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141A -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141A
KR20160126141A KR1020150056532A KR20150056532A KR20160126141A KR 20160126141 A KR20160126141 A KR 20160126141A KR 1020150056532 A KR1020150056532 A KR 1020150056532A KR 20150056532 A KR20150056532 A KR 20150056532A KR 20160126141 A KR20160126141 A KR 2016012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bus bar
coil
transformer
ba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141A/ko
Publication of KR2016012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Abstract

절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절연이 유지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 2버스바코일과, 제1버스바코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코일이 권취되는 제1보빈과, 제1버스바코일의 하부와 제2버스바코일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며 제1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보빈과, 제2버스바코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제2보빈에 구비된 다수의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을 구비하는 제3보빈을 포함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HAVING BOBBIN STRUCTURE}
본 발명은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 코일과 보빈 간의 절연성을 만족시켜 줄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대부분 고전압에서만 동작하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전기적인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하여 저전압 배터리도 장착하고 있다.
특히, 저전압 배터리는 자동차 내부의 전자 콤포넌트를 제어하는 전기제어 모듈(Electrical Controlling Unit)과 같은 시스템의 제어 및 통신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를 가진 자동차에서는 다양한 사용전압에 맞추기 위하여, DC 전압을 이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DC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DC-DC 컨버터(Converter)를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DC-DC 컨버터는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 사이에 존재하면서 전력을 자동차 내부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자동차 내부의 전력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와 같은 2 개의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나의 배터리만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주로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변환된다.
DC-DC 컨버터는 대부분 트랜스포머나 인덕터, 다이오드, 캐패시터, 스위칭 소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주로 와이어(Wire)로 된 코일을 이용하나, 경우에 따라 고전압-저전류 상태에서는 와이어코일을 사용하고, 저전압-고전류 상태에서는 버스바코일(Busbar Coil)을 사용하는 트랜스포머 제품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랜스포머(1)는 고전압-저전류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와이어코일(C)이 권취된 부분과, 저전압-고전류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제1, 2버스바코일(70, 90)이 결합된 부분이 나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기존의 트랜스포머(1)의 경우, 와이어코일(C)이 권취되기 위한 공간 확보는 물론, 제1, 2버스바코일(70, 9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다수의 보빈(10, 30, 50)이 상하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졌다.
하지만, 종래의 트랜스포머(1)는 다수의 보빈(10, 30, 50)과 제1, 2버스바코일(70, 90)이 단순히 맞대어져 상하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에, 보빈이 회전하거나, 또는 오조립으로 인해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제1, 2버스바코일(70, 90) 간의 절연 확보는 물론, 보빈과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상의 트랜스포머에 관한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4990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버스바 코일과 보빈 간의 절연성을 만족시켜 줄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절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절연이 유지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 2버스바코일; 상기 제1버스바코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코일이 권취되는 제1보빈; 상기 제1버스바코일의 하부와 상기 제2버스바코일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보빈; 상기 제2버스바코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제2보빈에 구비된 다수의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을 구비하는 제3보빈을 포함하는 절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와이어코일이 권취 가능하도록 롤 형상을 갖는 제1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1보빈 몸체부의 양단으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1보빈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제1버스바코일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버스바코일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는 제2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2보빈 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2빈 몸체부에 안착된 상기 제1버스바코일을 둘러감싸는 제2보빈 외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빈 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공은, 상기 다수의 연장플레이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빈 몸체부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는 일자형 돌출 편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편은, 상기 제2보빈 몸체부에 안착되는 제1버스바코일의 이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보빈은, 상기 제2버스바코일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버스바코일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는 제3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3보빈 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3보빈 몸체부에 안착된 상기 제2버스바코일을 둘러감싸는 제3보빈 외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보빈 외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다수의 연장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상기 다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보빈 몸체부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는 일자형 돌출 편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편은, 상기 제3보빈 몸체부에 안착되는 제2버스바코일의 이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보빈 사이로 버스바 코일을 하나씩 결합 고정시킬 수 있어, 버스바 코일의 절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보빈과 버스바 코일 간의 구조를 일체형 모듈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보빈이 결합한 후에 보빈 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보빈의 회전으로 인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중 제1보빈을 간략히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중 제2보빈을 간략히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중 제3보빈을 간략히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간략히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상호 절연이 유지되는 제1, 2버스바코일(70, 90)과, 상기 제1, 2버스바코일(70, 9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는 제1, 2, 3보빈(110, 130, 150)을 포함한다.
