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784A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784A
KR20160123784A KR1020150054396A KR20150054396A KR20160123784A KR 20160123784 A KR20160123784 A KR 20160123784A KR 1020150054396 A KR1020150054396 A KR 1020150054396A KR 20150054396 A KR20150054396 A KR 20150054396A KR 20160123784 A KR20160123784 A KR 2016012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seat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784A/ko
Publication of KR2016012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60R2016/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A display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ing apparatus and a vehicle which the displaying apparatus installed i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 내비게이션 장치가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목적지가 지정된 경우,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따라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로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운전석의 위치 또는 도로 통행 방향에 대응하여 조작이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운전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뉴 화면을 구성 및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제공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을 제1 표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2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을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대응되는 제2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명령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에 마련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국가 코드 및 차량의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하고, 상기 국가 코드 및 상기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서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외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지도 데이터는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화면 상에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결정된 상기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화면 상에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제1 표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2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대응되는 제2 표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가 결정된 상기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제1 표시 위치 및 상기 제2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명령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차량에 마련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국가 코드 및 차량의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국가 코드 및 상기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서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정보 수집 장치가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표시 위치에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국가 코드, 차대 번호 및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차량 외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저장부, 상기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화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 또는 도로 통행 방향에 맞춰 적절하고 조작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므로, 운전자의 조작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차량 운전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의하면, 하나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국가의 도로 통행 방향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의하면, 각국의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하나의 통합 프로그램으로도 전 세계의 주행 상황을 망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제작 시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차량의 통행 방향 및 운전석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차량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차량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1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운전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2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운전석 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복수의 화면을 중첩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운전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표시 위치를 이용하여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국가 정보 또는 차대 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지도 데이터 내의 주행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차량의 통행 방향 및 운전석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차량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차량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을 구분하도록 하되, 차량의 주행 방향이 12시 방향인 경우, 3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우측으로 정의하고, 9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좌측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차량이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동쪽이 우측이 되고, 서쪽이 좌측이 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은 일반적으로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운전대의 조작에 따른 좌회전 및/또는 우회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은 후진 방향이 된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일례로 사륜 자동차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사륜 자동차는 네 개의 바퀴의 회전에 따라 이동력을 얻는 차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일례는 사휸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륜 자동차, 삼륜 자동차, 건설 기계, 자전거 또는 열차 역시도 이하 설명되는 차량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로나 선로를 주행 가능한 다양한 운송 수단이 이하 설명되는 차량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일방 통행로와, 양 방향으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양방 통행로(94, 95)로 구분될 수 있다. 양방 통행로(94, 95)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94, 95)를 두 개의 통행로(96 및 97, 98 및 99)로 구획하는 중앙선이나 중앙 분리대(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방향(11 및 21 또는 31 및 42)으로 주행하는 차량(10 및 20, 30 및 4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통행로(96 및 97, 98 및 99)를 주행하는 차량(10 및 20, 30 및 40)은 서로 마주보며 반대 방향(11 및 21 또는 31 및 42)으로 이동하게 된다.
차량은 우측 통행의 원칙에 따라 양방 통행로를 주행할 수도 있고, 좌측 통행의 원칙에 따라 양방 통행로를 주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10, 20)은 중앙선 또는 중앙 분리대의 우측(98, 99)을 점유하여 주행할 수도 있고(우측 통행),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 40)은 도로의 좌측(96, 97)을 점유할 수도 있다(좌측 통행). 차량(10 내지 40)이 도로(94, 95)에서 우측 통행하는지 좌측 통행을 하는지 여부는 각국의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대만, 쿠바 등에서는 우측 통행의 원칙에 따라 차량(10, 20)이 도로(95)를 주행하고, 영국, 일본, 홍콩, 인도,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는 차량(30, 40)은 좌측 통행의 원칙에 따라 도로(94)를 주행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통행로(96 내지 99)는, 복수의 차로(96a 및 96b, 97a 및 97b, 98a 및 98b, 99a 및 99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로(96a 및 96b, 97a 및 97b, 98a 및 98b, 99a 및 99b)는 중앙선과는 별도로 마련된 차선(4, 5)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된다. 차량은 차로(96a 및 96b, 97a 및 97b, 98a 및 98b, 99a 및 99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20)이 도로(95)에서 우측 통행을 하는 경우,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운전대(320)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대시 보드(dashboard, 310)의 좌측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운전석(300)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보조석(301)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 40)이 도로(94)에서 우측 통행을 하는 경우, 도 1d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운전대(340)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대시 보드의 우측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운전석(302)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반대로 보조석(303)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량(10)이 도로(95)에서 우측 통행을 하는 경우 또는 좌측 통행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 내부(12, 32)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내부(1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300, 302), 보조석(301, 303), 대시 보드(310) 운전대(320, 340) 및 계기판(321, 341)이 마련될 수 있다.
