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10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108A
KR20160124108A KR1020167022642A KR20167022642A KR20160124108A KR 20160124108 A KR20160124108 A KR 20160124108A KR 1020167022642 A KR1020167022642 A KR 1020167022642A KR 20167022642 A KR20167022642 A KR 20167022642A KR 20160124108 A KR20160124108 A KR 2016012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ate
nose
stop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드 제이 퍼너
Original Assignee
디 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디 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2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3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the closing member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hoo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4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means biasing the closing member about the pivot
    • F16B45/026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means biasing the closing member about the pivot and including a coil typ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7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position-locking means for the closing member
    • F16B45/028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position-locking means for the closing member the position-locking means being pivotally 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76Spring or resiliently biased about pivot
    • Y10T24/44385Distinct spring
    • Y10T24/44427Distinct spring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53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 Y10T24/44538Integral locking-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56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having specific surface material or irregularity on or along engaging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커넥터는 바디 및 게이트를 포함한다. 이 바디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중간부를 구비한다. 노즈 부분은 노즈 단부에서 종단된다. 또한, 바디는 노즈 단부와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중간부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을 상호연결하고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바디의 연결 부분에 근접하게 결합된 제 1 단부와,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페쇄하기 위해 바디의 노즈 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위치될 때에는 폐쇄 위치를 갖고, 개구부가 게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받지 않을 때에는 개방 위치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커넥터는 추락 보호 산업에서 지지 구조물에, 또는 사람이 착용하는 하니스(harness)에 세이프티 라인(safety line)을 연결하는데 통상 사용된다. 커넥터의 예는 스냅 후크 및 카라비너(carabiner)를 포함한다. 커넥터의 게이트 부분이 사용 동안에 뜻하지 않게 개방되지 않거나, 심각한 부상 또는 죽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스냅 후크의 폐쇄 루프 단부는 세이프티 라인에 고정되고, 후크 단부는 지지 구조물 또는 하니스에 고정된다. 세이프티 라인은 각 단부(하나는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하니스에 연결됨)에서 스냅 후크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강도 부재의 역할을 하는 강제 또는 알루미늄 바디와, 커넥터의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되는 프레임 또는 바디로 제조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추락 방지 상황 동안에 높은 휨 부하에 노출될 때 파손되기 쉽다. 이러한 영향은 바디 사이즈가 증가함에 따라 증폭된다.
그러므로, 지지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큰 횡 바디 부하 및 소성 변형을 견딜 수 있는 대형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상술된 이유로, 그리고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는 후술하는 다른 이유로, 본 기술 분야에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게이트 로킹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현재 시스템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처리되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연구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요약은 한정으로서가 아니라 예시로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태양 중 일부를 이해함에 있어서 독자를 돕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바디 및 게이트를 포함한다. 바디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중간부를 구비한다. 노즈 부분은 노즈 단부에서 종단된다. 또한, 바디는 노즈 단부와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중간부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을 상호연결하고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바디의 연결 부분에 근접하게 결합된 제 1 단부와,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바디의 노즈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위치될 때에는 폐쇄 위치를 갖고, 개구부가 게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받지 않을 때에는 개방 위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바디, 게이트 및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바디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중간부를 구비한다. 노즈 부분은 노즈 단부에서 종단된다. 바디는 노즈 단부와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중간부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을 상호연결하고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바디의 연결 부분에 근접하게 결합된 제 1 단부와,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바디의 노즈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게이트는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위치될 때에는 폐쇄 위치를 갖고, 개구부가 게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받지 않을 때에는 개방 위치를 갖는다. 로킹 부재는 노즈 부분과 게이트의 제 2 단부를 상호연결하여, 노즈 부분, 가요성 강도 부재, 및 연결 부분을 갖는 로킹된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부는 힘을 받을 때 변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의 제 2 단부는 노즈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이에 의해 노즈 부분, 가요성 강도 부분 및 연결 부분을 갖는 로킹된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강도 부재는 노즈 부분에 선회적으로 연결된 제 1 스톱부, 연결 부분에 선회적으로 연결된 제 2 스톱부, 및 제 1 스톱부와 제 2 스톱부를 상호연결하고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기다란 부재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 및 이하의 도면을 고려하여 생각될 때, 본 발명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고, 추가의 이점 및 사용이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폐쇄 구성으로 위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스냅 후크의 측면 사시도,
도 1b는 개방 구성으로 위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측면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로킹 부재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로킹 부재의 제 1 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로킹 부재의 후면도,
도 3d는 도 3a의 로킹 부재의 제 2 측면도,
도 4a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트리거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트리거의 제 1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트리거의 후면도,
도 4d는 도 4a의 트리거의 제 2 측면도,
도 5a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게이트의 후면도,
도 5b는 도 5a의 게이트의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게이트의 정면도,
도 5d는 도 5a의 게이트의 제 2 측면도,
도 6a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바디의 제 1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바디의 제 2 측면도,
도 7a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측단면도,
도 7b는 맞물림해제 위치의 로킹 부재를 갖는 도 1a의 스냅 후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스냅 후크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바디의 제 1 부분이 제거된,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측면도,
도 10은 바디의 제 1 부분이 제거되고 트리거가 제거된,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측면도,
도 11은 바디가 제거되고, 트리거가 제거되고 게이트가 제거된,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측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바디의 측면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바디의 제 2 부분의 외부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2 부분의 배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 2 부분의 내부 측면도,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스냅 후크의 가요성 강도 부재의 사시도.