트랜스포머(100)는 고전압-저전류 상태에서는 와이어코일(C, 도 1 참조)을 사용하고, 저잔압-고전류 상태에서는 제1, 2버스바 코일(Busbar Coil)을 사용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로써 제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코일(C, 도 1 참조)은 제1보빈(110)의 홈을 따라 권취될 수 있으며, 제1, 2 버스바코일(70, 90)은 서로 절연이 유지되도록 제1, 2, 3 보빈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2버스바코일(70, 90)은 고리형상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버스바코일(70, 90) 각각의 양단은 소정의 간격(이하, '이격부'라 함)(71, 91)을 두고 나란히 직선형태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보빈(110)은 상기 제1버스바코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코일이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보빈(110)은 제1보빈 몸체부(113)와, 제1보빈 플랜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빈 몸체부(113)는 상기 제1보빈(110) 내에서 와이어코일이 권취 가능하도록 롤 형상을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보빈 플랜지부(111)는 한 쌍의 고리형상 플레이트가 상기 제1보빈 몸체부(113)의 양단(예를 들면, 상, 하단)으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1보빈 플랜지부(111)는 상기 제1보빈 몸체부(113)를 통해 와이어코일이 권취될 때 와이어코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코일이 제1보빈 몸체부(113)에 잘 감겨 보관될 수 있도록 칸막이 역할을 한다.
도 4는 제1보빈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보빈 몸체부(113)는 상기 제1보빈(110)의 높이 중앙에서 롤(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와이어코일이 잘 감겨 보관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보빈 플랜지부(111)는 상기 제1보빈 몸체부(113)의 상, 하단부를 통해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형상 플레이트(111a, 1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빈 몸체부(113)와 제1보빈 플랜지부(111)의 구획에 의해 와이어코일의 권취공간(114)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보빈(110)의 경우 특별히 재질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는데, 필요한 구조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절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보빈(130)은 상기 제1버스바코일(70)의 하부와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의 상부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보빈(130)은 상기 제1버스바코일(70)을 안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보빈(130)은 제2보빈 몸체부(131)와 제2보빈 외벽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는 상기 제1버스바코일(70)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버스바코일(7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는 상기 제1버스바코일(70)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고리형상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보빈 외벽부(133)는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외벽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제2보빈 외벽부(133)는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에 안착된 상기 제1버스바코일(70)의 외주면을 둘러감쌀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보빈 외벽부(133)는 상기 제1버스바코일(70)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보빈(110)을 둘러감쌀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보빈 외벽부(133)로부터 외측으로는 연장플레이트(135)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장플레이트(135)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결합공(136)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제3보빈(150)의 결합돌기(156)가 상기 결합공(136)으로 들어옴으로써, 제2보빈(130) 및 제3보빈(150) 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제2보빈(130) 또는 제3보빈(150)이 회전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136)은 상기 제2보빈(130)을 기준으로 이와 마주하는 방향에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37은 후술될 제3보빈(150)에 구비된 또 하나의 결합돌기(157)가 삽입되는 또 하나의 결합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의 상면을 통해 일(一)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 편(13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편(139)은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버스바코일(70)의 이격부(71)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써,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와 상기 제1버스바코일(70) 간을 결합 위치를 구속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2보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2보빈(130)은 제2보빈 몸체부(131)와 이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향 돌출되는 제2보빈 외벽부(1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보빈 외벽부(133)의 높이(t1)는 제2보빈(13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제1버스바코일(7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1버스바코일(70)과의 결합성을 좋게 하고, 제1버스바코일(70)의 절연을 만족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돌출 편(139)은 상기 제2보빈 몸체부(131)의 상면을 통해 일(一)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 편(139)의 폭(w1)은 제1버스바코일(70, 도 2 참조)의 이격부(71, 도 2 