대시 보드(310)는 차량의 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하며 대시 보드(310)는 운전석(300, 302) 및 보조석(301, 303)의 전면에 마련된다. 대시 보드(310)는 상부 패널, 센터페시아(311, 331) 및 기어 박스(315, 335)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대시 보드의 상부 패널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시 보드(310)의 상부 패널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의 베젤만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터페시아(3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윈드 실드(windshield)의 일 면이나 대시 보드(310)의 상단에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차량 내부(12, 32)의 다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표시부(130)가 차량(10, 30)의 후방을 향하도록 대시 보드(31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운전석(300, 302) 방향으로 약간 비틀어져 대시 보드(3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약간 비틀어져 설치된 경우 운전석(300, 302)에 착석한 운전자는 표시부(130)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좀더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대시 보드(310) 내측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통신 모듈, 위성 항법 장치 수신 모듈,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차량(10, 30)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부품은 반도체칩, 스위치, 집적 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센터페시아(311, 331)는 대시보드(310)의 중앙에 설치되며, 차량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312 내지 314, 332 내지 334)이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312 내지 314, 332 내지 334)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311 내지 314, 318, 319)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312 내지 314, 332 내지 334)의 위치는 운전석(300, 302)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고, 운전석(300, 302)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할 수도 있다.
기어 박스(315, 335)는 센터페시아(311, 331)의 하단에 마련된다. 기어 박스(315)는 차량의 중심을 가로 질러 마련되고, 기어 박스(315)의 좌측 및 우측에는 운전석(300, 302) 및 보조석(301, 303)이 마련된다.
기어 박스(315, 335)에는, 기어(316, 336), 수납함(317, 337) 및 입력 수단(318, 319, 338, 339)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318, 319, 338, 339)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기어 박스(315, 335)의 기어(316, 336), 수납함(317, 337) 및 입력 수단(318, 319, 338, 339)은 운전석(300, 302)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운전석(300, 302)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수납함(317, 337) 및 입력 수단(318, 319, 338, 339)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차량(10)이 우측 통행을 하는 경우 차량(10)의 센터페시아(310)의 좌측에는 운전대(320)가 마련된다. 따라서 운전석(300)은 기어 박스(315)를 중심으로 좌측에 마련된다. 운전대(320)의 스포크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시보드(310)에서 운전대(320)가 마련된 부분에는 차량(1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instrument panel, 3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계기판은 조명등,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눈금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30)이 좌측 통행을 하는 경우 센터페시아(310)의 우측에 운전대(340)가 마련된다. 따라서 운전석(302)은 기어 박스(335)를 중심으로 우측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대(340)의 스포크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대시보드(310)에서 운전대(340)가 마련된 부분에는 차량(3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341)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텍스트 또는 화상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텔레비전, 셀룰러 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에 출력할 수 있는 텍스트는 기호,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의미하고, 화상은 화면 등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형상이나, 모양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상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동작 또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110)와,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10)는,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서 화면(131)의 일 지점 또는 일 구역을 결정하고, 표시부(130)가 결정된 화면의 일 지점 또는 일 구역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110)에 의해 결정된 화면의 일 지점 또는 일 구역을 표시 위치라고 칭한다.
