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306A -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306A
KR20160125306A KR1020160047664A KR20160047664A KR20160125306A KR 20160125306 A KR20160125306 A KR 20160125306A KR 1020160047664 A KR1020160047664 A KR 1020160047664A KR 20160047664 A KR20160047664 A KR 20160047664A KR 20160125306 A KR20160125306 A KR 2016012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data
information
area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812B1 (ko
Inventor
이동욱
한주용
이중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12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운전 중에 눈부심을 유발하는 광원을 추적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GLARE SHIELDING}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운전 중에 눈부심을 유발하는 광원을 추적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시장은 스마트한 자동 진단 및 운영을 포함하여 최첨단 장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에 많은 자동차 회사에서는 경쟁적으로 사람의 감각의 한계를 벗어나 많은 것을 감지하고 예측하며 운전자가 최적의 환경으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최첨단 장비들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 주간의 강한 햇빛 또는 야간의 자동차 상향 등 비침으로 인한 눈부심으로 인하여 운전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순간적인 운전자의 눈부심이 전방에 대한 시야 확보를 어렵게 만들고 판단력을 흐리게 하여 사고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11386호(1999.03.25 공개, 차량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운행 중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발하는 광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유리 투영도를 조절하는 운전자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장치는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 및 사이드 뷰 미러(side view mirror) 중 적어도 하나가 반사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하는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하는 눈부심 판단부 및 눈부심이 판단된 경우, 상기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 및 사이드 뷰 미러(side view mirror)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도를 조절하는 눈부심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부심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눈부심이 발생한 경우 눈부심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 햇빛 가리개 등의 조작을 방지하여 사고의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인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장치는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 눈부심 판단부(200) 및 눈부심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자동차 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촬영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한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랙박스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한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운전자의 눈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리어 뷰 미러 또는 사이드 뷰 미러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리어 뷰 미러 또는 사이드 뷰 미러를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리어 뷰 미러 또는 사이드 뷰 미러가 반사하는 자동차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미리 설정된 노출 스텝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노출 스텝은 하루 일과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의 감도(ISO), 조리개 및 셔터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는 광원을 용이하게 추적하기 위하여 노출을 조절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의 밝기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눈부심 판단부(200)는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100)로부터 입력된 눈부심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눈부심 여부를 판단한다. 눈부심 판단부(200)는 변환된 휘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눈부심 데이터는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된 것일 수 있으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다. 눈부심 판단부(200)는 영상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자동차 내부의 전자 제어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눈부심 차단부(300)는 눈부심이 발생된 경우, 눈부심이 발생된 자동차 유리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눈부심을 차단한다. 눈부심 차단부(300)는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된 투명도 조절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을 조절하거나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빛을 투영하여 유리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일 수 있다. 또한, 눈부심 차단부(300)는 리어 뷰 미러 또는 사이드 뷰 미러에 눈부심이 발생된 경우, 리어 뷰 미러 또는 사이드 뷰 미러의 반사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눈부심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눈부심 판단부(200)는 휘도 데이터 생성부(210), 클리핑 여부 판단부(220) 및 눈부심 현상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휘도 데이터 생성부(210)는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를 변환하여 휘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휘도 데이터 생성부(210)는 눈부심 데이터의 픽셀 별 조리개 정보, 셔터 속도 정보 및 픽셀 별 ISO 감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노출 스텝 정보와 픽셀 별 RGB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 휘도 정보를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휘도 데이터 생성부(210)는 노출 정보 산출부(212), 영상 정보 처리부(214) 및 휘도 정보 변환부(216)를 포함한다.
노출 정보 산출부(212)는 픽셀 별 조절된 셔터 속도 정보, 조리개 정보 및 ISO 감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리 작성된 노출 정보 테이블에서 노출 정보를 산출한다.
영상 정보 처리부(214)는 입력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 CIE Y 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정보 처리부(214)는 입력된 영상의 RGB 정보를 변환하여 각 픽셀의 CIE Y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CIE Y 정보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Y = 0.2989 * R + 0.5870 * G + 0.1140 * B 수학식 (1)
여기서, Y는 CIE Y 정보, R은 Red 정보, G는 Green 정보 및 B는 Blue 정보를 나타냄.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노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변환 그래프(OECF; Opto-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를 이용하여 각 픽셀의 CIE Y 정보를 휘도 정보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 그래프(OECF; Opto-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는 픽셀 별 셔터 속도, 조리개 정보 및 픽셀 별 ISO 감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지는 각각의 노출 스텝마다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변환 그래프(OECF; Opto-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카메라의 셔터 속도 정보, 조리개 정보 및 ISO 감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리 작성된 노출 스텝 정보 테이블에서 노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ISO 14524를 출력하여 뒷면에 조명을 설치하고, 출력된 종이 앞면에서 각각 사각형(흰색~검은색)마다의 휘도 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휘도의 측정은 점 휘도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출력된 종이의 배경이 회색(Y값 128)으로 촬영되도록 사진 노출을 조절하고, 각각 사각형마다의 Y값을 확인하고, 측정된 휘도 정보와 확인된 Y값 관계로 그래프(OECF)를 그린다. 이후, 휘도 정보 변환부(216)는 조명의 세기를 변경하면서 상술한 과정들을 반복, 각각 노출 스텝마다의 휘도 정보와 Y 값의 그래프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클리핑 여부 판단부(220)는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클리핑은 입력된 영상의 각 픽셀의 휘도 정보가 카메라의 미리 설정된 각 픽셀의 휘도 한계 값을 넘어서는 경우로 정의된다.