통례에 따르면, 다양한 서술된 특징부가 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관련된 특정한 특징부를 강조하도록 도시된다. 도면 부호는 도면 및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로서 나타내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하기 쉬운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스냅 후크, 카라비너,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적합한 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커넥터의 일례는 미국 특허 제 8,752,254 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스냅 후크인 스냅 후크(100)이다. 스냅 후크(1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다. 스냅 후크(100)가 일 유형의 커넥터로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다른 적합한 커넥터가 또한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스냅 후크(100)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된다. 스냅 후크(100)는 바디(102), 게이트(400), 로킹 부재(200) 및 트리거(300)를 포함한다. 도 1a는 폐쇄 구성의 게이트(400)를 구비하는 스냅 후크(100)를 도시한다. 개방 구성의 게이트(400)는 도 1b에 도시된다. 스냅 후크(100)의 요소는 도 2의 분해도에 추가로 도시된다. 바디(102), 게이트(400), 로킹 부재(200) 및 트리거(300) 외에, 스냅 후크(100)는 로킹 바이어싱 부재(500), 게이트 바이어싱 부재(520), 트리거 바이어싱 부재(510), 게이트 유지 리벳(530) 및 트리거 유지 리벳(5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로킹 부재(200)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다. 로킹 부재는 제 1 단부(202a) 및 제 2 단부(202b)를 구비하는 베이스(202)를 포함한다. 제 1 단부(202a)로부터 로킹 부분(204)이 연장된다. 특히, 제 1 부분(204a)은 베이스(202)의 제 1 단부(202a)로부터 연장된다. 로킹 부분(204)의 제 1 부분(204a)으로부터 대향측 부분(204c 및 204d)이 연장된다. 유지 부분(204b)(유지 탭)은 대향측 부분(204c 및 204d)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부분(204a), 대향측 부분(204c 및 204d) 및 유지 부분(204b)은 로킹 통로(206)를 형성한다. 베이스(202)는 도 3b 및 도 3d에서 가잘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굽힘부(202c)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로킹 부재(200)는 베이스(202)의 제 2 단부(202b)로부터 반대 방식으로 베이스(202)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206a 및 206b)를 포함한다. 베이스(202)의 제 2 단부(202b)로부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킹 바이어싱 부재(500)의 제 1 단부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바이어싱 부재 시트(208)가 추가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바이어싱 부재 시트(208)는 베이스(202)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베이스(202)의 제 1 단부(202a)를 향해 베이스(202)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각 레그(206a 및 206b)는 개별의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 탭(210a 및 210b)은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의 레그(206a 및 206b) 각각의 중간부 근방에서 개별의 레그(206a 및 206b)로부터 대체로 수직 방식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제 1 측면도 및 제 2 측면도(도 3b 및 도 3d)를 참조하면, 각 레그(206a 및 206b)는 슬롯(212 및 214)을 각각 포함한다. 각 슬롯(212 및 214)은 제 1 부분(212a 및 214a) 및 제 2 부분(212b 및 214b)을 포함하고, 이 제 1 부분(212a 및 214a)은 원형 코너를 갖는 형상의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제 2 부분(212b 및 214b)은 제 1 부분(212a 및 214a)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1 부분(212a 및 214a)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형상의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개별의 레그(206a 및 206b) 내의 슬롯(212 및 214)은 서로 정렬된다. 또한, 개별의 레그(206a 및 206b)가 개별의 플랫 부분(212c 및 214c)을 갖는 원형 방식으로 종단된다는 것이 도 3b 및 3d에 도시된다.
트리거(300)가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다. 트리거(300)는 중간 부분(304)과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302 및 306)를 포함한다. 측부(302 및 306)는 중간 부분(304)의 개별의 측부 에지로부터 대체로 수직 방식으로 연장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측부(302 및 306)는 서로 대면하는 내부면을 갖는 서로의 거울상이다. 개별의 측부(302 및 306)를 형성하는 중간 부분(304)의 개별의 측부 에지는 중간 부분(304)의 폭을 규정한다. 중간 부분(304)의 폭은 중간 부분(304)의 제 1 단부(304a) 근방에서 팽출되어 나와서, 트리거 바이어스 부재 시트(308)를 형성한다. 이에 부응하여, 제 1 측부(302) 및 제 2 측부(306)는 트리거 바이어스 부재 시트(308)를 형성하도록 중간 부분의 팽출부를 수용하는 곡선부(302a 및 306a) 각각을 구비한다. 각각의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302 및 306)는 개별의 제 1 단부(302b 및 306b) 및 개별의 제 2 단부(302c 및 306c)에 의해 규정된 길이를 갖는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302 및 306)의 길이는 중간 부분(304)의 길이보다 훨씬 길다. 측부(302 및 306)의 제 2 단부(302c 및 306c)의 근방에서, 이하에 추가로 서술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300)를 바디(102)에 선회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된 트리거 피봇 연결 개구(312a 및 312b)가 정렬된다. 개별의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302 및 306)의 제 1 단부(302b 및 306b)는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고, 맞물림면(310a 및 310b) 각각으로 종단된다. 맞물림면(310a 및 310b)은 이하에 추가로 서술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200)를 선택적으로 맞물림 및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게이트(400)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다. 상술된 트리거(300)와 유사하게, 게이트(400)는 중간 부분(404)과 한 쌍의 측부(402 및 406)를 포함한다. 