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705A - 수지막 - Google Patents

수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705A
KR20160122705A KR1020167020356A KR20167020356A KR20160122705A KR 20160122705 A KR20160122705 A KR 20160122705A KR 1020167020356 A KR1020167020356 A KR 1020167020356A KR 20167020356 A KR20167020356 A KR 20167020356A KR 20160122705 A KR20160122705 A KR 20160122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coupling agent
copolymer
silane coupl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씨. 아이. 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 아이. 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씨. 아이. 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2Phenols containing keto groups, e.g. benzophe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에 기반한 구성 단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구성 단위 및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에 기반한 구성 단위를 가진 공중합체 (A)와,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B), 및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는 수지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지막{resin film}
본 발명은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2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4-029642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중간막 또는 태양 전지의 모듈에 사용되는 봉지재 등으로 수지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 유리에 있어서는 유리판 / 중간막 / 유리판, 유리판 / 중간막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필름이라 함) / 중간막 / 유리판 등의 적층 구성의 중간막에 대하여 수지막이 사용된다.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는 유리판 / 셀을 내포한 봉지재층 / 백시트 등의 적층 구성의 봉지재층을 형성하는 봉지재에 대하여 수지막이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중간막 및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 등에 사용되는 수지막에는 일반적으로 유리판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가 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지막에는 자외선에 의한 수지 열화의 억제, 자외선의 차폐 등을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된다.
접합 유리의 중간막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에 기반한 구성 단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구성 단위,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에 기반한 구성 단위를 가진 공중합체, 아미노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중간막(특허 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인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및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특허 문헌 2)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0/090212호 <특허 문헌 2> 일본특개2011-23886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중간막은 우수한 투명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특허 문헌 1의 중간막은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는 경우,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므로 중간막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에서도 황변이 발생하여 봉지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나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막이고,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자외선에 대한 차폐성이 우수하며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지 않고 황변이 억제되는 수지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 에틸렌에 기반한 구성 단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구성 단위 및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에 기반한 구성 단위를 가진 공중합체(A)와,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B), 및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는 수지 막.
[2]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상기 [1]의 수지막.
[3]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인 상기 [1]의 수지막.
본 발명의 수지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나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막이고,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자외선에 대한 차폐성이 우수하며,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 되지 않고 황변이 억제된다.
<수지막>
본 발명의 수지막은 공중합체(A),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B)(이하, 자외선 흡수제(B)이라 함),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C)(이하, 실란 커플링제(C)이라 함)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막은 필요에 따라 공중합체(A) 이외의 중합체(D) 및 첨가제(E)를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A)>
공중합체(A)는 에틸렌에 기반한 구성 단위(이하, 구성 단위(α1)이라 함),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구성 단위(이하, 구성 단위(α2)이라 함) 및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에 기반한 구성 단위(이하, 구성 단위(α3)이라 함)를 가지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수지막이 공중합체(A)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양호한 수지막이 될 수 있다.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하기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1)이라 함)이 바람직하다.
CH2=CR1-CO-O-R2 ... (1)
(단,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킬기이다.)
화합물(1)의 R2는 직쇄상일 수 있고, 분지쇄상일 수도 있다.
R2는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가 가진 구성 단위(α2)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로는,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하기의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2)이라 함)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단,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Q는 탄소수 1 내지 5인 알킬렌기이다.)
화합물(2)의 Q는 직쇄상일 수 있고, 분지쇄상일 수도 있다.
Q는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렌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가 가진 구성 단위(α3)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각 구성 단위의 비율>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한 구성 단위(α1)의 비율은, 50 내지 85 중량%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78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65 내지 7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단위(α1)의 비율이 하한 값 이상이면, 보관 중에 수지막끼리 차단(블로킹)하는 것을 제어하기 용이하다. 상기 구성 단위(α1)의 비율이 상한 값 이하이면,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한 구성 단위(α2)의 비율은 10 내지 48 중량%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38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3 내지 28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단위(α2)의 비율이 하한 값 이상이면, 열 가공성이 양호하다. 상기 구성 단위(α2)의 비율이 상한 값 이하이면, 차단하는 것을 제어하기 용이하다.
공중합체(A)의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한 구성 단위(α3)의 비율은, 1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5 내지 1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단위(α3)의 비율이 하한 값 이상이면,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구성 단위(α3)의 비율이 상한 값 이하이면, 투명성이 양호하다.
