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053A - 모니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053A
KR20160121053A KR1020150050464A KR20150050464A KR20160121053A KR 20160121053 A KR20160121053 A KR 20160121053A KR 1020150050464 A KR1020150050464 A KR 1020150050464A KR 20150050464 A KR20150050464 A KR 20150050464A KR 20160121053 A KR20160121053 A KR 2016012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fixing bracket
fixing
coupl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156B1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5005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모니터 거치장치는: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고,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암부를 포함하고, 받침부는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고, 위치변경암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거치장치{MONITOR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위치변경은 물론, 각도변경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unit)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기기로,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여 대형화가 용이하고 얇아서 벽이나 테이블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능률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모니터 거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모니터 거치장치는 모니터 화면이 항시 최적 상태의 높낮이와 각도로 지지되어야 되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고장이 적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높낮이를 조정하고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거치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보 제2호 (등록일:2009.10.14.발명의 명칭: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는 모니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 지지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지강도 변경작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관절로 이루어져 모니터의 위치변경은 물론, 각도변경이 용이하며,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정리가 용이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는: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고,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변경암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고정물를 감싸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피고정물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피고정물의 상면에 접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입부재가 구비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간격조정부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프레임 및 상기 레일프레임에 상기 제2고정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모니터의 장착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킷부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보스가 복수개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보스를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보스가 상부로 연장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변경암부는 상기 받침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암부 및 상기 제1암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변경암부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하고, 상기 모니터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는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에 의해 다양한 두께의 피고정물에 고정할 수 있고, 멀티킷부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 텐션부를 조절하여 지지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지강도 변경작동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정리가 용이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받침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받침부의 고정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멀티킷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제2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텐션부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제2암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각도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받침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받침부의 고정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멀티킷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제2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텐션부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제2암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각도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각도조절부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10)는 받침부(100), 위치변경암부(200) 및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피고정물에 결합된다. 받침부(100)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110) 및 고정부(110)에 결합되고, 위치변경암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보스(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고정물은 책상, 파티션 등 모니터가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물품 또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피고정물을 감싸는 고정브라켓(112) 및 고정브라켓(112)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피고정물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115)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12)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의 상면에 접하는 제1고정브라켓(113) 및 제1고정브라켓(113)에 결합되며, 제1고정브라켓(113)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가압부재(115)가 구비되는 제2고정브라켓(114)을 포함한다.
즉, 제1고정브라켓(113)은 'ㄱ'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고정브라켓(114)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피고정물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가압부재(115)는 제2고정브라켓(114)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조임축(116)과, 볼트조임축(116)에 구비되어 볼트조임축(116)의 회전에 의해 제1고정브라켓(113)측으로 가압되는 압박패드(1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115)를 볼트조임축(116)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는 압박패드(117)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피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고정브라켓(113)과 제2고정브라켓(114)은 간격조정부(13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다. 간격조정부(130)는 제1고정브라켓(113)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프레임(132) 및 레일프레임(132)에 제2고정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홀(134)을 포함한다. 이처럼 간격조정부(130)에 의해 제1고정브라켓(113)과 제2고정브라켓(114)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의 피고정물에 적용될 수 있다.
지지보스(120)는 제1고정브라켓(113)의 상부에 고정된다. 지지보스(120)는 중공형성되며, 내부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112)에 고정된다.
받침부(100)는 모니터의 장착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킷부(150)를 포함한다. 멀티킷부(150)는 도 4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보스(120)를 2개 장착하여 위치변경암부(200)를 2개 구비할 수 있어 듀얼 모니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킷부(150)는 제1고정브라켓(113)의 상면에 결합되고, 지지보스(120)가 복수개 안착되도록 안착홈부(153)가 구비되는 안착플레이트(152)와, 안착플레이트(152)의 상면을 커버하고, 지지보스(120)와 대응되는 개구홀(155)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154)를 포함한다. 이때, 제1고정브라켓(113)에는 안착홈부(153)와 대응되는 개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안착홈부(153)에 안착된 지지보스(120)에 볼트가 결합되어 지지보스(12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안착플레이트(152)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53)에 지지보스(120)를 선택적으로 안착시켜 고정하고, 지지보스(1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구홀(155)을 갖는 커버플레이트(154)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모니터 또는 듀얼 모니터를 구현하기 위한 멀티킷부(150)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다수의 모니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152)에 안착홈부(153)의 개수가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치변경암부(200)는 받침부(100)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고,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받침부(100)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암부(210) 및 제1암부(210)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니터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암부(220)를 포함한다.
