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934A -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 Google Patents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934A
KR20160118934A KR1020160034479A KR20160034479A KR20160118934A KR 20160118934 A KR20160118934 A KR 20160118934A KR 1020160034479 A KR1020160034479 A KR 1020160034479A KR 20160034479 A KR20160034479 A KR 20160034479A KR 20160118934 A KR20160118934 A KR 2016011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relief valve
plunger
relief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207B1 (ko
Inventor
코헤이 쿠니마츠
유지 쿠레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6011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16H2007/0814Fluid pressure with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체인 텐셔너를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해,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을 제공하는 것.
압유실(101)에 유입하는 오일의 역류를 억제하는 체크 밸브 유닛(150)과, 압유실(101)의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오일을 개방하는 릴리프 밸브 유닛(160)을 구비하고, 체크 밸브 유닛(150)이 릴리프 밸브 유닛(160)의 밸브 요소로서 배치되고,, 릴리프 밸브 유닛(160)으로 체크 밸브 유닛(1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

Description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CHAIN TENSIONER AND RELIEF VALVE UNIT}
본 발명은,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을 가지는 텐셔너바디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과 플런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플런저를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고, 체인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체인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은 관용되어 있어,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된 스포로킷(sprocket) 간에 무단(無斷) 세팅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주행 안내 슈(shoe)에 의해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 있어서,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 체인 텐셔너에 의해 주행 안내 슈를 가지는 요동 체인 가이드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듯이, 타이밍 체인(CH)이 엔진 룸 내의 크랭크 축으로 설치된 구동 스포로킷(S1)과 캠 축으로 설치된 한 쌍의 종동 스포로킷(S2, S3)와의 사이에 무단 세팅되어 있고, 이 타이밍 체인(CH)이 요동 체인 가이드(G1)와 고정 체인 가이드(G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체인 가이드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고정 체인 가이드(G2)는, 2개의 취부축(B1, B2)으로 엔진 룸 내에 고정되고, 요동 체인 가이드(G1)는, 취부축(B0)을 중심으로 타이밍 체인(CH)의 세팅 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엔진 룸 내에 설치되고 있다.
체인 텐셔너(500)는, 요동 체인 가이드(G1)를 압압하는 것으로 타이밍 체인(CH)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함과 함께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체인 텐셔너(500)는, 예를 들면 도 9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듯이,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511)을 가지는 텐셔너바디(510)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511)의 원통면부(513)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520)와, 플런저 수용혈(511)으로부터 플런저(520)를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세 수단은, 원통형의 플런저(520)의 통상철부(521)에 수용되어 플런저 수용혈(511)의 저부(512)와의 사이에 압축되는 코일 용수철(540)로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 수용혈(511)에 설치된 오일 공급 구멍(514)으로부터 오일이 공급되기 때문에, 플런저 수용혈(511)과 플런저(520)와의 사이에 형성된 압유실(501)이 오일로 채워지고, 오일에 의해 플런저(520)을 돌출방향으로 부세함과 함께, 체크 밸브(550)(모식적으로 체크 볼 만을 도시.)로 오일 공급 구멍(514)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이 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520)의 왕복동에 따라 플런저(520)와 플런저 수용혈(511)의 사이의 얼마 안되는 틈새를 오일이 흐르고, 그 유로 저항에 의해 플런저(520)의 왕복동을 감쇠시키는 댐핑(damping) 효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체인 텐셔너에 대해, 사용시에 타이밍 체인의 과대한 긴장력이 발생했을 경우, 압유실의 압력이 과대하게 되어, 소음, 진동이 발생하거나 타이밍 체인의 손상을 줄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자체를 방지하기 위해서, 압유실이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에 개방하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5 등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2-32781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2011-22653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2002-13040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개 2002-235818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특허공개 2006-125430호 공보
특허 문헌 1, 2 등에서 공지의 체인 텐셔너는, 릴리프 밸브가 플런저 수용혈 내에 배치되지 않고, 텐셔너바디에 별도의 오일 유로를 통해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체인 텐셔너 자체가 대형화 함과 함께, 가공 개소가 증가하고, 조립공수도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3, 4, 5 등에서 공지의 체인 텐셔너는, 릴리프 밸브가 플런저 내부에 설치되고 있어, 체인 텐셔너 자체의 대형화는 회피할 수 있지만, 플런저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조립공수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릴리프 밸브에 의해 개방된 오일은 외부로 유출하게 되기 때문에, 오일 소비가 많아져 오일펌프의 강화가 필요하다.