측부(402 및 406)는 이 측부(402 및 406)의 내측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중간 부분(404)의 폭을 수직 방식으로 규정하는 중간 부분(404)의 대향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중간 부분(404)은 이 중간 부분(404)의 길이를 규정하는 제 1 단부(404a) 및 대향하는 제 2 단부(404b)를 포함한다. 중간 부분(404)의 중간부의 근방에서 게이트 바이어싱 시트(411)가 부착된다. 게이트 바이어싱 시트(411)는 이하에 추가로 서술되는 바와 같이 로킹 바이어스 부재(50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중간 부분(404)은 이 중간 부분(404)의 제 2 단부(404b) 근방에 위치되는 게이트 통로(4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수용 부분(404c)은 게이트(400)의 제 2 단부(404b)와 게이트 통로(412) 사이에 형성된다. 게이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수용 부분(404c)은 바디(102)의 수용 슬롯(106)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게이트(400)의 측부(402 및 406)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서로 거울 대칭이다. 각 측부(402 및 406)는 3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측 섹션(402a 및 406a) 각각은 중간 부분(404)의 제 1 단부(404a) 근방에 위치된다. 제 3 섹션(402c 및 406c) 각각은 중간 부분(404)의 제 2 단부(404b) 근방에 위치되고, 측부(402 및 406)의 제 2 섹션(402b 및 406b) 각각은 개별의 측부(402 및 406)의 제 1 섹션 및 제 3 섹션(402a, 406a 및 402c, 406c) 사이에 위치된다. 각 측부(402 및 406)는 중간 부분(404)으로부터 개별의 측부 에지(402d 및 406d)로 연장되는 폭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404) 및 측부(402 및 406)는 로킹 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게이트 채널(405)을 형성한다.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405)의 폭은 중간 부분(404), 측부(402)의 섹션(402a, 402b 및 402c), 및 측부(406)의 섹션(406a, 406b 및 406c)에 의해 형성되고, 채널(405) 내에 수용된 로킹 부재(200)의 형상을 수용하도록 달라진다. 게다가, 채널(405)의 폭은 측부 에지(402d 및 406d) 근방에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제 3 섹션(402c 및 406c)에 의해 로킹 부재(200)의 대응 부분의 폭보다 좁아진다. 이러한 구성은 심지어 게이트(400)가 개방 구성으로 있을 때에도 로킹 부재(200)를 채널(405) 내에 유지한다.
중간 부분(404)의 제 1 단부 근방에서, 게이트(400)의 각 측부(402 및 406)는 개별의 측부(402 및 406)로부터 서로를 향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별의 탭(408a 및 408b)을 구비한다. 탭(408a 및 408b)은 서로의 사이에 게이트 슬롯(410)을 형성한다. 슬롯(410)은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또한, 탭(408a 및 408b) 근방에서, 그리고 개별의 측부(402 및 406)의 제 1 섹션(402a 및 406a)에서, 이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바디의 연결 부분(102c)에 게이트(400)를 선회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게이트 피봇 연결 통로(414a 및 414b)이 정렬된다.
바디(102)가 도 6a 및 도 6b를 고려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바디(102)는 일반적으로 후크 형상의 구성 내에 있는 중간부(102b)를 포함한다. 중간부(102b)의 일단부로부터 노즈 부분(102a)이 연장되고, 중간부(102b)의 타단부로부터 연결 부분(102c)이 연장된다. 바디(102)는 외부측 에지(102e) 및 내부측 에지(102d)를 포함한다. 노즈 부분(102a)은 노즈 단부(102f)에서 종단된다. 노즈 부분(102a)은 바디(102)의 내부측 에지(102d)로부터 노즈 단부(102f)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식으로 바디(102) 내로 연장되는 수용 슬롯(106a)을 포함하는 슬롯(106)을 추가로 포함한다. 슬롯(106)은 수용 슬롯(106a)으로부터 이 수용 슬롯(106a)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식으로 노즈 단부(102f)를 향해 연장되는 유지 슬롯(106b)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용 슬롯(106a) 및 유지 슬롯(106b)은 바디(102)의 노즈 부분(102a) 내의 캐치부(103)를 구비하는 후크 부분(104)을 형성한다. 바디(102)는 노즈 단부(102f)와 연결 부분(102c) 사이에 위치되는 바디(102)의 내부면에 대한 개구부(107)를 추가로 포함한다. 게이트(4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개구부(107)는 선택적으로 폐쇄된다. 바디(102)의 중간부(102b)는 일반적으로 연결 부분(102c) 근방에 위치되는 트리거 피봇 연결 개구(112)를 포함한다.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은 바디(102)의 중간부(102b)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연결 부분(102c)은 스트랩, 웨빙(webbing), 커넥터 등이 바디(102)에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연결 통로(108)를 포함한다. 연결 통로(108)는 아크 부분(108a) 및 직선 부분(108b)을 구비하는 반원형(반원)이다. 아크 부분(108a)은 웨빙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웨빙(도시되지 않음)은 연결 통로(108)의 아크 부분(108a)에 대해 단단히 재봉되어, 웨빙의 회전이 대략 180도로 제한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냅 후크(100)의 의도치 않은 개방을 야기시키는 로킹 메커니즘까지 회전하는 웨빙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바디(102)의 외부측 에지(102e)를 따라, 연결 부분(102c)에는 이하에 추가로 논의되는 트리거 바이어싱 부재(510)를 위한 바이어싱 트리거 시트를 형성하는 노치(116)가 근접하여 있다. 바디(102)의 내부측 에지(102d)에 대해 개구부(107)에 근방에서, 연결 부분은 게이트 피봇 연결 개구(110)를 포함한다. 또한, 개구부(107)에는 게이트 피봇 연결 개구(110)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의 연장면(117)이 근접하여 있다. 바디(102)의 내부측 에지(102d)와 반경 방향의 연장면(117) 사이의 연접(juncture) 근방에서, 게이트 바이어싱 부재(520)를 제자리에 유지하는데 사용된 게이트 바이어싱 노치(122)가 형성된다. 연결 부분의 반경 방향의 연장면(117)은 일단부에서 로킹 부재 스톱부(123)를 형성하고, 타단부에서 게이트 스톱부(118)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컷아웃 연결 부분(120)을 추가로 포함한다. 허브(111)는 이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게이트 피봇 연결 개구(110)에 대해 외향으로 연장되어, 게이트 바이어싱 부재(520)를 제자리에 유지한다.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의 하나의 다른 특징부는 연결 통로(108)의 일부분 근방의 바디(10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트리거 스톱 레지(114)(도 1b 및 도 2에 도시됨)이다. 트리거 스톱 레지(114)는 이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작동되지 않을 때, 트리거(300)를 제자리에 고정한다.
