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270A -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 Google Patents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270A
KR20160124270A KR1020150052369A KR20150052369A KR20160124270A KR 20160124270 A KR20160124270 A KR 20160124270A KR 1020150052369 A KR1020150052369 A KR 1020150052369A KR 20150052369 A KR20150052369 A KR 20150052369A KR 20160124270 A KR20160124270 A KR 20160124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rminal
merchant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015B1 (ko
Inventor
김진형
권정호
김구형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5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점에서의 음식 주문 접수부터 배달대행사의 배달기사를 통한 배달까지의 배달 판매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배달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통합 서버에서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통합 서버로부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c) 배달대행사 단말에서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를 배정하고 상기 통합 서버에게 상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의 호출을 요청하기 위한 단계; (d) 통합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의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e) 상기 호출받은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에서 PG(Payment Gateway)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합 서버에서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e)에서 배달기사 단말은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자신이 접수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 활성화 하고 나머지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Server and Method for delivery sales}
본 발명은 상점에서의 음식 주문 접수부터 자체 배달 혹은 배달대행사의 배달기사를 통한 배달까지의 배달 판매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달 판매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배달 판매 프로세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가 생활 책자 또는 전단지 등을 보고(1) 가맹점에 전화를 걸면(2), 가맹점은 구매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고(3), 메모하고(4), 그리고 배달자가 결제기와 쿠폰을 챙겨(5) 구매자의 집으로 배달을 가서(6), 구매자와 배달자간에 만나 종이 쿠폰을 챙기고(7) 현금 또는 카드로 결제하는 과정(8)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결제 과정과 같은 오프-라인(off-line)의 카드 결제 프로세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AN 사를 통해서 가맹점(상점)과 신용카드사 간 정산이 이루어진다. VAN 사는 신용카드사와 가맹점 간에 통신망을 구축하여 신용카드 사업자의 가맹점 모집, 거래 승인, 매입업무 및 가맹점 관리 업무 등을 대행해주고 일정한 수수료를 받는다. 현재 Off-line 결제는 대부분 VAN 사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배달 판매는 상점에서 고객의 주문을 받아 직접 배달을 하거나 배달대행사에 배달을 요청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프로세스는 주문, 배달, 결제 등의 과정이 각각 독립적인 개별 업무 단위로 분절되어 있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기존의 배달 판매 프로세스는 상점과 배달대행사 및 배달기사가 분리된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정산 과정에 어려움이 있고, 상점에서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며, 각 시스템이 통합으로 관리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렵고, 상점과 배달대행사 간 긴밀한 대응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7-0000828호(2007.01.0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점에서의 음식 주문 접수부터 배달대행사의 배달기사를 통한 배달까지의 배달 판매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배달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통합 서버는,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 서버로서,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배달요청등록부;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배달요청목록제공부; 상기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배달호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전달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배달완료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 서버에서 수행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으로서, (a)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단계; 및 (d)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전달된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에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은 서브몰 ID가 다른 다수의 가맹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배달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서브몰 ID에 대응하는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을 활성화 할 수 있고, PG 서버는 신용카드사와 대표 가맹점 계약을 하고 계약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단말에게 서브몰 ID를 생성하여 할당하며, 가맹점 단말은 할당된 자신의 서브몰 ID를 기초로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에 대해 호출을 요청받는 통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주문 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배달기사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써, 상기 통합 서버로부터 상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 메시지를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하여,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결재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재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결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재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호출 메시지를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하여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현재의 위치 정보를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통합 서버에서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통합 서버로부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c) 배달대행사 단말에서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를 배정하고 상기 통합 서버에게 상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의 호출을 요청하기 위한 단계; (d) 통합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의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e) 상기 호출 받은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에서 PG(Payment Gateway)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합 서버에서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e)에서 배달기사 단말은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자신이 접수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 활성화 하고 나머지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상점은 고객에게서 음식 배달 요청이 올 경우 이미 연계되어 있는 배달 대행사에게 주문 내역과 함께 배달 요청을 할 수 있고, 배달 대행사는 상점의 배달 요청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배달 기사들을 호출할 수 있으며, 배달 기사는 호출(콜) 선점 후 상점의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과정이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달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서로간에 긴밀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중앙에서 시스템의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감시 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문제 발생 시,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고객은 배달 주문에서부터 배달 기사의 상품 배달까지 최적의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전통적인 배달 판매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의 오프-라인(off-line)의 카드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통합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가맹점 단말(10), 배달대행사 단말(20), 배달기사 단말(30), 통합 서버(40), 및 PG(Payment Gateway)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가맹점 단말(10), 배달대행사 단말(20), 배달기사 단말(30), 통합 서버(40), 및 PG(Payment Gateway) 서버(5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가맹점 단말(10)과 배달대행사 단말(20)은 각각 음식점 등과 같은 가맹점에 설치된 단말과 가맹점에 주문 접수된 배달 상품의 배달을 대행하기 위한 배달 대행사의 단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기사 단말(30)은 배달 기사가 결제 등을 위해 사용하는 단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통합 서버(40)는 가맹점에서의 주문 접수 프로세스 및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 대행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10)과 연동하기 위한 주문관리 사이트 또는 앱 기능, 배달대행사 단말(20)과 연동하기 위한 배달관리 사이트 또는 앱 기능, 배달기사 단말(30)과 연동하기 위한 배달관리 앱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웹 사이트(Web Site) 또는 앱(App)을 통해 가맹점 단말(10), 배달대행사 단말(20), 및 배달기사 단말(30) 간에 연동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할 수 있다.