참조)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버스바코일(70, 도 2 참조)은 제2보빈(130)에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제2보빈(130)은 제1버스바코일(70, 도 2 참조)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1버스바코일(70, 도 2 참조)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보빈(150)은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보빈(150)은 상면을 통해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을 안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보빈(150)의 다수의 결합돌기(156, 157)가 상기 제2보빈(130)의 결합공(136, 137)으로 들어옴으로써 제2보빈(130)과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보빈(150)은 제3보빈 몸체부(151)와, 제3보빈 외벽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는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이 안착 가능하게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는 상기 제2버스바코일(90)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고리형상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보빈 외벽부(153)는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외벽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제3보빈 외벽부(153)는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에 안착된 상기 제2버스바코일(90)의 외주면을 둘러감쌀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보빈 외벽부(153)로부터 외측으로는 연장플레이트(155)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플레이트(155)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결합돌기(1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56)는 전술한 제2보빈(130)의 결합공(136)으로 들어옴으로써, 제2보빈(130) 및 제3보빈(150) 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포머의 사용 중 제2보빈(130) 또는 제3보빈(1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1보빈(110)에도 결합공(미도시)을 추가하여, 상기 제3보빈(150)의 결합돌기(156)가 상기 제2보빈(130)의 결합공(136)과 상기 제1보빈(110)의 결합공(미도시)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3보빈(150)을 기준으로 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57은 전술된 제2보빈(130)에 구비된 또 하나의 결합공(137)으로 삽입되는 또 하나의 결합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결합돌기(156, 157)는 상기 제2보빈(130)과 제3보빈(150)의 결합 시, 상기 제2보빈(130)에 마련된 다수의 결합공(136, 137)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의 상면을 통해 일(一)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 편(15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편(159)은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버스바코일(90)의 이격부(91)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써,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와 상기 제2버스바코일(90) 간을 결합 위치를 구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보빈(150)과 제2버스바코일(90) 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제3보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제3보빈(150)은 제3보빈 몸체부(151)와 이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향 돌출되는 제3보빈 외벽부(1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보빈 외벽부(153)의 높이(t2)는 제3보빈(15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제2버스바코일(9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제2버스바코일(90)과의 결합성이 좋아지며, 제2버스바코일(90)의 절연을 만족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편(159)은 상기 제3보빈 몸체부(151)의 상면을 통해 일(一)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 편(159)의 폭(w2)은 제2버스바코일(90, 도 2 참조)의 이격부(91, 도 2 참조)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보빈(150)은 제2버스바코일(90, 도 2 참조)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1, 2버스바코일(70, 90) 간의 절연을 만족시켜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3 보빈 몸체부(151)의 내측 중공을 둘러 중공돌기(154)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공돌기(154)는 제1, 2, 3 보빈(110, 130, 150)은 물론 제1, 2버스바코일(70, 90)의 중공을 관통하여 서로 간의 분리된 구조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2버스바코일(70, 90)을 서로 격리시켜 상호 간의 절연 효과를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수의 보빈 사이로 버스바 코일을 하나씩 결합 고정시킬 수 있어, 버스바 코일의 절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보빈과 버스바 코일 간의 구조를 일체형 모듈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보빈이 결합한 후에 보빈 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보빈의 회전으로 인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절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 제1 버스바코일 90: 제2버스바코일
100: 트랜스포머 110: 제1보빈
111: 제1보빈 플랜지부 113: 제1보빈 몸체부
130: 제2보빈 131: 제2보빈 몸체부
133: 제2 보빈 외벽부 135: 연장플레이트
136, 137: 결합공 139: 돌출 편
150: 제3보빈 151: 제3 보빈 몸체부
153: 제3 보빈 외벽부 154: 중공돌기
155: 연장플레이트 156, 157: 결합돌기
159: 돌출 편

Claims (8)

  1. 상호 절연이 유지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 2버스바코일;
    상기 제1버스바코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코일이 권취되는 제1보빈;