도 2의 분해도 뿐만 아니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스냅 후크(100)의 조립체의 추가의 설명이 제공된다. 트리거(300)는 이 트리거(300)의 트리거 피봇 연결 개구(312a 및 312b) 및 바디(102)의 트리거 피봇 연결 개구(112)를 통과하는 트리거 유지 리벳(540)을 거쳐서 바디(102)에 선회적으로 부착된다. 트리거 바이어싱 부재(510)는 바디(102) 내의 바이어싱 트리거 노치 시트(116)와 트리거(300) 내에 형성된 트리거 바이어스 부재 시트(308) 사이에 위치된다. 트리거 바이어스 부재(510)는 트리거를 비작동 위치로 편향시킨다.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 상의 트리거 스톱 레지(114)는 트리거(300)의 측부(302 및 306)의 개별의 제 1 단부(302b 및 306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비작동 위에 있을 때, 트리거(300)가 바디(102)에 대해 소망 위치를 지나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트리거(300)가 비작동 위치 내에 있을 때, 어떤 힘도 로킹 부재(200)에 가해지지 않아서, 로킹 바이어스 부재(500)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한다. 따라서, 트리거(300)가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로킹 부재(200)의 유지 부분(204b)(탭)은 캐치부(103)에 의해 메인 바디(102)의 노즈 부분(102a) 내의 슬롯(106)의 유지 슬롯 부분(106b)(제 2 슬롯 부분) 내에 고정된다. 도 7b에 있어서, 트리거(300)는 내리눌러졌고, 작동 위치에 있다. 작동 위치에서, 트리거(300)는,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200)의 유지 부분(204b)이 캐치부(103)에서 풀려나고 로킹 부재(200)의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이 로킹 부재 스톱부(123)에서 풀려나도록, 로킹 부재(200)가 메인 바디(102)에 대해 위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킹 바이어싱 부재(500)에 대항하는 로킹 부재(200)에 힘을 가한다. 이 위치에서의 로킹 부재(200)에 대해서, 게이트(400)는 게이트 바이어싱 부재(520)와 반대로 밀어서, 스냅 후크(100)를 개방 구성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a에는,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의 로킹 부재 스톱부(123)에 인접한 컷아웃 연결 부분(120) 내에 위치되는 로크 스톱 탭(210a)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로킹 부재(200)의 유지 부분(204b)은 바디(102)의 노즈 부분(102a)의 수용 슬롯(106b) 내에 로킹될 때, 로킹 부재(200)의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의 위치이다. 로킹 부재 스톱부(123)와 맞물리는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은 다른 로킹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게이트(40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트리거(300)가 억압되고, 로킹 부재(200)가 게이트(400) 위로 슬라이딩되는 도 7b를 참조하면, 로킹 부재(200)의 로크 스톱 탭(210a)이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의 로킹 부재 스톱부(123)에서 풀려났고, 로킹 부재(200)의 유지 부분(204b)은 바디(102)의 캐치부(103)에서 풀려난 것이 도시된다. 그 다음에 게이트(400)가 개방될 수 있다. 개방 구성에 있어서,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은 게이트(400)에 대해 로킹 부재(200)를 언로킹 위치에서 내려가지 않게 하는 반경 방향의 연장면(117) 상에 올라탄다. 바디(102)의 노즈 부분(102a)의 수용 슬롯(106a) 내의 내부면 근방에 위치된 게이트(400)의 수용 부분(404c)을 갖는 폐쇄 위치(또는 구성)에 게이트(400)가 재위치될 때에만,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은 로킹 바이어스 부재(500)에 의해 제공된 바이어스력에 의해 바디(102)의 연결 부분(102c)의 로킹 부재 스톱부(123) 근방의 컷아웃 연결 부분(120) 내로 아래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구성은 게이트(400)가 바디의 노즈 부분(102a)의 수용 슬롯(106a)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때까지 로킹되는 임의의 잘못된 운송을 방지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은 로킹 부재(200)의 개별의 레그(206a 및 206b)의 연결 슬롯(212b 및 214b)을 절단 및 굽힘 가공(펀칭 아웃)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바와 같이 도시된다. 이는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을 제작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의 정렬된 통로는 로킹 부재(200)의 레그(206a 및 206b) 내에 위치되고, 이러한 레그는 그들을 통과하는 관통 리벳 핀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벳 핀은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바가 로크 스톱 탭(210a 및 210b)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스냅 후크(2100)가 도시된다. 스냅 후크(2100)는 스냅 후크(100)와 유사하므로, 실질적으로 유사하지 않은 구성요소만이 도시될 것이다.
