JP2012519735A (ja) 角化細胞のpar2活性化を阻害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6262851B2 (ja) 老化した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KR101973356B1 (ko) 피부 수화용 화장 조성물
CN115843238A (zh) 改善维生素b3化合物渗透到皮肤中的方法
JP5974344B2 (ja) ベンガルボダイジュ、ハス及びクローバーのセラム画分を含む組成物(色素沈着過剰)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225298B2 (ja) ベンガルボダイジュ、ハス及びクローバーのセラム画分を含む組成物(老化)
AU2020405222C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JP2022536333A (ja) Par2活性化を阻害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組成物
JP5719050B2 (ja) 角化細胞のpar2活性化を阻害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90124294A (ko) 화장 조성물
JP2023549912A (ja) 皮膚における酸化ストレスを処置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組成物
WO202408103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a and lauroyl lysine
WO202408103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lyacrylate crosspolymer-6, and silica and/or lauroyl lys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