눈부심 현상 판단부(230)는 클리핑이 발생된 경우, 노출 스텝을 변경하여 클리핑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를 예측한다. 눈부심 현상 판단부(230)는 클리핑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의 평균 휘도 값 L_avg가 예를 들면, 8비트 픽셀 값 128이 되도록 카메라의 노출 스텝을 변경하여 클리핑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를 예측한다. 눈부심 현상 판단부(230)는 예를 들면, 매우 밝은 광원이 추가된 경우, 평균 휘도 L_avg가 증가하면 카메라의 노출 스텝을 증가시켜 클리핑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눈부심 현상 판단부(230)는 예측된 휘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넘은 경우 눈부심이 발생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은 휘도 값 2000 cd/㎡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눈부심 차단부(300)는 차단 영역 계산부(310) 및 투명도 조정부(320)를 포함한다.
차단 영역 계산부(310)는 운전자 시야로 변환된 영상을 기준으로 눈부심이 발생된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계산한다. 차단 영역 계산부(310)는 눈부심이 발생된 영역의 마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차단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 영역은 광원의 번짐 현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노출 스텝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정부(320)은 계산된 차단 영역의 자동차 유리의 투명도 또는 미러의 반사도를 조정하여 눈부심을 방지한다. 여기서, 자동차 유리의 투명도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된 투명도 조절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을 조절하거나 유리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P)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정부(320)는 눈부심이 발생된 영역의 예측된 휘도 범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하고, 운전자 시야로 변환된 영상에서 운전자 눈 주위의 휘도 값을 예측하여 눈부심이 판단되지 않을 때까지 투명도를 반복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한다. 눈부심 방지 장치는 자동차 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촬영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한다. 눈부심 방지 장치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전면 촬영 영상을 가상 평면 영상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전면 촬영 영상을
Figure pat00001
이라고 하면 가상 평면 영상
Figure pat00002
으로 변환하는 변환식은 아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와 같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수학식(3)
여기서,
Figure pat00005
는 회전 변환 행렬,
Figure pat00006
는 회전 변환 행렬 및
Figure pat00007
는 크기 변환 행렬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8
는 x축 초점거리,
Figure pat00009
는 y축 초점거리,
Figure pat00010
는 x축 주점(중심좌표)이고
Figure pat00011
는 y축 주점(중심좌표)을 나타낸다.
단계 S92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가상 평면 영상을 운전자 시야 기준의 영상으로 변환한다. 눈부심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운전자의 눈 위치를 산출하고, 가상 평면 영상을 운전자 시야 기준의 영상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운전자 시야 기준의 영상을
Figure pat00012
이라고 하면 가상 평면 영상
Figure pat00013
에서 변환하는 변환식은 아래 수학식 (4)과 같다.
Figure pat00014
수학식 (4)
여기서,
Figure pat00015
는 회전 변환 행렬,
Figure pat00016
는 회전 변환 행렬 및
Figure pat00017
는 크기 변환 행렬을 나타낸다.
단계 S93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아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전면 촬영 영상을 운전자 시야 영상으로 변환한다.
Figure pat00018
수학식 (5)
즉 눈부심 방지 장치는 도 10 및 도 1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수학식 (5)를 이용하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82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부심 여부를 판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1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한 영상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를 변환하여 클리핑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단계 S122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판단결과, 클리핑이 발생한 경우 카메라의 노출 스텝을 변경하고 클리핑 영역의 휘도 값을 예측한다.
단계 S123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예측한 클리핑 영역의 휘도 값을 미리 설정한 임계 값과 비교한다.
단계 S124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산출한 클리핑 영역의 휘도 평균 값을 미리 설정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자동차 유리의 차단율 또는 미러의 반사율을 초기화한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83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판단 결과 눈부심이 발생한 경우 눈부심을 차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1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클리핑 영역의 예측된 휘도 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단계 S132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영역을 계산한다.
단계 S133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계산한 차단 영역에 상응하는 자동차 유리 영역의 차단율 또는 미러의 반사율을 증가시킨다.