프로세서(110)는 이와 같이 도로의 통행 방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운전석(300, 302)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라 표시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바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표시부(130)에 전달함으로써, 표시부(130)가 소정의 표시 위치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국가 코드, 차대 번호, 차량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지리적 위치, 도로의 통행 방향 또는 지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도로의 통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도로의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여러 실시예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부(1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에서 표시되는 화상은 지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각종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은 문자, 기호, 숫자, 형상, 모양 및 색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이콘(icon)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이나 원 등과 같은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각형의 모서리는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형의 내부에는 별도의 도형, 그림, 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마련되어, 각 화상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표시부(130)는 음극선관(CRT, Cathode-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display,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양자 점 디스플레이(Quantum Dot Display),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14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여 구동하는 감압 방식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고, 터치 수단과 터치면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조작을 인식하여 구동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수단은 손가락이나 터치 조작용 펜(스타일러스) 등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터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방식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터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표시부(130)가 터치 스크린(140)인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40) 상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손가락이나 터치 조작용 펜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 상에 복수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화상 각각마다 소정의 명령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화상 중 어느 하나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터치 조작한 경우 어느 하나의 화상에 할당된 명령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게 된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결정된 표시 위치에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부(130)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을 화면(13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1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운전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표시부(130)는 화면(131)에 지도(132)를 표시할 수 있으며, 지도(132)에 중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 16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 16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유도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 160)에는 조작에 따라 입력 받을 수 있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150, 160)은 상위 계층으로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151), 방위 선택을 위한 화상(152), 사운드 제어를 위한 화상(153), 지도 확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154), 지도 축적 조절을 위한 화상(155), 지도 축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156), 메뉴 호출을 위한 화상(161), 목적지 표시 화상(162), 잔여 거리 및 시간 표시 화상(163), 경로 취소를 입력하기 위한 화상(164) 및 다른 화상들을 호출하기 위한 화상(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화상(151 내지 165)의 종류나 각각의 상대적 배치 위치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 160)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전석(300)의 위치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의해 결정된 제1 표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 160)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위치란 화면(131) 상에서 화상(150, 160)이 표시되는 지점이나 구역을 포함하며, 화면(131) 내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150, 160)은, 화상(150, 160)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의 특정 지점, 일례로 한쪽 모서리나 중심이 표시 위치의 어느 하나의 좌표축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가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고 결정한 경우라면, 표시부(130)는 운전석(300)의 위치에 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150)을 화면(131)의 좌측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주 쓰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151 내지 156, 161, 162 등)을 화면(131)의 좌측에 더 집중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통행 도로 상에서는 운전석(300)이 좌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부(130), 일례로 터치스크린(140)이 화면(131)의 좌측에 명령 입력을 위한 주요 화상들(151 내지 156)을 표시한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40)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들(151 내지 156)을 더욱 용이하게 손(79)으로 터치 조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명령의 입력이 더욱 간편해지고 정확하게 될 수 있다.
도 7은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2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운전석 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복수의 화면을 중첩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운전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표시부(130)는 화면(131)에 지도(132)와 적어도 하나의 화상(170, 18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화상(170, 180)은 제2 표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 위치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운전석(302)의 위치에 따라서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프로세서(110)가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라면,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와 상이하게, 적어도 하나의 화상(170)을 화면(131)의 우측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주 쓰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화상(171 내지 176, 181, 182 등)을 화면(131)의 우측에 더 집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화상(170, 180)은, 운전석(300)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150, 160)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화상이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서 화면(131)의 좌측 또는 우측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상위 계층으로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151)은 좌측 상단에 표시되나,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상위 계층으로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상(171)은 우측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표시 위치는 제1 표시 위치와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171 내지 173)은,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151 내지 153)과, 화면(131)의 중심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수직선인 중심선(133)을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될 수 있도록 제2 표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151 내지 153)이,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화면(131) 내의 동일한 높이에서 우측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특정 위치, 일례로 화면(131)의 하단에 표시되는 화상(180)도,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표시되는 화상(160)과 대칭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화상(181 내지 185)은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표시되는 화상(161 내지 165)과 순서가 바뀌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석(300)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좌측 하단에 표시되던 메뉴 호출을 위한 화상(161)은, 운전석(302)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우측 하단에 표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통행 도로 상에서는 운전석(302)이 우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부(130), 일례로 터치스크린(140)이 화면(131)의 좌측에 명령 입력을 위한 주요 화상들(171 내지 176)을 표시한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40)의 화면(131)에 표시된 화상들(170, 180)을 더욱 용이하게 손(78)으로 터치 조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명령의 입력이 더욱 간편해지고 정확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운전석(300, 302)의 위치에 따라 제1 표시 위치 및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10)는 제1 표시 위치를 이용하여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프로세서가 제1 표시 위치를 이용하여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화면(131)을 도시한 것이며, 화면(131)에 기재된 가상의 지점(P11 내지 Pn1)은, 특정한 화상(151 내지 153, 171 내지 173)이 표시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점(P11 내지 Pn1)에 병기된 값은, 도시된 화면(131)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를 기준점(O)으로 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여기서 기준점(O)은 원점(0, 0)으로 정의된다.