제1암부(210)는 제1본체(212)와, 제1본체(212)의 일단에 구비되어 받침부(1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214)와, 제1본체(212)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암부(2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장부(216)를 포함한다. 제1본체(212)는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연결부(214)는 제1본체(2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연장부(216)는 제1본체(212)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연결부(214)와 제2연장부(226)는 제1본체(212)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부(214)는 지지보스(12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회전축(215)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제2암부(220)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본체(222)와, 제2본체(222)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암부(2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224)와 제2본체(222)의 타단에 구비되어 각도조절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장부(226)와, 제2본체(222)에 구비되어 제2연결부(224)와 제2연장부(226)의 변경 각도를 유지시키는 텐션부(230)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224)는 제1연장부(216)에 연결되도록 제2회전축(225)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회전축(225)이 삽입되도록 제1연장부(216)에는 회전홈(217)이 형성된다. 제2암부(22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225)에 의해 좌우는 물론, 제2본체(222)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224)와 제2연장부(226)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본체(222)는 상부본체(222a)와 하부본체(222b)로 이루어지고, 상부본체(222a)와 하부본체(222b)는 각각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14)와 상기 제2연결부(22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텐션부(230)는 상부본체(2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232)와, 조절부재(232)에 치합되어 조절부재(232)의 회전에 의해 상부본체(222a)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이드브라켓(234)과, 가이드브라켓(234)과 하부본체(222b)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37)를 포함한다. 즉, 상부본체(222a)는 각각의 제2연결부(224), 제2연장부(226)의 상부에 힌지연결되고, 하부본체(222b)는 각각의 제2연결부(224), 제2연장부(226)의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탄성부재(237)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성부재(237)의 장력에 의해 제2본체(222)와 각각의 제2연결부(224), 제2연장부(226)가 굴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본체(222a)와 하부본체(222b)가 각각의 상부힌지부(A)와 하부힌지부(B)에 힌지 연결되고, 탄성부재(23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222)가 하부로 굴절될 경우, 하부본체(222b)가 하부힌지부(B)를 밀어 제2연장부(226)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본체(222)가 상부로 연장될 경우, 하부본체(222b)가 하부힌지부(B)를 당기게 되어 제2연장부(226)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232)에는 공구홀(232a)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조절부재(232)의 회전으로 탄성부재(237)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어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 지지강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브라켓(234)에는 가이드돌기(235)가 형성되고, 제2본체(222)에는 가이드돌기(235)가 삽입되는 장홀(223)이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234)을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1암부(210)와 제2암부(220)에는 모니터에 연결된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정리덕트(240)가 구비된다. 제1암부(210)에 구비되는 전선정리덕트(240)는 제1암부(21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암부(220)에 구비되는 전선정리덕트(240)는 상부본체(222a)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전선정리덕트(240)는 전선의 삽입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개요철부(245)가 형성된다. 절개요철부(245)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지그재그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00)와 제1암부(210), 제1암부(210)와 제2암부(220) 사이에는 와셔(250)가 구비된다. 와셔(250)는 지지보스(120)와 제1연결부(214) 사이에 구비되고, 제1연장부(216)와 제2연결부(224) 사이에 구비되어 각 부위의 회전 시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00)와 제1암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250)에는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정리브라켓(255)이 형성된다.
