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360A -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360A
KR20160123360A KR1020167025458A KR20167025458A KR20160123360A KR 20160123360 A KR20160123360 A KR 20160123360A KR 1020167025458 A KR1020167025458 A KR 1020167025458A KR 20167025458 A KR20167025458 A KR 20167025458A KR 20160123360 A KR20160123360 A KR 20160123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liner
guide portion
winding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554B1 (ko
Inventor
히로시 마츠모토
유스케 오가키
다카유키 엔도
다카오 우치야마
츠토무 스기야마
다케시 지바
Original Assignee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21C47/3441Diverting the leading end, e.g. from main flow to a coi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6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금속판 (2) 이 반송되는 패스 라인 (L1) 에 있어서 핀치 롤 (10a, 10b) 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을 개폐함과 함께, 권취 라인 (L2) 에 도입된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70) 를 갖는, 가이드부 (70) 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30) 로서, 가이드부 (70) 는, 본체 프레임 (71) 과, 본체 프레임 (71) 에 장착되어, 금속판 (2) 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본체 프레임 (71) 보다 마찰 계수가 낮고 또한 금속판 (2) 보다 경도가 낮은 라이너 (72) 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Description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COILER DEVICE AND GATE DEVICE PROVIDED WITH GUIDE UNIT}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설비의 출측에는 코일러 장치 (권취기) 가 설치되고, 압연기로 압연되어 롤 사이로부터 연속하여 공급되는 금속판 (스트립) 을 코일상으로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코일러 장치는, 금속판의 패스 라인에 핀치 롤을 구비하고, 그 핀치 롤에 의해, 패스 라인으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하게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금속판을 유도하고, 그 선단을 맨드릴에 맞물려 넣어, 금속판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코일러 장치는, 핀치 롤의 출측에 게이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게이트 장치는, 권취 라인을 개폐하는 것으로, 그 권취 라인에서 금속판을 권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권취 라인을 폐색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게이트 장치는, V 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을 갖고, 닫힘 상태에서는 통판 테이블로서 기능하고, 열림 상태에서는 권취 라인에 도입된 금속판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가이드부) 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452호
그런데, 금속판은 핀치 롤을 통과 후, 통판 각도를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바꾸어 맨드릴로 유도되는데, 그 금속판이 고강도의 후재 (厚材) 인 경우, 굽힘 강성이 높아 잘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권취 라인의 입구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의 가이드부에 강하게 가압된다. 그러면, 금속판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워짐과 함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큰 압력 (押力) 이 필요해져 소비 에너지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판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표면의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고, 통판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금속판이 반송되는 패스 라인에 있어서 핀치 롤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을 개폐함과 함께, 상기 권취 라인에 도입된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금속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보다 마찰 계수가 낮고 또한 상기 금속판보다 경도가 낮은 라이너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보다 저마찰 또한 금속판보다 저경도의 라이너에 의해 형성한다. 라이너의 존재에 의해, 가이드면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수 있기 때문에, 금속판에 압력을 그다지 가하지 않아도 되어,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라이너는 금속판보다 저경도이기 때문에, 금속판이 가압되었을 때에는 라이너측이 절삭되어, 금속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흠집의 발생 (절삭) 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라이너는, 상기 권취 라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제 1 라이너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류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라이너보다 두께가 큰 제 2 라이너를 포함한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권취 라인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제 1 라이너보다, 가이드부의 하류측에 장착되는 제 2 라이너 쪽이 두껍게 형성된다. 권취 라인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상류측보다 하류측 쪽이 금속판과 마찰되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제 2 라이너를 두껍게 함으로써, 제 2 라이너의 절삭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라이너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과 마찰되어 서서히 소모되어 가는 라이너만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이너를 본체 프레임째로 교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교환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또 교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라이너는, 상기 권취 라인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피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피스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이 압연기로부터 연장되어 오는 경우, 금속판의 선단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라이너가 폭 방향에 있어서 편마모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복수의 피스로 라이너를 형성하고, 폭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환 비용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패스 라인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을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과, 상기 권취 라인을 개폐하는 게이트 장치와, 상기 권취 라인의 끝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권취하는 맨드릴을 갖는 코일러 장치로, 상기 게이트 장치로서, 앞서 기재된 게이트 장치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표면의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고, 통판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를 하측에서부터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를 상측에서부터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의 권취 동작 및 게이트 장치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를 하측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 (1) 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러 장치 (1) 는, 도시 생략된 압연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압연기를 통과하여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 (2) 을 권취 라인 (L2) 에 도입하여 권취하는 것이다. 