공중합체(A)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은, ISO8985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장치로는, 예를 들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A)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100 중량%) 중의 공중합체(A)의 함량은 60 내지 99.8 중량%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99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95 내지 98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A)의 함유량이 하한 값 이상이면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A)의 함유량이 상한 값 이하이면 우수한 내후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B)>
자외선 흡수제(B)는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이다.
자외선 흡수제(B)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 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 2,4-디 하이드록시 벤조 페논, 2,2'-디 하이드록시-4, 4'-디 메톡시 벤조 페논, 2,2',4,4'-테트라 하이드록시 벤조 페논, 2,2'-디 하이드록시-4-메톡시 벤조 페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장이 400nm 부근의 자외선 흡수기능을 가지고, 넓은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차폐하는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개개의 방향족 고리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2'-디 하이드록시-4,4'-디 메톡시 벤조 페논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B)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100 중량%) 중의 자외선 흡수제(B)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0.8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3 내지 0.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B)의 함유량이 하한 값 이상이면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B)의 함유량이 상한 값 이하이면 초기 착색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C)>
실란 커플링제(C)는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C)이다. 본 발명의 수지막이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유리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수지막이 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B)와 실란 커플링제(C)의 조합에 의해 수지막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자외선 차폐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황변도 억제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C)로는, 예를 들어, 3- 글리시딜 옥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글리시딜 옥시 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3- 글리시 독시 프로필 메틸 디 에톡시 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저온 가공에서의 접착성 측면에서 3- 글리시딜 옥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C)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100 중량%) 중 실란 커플링제(C)의 함량은 0.01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1.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0.3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C)의 함량이 하한 값 이상이면 유리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C)의 함량이 상한 값 이하이면 투명성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다.
<중합체 (D)>
본 발명의 수지막은 공중합체(A) 이외의 중합체(D)를 함유할 수 있다.
중합체(D)로는 에틸렌 - 초산 비닐 공중합체(이하, EVA이라 함), 에틸렌 - 초산 비닐 -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 비닐 아세탈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은 산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다. 폴리올레핀을 변성하는 산으로는,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클로로 말레산, 하이믹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D)로는 비용 측면에서 EVA가 바람직하다.
EVA의 초산 비닐에 기반한 구성 단위의 비율은,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33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초산 비닐에 기반한 구성 단위의 비율이 하한 값 이상이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초산 비닐에 기반한 구성 단위의 비율이 상한 값 이하이면 차단(블로킹)을 일으키기 어렵다.
중합체(D)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이 중합체(D)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막(100 중량%) 중 중합체(D)의 함량은 5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4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내지 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 합체(D)의 함유량이 하한 값 이상이면 비용을 절감하기 용이하다. 상기 공중합체(D)의 함유량이 상한 값 이하이면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이 중합체(D)를 함유하는 경우,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D)의 총 중량(100 중량%)에 대한 공중합체(A)의 비율은 5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4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내지 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A)의 비율이 하한 값 이상이면 PET필름이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A)의 비율이 상한 값 이하이면 비용을 절감하기 용이하다.
<첨가제 (E)>
본 발명의 수지막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E)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E)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B)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가교조제, 차광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산화 방지제, 가소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방습제, 열선 반사제, 열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B)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 트리 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E)는 1 종으로 할 수 있고, 2 종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이 첨가제(E)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막(100 중량%) 중 첨가제(E)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 2 내지 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3 내지 2.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막의 두께는 0.1 내지 3.0mm가 바람직하고, 0.4 내지 1.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막의 두께가 하한 값 이상이면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하다. 수지막의 두께가 상한 값 이하이면 가공시 작업성이 우수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중합체(A), 자외선 흡수제(B), 실란 커플링제(C)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체(D) 및 첨가제(E)를 반죽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은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시트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반죽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압출기, 플라스토그래프, 반죽기, 범버리 믹서, 캘린더 롤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시트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티다이(T-Die)를 이용한 압출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을 용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형 시트에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하는 것에 의해 시트화할 수도 있다.
<용도>
본 발명의 수지막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 또는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막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이용하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 / 제 1 중간막 / PET필름 / 제 2 중간막 / 유리판의 적층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 1 중간막과 제 2 중간막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중간막과 제 2 중간막 모두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판 / 중간막 / 유리판의 적층 구성을 가지고, 상기 중간막에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을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로 이용한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 / 셀을 내포한 봉지재층 / 백시트 등의 적층 구성을 가지고, 상기 봉지재층을 형성하는 봉지재로서 본 발명의 수지막을 이용한 태양 전지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수지막은 공중합체(A), 자외선 흡수제(B) 및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기 때문에,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과 자외선 차폐성이 뛰어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B)와 실란 커플링제(C)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지 않고 그 후의 황변도 억제된다.