스냅 후크(2100)는 상이한 바디(2102)를 포함하고, 이 바디(2102)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디(2102)를 형성하도록 작동적으로 연결된 개별 구성요소 및 가요성 강도 부재(2600)를 포함한다. 바디(2102)는 노즈 부분(2102a), 중간부(2102b) 및 연결 부분(2102c)을 포함한다. 제 1 부분(2112) 및 제 2 부분(2122)을 구비하는 중간부(2102b)가 도시된다. 가요성 강도 부재(2600)는 노즈 부분(2102a)과 연결 부분(2102c)을 상호연결하고, 중간부(2102b)를 통해 연장된다. 로킹 부재(2200)를 포함하는 게이트(2400)는 연결 부분(2102c)과 노즈 부분(2102a)을 상호연결하고, 트리거(2300)는 스냅 후크(100)와 유사한 로킹 부재(2200)와 바디(2102)를 상호연결한다.
노즈 부분(2102a)은 이 노즈 부분(2102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부분인 제 1 커넥터(2105)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2105)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2102c)은 이 연결 부분(2102c)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부분인 제 2 커넥터(2109)를 포함한다. 제 2 커넥터(2109)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중간부(2102b)의 제 1 부분(2112) 및 제 2 부분(2122)은 거울상인 바람직하게 절반부이다. 2개의 절반부가 도시되었지만, 중간부(2102b)는 이 중간부(2102b)를 형성할 수 있는 단일 피스 또는 2개 이상의 피스로 또한 오버몰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정상 사용 동안에 적절한 구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부분(2112)은 수용 캐비티(2113)를 구비하는 노즈 부분(2102a)에 근접한 단부(2112a)와, 중간부(2112b)와, 수용 캐비티(2114)를 구비하는 연결 부분(2102c)에 근접한 단부(2112c)를 포함한다. 중간부(2112b)는 단부(2112c)에 근접한 개구(2115)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 2 부분(2122)은 수용 캐비티(2123)를 구비하는 노즈 부분(2102a)에 근접한 단부(2122a)와, 중간부(2122b)와, 수용 캐비티(2124)를 구비하는 연결 부분(2102c)에 근접한 단부(2122c)를 포함한다. 중간부(2122b)는 연결 부분(2102c)에 근접한 개구(2125)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2122)은 좌우로 지그재그되는 복수의 보강 부재(2126)를 갖는 대체로 중공이고, 보강 부재(2126)는 노치(2127)를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 부분(2112)은 유사한 보강 부재 및 노치를 포함한다. 보강 부재(2126) 및 노치(2127)는 선택적이다. 보강 부재는 중간부(2102b)로의 힘을 더하고, 보다 적은 재료가 사용되게 하는 것에 의해, 바디의 중량을 감소시키며, 노치는 기다란 부재가 연장되는 채널을 제공하도록 정렬된다. 리벳(2301)은 트리거(2300) 내의 개구(도시되지 않음)와, 바디(2102)의 중간부(2102b)를 형성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2112 및 2122)의 개구(2115 및 2125)를 통해 연장된다.
도 17에 도시된 가요성 강도 부재(2600)는 제 1 단부(2601a)와 제 2 단부(2601b)를 상호연결하는 중간 부분(2601c)을 구비하는 기다란 부재(2601)를 포함한다. 기다란 부재(2601)는 강철 케이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 웨빙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스톱부(2602)는 바람직하게 크림핑, 땜납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 1 단부(2601a)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스톱부(2603)는 또한 바람직하게 크림핑, 땜납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 2 단부(2601b)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스톱부(2602)는 기다란 부재(2601)의 제 1 단부(2601a)를 수용하는 단부에 근접한 디텐트(detent)(2602b)를 구비하는 베이스(2602a)를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2602a)는 기다란 부재(2601)의 제 1 단부(2601a)를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캐비티 또는 보어를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된다. 포크 부분(2602c)은 베이스(2602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각 포크 부분(2602c)의 측부는 개구(2602e)를 구비하는 리세스 부분(2602d)을 포함한다. 제 2 스톱부(2603)는 기다란 부재(2601)의 제 2 단부(2601b)를 수용하는 단부에 근접한 디텐트(2603b)를 구비하는 베이스(2603a)를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2603a)는 기다란 부재(2601)의 제 2 단부(2601b)를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캐비티 또는 보어를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된다. 포크 부분(2603c)은 베이스(2603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각 포크 부분(2603c)의 측부는 개구(2603e)를 구비하는 리세스 부분(2603d)을 포함한다.