단계 S1340에서 눈부심 방지 장치는 운전자 눈 주위 부분의 휘도 값을 예측하고 눈부심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눈부심이 없어질 때까지 단계 S1310 내지 단계 S1330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방법은 다양한 서버 등의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수단에 설치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시스템이 포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
200: 눈부심 판단부
300: 눈부심 차단부

Claims (11)

  1. 눈부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 및 사이드 뷰 미러(side view mirror) 중 적어도 하나가 반사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하는 눈부심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하는 눈부심 판단부; 및
    상기 눈부심이 판단된 경우, 상기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 및 사이드 뷰 미러(side view mirror)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도를 조절하는 눈부심 차단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차단부는 상기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된 투명도 조절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이거나 상기 자동차 전면 유리 및 측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빛을 투영하여 유리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인 눈부심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판단부는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를 변환하여 휘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휘도 데이터 변환부;
    변환된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 여부를 판단하는 클리핑 여부 판단부; 및
    클리핑이 발생된 경우, 클리핑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를 예측하는 눈부심 현상 판단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데이터 생성부는
    픽셀 별 조절된 셔터 속도 정보, 조리개 정보 및 ISO 감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리 작성된 노출 정보 테이블에서 노출 정보를 산출하는 노출정보 산출부;
    입력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 CIE Y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처리부; 및
    노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변환 그래프(OECF; Opto-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를 이용하여 각 픽셀의 CIE Y 정보를 휘도 정보로 변환하는 휘도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차단부는
    운전자 시야로 변환된 영상을 기준으로 눈부심이 발생된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계산하는 차단 영역 계산부; 및
    계산된 차단 영역의 자동차 유리의 투명도 또는 미러의 반사도를 조정하는 투명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장치.
  6. 눈부심 방지 방법에 있어서,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눈부심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부심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눈부심이 발생한 경우 눈부심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가상 평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평면 영상을 운전자 시야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을 판단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변환한 영상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를 변환하여 클리핑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클리핑이 발생한 경우 카메라의 노출 스텝을 변경하고 클리핑 영역의 휘도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클리핑 영역의 휘도 평균 값을 미리 설정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클리핑 영역의 휘도 평균 값을 미리 설정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눈부심이 발생한 경우 눈부심을 차단하는 단계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한 차단 영역에 상응하는 자동차 유리 영역의 차단율을 증가하거나 미러 영역의 반사율을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눈부심이 없어질 때까지 상기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차단 영역에 상응하는 자동차 유리 영역의 차단율을 증가하거나 미러 영역의 반사율을 증가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눈부심 방지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47664A 2015-04-20 2016-04-19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46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23 2015-04-20
KR20150055523 201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306A true KR20160125306A (ko) 2016-10-31
KR101746812B1 KR101746812B1 (ko) 2017-06-15

Family

ID=5744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664A KR101746812B1 (ko) 2015-04-20 2016-04-19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8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4496A (zh) * 2017-01-17 2018-09-28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防眩光装置
CN111815721A (zh) * 2020-06-03 2020-10-23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车辆及其后视镜防眩目的控制方法、装置、系统与存储介质
WO2021162499A1 (ko) * 2020-02-13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708269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汇杰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无线氛围灯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762B2 (ja) * 2005-01-19 2010-09-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透過率ウィンドウシステム
JP2010179817A (ja) 2009-02-06 2010-08-19 Panasonic Corp 車両用防眩装置
JP2016030487A (ja) 2014-07-28 2016-03-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防眩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4496A (zh) * 2017-01-17 2018-09-28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防眩光装置
CN108594496B (zh) * 2017-01-17 2024-05-28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防眩光装置
WO2021162499A1 (ko) * 2020-02-13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815721A (zh) * 2020-06-03 2020-10-23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车辆及其后视镜防眩目的控制方法、装置、系统与存储介质
CN11708269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汇杰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无线氛围灯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7082695B (zh) * 2023-10-13 2023-12-26 深圳市汇杰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无线氛围灯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812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2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dding an effect of a virtual light source to a subject
KR101746812B1 (ko)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JP6063215B2 (ja) 眩しさ遮断システム及び眩しさ遮断方法
US10163195B2 (en) Spatio-temporal differential synthesis ofdetail images for high dynamic range imaging
JP5151207B2 (ja) 表示装置
CN109996052B (zh) 一种车载显示装置、车载显示方法、存储介质及车辆
KR101816449B1 (ko) 다시점 카메라의 통합 노출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9142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O2019105254A1 (zh) 背景虚化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1124043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apture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halatio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775442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表示装置、車両に用いられる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に用いられる表示制御方法
JP2009035162A (ja) 後方視認装置
US110372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90107897A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KR102084002B1 (ko) 시선 추적 기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53092A (ko) 운전자를 위한 주행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912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5261B1 (ko) 선바이저 제어장치 및 방법
US202400315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838645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image captur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355252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2057261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EP431219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glasses-typ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2202125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jecting image data onto a projection surface of a vehicle windowpane
WO2021199244A1 (ja) 車両用調光装置および調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