본 발명의 수지막에 의해 착색이 억제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수지막에 자외선 흡수제(B)와 아미노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를 병용하는 경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는 것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B)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반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흡수제(B)와 실란 커플링제(C)가 반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색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착색 억제 평가>
수지막을 한 쌍의 1mm 두께의 유리판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적층체를 태양 전지 모듈 생산용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135℃에서 3 분간 탈기한 후 30 분간 프레스하여 압축하였다.
시험편의 황색도(YI)는 측색계(코니카 미노르타사 제품 CM3600A)를 이용하여 ASTM D 1925에 기초하여 표준 백판을 기준으로 구하였다. 이하의 기준에서 수지막의 착색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 YI가 10 이하이다.
△: YI가 10 초과 20 이하이다.
X : YI가 20 초과이다.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
3mm 두께의 백판 유리에 1mm 두께의 수지막과 PET시트를 레이업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적층체를 태양 전지 모듈 생산용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135℃에서 3 분간 탈기한 후 30 분간 프레스하여 압축하였다. '일본 공업 규격 JIS R 3205 접합 유리 내열성 시험'에 따라 얻어진 시험편을 온수에 2 시간 담그었다. 180℃에서 박리하고, 이 시험편의 박리 강도를 구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수지막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 : 박리 강도가 50N / 1 인치 이상이다.
△ : 박리 강도가 20N / 1 인치 이상 50N / 인치 미만이다.
X : 박리 강도가 20N / 1 인치 미만이다.
<투명성>
수지막을 한 쌍의 1mm 두께의 유리판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적층체를 태양 전지 모듈 생산용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135℃에서 3 분간 탈기한 후 30 분간 프레스하여 압축하였다.
HAZE미터(NDH2000, 일본전색공업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일본 공업 규격 JIS K 7136에 준거하여 얻어진 시험편의 HAZE 값을 측정하였다. 수지막의 투명성의 평가는 다음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 : HAZE 값이 5 이하이다.
△ : HAZE 값이 5 초과10 이하이다.
X : HAZE 값이 10 초과이다.
<사용 원료>
본 실시예에 사용된 원료는 다음과 같다.
<공중합체(A)>
A-1 :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테르 - 글리시딜 메타 크릴 레이트 공중합체(구성 단위(α1) : 68 중량%, 구성 단위(α2) : 24 중량%, 글리시딜 메타 크릴 레이트 구성 단위(α3) : 8 중량%, 제품명 "LOTADER GMA AX8900"ARKEMA 사제).
<자외선 흡수제(B)>
B-1 : 2,2'- 디 하이드록시 -4,4'- 디메톡시 벤조 페논(제품명 "UVINIL3049" BASF 사제).
<실란 커플링제(C)>
C-1 : 3- 글리시 독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제품명 "KBM-403", 신에츠 화학 사제).
<중합체(D)>
D-1 : 에틸렌 - 초산 비닐 공중합체(초산 비닐의 구성 단위 : 28 중량%, 제품명 "SEETEC VE700"호남 석유 화학 사제).
<기타 실란 커플링제 (비교 대칭)>
F-1 : N-2- (아미노 에틸) -3- 아미노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제품명 "KBM-603", 신에츠 화학 사제).
F-2 : 비닐 트리 메톡시 실란(제품명 "KBM-1003", 신에츠 화학 사제).
<실시예 1>
공중합체(A-1) 100 중량부, 자외선 흡수제(B-1) 0.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C-1) 0.3 중량부를 리본 믹서에 의해 반죽하고 티다이를 갖춘 일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두께 0.5mm의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2>
자외선 흡수제(B-1)의 양을 0.3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3>
실란 커플링제(C-1)의 양을 0.1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4>
자외선 흡수제(B-1)의 양을 0.7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C-1)의 양을 0.5 중량부에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5>
공중합체(A-1)을 90 중량부로 하고 중합체(D-1)을 10 중량부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6>
공중합체(A-1)를 70 중량부로 하고, 중합체(D-1)을 30 중량부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7>
공중합체(A-1)를 50 중량부로 하고, 중합체(D-1)를 50 중량부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1>
실란 커플링제를 실란 커플링제(F-1) 0.3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2>
실란 커플링제를 실란 커플링제(F-1) 0.1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3>
실란 커플링제를 실란 커플링제(F-2) 0.3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4>
실란 커플링제를 실란 커플링제(F-2) 0.1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막이 공중합체(A-1), 자외선 흡수제(B-1) 및 실란 커플링제(C-1)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와, 이에 중합체(D-1)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5 내지 7에서는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하고 착색도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B-1)에 아미노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F-1)를 조합한 비교예 1, 2에서는 유리판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었으나, 착색이 발견되었고 투명성이 떨어졌다.