PG(Payment Gateway) 서버(50)는 신용카드사, 은행, 통신사 등 결제를 취급하는 회사와 온라인 상점 간 결제를 대행해주는 결제 대행 서버를 나타내고, 온라인 카드 결제 시 VAN사를 거쳐 신용카드사와 통신을 하게 되며, 통합 서버(40)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통합 서버의 구성도로, 도 3의 통합 서버(4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동 동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요청등록부(41), 배달요청목록제공부(43), 배달호출부(45), 및 배달완료통지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요청등록부(41)는 고객의 주문 정보와 가맹점 정보 등이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맹점 단말(10)으로부터 주문 상품에 대한 배달 요청을 주문 관리 사이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받아 리스트에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배달요청목록제공부(43)는 배달요청등록부(41)에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의 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배달관리 사이트를 통해 배달대행사 단말(20)로부터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에 대한 조회가 요청되면 해당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제공한다.
배달호출부(45)는 배달요청목록제공부(43)를 통해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에 대응하여 배달대행사 단말(20)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30)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배달대행사 단말(20)에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각 배달 건에 대해 특정 배달 기사가 배정한 후 호출 요청을 하면 해당 배달 기사의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다른 예로 배달대행사 단말(20)에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각 배달 건에 대해 배달 기사를 특정하지 않고 등록된 모든 배달 기사에 대한 호출을 요청하면 배달대행사 단말(20)에 등록된 모든 배달 기사의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배달완료통지부(47)는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30)로부터 전달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가맹점 단말(10) 및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전달하여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배달기사 단말(30)은 통합 서버(40)로부터 발송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접수하여 호출 권한을 획득한 후 해당 상품을 수령하여 배달하고 결제 앱 등을 통해 오프라인 (카드 또는 현금) 결제를 진행하고 해당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달하는데, 이때 배달완료통지부(47)는 해당 배달 완료 정보를 가맹점 단말(10) 및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전달하여 공유한다. 따라서, 가맹점 단말(10), 배달대행사 단말(20), 및 배달기사 단말(20) 간의 정산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여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3-4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객이 상점(가맹점)에 전화로 배달 주문 시 가맹점 단말(10)은 주문 접수 사이트에 연동되어 있는 발신자 표시 기능에 의해 화면상에 고객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하고(S501), 해당 고객 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고(S503), 해당 주문 정보를 등록한 다음(S505), 해당 주문 정보와 고객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한다(S507).
통합 서버(40)는 주문 접수 사이트를 통해 가맹점 단말(10)로부터 받은 배달 요청 정보를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고 해당 배달 요청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 응답을 가맹점 단말(10)로 보낸다(S509).
이어 배달대행사 단말(20)이 배달 관리 사이트를 통해 통합 서버(40)에 접속하여 배달 요청 정보를 조회하면(S511), 통합 서버(40)는 해당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제공함과 아울러 이 결과를 가맹점 단말(10)로도 전달한다(S513).