화면(131)에 제1 화상(151)이 표시되는 경우, 제1 화상(151)는 특정한 지점들로 이루어진 구역에 위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화상(151)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제1 화상(151)이 표시되는 위치의 기준점을 제1 표시 위치라고 한다. 제1 표시 위치는 구역 내의 특정한 지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151)을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제1 화상(151)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는 점 P11에 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제1 화상(151)의 우측 상단의 모서리는 점 P11와 일정한 거리(W1)로 이격된 지점인 점 P21에 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제1 화상(151)의 좌측 하단의 모서리 및 우측 하단의 모서리 역시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상(151)이 각각의 모서리가 배치된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한 구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화상(151)이 표시되는 위치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들 각각의 모서리가 배치된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한 구역 내의 임의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점이 제1 표시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점 P11가 제1 표시 위치인 일례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 표시 위치는 점 P11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점 P21나 또는 구역 내의 다른 점들이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표시 위치(P11)와 대응되는 제2 표시 위치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연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제1 표시 위치(P11)와 대응되는 제2 표시 위치(P31)를 연산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화상(151) 및 제2 화상(171)이 서로 좌우 대칭으로 표시되는 경우, 좌변(L)과 제1 화상(151) 사이의 거리(e1)는 제2 화상(171)과 우변(R) 사이의 거리(l2)와 동일하고, 제1 화상(151)의 폭(w1)과 제2 화상(171)의 폭(w2)은 서로 동일하다. 한편 제2 표시 위치는, 우변(R)에 인접한 점 P41이 아닌 점 P31가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2 화상(171)은 좌우 반전된 경우보다 더 우측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세서(110)는, 제2 표시 위치(P31)를 제1 표시 위치(P11)를 기초로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화면(131)의 우변(R)과 좌변(L) 사이의 거리(A)를 획득하고, 획득한 거리(A)에서 화면(131)의 좌변(L)과 제1 화상(151) 사이의 거리(e1) 및 제1 화상(151)의 폭(W1)을 모두 차감하여 제2 표시 위치(P31)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2 표시 위치(P31)에 제2 화상(171)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가 배치되면, 화면(131) 상에서 제2 화상(171)은 제1 화상(151)과 중심선(13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131)의 소정의 지점은 기준점(O)을 기준으로 한 좌표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10)는 점 P11과 점 P21의 x값의 차이, 즉 x2와 x1의 차이로 폭(W1)을 획득할 수 있고, 점 P11의 x1을 취하여 화면(131)의 좌변과 제1 화상 사이의 거리(e1)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우변(R)에 위치한 점, 일례로 점 PN1의 Xn을 취하여 화면(131)의 우변(R)과 좌변(L) 사이의 거리(A)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을 수행하여 제2 표시 위치(P31)의 좌표 (x3, y1)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화상(152 및 172, 153 및 173) 역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대칭이 되는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프로세서(110)가 제1 표시 위치에 따라 제1 표시 위치와 중심선(133)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제2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학적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10)가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국가 정보 또는 차대 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차량(10) 내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 장치(200)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저장 장치(20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차량용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저장 장치(200)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또는 플렉스레이(FlexRay) 등과 같은 소정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네트워크는 회로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근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cation),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bro), 진화형 고속 패킷 접속(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또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Term Evolution) 등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 내의 저장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하여 차량(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는 통신 칩이나, 안테나, 회로나 케이블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차량(10)에 마련된 저장 장치(200)는,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 저장 장치는, 휘발성 반도체 저장 장치 또는 비휘발성 반도체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롬(ROM),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200)에는 국가 코드(201) 및 차대 번호(202)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국가 코드(201)는 특정한 국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200)의 국가 코드(2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에 차량(10)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장에 제공되어 각각의 전장이 국가 코드에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차대 번호(202)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 식별 번호라고도 한다. 차대 번호(202)는 차량의 도난 방지나 차량의 결함 등의 추적에 이용될 수 있다. 