기다란 부재(2601)가 웨빙 또는 로프로 제조되는 경우, 스티치 패턴, 루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는 각 단부에서 스톱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제 1 스톱부(2602)의 포크 부분(2602c)은 사이에 갭을 갖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커넥터(2105)는 이 갭 내에 수용된다. 포크 부분(2602c) 내, 그리고 제 1 커넥터 내의 개구는 정렬되고, 리벳(2105b)은 그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 2 스톱부(2603)의 포크 부분(2603c)은 사이에 갭을 갖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커넥터(2109)는 이 갭 내에 수용된다. 포크 부분(2603c) 내, 그리고 제 2 커넥터 내의 개구는 정렬되고, 리벳(2109b)은 이들을 통해 연장된다. 리벳(2105b 및 2109b)은 스톱부(2602 및 2603)가 커넥터(2105 및 2109) 각각에 대해 선회되게 한다.
가요성 강도 부재 및 커넥터로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적합한 재료 및 구성이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갖는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개념이다.
사용 시에, 스냅 후크(2100)는 스냅 후크(100)와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지만, 추락이 발생하는 경우, 중간부(2102b)는 힘을 받을 때, 변형(예를 들면, 형상 변화, 파괴, 이탈 또는 다른 파손)될 수도 있고, 가요성 강도 부재(2600)는 스냅 후크(2100)가 파손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의 제 2 단부는 노즈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이에 의해 노즈 부분, 가요성 강도 부재 및 연결 부분을 갖는 로킹된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한다.
가요성 강도 부재가 스냅 후크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스냅 후크 및 카라비너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냅 후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된다. 커넥터가 로킹 유형을 갖고, 그에 따라 게이트 또는 로킹 부재는 노즈에 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강도 부재는 커넥터 조립체 내로 통합되고, 그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는 정상 사용 동안에 종래의 커넥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지만, 추락 방지 상황 동안에 가요성 루프와 유사하게 기능한다. 가요성 강도 부재는 커넥터 바디를 성형하거나, 커넥터 바디의 2개의 절반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추락 방지 시나리오 동안에, 커넥터 바디의 오버몰딩 부분 또는 부분들은 완전한 연결 상태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변형될 수 있다. 가요성 강도 부재는 그 강도가 게이트 개구부 크기 또는 후크 크기에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소형 또는 대형 커넥터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넥터의 게이트 부분은 로크 메커니즘을 거쳐서 후크 노즈에 연결된다. 종래의 로킹 노즈 커넥터가 도시되었지만, 가요성 강도 부재가 사용될 때, 게이트가 노즈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노즈/게이트 로킹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또한, 바디 부분은 (접착제, 땜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작동적으로 연결된, 오버몰딩된 적어도 2개의 부분이거나, 정상 사용 동안에 적절한 구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또한, 바디 부분은 강철,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를 들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층 설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 또는 정상 사용 동안에 적절한 구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는 노즈 부분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노즈 부분을 게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 즉, 로킹 부재는 게이트보다는 노즈 부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노즈 부분보다는 게이트에 로킹된다.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 내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추정되는 임의의 배열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대신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각색 또는 변경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명백하게 의도된다.

Claims (20)

  1. 커넥터에 있어서,
    노즈 단부에서 종단되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중간부, 및 상기 노즈 단부와 상기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로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노즈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을 상호연결하고 상기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바디와,
    상기 바디의 연결 부분에 근접하게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게이트로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위치될 때에는 폐쇄 위치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게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받지 않을 때에는 개방 위치를 갖는, 상기 게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노즈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이에 의해 상기 노즈 부분, 상기 가요성 강도 부재 및 상기 연결 부분을 갖는 로킹된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슬롯을 포함하는 상기 노즈 부분과,
    상기 게이트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로킹 부재로서, 상기 게이트를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 내의 슬롯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1 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바디에 선회적으로 결합된 제 1 단부를 구비하는 트리거로서,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로킹 부재의 제 1 단부를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로킹 부재의 제 2 단부에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대해서 상기 폐쇄 위치로 게이트를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게이트 바이어싱 부재와,
    상기 게이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게이트를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로킹 부재를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로킹 바이어싱 부재와,
    상기 트리거의 제 2 단부를 상기 로킹 부재의 제 2 단부로부터 멀리 바이어싱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트리거 바이어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금속, 플라스틱, 그리고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오버몰딩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인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힘을 받을 때 변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강도 부재는 상기 노즈 부분에 연결된 제 1 스톱부, 상기 연결 부분에 연결된 제 2 스톱부, 및 상기 제 1 스톱부 및 제 2 스톱부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는 강철 케이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 및 웨빙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톱부 및 제 2 스톱부는 개별의 노즈 부분 및 연결 부분에 선회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부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즈 부분을 상기 게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로킹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넥터.