각도조절부(300)는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변경암부(200)와 모니터를 연결하고, 모니터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모니터에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310) 및 장착플레이트(310)와 제2암부(220)를 연결하는 조절브라켓(320)을 포함한다. 조절브라켓(320)은 일단이 제2암부(220)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제1조절부(322)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장착플레이트(310)에서 사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조절부(324)에 의해 연결된다.
제2조절부(324)는 조절브라켓(320)에 돌출 형성되는 구형상의 조절돌부(325) 및 조절돌부(325)가 삽입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절홈부(326)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를 단일로 설치할 것인지 듀얼로 설치할 것인지 결정하여 받침부(100)를 구성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지지보스(120)가 안착플레이트(152)의 안착홈부(153) 중앙에 결합되고,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안착플레이트(152)의 안착홈부(153)에 두개의 지지보스(120)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보스(120)의 개수와 대응되는 커버플레이트(154)가 안착플레이트(152)의 상부에 결합되어 깔끔한 외관을 지니게 한다.
이후, 피고정물에 받침부(100)를 결합한다. 받침부(100)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고정브라켓(112)이 피고정물에 끼워지고, 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해 가압패드가 피고정물에 밀착되므로써, 고정된다. 고정브라켓(112)은 제1고정브라켓(113)과 레일프레임(132)에 접하고, 고정홀(134)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브라켓(114)에 의해 다양한 두께의 피고정물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보스(120)의 제1암부(210), 제1암부(210)에 제2암부(220)를 순차적으로 결속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부(210)의 제1연결부(214)에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축(215)이 지지보스(12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암부(220)의 제2연결부(224)에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축(225)이 제1암부(210)의 제1연장부(21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1암부(210)는 지지보스(12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암부(220) 또한, 제1암부(210)의 제1연장부(216)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암부(220)의 제2연장부(226)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300)에 모니터가 장착된다. 즉, 모니터의 배면이 장착플레이트(310)와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며, 장착플레이트(310)는 조절브라켓(320)에 의해 제2연장부(226)와 연결된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모니터 거치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모니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암부(210)는 지지보스(12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암부(220) 또한, 제1암부(210)의 제1연장부(216)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2개소에서 좌우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모니터는 좌우,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암부(220)의 작동에 의해 모니터는 상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제2암부(220)에 의한 모니터의 상하 이동을 살펴보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암부(220)는 제2본체(222)의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연결부(224)와 제2연장부(226)가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2암부(220)는 텐션부(230)에 의해 모니터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37)의 장력에 의해 제2본체(222)와 각각 제2연결부(224), 제2연장부(226)의 굴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본체(222a)와 하부본체(222b)가 각각의 상부힌지부(A)와 하부힌지부(B)에 힌지 연결되고, 탄성부재(23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222)가 하부로 굴절될 경우, 하부본체(222b)가 하부힌지부(B)를 밀어 제2연장부(226)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본체(222)가 상부로 연장될 경우, 하부본체(222b)가 하부힌지부(B)를 당기게 되어 제2연장부(226)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232)에는 육각렌치가 삽입되는 공구홀(232a)이 형성되고, 노출되므로 탄성부재(237)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모니터 무게에 따라 지지강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는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브라켓(320)이 제1조절부(322)에 의해 제2암부(220)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형상의 조절돌부(325)와 조절홈부(326)로 이루어지는 제2조절부(324)에 의해 장착플레이트(310)에 결합됨으로써, 모니터의 각도를 사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사용자의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10)는 모니터로 연결되는 전선의 정리가 용이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부(210)와 제2암부(220)에는 전선정리덕트(240)가 구비되어 각 암부를 따라 전선이 밀착되어 경유되므로 전선정리가 용이하다. 또한, 전성정리덕트는 절개요철부(245)가 형성되고, 그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지니므로 전선의 삽입은 물론, 삽입된 상태에서의 전선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의도되지 않은 전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0), 제1암부(210), 제2암부(220) 연결부위에는 와셔(250)가 구비되어 각 암부의 회전시 마찰력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셔(250)에 일체로 전선정리브라켓(255)이 구비되어 전선 정리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에 의하면,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받침부에 의해 다양한 두께의 피고정물에 고정할 수 있고, 멀티킷부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 텐션부를 조절하여 지지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지강도 변경작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정리가 용이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모니터 거치장치 100 : 받침부
