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676A -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 Google Patents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676A
KR20160119676A KR1020150151046A KR20150151046A KR20160119676A KR 20160119676 A KR20160119676 A KR 20160119676A KR 1020150151046 A KR1020150151046 A KR 1020150151046A KR 20150151046 A KR20150151046 A KR 20150151046A KR 20160119676 A KR20160119676 A KR 2016011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skin
phenol compound
poorly soluble
paeo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화
심우선
황영민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680019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405313B/zh
Priority to EP16776855.5A priority patent/EP3281626B1/en
Priority to PL16776855.5T priority patent/PL3281626T3/pl
Priority to PCT/KR2016/003598 priority patent/WO2016163752A1/ko
Priority to KR1020177026565A priority patent/KR101946617B1/ko
Priority to KR1020197003368A priority patent/KR102313517B1/ko
Priority to JP2017552468A priority patent/JP6875289B2/ja
Priority to US15/564,544 priority patent/US11000472B2/en
Priority to TW105125520A priority patent/TWI707702B/zh
Publication of KR2016011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76A/ko
Priority to HK18106967.6A priority patent/HK1247556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안정하게 함침하고,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난용성 화합물의 피부 투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파티클이 첨가된 마이크로니들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Soluble microneedle for water-insoluble drug delivery}
본 발명은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이를 이용한 활성 성분의 피부 투여 방법, 및 상기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에오놀은 동양 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Paeonia suffruticosa로부터 나온 유효 성분 중 하나로써, 항산화, 항균, 항암, 항염, 진통, 진정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파에오놀은 근육과 피부 조직을 안정화시키는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구강, 피부에서 항자극, 항염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파에오놀은 천연 민트향을 가지고 있어 구강 데오드란트로 사용되기도 하고 치통 완화를 위해 치약에 함유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파에오놀의 피부 각질세포 분화능력, 피부 장벽 강화 능력, 피부 보습 증진, 피부에서 멜라닌 형성 억제 및 안티에이징 효능도 보고되어 피부노화 개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파에오놀은 난용성 물질로 물에 잘 녹지 않아 음료, 식품, 화장품, 미용 제품에 효과적인 농도로 제제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에오놀을 liposome 또는 nanosphere로 포접화(包接化)하여 파에오놀의 안정성, 경피 투과 효율 및 함량을 증가시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Zhong Yao Cai, 35(5), 803-807, 2012, Int . J. Nanomedicine, 9, 1897-1908, 2014). 그러나 liposome 또는 nanosphere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화장품 제형에서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만큼의 농도로 제제화하기 어렵고 particle 혹은 liposome의 크기가 커서 (수십~수백 nm 혹은 수 um 이상) 피부 도포만으로 피부 내로 직접 흡수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에 안정하게 함침하여, 피부를 통해 난용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난용성 성분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에오놀과 같은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이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된 마이크로파티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어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적용 시 마이크로니들이 용해 또는 붕괴됨으로써 마이크로니들의 내부에 포함된 마이크로파티클이 신속히 피부 내로 나오게 되며, 내부에 포함된 마이크로파티클로부터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페놀 화합물을 방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난용성이라 함은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 바람직하게는 0.5mg/ml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 뿐만 아니라, 극성용매(에탄올 등)에서의 용해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파에오놀(paeonol), 크리소파놀(chrysophanol), 마이코페놀산(mycophenolic acid), 테트라뷰틸 에틸리덴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enebisphenol), 또는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파에오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투여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어떠한 시스템도 상기 언급한 난용성 페놀 화합물, 특히 파에오놀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노력 끝에 피부 내 용해성(soluble) 마이크로니들 내에 파에오놀 성분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파티클을 함침시킴으로써 파에오놀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명을 하였다. 파에오놀 성분이 봉입된 마이크로파티클을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에 함침시켜 피부에 적용하게 되면, 미세바늘이 피부 내 수분에 의해 용해되면서 파에오놀이 봉입된 마이크로파티클이 피부 내로 전달된다. 그리고 피부 내로 전달된 마이크로파티클로부터 파에오놀 성분이 방출됨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내에서 용해성이어야 하며,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히알루로닉산 (Hyaluronic acid), 소디움-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등의 수용성 고분자; 자일로즈(Xylose), 수크로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의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투과 강도, 피부 내에서의 용해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히알루로닉산 (Oligo-Hyaluronic acid), 소디움-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당류 (sacchar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Trehalose))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글리세린(Glycerine)까지 혼합된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은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파티클 및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이외에 가소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항염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plasticizer)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등의 폴리올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과 함께 마이크로파티클을 형성하는 물질은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과정에서 난용성 페놀 화합물이 석출되지 않도록 안정하게 포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마이크로파티클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소수성 