  13. 커넥터에 있어서,
    노즈 단부에서 종단되는 노즈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중간부, 및 상기 노즈 단부와 상기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로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노즈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을 상호연결하고 상기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강도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바디와,
    상기 바디의 연결 부분에 근접하게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노즈 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게이트로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위치될 때에는 폐쇄 위치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게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받지 않을 때에는 개방 위치를 갖는, 상기 게이트와,
    상기 노즈 부분과 상기 게이트의 제 2 단부를 상호연결하여, 상기 노즈 부분, 상기 가요성 강도 부재 및 상기 연결 부분을 갖는 로킹된 폐쇄 루프 구성을 형성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게이트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즈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커넥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금속, 플라스틱, 그리고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오버몰딩되는
    커넥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인
    커넥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힘을 받을 때 변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커넥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강도 부재는 상기 노즈 부분에 연결된 제 1 스톱부, 상기 연결 부분에 연결된 제 2 스톱부, 및 상기 제 1 스톱부 및 제 2 스톱부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중간부를 통해 연장되는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톱부 및 제 2 스톱부는 개별의 노즈 부분 및 연결 부분에 선회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는 강철 케이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 및 웨빙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KR1020167022642A 2014-02-19 2015-02-18 커넥터 KR20160124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1826P 2014-02-19 2014-02-19
US61/941,826 2014-02-19
US14/621,623 US9861839B2 (en) 2014-02-19 2015-02-13 Connector
US14/621,623 2015-02-13
PCT/US2015/016272 WO2015126878A1 (en) 2014-02-19 2015-02-18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108A true KR20160124108A (ko) 2016-10-26

Family

ID=537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642A KR20160124108A (ko) 2014-02-19 2015-02-18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61839B2 (ko)
EP (1) EP3107628B1 (ko)
JP (1) JP6573898B2 (ko)
KR (1) KR20160124108A (ko)
CN (1) CN106029179B (ko)
AU (1) AU2015219214B2 (ko)
BR (1) BR112016019075B1 (ko)
WO (1) WO2015126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05130A2 (pt) * 2012-09-11 2017-07-04 Capital Safety Group Australia Pty Ltd gancho de pressão aperfeiçoado
GB2510096B (en) * 2012-11-01 2015-08-26 Skanska Uk Plc Safety equipment
TWM464497U (zh) * 2013-06-20 2013-11-01 Usang Ind Co Ltd 安全扣環
US20160230804A1 (en) * 2015-02-09 2016-08-11 Chin-Shun Huang Snap Hook
USD834803S1 (en) * 2015-06-25 2018-12-04 Grivel S.R.L. Crampon
US10066660B2 (en) 2015-10-22 2018-09-04 Reliance Industries, Llc Rebar snap hook
USD786049S1 (en) * 2015-12-07 2017-05-09 Daniel Austin Anchor hook
USD827418S1 (en) 2015-12-07 2018-09-04 Daniel Austin Rope line anchor with hook
US10376722B2 (en) 2015-12-31 2019-08-13 Climb Tech, Llc Connecting and anchoring device
US10384086B2 (en) 2015-12-31 2019-08-20 Climb Tech, Llc Connecting and anchoring device
WO2018125277A1 (en) * 2016-12-30 2018-07-05 Climb Tech, Llc Connecting and anchoring device
US10363442B2 (en) 2015-12-31 2019-07-30 Climb Tech, Llc Connecting and anchoring device
USD788572S1 (en) * 2016-02-10 2017-06-06 Tenacious Holdings, Inc. Carabiner
DE102016202782A1 (de) * 2016-02-23 2017-08-24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Lastaufnehmendes Bauteil der Anschlag-, Zurr- und/oder Hebetechnik mit einem Kunststoff-Metall-Verbundsystem
US10344793B2 (en) * 2016-11-18 2019-07-09 Reliance Industries, Llc Light weight safety hook body
WO2018236914A1 (en) * 2017-06-19 2018-12-27 Climb Tech, Llc CONNECTING AND ANCHORING DEVICE
USD842079S1 (en) * 2017-12-21 2019-03-05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Hook
TWI670101B (zh) * 2018-01-18 2019-09-01 鈞成金屬股份有限公司 複合材料的登山鉤結構
USD848823S1 (en) * 2018-01-19 2019-05-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arabiner
US11293478B2 (en) 2019-11-05 2022-04-05 TruBlue LLC Carabiner
USD948996S1 (en) * 2019-11-13 2022-04-19 Shurtech Brands, Llc Hook
USD972921S1 (en) * 2019-12-05 2022-12-20 Ti-An Chih Rope hook
USD933462S1 (en) * 2019-12-05 2021-10-19 Zeedog S.A. Hook
USD945252S1 (en) * 2019-12-18 2022-03-08 TruBlue LLC Carabiner
USD932879S1 (en) * 2020-02-11 2021-10-12 Daniel Austin Adjustable hook
USD933463S1 (en) * 2020-02-11 2021-10-19 Daniel Austin Fender hook
US20210283486A1 (en) * 2020-03-12 2021-09-16 Joseph C. Engel Releasable net apparatus and system
TWI804818B (zh) * 2021-02-22 2023-06-11 貝加工業股份有限公司 抗扭矩性安全鈎
CN115006753B (zh) * 2021-03-04 2023-08-04 贝加工业有限公司 抗扭矩性安全钩
US11339852B1 (en) 2021-04-27 2022-05-24 Daniel Austin Adjustable hook with strap
USD951077S1 (en) * 2021-06-25 2022-05-10 Binbin Lv Hook
USD1015852S1 (en) * 2021-10-13 2024-02-27 Treemagineers Ltd Carabiner
USD1028692S1 (en) * 2022-03-17 2024-05-28 Ting Wu Climbing carabiner
USD1014228S1 (en) 2022-04-18 2024-02-13 Nite Ize, Inc. Carabiner dog tag
US11920627B2 (en) * 2022-04-18 2024-03-05 Nite Ize, Inc. Small objects optimized carabiner
USD1025754S1 (en) 2022-04-18 2024-05-07 Nite Ize, Inc. S-link
USD1015124S1 (en) 2022-04-18 2024-02-20 Nite Ize, Inc. Carabiner with eyelet
TWI824535B (zh) * 2022-05-26 2023-12-01 振鋒企業股份有限公司 鋼索鉤
US11703077B1 (en) * 2022-07-20 2023-07-18 Yoke Industrial Corp. Carabi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7111A (en) 1947-04-14 1949-07-28 Arthur Kenneth Tarbuck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uides for flexible members
DE1944723C3 (de) 1969-08-30 1980-02-07 Salewa Sportgeraetefabrik Gmbh, 8000 Mue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m wesentlichen hohlen Karabinerhakens
FR2465114A1 (fr) 1979-09-07 1981-03-20 Eisler Robert Sandow muni de crochets, ainsi que procede et outil pour la fabrication d'un tel sandow
GB2192926B (en) 1986-07-16 1989-12-20 R W 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hook
FR2714612B1 (fr) 1994-01-05 1996-05-15 Marcel Jose Peltier Appareil de sécurité anti-chute.