배달대행사 단말(20)은 통합 서버(40)로부터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배달 기사를 배정하고(S515) 통합 서버(40)로 해당 배달 기사에 대한 호출을 요청하며(S517), 통합 서버(40)는 배달대행사 단말(20)로부터의 호출 요청에 따라 해당 배달 기사의 단말(30)을 호출한다(S519).
일 예로 배달대행사 단말(20)에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각 배달 건에 대해 특정 배달 기사를 배정한 후(S515) 호출 요청을 하면(S517) 통합 서버(40)는 해당하는 특정 배달 기사의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S519), 다른 예로 배달대행사 단말(20)에서 배달 요청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각 배달 건에 대해 배달 기사를 특정하지 않고(S515) 등록된 모든 배달 기사에 대한 호출을 요청하면(S517) 통합 서버(40)는 배달대행사 단말(20)에 등록된 모든 배달 기사의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519).
다음, 배달기사 단말(30)은 단계 S519에서 호출을 받으면 해당 호출을 접수하여 호출 권한을 획득하고(S521), 배달 기사는 배달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상점(가맹점)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를 보고 해당 상점에 가서 물품을 수령하고 해당 물품을 고객에게 배달한 후(S523), 배달기사 단말(30)의 결제 기능 앱을 통해 고객의 카드를 읽고 PG 서버(50)와 통신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S525), PG 서버(50)는 결제 처리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 응답을 배달기사 단말(30)로 보낸다(S527).
마지막으로, 배달기사 단말(30)은 해당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달하고(S529), 통합 서버(40)는 배달기사 단말(30)로부터 받은 배달 완료 정보를 가맹점 단말(10) 및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전달하여 공유하고, 이를 정산 및 통계 자료 등으로 사용한다(S531).
다른 예로, 전술한 단계 S511 내지 S517의 과정 즉, 배달 요청 리스트 조회 내지 호출 요청, 및 호출 권한 획득 등의 과정은 배달대행사 단말(20) 대신 배달기사 단말(30)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10), 배달대행사 단말(20), 및 배달기사 단말(30)은 통합 서버(40)에 실시간 접속하여 배달 요청 현황 조회를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단계 S525 내지 S527에서의 결제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는 오프-라인(Off-line) 결제 시 VAN 결제 프로세스가 아닌 PG 결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중계/정산이 이루어진다.
PG 서버(50)는 신용카드사, 은행, 통신사 등 결제를 취급하는 회사와 가맹점(10) 간 결제를 대행해주는 결제 대행사 서버이며, 온라인 카드 결제 시 VAN사를 거쳐 신용카드사와 통신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온라인 PG 결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① 고객이 가맹점에 상품 주문 후 결제 요청, ② 가맹점에서 PG사를 통해 승인 요청, ③ PG사는 금융권 및 결제사(카드사, 은행, 이동통신사 등)에 가맹점의 승인 내용 요청, ④ 금융권 및 결제사에서 고객의 결제정보를 인증하고 승인 결과를 PG사에 전송, ⑤ PG사는 승인 결과를 가맹점에 전송, ⑥ 승인 시 가맹점은 고객에게 상품 배송, ⑦ 금융권 및 결제사는 승인 결과에 따라 PG사에 정산, ⑧ PG사는 가맹점에 대금을 정산.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PG 결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① 배달기사가 고객에게 음식 배달 배달기사 단말(30)의 결제 앱(App)을 실행하여 결제 수행, ② 결제 앱은 결제 정보를 PG 서버(50)에 전달하여 승인 요청, ③ PG 서버(50)는 금융권 및 결제사(카드사, 은행, 이동통신사 등)에 가맹점의 승인 내용 요청, ④ 금융권 및 결제사에서 고객의 결제정보를 인증하고, 승인 결과를 PG 서버(50)에 전송, ⑤ PG 서버(50)는 승인 결과를 배달기사 단말(30)의 결제 앱에 전달, ⑥ 배달기사는 단말(30)의 결제 앱에서 결제 성공 확인 후, 배달 완료 정보를 통합 서버(40)에 전송, ⑦ 통합 서버는 배달완료 정보를 가맹점에 전송.