더욱이, 특허 문헌 1 내지 5 등의 것을 포함하는 공지의 체인 텐셔너에서는, 체크 밸브 내에서 체크 볼이 이동하는 구조인 것으로부터, 압유실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 같은 동작이 되었을 경우, 릴리프 밸브에 의해 압력을 개방하기 직전에, 체크 볼이 체크 밸브 시트부에 큰 충격으로 착석하여, 체크 볼이나 체크 밸브 시트부가 손상하여 체크 밸브로서의 기능이 저하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체인 텐셔너를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하여,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인 텐셔너는,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을 가지는 텐셔너바디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과 플런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플런저를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한 체인 텐셔너이고, 상기 압유실에 유입하는 오일의 역류를 억제하는 체크 밸브 유닛과, 상기 압유실의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오일을 개방하는 릴리프 밸브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서 배치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과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릴리프 밸브 유닛은, 체인 텐셔너에 내삽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이며, 체크 밸브 유닛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을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를 가지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과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에 의하면, 체크 밸브 유닛이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서 배치되고, 릴리프 밸브 유닛과 체크 밸브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에 의해, 릴리프 밸브가 플런저 수용혈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체인 텐셔너 자체가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가 증가하지도 않는다.
또, 체크 밸브 유닛이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서 배치되고, 릴리프 밸브 유닛과 체크 밸브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에 의해, 릴리프 밸브 유닛을 미리 조립한 후에, 일체로서 내부에 짜넣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립공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에 의한 압력의 개방을 오일의 공급측으로 향해 실시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할 수가 있는 것과 동시에, 압유실과 개방측과의 차압이 작아져, 릴리프 밸브 유닛의 폐쇄 상태로의 복귀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엔진의 시동 시 등의 오일 공급이 개시되기 전 상태로 릴리프 밸브 유닛이 작동했을 경우에서도, 압력의 개방을 오일의 공급측으로 향해 실시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오일이 외부에 유출하지 않고 순환하여, 시동시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2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유닛이, 체크 밸브 유닛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와,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을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를 가지는 것에 의해, 압유실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 같은 동작이 되었을 경우, 체크 볼이 체크 밸브 시트부에 착석했을 때에 체크 밸브 시트부가 이동하고, 유닛 압압 기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체크 볼이나 체크 밸브 시트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체크 밸브로서의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체크 밸브 유닛이, 체크 볼과, 체크 볼을 내삽하는 리테이너와, 체크 볼의 착석에 의해 개폐하는 체크 밸브 시트부를 가지고, 리테이너가,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에 착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리테이너의 외형을 규정하는 것만으로 체크 밸브 유닛을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없다.
또, 공지의 체크 밸브 유닛과 릴리프 밸브 유닛을 별개로 설치하는 것보다 부품 점수도 감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슬리브가, 릴리프 밸브 시트부의 후방으로,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을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이,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오일의 공급측에 원활히 환류하게 되기 때문에,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유닛이, 플런저 수용혈의 저부로부터 릴리프 밸브 시트부를 플런저 측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있는 것에 의해, 플런저 수용혈의 저면측으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는 형식의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하여,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6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플런저가, 내부에 오일 공급 구멍과 연통하는 저유실을 가지고, 릴리프 밸브 유닛이, 저유실 내에 배치되고,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와 플런저의 내면과의 사이에, 개방된 오일이 저유실로 환류하는 오일 유로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플런저 내부에 저유실을 가지는 형식의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하여,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체크 밸브가 개방했을 때에, 오일을 저유실로 환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유실의 오일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7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유닛이, 저유실 전체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릴리프 슬리브의 내측에 저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플런저 내부에 슬리브를 삽입하여 저유실을 형성하는 형식의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하여,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 슬리브가, 저유실을 형성하는 슬리브를 겸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조립공수를 한층 더 감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8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슬리브가,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 범위의 후방 측면으로, 내측의 저유 공간과 외주측을 연통하는 슬리브 연통 구멍을 가지는 것에 의해, 슬리브 연통 구멍을 통해 원활히 오일을 저유실로 환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유실의 오일의 감소를 한층 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9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유닛이,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을 플런저의 돌출방향으로 향해 플런저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것에 의해, 플런저 수용혈의 저면측으로부터 오일을 공급하여, 플런저 내부에 저유실을 형성하는 형식의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대형화하지 않고,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감소하여,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함과 