패스 라인 (L1) 은, 수평하게 나열된 복수의 반송 롤 (3)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핀치 롤 (10a, 10b) 을 구비한다. 핀치 롤 (10a, 10b) 은,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 (2) 을,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권취 라인 (L2) 은,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측의 핀치 롤 (10a) 은, 하측의 핀치 롤 (10b)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핀치 롤 (10a) 은, 후술하는 맨드릴 (20) 에 금속판 (2) 을 권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측의 핀치 롤 (10b) 로부터 이간되게 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맨드릴 (20) 을 구비한다. 맨드릴 (20) 은, 권취 라인 (L2) 의 끝에 배치되어 금속판 (2) 을 권취하는 것이다. 맨드릴 (20) 의 둘레에는, 래퍼 롤 (21) 및 래퍼 에이프런 (22)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금속판 (2) 을 맨드릴 (20) 에 감는 것이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에 감긴 금속판 (2) 의 직경에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금속판 (2) 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그 선단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의 둘레면에 대향하고, 금속판 (2) 의 선단이 접촉하는 가이드면 (22a) 을 갖는다. 가이드면 (22a) 은,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래퍼 롤 (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금속판 (2) 이 맨드릴 (20) 에 감기면 이간되게 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게이트 장치 (30) 를 구비한다. 게이트 장치 (30) 는, 권취 라인 (L2) 을 개폐하는 것이다 (도 1 에서는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게이트 장치 (30) 는, 핀치 롤 (10a, 10b) 의 출측에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장치 (30) 는, 패스 라인 (L1) 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면 (31) 과, 권취 라인 (L2) 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면 (32) (가이드면) 을 갖는다. 제 1 가이드면 (31) 은, 패스 라인 (L1) 을 따른 수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 2 가이드면 (32) 은, 권취 라인 (L2) 을 따른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 장치 (30) 는, 슈트 가이드 (40a, 40b) 와 협동하여, 권취 라인 (L2) 을 형성하고 있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사이의 맞물림입구로 금속판 (2) 의 선단을 유도하는 것이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사이의 맞물림입구를 향함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역 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 (30)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의 슈트 가이드 (40b) 가, 래퍼 에이프런 (22) 의 하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슈트 롤 (50) 을 구비한다. 슈트 롤 (50) 은,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 금속판 (2) 의 그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다. 슈트 롤 (50) 은,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 (30) 보다 하류측으로서, 게이트 장치 (30) 와 상측의 슈트 가이드 (40a) 의 이음매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슈트 롤 (50) 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은, 제 2 가이드면 (32) 보다 돌출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벤딩 롤 (60) 을 구비한다. 벤딩 롤 (60) 은, 핀치 롤 (10a, 10b) 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벤딩 롤 구동 장치 (61) 에 의해 패스 라인 (L1)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벤딩 롤 (60) 은, 금속판 (2) 이 다 감겼을 때에 그 후단의 튕겨오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스 라인 (L1) 에 근접하는 것이다. 벤딩 롤 구동 장치 (61) 는, 예를 들어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 을 추가 참조하면서, 게이트 장치 (30) 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 (30) 를 하측에서부터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 (30) 를 상측에서부터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게이트 장치 (30) 는, 가이드부 (70) 를 구비한다. 가이드부 (70) 는, 권취 라인 (L2) (도 1 참조) 에 도입된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부 (70) 는, 본체 프레임 (71) 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 (71) 은, 패스 라인 (L1) 의 상류측에 선단을 향하게 한 대략 V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 프레임 (71) 의 상면측은, 제 1 가이드면 (31) 으로 되어 있고, 본체 프레임 (71) 의 하면측에는, 라이너 (72) 가 장착되어, 제 2 가이드면 (32) 으로 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 (71) 의 V 자 홈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 리브 (73) 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70) 는, 라이너 (72) 를 갖는다. 라이너 (7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 (71) 에 장착되어, 금속판 (2) 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라이너 (72) 는, 본체 프레임 (71) 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저마찰재임과 함께, 금속판 (2) 보다 경도가 낮은 저경도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라이너 (72) 는, 예를 들어, FCD (다크타일 주철) 재로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 (72) 는, 제 1 라이너 (72A) 와 제 2 라이너 (72B) 를 포함하고 있고,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2 개의 라이너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라이너 (72A)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 (71) 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제 2 라이너 (72B)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 (71) 의 하류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제 2 라이너 (72B) 는, 제 1 