차대 번호(202)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7개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17개의 숫자 또는 문자 중 1번째 숫자 또는 문자는 국가를 나타내고, 2번째 숫자 또는 문자는 제작사를 나타내며, 10번째의 숫자 또는 문자는 제작 연도를 나타내고, 12 내지 17번째의 숫자 또는 문자는 제작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차대 번호(202)의 1번째 숫자 또는 문자를 검출하면 차량(10)이 운송, 판매, 및 사용되는 국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국가 코드(201) 또는 차대 번호(2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소정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프로세서(110)는 저장 장치(200)에서 수신한 국가 코드(201) 또는 차대 번호(202)를 이용하여 차량(10)이 운송, 판매, 및 사용되는 국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국가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참조하여, 결정된 국가에 상응하는 차량(10)의 통행 방향을 결정하고, 차량(10)의 통행 방향에 따라서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서, 통행 방향의 결정 없이도 차량(10)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각국의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구축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설치된 반도체 저장 장치나,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30)가 화상(151 내지 156, 또는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위치는,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중심선(1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30)가 화상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는 지리 정보 시스템의 일례로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테나(101), 지피에스 수신기(102), 프로세서(11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14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1)는 적어도 세 개의 위성(91)에서 발신하는 마이크로파를 수신하고, 지피에스 수신기(102)로 전달한다.
지피에스 수신기(102)는, 적어도 세 개의 위성(91)으로부터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기초로 위성과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위성과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획득한 후, 획득한 거리와 각 위성의 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지피에스 수신기(102)는 결정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먼저 차량의 통행 방향을 결정한 후, 운전석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의 결정을 위해 프로세서(110)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30)가 화상(151 내지 156,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10)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151 내지 156, 또는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위치는,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중심선(1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차량(10)에 마련된 정보 수집 장치(210)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정보 수집 장치(210)는, 정지하고 있거나 또는 주행 중인 차량(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 일례로 표지판의 존재 또는 위치나, 다른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210)는, 수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 수집 장치(210)는, 정보 수집 장치(210)에 마련된 별도의 프로세서(212)를 이용하여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를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한 후, 결정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정보 수집 장치(210)로는, 예를 들어 차량(10)에 설치된 카메라나, 블랙박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2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프로세서(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1)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각종 신호, 일례로 빛이나 사운드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11)는, 예를 들어, 광 센서,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자극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감지부(211)가 전하결합소자 또는 씨모스인 경우,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영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생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 내에서 특정 물체, 일례로 표지판(60)이나 차량(61 내지 63) 등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표지판(60)이 위치를 기초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표지판(60)은 도로 상에서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우측 통행 도로의 경우 설치의 편의 등을 이유로 주로 도로의 좌측 보다는 도로의 우측에 마련되곤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검출된 표지판(60)이 영상의 우측에 있거나, 또는 복수의 영상의 복수의 표지판(60) 중 일정 비율 이상의 표지판(60)이 영상의 우측에서 검출된 경우에는 차량(10)의 통행 방향이 우측이거나, 또는 운전석의 위치가 좌측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는, 검출된 표지판(60)이 영상의 좌측에 있거나, 또는 복수의 영상의 복수의 표지판(60) 중 일정 비율 이상의 표지판(60)이 영상의 좌측에서 검출된 경우에는, 차량(10)의 통행 방향이 좌측이거나, 또는 운전석의 위치가 우측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가 직접 결정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 내의 프로세서(212)가 결정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30)가 화상(151 내지 156,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151 내지 156, 또는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위치는,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중심선(1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지도 데이터 내의 주행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표시부(13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이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저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도 데이터(151)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지도 데이터(151)는, 주변의 지형지물, 건축물, 도로, 지역 명칭, 도로 명칭이나 주소, 좌표, 축적, 또는 등고선 등 각종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지도 데이터(151)는 도로와 관련된 각종 정보(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로의 통행 방향(71, 72), 유턴 방향(74),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75) 유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가능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203)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도 있고, 또한 외부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161)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차량(10)에 