US5517735A (en) 1994-09-16 1996-05-21 Tsai; James Safety rope hook
FR2767162B1 (fr) 1997-08-08 1999-10-29 Joubert Sa Crochet a haute resistance, notamment pour cable elastique
FI110931B (fi) 1999-10-29 2003-04-30 Jouko Rahikka Kiinnityskoukku
FR2803261B1 (fr) 1999-12-29 2002-05-03 Valeo Thermique Moteur Sa Support de face avant renforce pour vehicule automobile
ES1047649Y (es) 2000-11-07 2001-10-01 Maier S Coop Ltda Elemento estructural compuesto para vehiculos y similares.
DE20108512U1 (de) 2001-05-21 2001-12-13 Rottefella As Klokkarstua Karabinerhaken
DE10208200A1 (de) 2002-02-26 2003-09-25 Roland Vich Karabiner-Ring
FR2837543A1 (fr) 2002-03-25 2003-09-26 Peguet & Cie F Dispositif d'accrochage rapide du type mousquet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DE10224642B4 (de) 2002-06-04 2004-05-06 Anatoli Gorban Karabinerhaken
MXPA05006689A (es) 2002-12-19 2006-08-23 Gen Electric Modulo de extremo frontal.
DE20306385U1 (de) 2003-04-24 2003-07-03 Mergl Matthias Hakenverschluss
GB2451835B (en) 2007-08-13 2009-07-01 Checkmate Safety Llp Fall arrest block
DE202007014474U1 (de) 2007-10-16 2009-03-05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ufgespritzte Applikatoren
TW200846560A (en) 2008-06-10 2008-12-01 Hico Intellect Co Ltd Die casting carabiner hook of light alloy for safety belt
DE102009023937A1 (de) 2009-06-07 2010-12-16 Daniel Graf Karabinerhaken sowie Halteeinrichtung für Karabinerhaken
US20110240403A1 (en) 2010-03-31 2011-10-06 D B Industries, Inc. Lifeline Connector for Use with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Disconnectable Lifeline
DE202010010248U1 (de) 2010-07-14 2011-09-01 Edelrid Gmbh & Co. Kg Karabinerhaken
US20120104187A1 (en) 2010-11-02 2012-05-03 Kramer Ran Hang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R2984430A1 (fr) 2011-12-19 2013-06-21 Lp Tent Piece de connexion pour des elements allonges, et ensemble d'elements allonges dont au moins deux sont chacun equipes d'une telle piece
US8752254B2 (en) 2012-02-28 2014-06-17 D B Industries, Llc Snap h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1423A1 (en) 2015-08-20
JP2017512512A (ja) 2017-05-25
CN106029179B (zh) 2021-12-28
EP3107628A1 (en) 2016-12-28
WO2015126878A1 (en) 2015-08-27
AU2015219214B2 (en) 2018-05-31
EP3107628B1 (en) 2021-05-12
JP6573898B2 (ja) 2019-09-11
BR112016019075B1 (pt) 2022-01-25
BR112016019075A2 (ko) 2017-08-15
CN106029179A (zh) 2016-10-12
US9861839B2 (en) 2018-01-09
AU2015219214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4108A (ko) 커넥터
US9322428B2 (en) Locking carabiner
US7346965B2 (en) Side release buckle
CN107110194B (zh) 扣钩
US8234761B2 (en) Wire-gate carabiner
US9936774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EP1466537B1 (en) Buckle
US20130104374A1 (en) Connector for lifelines
US8997314B2 (en) Fastening tool for string body
US9265989B2 (en) Connecting adjustment assembly
US20070214617A1 (en) Buckle
US9578911B2 (en) Reversible locking garment closure
US10588383B2 (en) Buckle
CA3191089A1 (en) Belt buckle
CA2947883C (en) A buckle
US9964138B2 (en) Carabiner with wire level for climbing
TW202021497A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CN109219365B (zh) 绳扣
US11083254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200430450Y1 (ko) 지퍼 넥타이
TWI580371B (zh) buckle
ITMI20130124A1 (it) Fibbia di cintura di sicurezza ed assieme di fibbia e lingue di cintura di sicurezza, nonche' cintura di sicurezza
TWM526673U (zh) 行動裝備的快速拆解裝置的限位構造
TWM333483U (en) The fastening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