라이너 (72A) 의 배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라이너 (72)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 (71) 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라이너 (72)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피스 (74) 로 이루어지고, 그 복수의 피스 (74) 가 본체 프레임 (71) 에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 1 라이너 (72A) 는, 3 개의 피스 (74) (이하, 제 1 피스 (74a)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고, 3 분할로 교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라이너 (72B) 는, 4 개의 피스 (74) (이하, 제 2 피스 (74b)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고, 4 분할로 교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스 (74) 에는, 나사공 (75) 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 (75) 은, 피스 (74)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공 (75) 에 피스 (74) 의 뒷측으로부터 볼트 (76) 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피스 (74) 가 본체 프레임 (71) 에 체결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 피스 (74) 에는, 뒷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77)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77)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피스 (74) 뒤의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 (71) 에는, 돌기 (77) 의 볼록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걸어맞춤 홈 (78) 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 (77) 를 걸어맞춤 홈 (78) 에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 (71) 에 대해 피스 (74) 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볼트 (76) 를 통과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체 프레임 (71) 에 대한 피스 (74) 의 권취 라인 (L2) 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기 (77) 와 걸어맞춤 홈 (78) 이 권취 라인 (L2) 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걸어맞춤으로써, 금속판 (2) 과의 마찰시에 볼트 (76) 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볼트 (76) 및 나사공 (75) 의 설치 수를 적게, 또, 그것들의 직경의 크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코일러 장치 (1) 에 의한 금속판 (2) 의 권취 동작 및 게이트 장치 (30) 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 (1) 의 권취 동작 및 게이트 장치 (30) 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압연기를 통과한 금속판 (2) 은,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어, 핀치 롤 (10a, 10b) 에 이른다. 금속판 (2) 은, 핀치 롤 (10a, 10b) 을 통과한 후, 통판 각도를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바꾸어,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그 선단이 극단적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호를 그리듯이 만곡된다. 이 때문에, 금속판 (2) 은, 권취 라인 (L2) 의 입구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 (30) 의 가이드부 (70) 에 가압된다.
가이드부 (70) 는, 권취 라인 (L2) 에 도입된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을 갖는다. 이 제 2 가이드면 (32) 의 적어도 일부는, 라이너 (72)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 (72) 는, 가이드부 (70) 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 (71) 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저마찰재로 이루어지고, 금속판 (2) 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 프레임 (71) 에 라이너 (72) 를 첩부하여, 제 2 가이드면 (32) 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금속판 (2) 에 압력을 그다지 가하지 않아도 되어,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라이너 (72) 는, 금속판 (2) 보다 경도가 낮은 저경도재이기 때문에, 금속판 (2) 이 가압되었을 때에는 라이너 (72) 측이 절삭된다. 이로써, 금속판 (2) 의 표면에 있어서의 흠집의 발생 (절삭) 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가이드면 (32) 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부 (70) 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 (71) 보다 저마찰 또한 금속판 (2) 보다 저경도의 라이너 (72) 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고, 금속판 (2) 에 압력을 그다지 가하지 않고 통판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또, 라이너 (72) 측을 마모시킴으로써, 금속판 (2) 의 표면의 흠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라인 (L2) 에 도입된 금속판 (2) 의 선단은, 먼저, 제 1 라이너 (72A) 에 눌린다. 그 후, 금속판 (2) 은,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된 제 2 라이너 (72B) 에 눌려, 슈트 가이드 (40a, 40b) 사이를 통과하여, 맨드릴 (20) 에 권취된다.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금속판 (2) 은, 맨드릴 (20) 에 권취되어 있는 잠시 동안은, 제 2 라이너 (72B) 에 가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 (2) 은,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가이드부 (70) 의 상류측보다 하류측 쪽이 가압되는 기간이 길다. 따라서, 제 1 라이너 (72A) 보다, 제 2 라이너 (72B) 쪽이, 마모량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의 라이너 (72)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가이드부 (70) 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제 1 라이너 (72A) 보다, 가이드부 (70) 의 하류측에 장착되는 제 2 라이너 (72B) 쪽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라이너 (72B) 를 두껍게 하여, 제 2 라이너 (72B) 의 절삭 여유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라이너 (72A) 와 제 2 라이너 (72B) 의 교환 시기 (마모 비율) 를 거의 동일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라이너 (72) 는, 본체 프레임 (71) 에 볼트 (76) 에 의해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판 (2) 과 마찰되어 서서히 소모되어 가는 라이너 (72) 만을, 본체 프레임 (71) 과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라이너 (72) 를 본체 프레임 (71) 째로 교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교환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또, 교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라이너 (7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피스 (74) 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스 (74) 는, 본체 프레임 (71) 에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피스 (74) 의 하나당의 중량은, 라이너 (72) 전체의 중량보다 분명히 가벼워, 교환 작업은 용이하다.