마련된 저장 장치(200)는,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저장 장치(160)는, 에스디 카드(SD Card, Secure Digital Card)나 범용 시리얼 버스 메모리(USB memory, Universal Serial Bus memory)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나 또는 차량(10)의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된 포트나 리더기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이 포트나 리더기에 결합된 경우 외부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161)는 저장부(150)에 전달되고, 저장부(150)는 전달받은 지도 데이터(161)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151)를 열람하여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또는 차량 통행 방향 정보 등을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에 따라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통행 방향 정보는, 차량의 통행 방향(71, 72), 유턴 방향(74),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75), 유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지도 데이터(151)를 열람하여, 지도 데이터(151)에서 지역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역 정보에 따라 차량(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위치에 따라 차량(10)의 주행 방향이나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지도 데이터(151)를 열람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서 차선으로 분리된 도로를 검출하고, 차선으로 분리된 각각의 도로의 통행 방향(71, 72)이 우측 통행인지 좌측 통행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유턴 방향(74)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 방향인지 또는 시계 방향인지 결정하고, 만약 반 시계 방향인 경우 도로가 우측 통행 도로라고 결정하고, 시계 방향인 경우 도로가 좌측 통행 도로라고 결정할 수 있다. 우측 통행 도로 또는 좌측 통행 도로 여부가 결정되면, 운전석의 위치에 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30)가 화상(151 내지 156, 또는 171 내지 176)을 제1 표시 위치 또는 제2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위치는,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중심선(1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먼저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s200). 다시 말해서 차량의 통행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인지(s220), 아니면 제2 위치인지(s223) 결정할 수 있다.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위치는 차량의 좌측이고, 제2 위치는 차량의 우측일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운전석의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해선 후술한다.
만약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라면(s220), 프로세서(110)는 화상이 표시될 위치를 제1 표시 위치로 결정하고(s221), 표시부(130)가 제1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2). 제1 표시 위치는 운전석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좌측이라면, 제1 표시 위치는 화면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운전석의 위치가 제2 위치, 일례로 우측인 경우라면(s223), 프로세서(110)는 화상이 표시될 위치를 제2 표시 위치로 결정하고(s224), 제2 표시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225). 제2 표시 위치 역시 운전석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제2 위치가 우측이라면, 제2 표시 위치는 화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가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별도의 에러 메시지를 외부에 영상 또는 사운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s226), 또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에 따라서 화상이 제1 표시 위치 및 제2 표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프로세서(110)는 차량(10)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 장치(200)를 열람하여(s201), 저장 장치(200)로부터 국가 코드 및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s202).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국가 코드(201) 또는 차대 번호(202)를 기초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이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203).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각국의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구축된 것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국가 코드(201) 또는 차대 번호(202) 중 국가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문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차량(10) 내의 운전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9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성 항법 시스템 등과 같은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방향이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인공 위성(9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차량(1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s205),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차량(10) 중 적어도 하나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206).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차량(10)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차량(10)의 주행 방향이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207).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차량(10)의 통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10)의 주행 방향이나 운전석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함으로써 차량(10)의 주행 방향이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차량(10)에 마련된 정보 수집 장치(210)가 차량 외부의 상황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정보 수집 장치(210)가 수집한 정보는 차량 전면 방향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정보 수집 장치(210)의 프로세서(212)는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도로의 통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211). 예를 들어 영상 내에서 표지판(60)의 존재를 검출하고 표지판(60)이 주로 영상 내에서 어느 위치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검출 및 결정한 후에, 표지판(60)의 분포에 따라서 도로의 통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도로 통행 방향이 결정되면,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s212).