PG 서버(50)는 신용카드사와 대표 가맹점 계약을 하고, 계약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단말(10)에게 서브몰 ID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가맹점 단말(10)은 PG 서버(50)로부터 할당된 서브몰 ID 기준으로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배달기사 단말(30)은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자신이 접수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 활성화 하고 나머지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배달기사 단말(30)의 결제 앱에서는 서브몰 ID가 다른 다수의 가맹점의 신용카드 결제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되, 배달 호출 권한을 획득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을 활성화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3의 배달기사 단말(30)에서 수행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므로, 배달기사 단말(30)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7의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그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20)로 제공하여, 배달대행사 단말(20)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30)에 대해 호출을 요청받는 통합 서버(40)와 통신하여 전술한 주문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기사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통합 서버(4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S701),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호출 메시지에 대한 권한을 획득한다(703).
단계 S703에서의 권한 획득 과정은, 예를 들어, 통합 서버(40)로부터 다수개의 배달기사 단말(30)에게 호출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그 중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30)의 사용자(즉, 배달 기사)가 다른 배달 기사에 우선하여 선택을 입력 하면 통합 서버(40)는 다른 배달기사 단말에게 보낸 호출 메시지를 삭제하는 메시지를 다른 배달기사에게 보내거나, 또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다른 배달기사 단말에게 보내서, 하나의 특정 배달기사 단말이 호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서버(40)가 하나의 특정 배달기사 단말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권한을 부여 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30)은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고 있다가(S705), 단계 S705에서 결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주문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재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S707).
이어, 단계 S707에서 호출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예를 들어 PG 서버(50)로부터 결재 성공 메시지가 수신되면(S709), 전술한 주문 정보에 대한 배달 완료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한다(S711).
또한, 배달기사 단말(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호출 메시지의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한 후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과정(S703~S705)에서, 고객의 주소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의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도 7의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기존에 배달자가 사용하는 결재 단말은 하나의 가맹점에 대해서만 고정 사용해야 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달기사 단말(30)은 서브몰 ID가 다른 다수의 가맹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고 배달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서브몰 ID에 대응하는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하여 사용할 있으므로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10: 가맹점 단말
20: 배달대행사 단말
30: 배달기사 단말
40: 통합 서버
41: 배달요청등록부
43: 배달요청목록제공부
45: 배달호출부
47: 배달완료통지부
50: PG(Payment Gateway) 서버

Claims (12)

  1.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 서버로서,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배달요청등록부;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배달요청목록제공부;
    상기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배달호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전달된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배달완료통지부를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통합 서버.
  2.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 서버에서 수행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으로서,
    (a)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제공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로 배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단계; 및
    (d)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전달된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은 서브몰 ID가 다른 다수의 가맹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배달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서브몰 ID에 대응하는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을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PG 서버는 신용카드사와 대표 가맹점 계약을 하고 계약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단말에게 서브몰 ID를 생성하여 할당하며, 가맹점 단말은 할당된 자신의 서브몰 ID를 기초로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5.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부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에 대해 호출을 요청받는 통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주문 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배달기사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써,
    상기 통합 서버로부터 상기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 메시지를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하여,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결재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재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결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재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배달 완료 정보를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메시지를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하여,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메시지를 선택 입력에 따라 권한을 획득하여, 결재 메뉴가 선택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단계;는
    현재의 위치 정보를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8. 가맹점에서의 주문과 배달대행사에서의 배달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통합 서버에서 고객의 주문 정보가 포함된 배달 요청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통합 서버로부터 배달대행사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c) 배달대행사 단말에서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배달 요청 정보(리스트)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를 배정하고 상기 통합 서버에게 상기 배정된 하나 이상의 배달 기사의 호출을 요청하기 위한 단계;