코어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MPEG-PCL),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 (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비-생분해성 고분자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안정한 포접 및 피부 내에서의 방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상기 고분자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MPEG-PCL)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이크로파티클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매트릭스(matrix) 타입일 수도 있으며, 레저보어(reservoir) 타입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티클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교환법(Solvent exchange method), 용매 증발법(Solvent evaporation method), 멤브레인 투과법 (Membrane dialysis method), 분무 건조법(Spray drying method)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티클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70, 1-20, 2001 및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Tech Research, 3, 1242-1254, 2011에 기재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emulsification and solvent evaporation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티클의 직경은 0.01 내지 10 μm이다. 파티클 크기가 10 μm 초과이면 마이크로니들에 함침 시 needle의 강도가 약해져 피부투과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티클의 직경은 레이저광산란(LLS) 방법에 의해 측정되며, 예를 들어, Malvern사의 Zetasizer 2000 TM을 이용해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티클은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마이크로파티클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이러한 마이크로파티클을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함유한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마이크로니들의 부서짐이 적었고,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난용성 약물로는 파에오놀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구체적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마이크로니들이 부착되어 있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투여용 (전달용) 마이크로니들 패치(patch)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앞서 언급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난용성 페놀 화합물이 함유된 마이크로파티클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피부 내 용해성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파티클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안정하게 포접하여, 피부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 특히 파에오놀 함유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효과적인 피부전달을 달성하는, 특히 파에오놀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여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안정하게 함침하여,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파에오놀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안정하게 포접하고,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효과적인 피부전달을 통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투여 시스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난용성 페놀 화합물 중에서 파에오놀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한 피부 투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여러 방법 중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은 solution casting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solution을 mold에 casting하여 진공 및/또는 centrifuge로 미세 mold에 액을 채운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구조체를 형성하는 material은 일반적인 합성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의 파에오놀 방출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Franz diffusion cell을 나타낸다.
도 3은 돼지 피부를 장착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돼지 피부 및 acceptor solution 내 파에오놀을 함유한 크림(P-Cream),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P-S MN)과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Microneedle(P-MP MN)로부터 나온 파에오놀의 총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파에오놀의 피부투과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돼지 피부를 장착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평가한, 파에오놀 solution 또는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을 함유한 마이크로니들로부터의 파에오놀 방출 평가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에오놀을 함유한 크림(P-Cream),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P-S Microneedle)과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Microneedle(P-MP Microneedle)을 눈가 주름에 장기간 사용한 후에 나타나는 주름 개선 정도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 조성물들의 함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로 나타내었다.
<파에오놀 크림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파에오놀 0.05%를 함유한 수중 유화(oil in water)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Paeonol cream (중량%)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2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9
세테아릴알코올 1.5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카보머 0.2
트로메타민 0.2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
1,2-헥산디올 2
파에오놀-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용액 (5%) 1
정제수 To 100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 제조>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b-폴리(카프로락톤)(methoxy poly(ethyleneglycol)-b-poly(caprolactone), mPEG-PCL) 이중블록 코폴리머를 이용하여 난용성 물질인 파에오놀(Paeonol)을 포집하였다. 먼저, mPEG-PCL(5k-5k, 5k-10k 1:1로 혼합) 10g을 40mL의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g에 파에오놀 2g을 녹인 용액과 혼합하였다. 0.5% Polyvinyl alcohol 수용액 60mL에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에탄올 용매가 증발하게 하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방치한 후, 잔여 에탄올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파에오놀 함량이 2% 이상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filtering 하여 석출된 파에오놀을 제거하였다.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파에오놀의 함량은 2%로 확인 되었으며, Particle size analyzer (Malvern Zetasizer 2000TM)로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파티클의 평균 크기는 210nm 이었다.