또, 금속판 (2) 이 도시 생략된 압연기로부터 연장되어 오는 경우, 금속판 (2) 의 선단의 형상이 일직선으로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금속판 (2) 의 선단이, 가이드부 (70) 에 가압되었을 때에, 라이너 (72) 가 폭 방향에 있어서 편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피스 (74) 로 라이너 (72) 를 형성하고, 폭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편마모된 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 (72) 의 교환 비용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금속판 (2) 이 반송되는 패스 라인 (L1) 에 있어서 핀치 롤 (10a, 10b) 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을 개폐함과 함께, 권취 라인 (L2) 에 도입된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70) 를 갖는, 가이드부 (70) 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30) 로서, 가이드부 (70) 는, 본체 프레임 (71) 과, 본체 프레임 (71) 에 장착되어, 금속판 (2) 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본체 프레임 (71) 보다 마찰 계수가 낮고 또한 금속판 (2) 보다 경도가 낮은 라이너 (72) 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표면의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고, 통판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이드부 (70) 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30) 및 코일러 장치 (1) 가 얻어진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이하의 도 5 에 나타내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혹은 생략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 장치 (30) 를 하측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의 라이너 (72) 는, 본체 프레임 (71) 에 책자상 (邃子狀) 으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라이너 (72A) 는, 2 개의 제 1 피스 (74a) 로 이루어지고, 권취 라인 (L2)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1 피스 (74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라이너 (72B) 는, 3 개의 제 2 피스 (74b) 로 이루어지고, 권취 라인 (L2)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피스 (74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류측의 제 2 가이드면 (32) 은, 중앙이 본체 프레임 (71) 에 의해 형성되고, 그 양 사이드가 제 1 라이너 (72A)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류측의 제 2 가이드면 (32) 은, 중앙, 양단이 제 2 라이너 (72B) 에 의해 형성되고, 그 사이가 본체 프레임 (71)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스 (74) 의 수가 줄어들어, 라이너 (72) 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2 가이드면 (32) 의 폭 방향 양단부는, 금속판 (2) 의 모퉁이가 닿기 쉽기 때문에, 적어도 이 양단부에 라이너 (72) 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금속판 (2) 의 흠집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너가 복수의 피스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라이너가 한 장인 것이어도 된다.
1 : 코일러 장치
2 : 금속판
10a, 10b : 핀치 롤
20 : 맨드릴
30 : 게이트 장치
32 : 제 2 가이드면 (가이드면)
70 : 가이드부
71 : 본체 프레임
72 : 라이너
72A : 제 1 라이너
72B : 제 2 라이너
74 : 피스
L1 : 패스 라인
L2 : 권취 라인

Claims (5)

  1. 금속판이 반송되는 패스 라인에 있어서 핀치 롤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을 개폐함과 함께, 상기 권취 라인에 도입된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금속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보다 마찰 계수가 낮고 또한 상기 금속판보다 경도가 낮은 라이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권취 라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제 1 라이너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류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라이너보다 두께가 큰 제 2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권취 라인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피스 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피스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5. 패스 라인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을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과, 상기 권취 라인을 개폐하는 게이트 장치와, 상기 권취 라인의 끝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권취하는 맨드릴을 갖는 코일러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러 장치.