    상기 제1버스바코일의 하부와 상기 제2버스바코일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보빈;
    상기 제2버스바코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버스바코일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보빈의 결합공을 통과하는 결합돌기를 갖는 제3보빈을 포함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와이어코일이 권취 가능하도록 롤 형상을 갖는 제1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1보빈 몸체부의 양단으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1보빈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제1버스바코일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버스바코일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는 제2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2보빈 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2보빈 몸체부에 안착된 상기 제1버스바코일을 둘러감싸는 제2보빈 외벽부를 포함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플레이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빈 몸체부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는 일자형 돌출 편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편은, 상기 제2보빈 몸체부에 안착되는 제1버스바코일의 이격부로 삽입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빈은,
    상기 제2버스바코일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버스바코일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는 제3보빈 몸체부; 및
    상기 제3보빈 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3보빈 몸체부에 안착된 상기 제2버스바코일을 둘러감싸는 제3보빈 외벽부를 포함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상기 결합공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빈 몸체부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는 일자형 돌출 편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편은, 상기 제3보빈 몸체부에 안착되는 제2버스바코일의 이격부로 삽입되는,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KR1020150056532A 2015-04-22 2015-04-22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KR2016012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32A KR20160126141A (ko) 2015-04-22 2015-04-22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32A KR20160126141A (ko) 2015-04-22 2015-04-22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41A true KR20160126141A (ko) 2016-11-02

Family

ID=5751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32A KR20160126141A (ko) 2015-04-22 2015-04-22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1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222A (zh) * 2017-09-15 2019-03-22 日本特殊陶业株式会社 布线基板和平面变压器
WO2019245233A1 (ko) * 2018-06-22 2019-12-26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KR20200032545A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WO2020159252A1 (ko) * 2019-01-30 2020-08-06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222A (zh) * 2017-09-15 2019-03-22 日本特殊陶业株式会社 布线基板和平面变压器
WO2019245233A1 (ko) * 2018-06-22 2019-12-26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CN112400208A (zh) * 2018-06-22 2021-02-23 Lg 伊诺特有限公司 变压器
CN112400208B (zh) * 2018-06-22 2023-08-11 Lg 伊诺特有限公司 变压器
KR20200032545A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WO2020159252A1 (ko) * 2019-01-30 2020-08-06 엘지이노텍(주) 트랜스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930B1 (ko) 변압기
EP1722381B1 (en) Coil and bobbin for coil
US20130027173A1 (en) Transformer
US10250071B2 (en) Wireless power supply coil
KR20160126141A (ko) 보빈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
US7623016B2 (en) Snap together multiple phase inductor assembly
US8299886B2 (en) Transform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97521B2 (ja) トランス
EP3365901B1 (en) Segmented core cap system for toroidal transformers
KR101018625B1 (ko)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JP5740873B2 (ja) トランス
WO2019024584A1 (en) DEVICE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A VEHICLE
US20150194256A1 (en) Magnetic coupling inductor and multi-port converter
JP2011082205A (ja) トランス装置及びこのトランス装置を備えた変換器
JP2010045110A (ja) リアクトル集合体
JP2004303816A (ja) チョークコイル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1228675A (ja) スペーサ、コイル、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21084780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9158534A (ja) リアクトル用コア
JPH10289829A (ja) トランス用ボビン
JPH1022131A (ja) 高周波トランスの巻線
KR102096519B1 (ko) 초크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180100825A (ko) 변압기
KR102566024B1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보빈
JP7151590B2 (ja) ワイヤハーネ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