    (d) 통합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의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e) 상기 호출 받은 하나 이상의 배달기사 단말 중 호출 권한을 획득한 하나의 배달기사 단말에서 PG(Payment Gateway)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합 서버에서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맹점 단말 및 상기 배달대행사 단말로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배달기사 단말은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결제 기능을 가지되, 자신이 접수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만 활성화 하고 나머지 가맹점에 대한 결제 기능은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2.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52369A 2015-04-14 2015-04-14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KR10197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69A KR101978015B1 (ko) 2015-04-14 2015-04-14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69A KR101978015B1 (ko) 2015-04-14 2015-04-14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459A Division KR20160124733A (ko) 2016-10-21 2016-10-21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270A true KR20160124270A (ko) 2016-10-27
KR101978015B1 KR101978015B1 (ko) 2019-05-14

Family

ID=5724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369A KR101978015B1 (ko) 2015-04-14 2015-04-14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519A (ko) 2016-12-14 2018-06-22 유윤상 전국 방방곡곡 음식 배달 서비스 시스템
KR20190086242A (ko) 2018-01-12 2019-07-22 (주) 시티웍스 주문배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25617A (ko) * 2018-08-31 2020-03-10 (주)디메이크스토리 배달중개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CN112651795A (zh) * 2020-12-11 2021-04-13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售卖机的出货方法、自动售卖机和可读存储介质
IT202100021701A1 (it) 2021-08-10 2023-02-10 Bonapp S R L Piattaforma digitale per la richiesta e consegna a domicilio di prodott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890A (ko) 2021-10-05 2021-10-25 이도훈 콜백 및 결제 플랫폼을 지원하는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828A (ko) 2005-06-28 2007-01-03 (주)제트콜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별 통합매장의 배달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광고메세지를 포함하는 영수증발행방법
KR20080100154A (ko) * 2008-10-27 2008-11-14 노형하 주문배달 통합형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주문배달시스템및 주문배달방법
KR20140022533A (ko) * 2012-08-14 2014-02-25 (주)이니시스 원스탑 결제 중계 서비스 방법
KR20140112699A (ko) * 2013-03-14 2014-09-24 주식회사 링크앱 스마트 폰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450042B1 (ko) * 2014-02-19 2014-10-15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카드결제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기반의 배달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44631A (ko) * 2013-06-11 2014-12-19 김희영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통한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828A (ko) 2005-06-28 2007-01-03 (주)제트콜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별 통합매장의 배달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광고메세지를 포함하는 영수증발행방법
KR20080100154A (ko) * 2008-10-27 2008-11-14 노형하 주문배달 통합형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주문배달시스템및 주문배달방법
KR20140022533A (ko) * 2012-08-14 2014-02-25 (주)이니시스 원스탑 결제 중계 서비스 방법
KR20140112699A (ko) * 2013-03-14 2014-09-24 주식회사 링크앱 스마트 폰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20140144631A (ko) * 2013-06-11 2014-12-19 김희영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통한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1450042B1 (ko) * 2014-02-19 2014-10-15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카드결제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기반의 배달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519A (ko) 2016-12-14 2018-06-22 유윤상 전국 방방곡곡 음식 배달 서비스 시스템
KR20190086242A (ko) 2018-01-12 2019-07-22 (주) 시티웍스 주문배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25617A (ko) * 2018-08-31 2020-03-10 (주)디메이크스토리 배달중개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CN112651795A (zh) * 2020-12-11 2021-04-13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售卖机的出货方法、自动售卖机和可读存储介质
CN112651795B (zh) * 2020-12-11 2023-11-17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售卖机的出货方法、自动售卖机和可读存储介质
IT202100021701A1 (it) 2021-08-10 2023-02-10 Bonapp S R L Piattaforma digitale per la richiesta e consegna a domicilio di prodot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015B1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015B1 (ko)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US107963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ly determining a ratio of purchasers and prospective purchasers in a merchant location
KR102327439B1 (ko) 상거래 시스템,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KR101625916B1 (ko)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JP2001195510A (ja) 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兔税品ショッピングモールの運営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50122554A (ko) 티켓 선물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켓 시스템
KR20130028216A (ko) 상품 이용후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1841809A (zh) 一种支持仿真pos交易的移动电话终端和系统
KR20190086242A (ko) 주문배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4733A (ko) 배달 판매를 위한 방법 및 통합 서버
CN103903172A (zh) 电子购物系统及方法
US9824522B2 (en) Shared video vendor
KR102025862B1 (ko) 노쇼 고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9397A (k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2620587B1 (ko) 배달중개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KR20150038791A (ko) 물류 유통을 위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전자 상거래 방법
KR101185489B1 (ko)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0062121A (ko) 카드(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가맹점별 개별 인센티브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4558A (ko) 상품판매 중계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37172A1 (en) Cash payment system
KR101989081B1 (ko) Url를 이용한 모바일 쿠폰 및 프로모션 상품 관리시스템
KR20120076521A (ko) 사용권한 설정이 가능한 직불카드를 기반으로 한 결제대행 중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5550A (ko) 구매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0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1

Effective date: 2018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