KR1020167025458A 2014-03-20 2015-03-18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KR102074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9066 2014-03-20
JP2014059066A JP5944427B2 (ja) 2014-03-20 2014-03-20 ガイド部を備えたゲート装置及びコイラー装置
PCT/JP2015/057977 WO2015141703A1 (ja) 2014-03-20 2015-03-18 ガイド部を備えたゲート装置及びコイラ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360A true KR20160123360A (ko) 2016-10-25
KR102074554B1 KR102074554B1 (ko) 2020-02-06

Family

ID=5414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58A KR102074554B1 (ko) 2014-03-20 2015-03-18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3952B2 (ko)
EP (1) EP3120948B1 (ko)
JP (1) JP5944427B2 (ko)
KR (1) KR102074554B1 (ko)
CN (1) CN106102944B (ko)
WO (1) WO2015141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158B1 (de) * 2020-12-23 2023-11-01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Haspeleinrichtung für grossen dickenbereich von metallbändern
CN114733914A (zh) * 2022-04-26 2022-07-12 湖南华菱涟源钢铁有限公司 引导装置及引导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77Y2 (ko) * 1983-04-25 1988-02-29
JP2005305452A (ja) 2004-04-16 2005-11-04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2219A (en) * 1929-03-22 1932-10-11 Cutler Hammer Inc Controller for motor driven machines
US2184118A (en) * 1937-05-22 1939-12-19 William J Glenn Guide for rolling mills and other machines
GB793869A (en) * 1955-01-25 1958-04-23 Davy & United En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iling of strip material
JPS6034321U (ja) 1983-08-18 1985-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ウンコイラ−
US4964587A (en) * 1986-12-25 1990-10-2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oiler
US6283403B1 (en) * 1997-08-15 2001-09-04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Strip winder
US6039283A (en) 1998-05-19 2000-03-21 Hylsa S.A. De C.V. Thin strip coiling system
US6578789B1 (en) * 1998-08-04 2003-06-17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Deflection method and deflection device for a strip, especially a metal strip
JP2000233218A (ja) * 1999-02-15 2000-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帯鋼板巻取り装置
JP2001191114A (ja) * 1999-12-28 2001-07-17 Mitsubishi Heavy Ind Ltd 鋼帯巻取装置
DE10131850B4 (de) * 2001-06-30 2013-04-25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Dünnbandhaspel mit Planheitsmeßrolle
JP3753037B2 (ja) * 2001-09-11 2006-03-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金属帯の巻取り装置
DE10162433B4 (de) * 2001-12-18 2006-06-01 Maschinen- Und Werkzeug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ortreiben von Metallbändern
DE10208964A1 (de) * 2002-02-28 2003-09-18 Sms Demag Ag Umlenkeinrichtung für ein Band in einer Haspelanlage
DE10258499A1 (de) * 2002-12-14 2004-07-01 Sms Demag Ag Umlenkvorrichtung einer Haspelanlage zum Aufhaspeln von Bändern
CN201500695U (zh) 2009-09-21 2010-06-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带钢划伤的卷取过渡导板和切换装置
EP2688691B2 (de) * 2011-03-23 2019-04-03 SMS Logistiksystem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ckband-probenentnahme
CN202052800U (zh) * 2011-03-24 2011-11-30 武汉钢铁(集团)公司 带钢卷取机活门
JP2012250283A (ja) * 2011-06-07 2012-12-20 Jfe Steel Corp 熱延鋼帯の巻取り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77Y2 (ko) * 1983-04-25 1988-02-29
JP2005305452A (ja) 2004-04-16 2005-11-04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82090A (ja) 2015-10-22
EP3120948A1 (en) 2017-01-25
WO2015141703A1 (ja) 2015-09-24
EP3120948A4 (en) 2017-12-06
CN106102944B (zh) 2018-02-16
EP3120948B1 (en) 2018-11-07
JP5944427B2 (ja) 2016-07-05
US10413952B2 (en) 2019-09-17
KR102074554B1 (ko) 2020-02-06
US20170106424A1 (en) 2017-04-20
CN106102944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087B1 (ko) 슈트 가이드를 구비한 코일러 장치
KR20160123360A (ko)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JP2012086976A5 (ko)
CN100450653C (zh) 防止0.4mm以下的薄板高速轧制工况下带钢颤动的方法
WO2009028155A1 (ja) ベルトコンベヤ
US638247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mount of teeming molten metal and slide plate used for the same
US10406578B2 (en) Coiler device provided with chute roller
JP6318896B2 (ja) 記録装置
JP2006347678A5 (ko)
US6637698B1 (en) Hose guiding device of a hose winder
JP6347538B2 (ja) ラッパーエプロンを備えたコイラー装置
JP6699295B2 (ja) 用紙搬送装置
CN215399469U (zh) 一种平移式束带机导带装置
CN216728971U (zh) 窄带钢表面防划伤装置及蛇形振荡器
CN209897409U (zh) 一种用于贯穿式滑槽的遮挡装置
JP6775405B2 (ja) 紙ガイドおよびプリンター
Dvorak et al. Verification of calculation of tensile gap for tin coated strip
JP2019171456A (ja) 通板ガイド装置、通板ガイドおよびピンチロール
JP2011016611A5 (ko)
GEU20091492Y (en) Machine for crushing gr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9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9

Effective date: 20191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