<파에오놀 또는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이 함유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이, 파에오놀 (solution 형태로 첨가됨) 함유 마이크로니들(P-S MN) 또는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이 함유된 마이크로니들(P-MP MN)을 제조하였다.
P-S MN P-MP MN
oligo-HA 6 6
Na-CMC 6 6
Trehalose 10 10
Glycerin 5 5
HCO-40 0.2 0.2
Paeonol-TG solution (5%) 1.0 -
Paeonol microparticle (2%) - 2.5
water To 100 To 100
구체적으로 파에오놀이 함침된 용해성(soluble) 마이크로니들(P-S MN)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Oligo-HA(Hyaluronic acid), Na-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ehalose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Glycerin, HCO-40 및 파에오놀-TG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solution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파에오놀 용액을 실리콘 마이크로니들 mold에 casting 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centrifugation 하여 미세 mold에 액을 충진하였다. 용액 충진 후 건조 오븐(70℃)에서 3시간동안 건조하고,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을 silicone mold로부터 분리해 내었다.
구체적으로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이 함침된 용해성(soluble) 마이크로니들(P-MP MN)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Oligo-HA(Hyaluronic acid), Na-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ehalose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Glycerin, HCO-40 및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파에오놀 2%)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silicone microneedle mold에 casting 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centrifugation 하여 미세 mold에 액을 충진하였다. 용액 충진 후 건조 오븐(70℃)에서 3시간동안 건조하고,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을 silicone mold로부터 분리해 내었다.
<파에오놀 방출 거동>
돼지 피부를 장착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위에서 제조한 크림 및 마이크로니들로부터의 파에오놀 방출을 평가하였다 (도 2 참조). 수용액(acceptor solution)으로는 30 중량%의 DPG가 함유된 PBS 용액을 사용하였다.
즉,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돼지피부 조직 및 acceptor solution의 파에오놀 함량을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돼지피부에 파에오놀 크림을 바르거나, 파에오놀 혹은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이 함침된 마이크로니들을 부착하여 시간에 따라 피부 내로 투과된 파에오놀 총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에오놀을 포함한 크림은 피부를 통해 투과되는 양이 약 10㎍ 정도 였으나, Microneedle에 함침된 파에오놀 및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은 Needle에 의해 피부로 직접 투과하여 그 투과량이 50, 60㎍ 이상으로 각각 약 5, 6배 이상 크림 대비 높은 피부 투과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투과량이 높았던 두 가지 마이크로니들의 경우 돼지피부에 있던 파에오놀이 피부 내로 침투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파에오놀 혹은 파에오놀 마이크로파티클이 함침된 마이크로니들을 부착하여 마이크로니들이 돼지 피부 내에 침투하여 녹게 한 후 (부착 시간: 2시간, 온도: 32℃) 마이크로니들을 제거하였다. 마이크로니들에 의해 파에오놀이 흡수된 돼지 피부를 franz diffusion cell에 넣어, 파에오놀이 시간에 따라 돼지 피부에서 Acceptor solution으로 방출되는 거동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에 의해 파에오놀이 침투된 돼지 피부는 시간에 따라 돼지 피부 내 파에오놀 함량이 서서히 감소하며, Acceptor solution의 파에오놀 함량 역시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에,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Microneedle에 의해 파에오놀이 침투된 돼지피부는 피부 내 파에오놀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며, Acceptor solution에서도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의 경우 파에오놀이 침전된 결정 형태로 존재하여, 피부 내에서 파에오놀이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며, 반면에 Microneedle에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경우에는 Microparticle에서 파에오놀이 무정형 상태로 방출되어 피부를 투과하기 때문이다.