자외선 흡수제(B-1)에 비닐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F-2)를 조합한 비교예 3, 4에서는 착색이 발견되지 않고 투명성은 양호하였으나,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이 떨어졌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 유리의 중간막이나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막이며, 유리판에 대한 접착성과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하고, 제조 초기에 노란색으로 착색되지 않으며 황변이 억제된 수지막을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3)

  1. 에틸렌에 기반한 구성 단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구성 단위, 및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에 기반한 구성 단위를 가진 공중합체(A)와, 벤조 페논계 자외선 흡수제(B), 및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막은 태양 전지 모듈용 봉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막.
KR1020167020356A 2014-02-19 2015-02-02 수지막 KR20160122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9642A JP2015151540A (ja) 2014-02-19 2014-02-19 樹脂膜
JPJP-P-2014-029642 2014-02-19
PCT/JP2015/052847 WO2015125595A1 (ja) 2014-02-19 2015-02-02 樹脂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705A true KR20160122705A (ko) 2016-10-24

Family

ID=5387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356A KR20160122705A (ko) 2014-02-19 2015-02-02 수지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55648A1 (ko)
JP (1) JP2015151540A (ko)
KR (1) KR20160122705A (ko)
CN (1) CN106029770A (ko)
TW (1) TW201538579A (ko)
WO (1) WO2015125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236A1 (ja) * 2016-08-30 2018-03-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EP3636613A4 (en) * 2017-06-07 2021-03-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11376819B2 (en) 2017-06-07 2022-07-0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7128633B2 (ja) * 2018-03-01 2022-08-31 株式会社日本触媒 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ター
WO2019189235A1 (ja) * 2018-03-29 2019-10-03 日立化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フィルム材、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KR102247290B1 (ko) * 2018-07-27 2021-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인더 수지,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76584A1 (ja) * 2022-03-15 2023-09-21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中間膜、合わせガラス、太陽電池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212A1 (ja) 2009-02-03 2010-08-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1238862A (ja) 2010-05-13 2011-11-24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356A (en) * 1980-04-22 1981-11-19 Sumitomo Chem Co Ltd Laminated safety glass
JP3510645B2 (ja) * 1993-04-14 2004-03-29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用接着シート
JPH07330389A (ja) * 1994-06-09 1995-12-1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3454585B2 (ja) * 1994-11-15 2003-10-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用封止材
JP3775443B2 (ja) * 1995-12-27 2006-05-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接着性を有する光散乱体
JPH09263429A (ja) * 1996-03-28 1997-10-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2010226044A (ja) * 2009-03-25 2010-10-07 Asahi Kasei E-Materials Corp 樹脂封止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212A1 (ja) 2009-02-03 2010-08-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1238862A (ja) 2010-05-13 2011-11-24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770A (zh) 2016-10-12
WO2015125595A1 (ja) 2015-08-27
JP2015151540A (ja) 2015-08-24
US20160355648A1 (en) 2016-12-08
TW201538579A (zh)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2705A (ko) 수지막
US9660118B2 (en) Laminate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produced using same
US20130206214A1 (en) Solar battery cover film for and solar battery module manufactured using same
JP4884575B2 (ja) 多層材料、太陽電池用封止材、安全(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安全(合わせ)ガラス
US20110272026A1 (en) Multilayer sheet, encapsulant for solar cell element, and solar cell module
JP589566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97009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03581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390856B1 (ko) 접합 유리 중간막 또는 태양 전지 봉지재용 수지 조성물, 접합 유리 중간막, 접합 유리, 태양 전지 봉지재 및 태양 전지 모듈
EP2913358B1 (en) Resin composition for solar cell encapsulant materials
JP2013211451A (ja) 太陽電池用封止材・表面保護シート積層体
JP5862084B2 (ja)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及び太陽電池封止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91944A (ja) 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7408594B (zh) 用于太阳能模块的背面膜
JP654746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
WO2017150217A1 (ja) 樹脂シート、合わせガラ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7006695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
WO2023176584A1 (ja) 接着性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中間膜、合わせガラス、太陽電池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212600A (ja) 積層防湿フィルム
JP201701726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2209372A (ja) 太陽電池用表面保護シート・封止材積層体
JP201701726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2209371A (ja) 太陽電池用表面保護シート
JP2013214559A (ja) 太陽電池用表面保護シート・封止材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