도 21은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프로세서(110)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151)를 열람할 수 있다(s215). 저장부(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151)는 차량(10) 내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 장치(200)나, 또는 외부 저장 장치(160)에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도 데이터(151)에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또는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등의 정보를 검출하고(s216), 검출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또는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217). 여기서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는 차량의 통행 방향(71, 72), 유턴 방향(74),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75), 유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운전석의 위치가 결정되면,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소정의 표시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좀더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10: 차량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프로세서 130: 표시부
140: 터치스크린 150: 우측 통행 시 표시되는 화상
170: 좌측 통행 시 표시되는 화상
320: 우측 통행용 운전대 340: 좌측 통행용 운전대

Claims (22)

  1.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을 제1 표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2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을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대응되는 제2 위치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명령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에 마련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국가 코드 및 차량의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하고, 상기 국가 코드 및 상기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서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외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지도 데이터는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화면 상에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결정된 상기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화면 상에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1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제1 표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가 제2 위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이 표시될 표시 위치를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대응되는 제2 표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가 결정된 상기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제1 표시 위치 및 상기 제2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표시 위치와 화면 상에서 좌우 대칭인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명령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차량에 마련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국가 코드 및 차량의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국가 코드 및 상기 차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도로 통행 방향에 따라서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정보 수집 장치가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도로 통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통행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표시 위치에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0. 제19항에 있어서,
    국가 코드, 차대 번호 및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차량 외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저장부, 상기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
  22. 선택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차량 내의 운전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화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54396A 2015-04-17 2015-04-17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KR2016012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96A KR20160123784A (ko) 2015-04-17 2015-04-17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96A KR20160123784A (ko) 2015-04-17 2015-04-17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84A true KR20160123784A (ko) 2016-10-26

Family

ID=5725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96A KR20160123784A (ko) 2015-04-17 2015-04-17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7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0246A1 (en) * 2017-11-23 2019-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14579003A (zh) * 2022-03-03 2022-06-03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车机屏的操作方法及相关组件
CN115009017A (zh) * 2022-08-08 2022-09-06 成都智暄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仪表指示灯智能显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0246A1 (en) * 2017-11-23 2019-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1543948B2 (en) 2017-11-23 2023-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obscuring the display
CN114579003A (zh) * 2022-03-03 2022-06-03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车机屏的操作方法及相关组件
CN115009017A (zh) * 2022-08-08 2022-09-06 成都智暄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仪表指示灯智能显示方法
CN115009017B (zh) * 2022-08-08 2022-11-15 成都智暄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仪表指示灯智能显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6812B (zh) 停车辅助装置
US87121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cessed image data about a surround field of a vehicle
CN105378815B (zh) 用信号为车辆驾驶员告知视觉上至少部分地被遮挡的交通对象的方法和设备
CN111311902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CN102782739A (zh) 能光学地显示出所检测到的物体的驾驶员辅助设备
JP5017242B2 (ja) 視覚支援装置
US20120109525A1 (en) Navigation system,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JP2016095688A (ja) 車載用情報表示装置
KR20160123784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JP20112322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ヘルプ提示方法
KR10136164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및 장치
JP4692898B2 (ja) 車両用案内装置
US7725255B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210375135A1 (en) Method for indicating parking position and vehicle-mounted device
CN104049872B (zh) 利用指向的信息查询
JP2008262481A (ja) 車両制御装置
JP4544427B2 (ja) ナビゲーション機能付車両用メータ装置
RU2715876C1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отображения окрестностей мобильного тела
CN112918479B (zh) 信号处理模块及系统集成模块
KR20200023717A (ko) 차량 및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방법
JP6542085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74900B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map
KR102121473B1 (ko) 차량 네비게이션 및 이의 구동방법
JP7241715B2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2577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