<주름 개선 효과>
파에오놀 크림,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P-S Microneedle)과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Microneeedle(P-MP Microneedle)을 눈가 주름에 12주간 매일 처리한 후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주름 개선 정도를 실리콘 모사판(silicone replica) 및 주름 영상 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N=20).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에오놀 크림, 파에오놀 solution이 함침된 Microneedle에 비해 파에오놀 Microparticle이 함침된 Microneedle에서 각각 3배, 2배 이상 우수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난용성 약물인 파에오놀이 Microneedle에 의해 피부 내로 침투된 Microparticle로부터 방출됨으로써,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난용성 페놀 화합물이 함유된 마이크로파티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파에오놀(paeonol), 크리소파놀(chrysophanol), 마이코페놀산(mycophenolic acid), 테트라뷰틸 에틸리덴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enebisphenol), 또는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파에오놀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며, 상기 마이크로파티클은 소수성 코어를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히알루로닉산 (Hyaluronic acid), 소디움-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 이외에 가소제(plasticiz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코어를 형성하는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MPEG-PCL),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코어를 형성하는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MPEG-PCL)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티클은 매트릭스 타입 또는 레저보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티클의 직경은 0.01 내지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12. (S1) 소수성 코어를 형성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난용성 페놀 화합물이 함유된 마이크로파티클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피부 내 용해성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파티클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 함유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파에오놀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마이크로파티클에 함침하여,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을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난용성 페놀 화합물의 피부 투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pH7, 25℃ 물에서의 용해도가 1mg/ml 이하인 난용성 페놀 화합물은 파에오놀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투여 방법.
KR1020150151046A 2015-04-06 2015-10-29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20160119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19250.7A CN107405313B (zh) 2015-04-06 2016-04-06 难溶性药物传递用的可溶性微针
EP16776855.5A EP3281626B1 (en) 2015-04-06 2016-04-06 Soluble microneedle for delivering poorly-soluble drug
PL16776855.5T PL3281626T3 (pl) 2015-04-06 2016-04-06 Rozpuszczalna mikroigła do dostarczania słabo rozpuszczalnego leku
PCT/KR2016/003598 WO2016163752A1 (ko) 2015-04-06 2016-04-06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0177026565A KR101946617B1 (ko) 2015-04-06 2016-04-06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0197003368A KR102313517B1 (ko) 2015-04-06 2016-04-06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JP2017552468A JP6875289B2 (ja) 2015-04-06 2016-04-06 難溶性薬物伝達用の溶解性マイクロニドル
US15/564,544 US11000472B2 (en) 2015-04-06 2016-04-06 Soluble microneedle for delivering poorly-soluble drug
TW105125520A TWI707702B (zh) 2015-04-13 2016-08-10 難溶性藥物傳遞用的可溶性微針及其製造方法
HK18106967.6A HK1247556A1 (zh) 2015-04-06 2018-05-28 難溶性藥物傳遞用的可溶性微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82 2015-04-06
KR20150048482 2015-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76A true KR20160119676A (ko) 2016-10-14

Family

ID=5715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46A KR20160119676A (ko) 2015-04-06 2015-10-29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96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606B2 (ja) リスペリドン化合物の徐放送達製剤
KR101950693B1 (ko)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TWI707702B (zh) 難溶性藥物傳遞用的可溶性微針及其製造方法
KR102296332B1 (ko)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의 신경세포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KR101946617B1 (ko)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493997B1 (ko) 센텔라아시아티카를 함유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EP3284506A1 (en) Soluble microneedle containing ingredient for controlling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KR20170000745A (ko) 광감응물질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51111B1 (ko) 비타민 d 및 비타민 d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09435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00750A (ko) 디오스메틴 함유 마이크로니들 패치
KR20170000747A (ko) 트러블 개선 및 피부 재생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19676A (ko)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525628B1 (ko) 알파―리포산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25629B1 (ko) 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45470A (ko) 하이드로퀴논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19679A (ko)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20160119675A (ko)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
KR102560153B1 (ko) 피부 볼륨 증진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WO2016163752A1 (ko)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399484B1 (ko) 건선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00753A (ko) 봉독 함유 마이크로니들 패치
KR20170046044A (ko) 아토피 피부염에서 가려움증 치료제를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46043A (ko) 백반증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00740A (ko) 리그닌퍼옥시다아제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