110 : 고정부 112 : 고정브라켓
113 : 제1고정브라켓 114 : 제2고정브라켓
115 : 가압부재 116 : 볼트조임축
117 : 압박패드 120 : 지지보스
130 : 간격조정부 132 : 레일프레임
134 : 고정홀 150 : 멀티킷부
152 : 안착플레이트 153 : 안착홈부
154 : 커버플레이트 155 : 개구홀
200 : 위치변경암부 210 : 제1암부
212 : 제1본체 214 : 제1연결부
215 : 제1회전축 216 : 제2연결부
217 : 회전홈 220 : 제2암부
222 : 제2본체 223 : 장홀
224 : 제2연결부 225 : 제2회전축
226 : 제2연장부 230 : 텐션부
232 : 조절부재 232a : 공구홀
234 : 가이드브라켓 235 : 가이드돌기
237 : 탄성부재 240 : 전선정리덕트
245 : 절개요철부 250 : 와셔
255 : 전선정리브라켓 300 : 각도조절부
310 : 장착플레이트 320 : 조절브라켓
322 : 제1조절부 324 : 제2조절부
325 : 조절돌부 326 : 조절홈부

Claims (8)

  1.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고,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변경암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고정물를 감싸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피고정물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피고정물의 상면에 접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입부재가 구비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간격조정부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프레임; 및
    상기 레일프레임에 상기 제2고정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모니터의 장착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킷부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보스가 복수개 안착되는 안착홈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보스를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보스가 상부로 연장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암부는,
    상기 받침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암부; 및
    상기 제1암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암부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하고, 상기 모니터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KR1020150050464A 2015-04-09 2015-04-09 모니터 거치장치 KR10169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464A KR101699156B1 (ko) 2015-04-09 2015-04-09 모니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464A KR101699156B1 (ko) 2015-04-09 2015-04-09 모니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053A true KR20160121053A (ko) 2016-10-19
KR101699156B1 KR101699156B1 (ko) 2017-01-23

Family

ID=5725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464A KR101699156B1 (ko) 2015-04-09 2015-04-09 모니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7963A (zh) 2019-11-27 2022-08-05 德康有限公司 姿势矫正用显示器安装装置以及利用其的显示器安装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270A (ja) * 1989-06-29 1991-02-12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電話機の自動制御方式
JPH0376736U (ko) * 1989-11-29 1991-07-31
JP2002132173A (ja) * 2000-10-26 2002-05-09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270B2 (ja) * 1990-10-12 2000-04-10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補修用吹付け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補修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270A (ja) * 1989-06-29 1991-02-12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電話機の自動制御方式
JPH0376736U (ko) * 1989-11-29 1991-07-31
JP2002132173A (ja) * 2000-10-26 2002-05-09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156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48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US11293584B2 (en) Monitor and keyboard support arm
US8693172B2 (en) Flat panel display mount
US7600728B2 (en) Universal mounting system for a flat panel display
KR100868260B1 (ko)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월 마운트
US20050236543A1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US10487974B2 (en) Adjustable support arm assembly
JP2022531628A (ja) ディスプレイ装着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99156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10237232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EP3081841B1 (en) Display apparatus
JP2004157308A (ja) 高さ調整装置、支持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10101179A1 (en) Tv support structure with latching mechanism
CN102563320A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KR10114521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87308B1 (ko) 평판 표시기를 위한 벽걸이 구조
JP4536099B2 (ja) テレビボード
US20110302750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KR20220064261A (ko)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KR101902827B1 (ko)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KR102472437B1 (ko) 벽걸이 티비 설치용 브래킷
US20050230590A1 (en) Flat panel display ceiling mount
JP3565410B2 (ja) 平面型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るスタンド
CN218895151U (zh) 一种家庭多媒体中心附件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