함께, 체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 슬리브가, 저유실을 형성하는 슬리브를 겸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조립공수를 한층 더 감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0과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에 의하면, 체크 밸브 유닛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와,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와, 체크 밸브 유닛을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를 가지는 것에 의해, 릴리프 밸브 유닛과 체크 밸브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인 텐셔너에 내삽 하기 전에 조립하여 일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공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11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슬리브가, 릴리프 밸브 시트부의 후방으로,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을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체인 텐셔너에 조입시켜 사용되었을 때에,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이,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오일의 공급측에 원활히 환류하게 되기 때문에, 오일의 외부로의 유출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2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체크 밸브 유닛이, 체크 볼과, 체크 볼을 내삽하는 리테이너와, 체크 볼의 착석에 의해 개폐하는 체크 밸브 시트부를 가지고, 리테이너가,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에 착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리테이너의 외형을 규정하는 것만으로 체크 밸브 유닛을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개소나 조립공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a) 정면 단면도, (b)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사시도, (d)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a) 정면 단면도, (b)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저면도, (d)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변형 예의 측면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a) 정면 단면도, (b) 측면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변형 예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엔진의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체인 텐셔너의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체인 텐셔너의 개략 설명도.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100) 및 릴리프 밸브 유닛(160)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10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111)을 가지는 텐셔너바디(110)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111)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120)와 플런저 수용혈(111)로 플런저(1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101)에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플런저(120)를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인 코일 용수철(140)을 구비하고 있다.
텐셔너바디(110)의 플런저 수용혈(111)에는, 저부(112)에 릴리프 밸브 유닛(160)이 설치되어 있고, 저부(112)의 근방에 오일 공급 구멍(114)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100)는, 이른바 래칫(ratchet)식 텐셔너이며, 플런저(120)의 외주면에 래칫부가 설치되고, 텐셔너바디(110)에 원통면(113)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조와 계합하기 때문에, 플런저(120)의 출몰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이 래칫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것이라도 좋고, 래칫식이 아니라도 좋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릴리프 밸브 유닛(16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체크 밸브 유닛(150)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161)와, 체크 밸브 유닛(150)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와, 체크 밸브 유닛(150)을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인 유닛 압압 용수철(163)과, 유닛 압압 용수철(163)의 일방의 단부를 지지 고정하는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164)을 가지고 있다.
릴리프 슬리브(161)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의 후방으로,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을 릴리프 슬리브(161)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시키는 개방부인 개방구멍(165)을 가지고 있고, 개방구멍(165) 보다 하방은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 보다 소경에 형성되고 있다.
또,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164)의 저면측에는, 오일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저부도랑(167)이 설치되고 있다.
체크 밸브 유닛(150)은, 체크 볼(151)과, 체크 볼(151)을 내삽하는 리테이너(152)와, 체크 볼(151)의 착석에 의해 개폐하는 체크 밸브 시트부(153)와, 리테이너(152)의 내부에서 체크 볼(151)을 체크 밸브 시트부(153) 측에 가볍게 압압하는 볼 받침 용수철(154)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152)는, 외형이 원통형에 형성되어, 릴리프 밸브 유닛(160)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에 착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100) 및 릴리프 밸브 유닛(1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플런저(120)가 돌출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오일 공급 구멍(114)으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릴리프 슬리브(161)의 외주부로부터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164)의 하방의 저부도랑(167)을 통해 체크 밸브 유닛(150)에 도달하고, 체크 볼(151)을 체크 밸브 시트부(153)로부터 밀어 올려, 압유실(101) 내에 유입한다.
플런저(120)가 몰입측에 압압 되면, 압유실(101)의 압력이 상승하여, 체크 볼(151)이 체크 밸브 시트부(153)에 꽉 눌려, 체크 밸브 유닛(150)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은 저지되어, 그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 유닛(150) 자체를 유닛 압압 용수철(163)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눌러 내리도록 움직인다.
압유실(101)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고압이 되면, 유닛 압압 용수철(163)이 압축되어 체크 밸브 유닛(150) 전체가 후퇴하여, 리테이너(152)가 릴리프 밸브 유닛(160)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101)의 압력이 개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와 같이,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가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리테이너(152)가 소정량 감입(嵌入)하여 폐쇄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152)의 감입이 해제될 때까지 후퇴한 후에 압유실(101)의 압력이 개방되는 구조로 하여, 폐쇄시의 압력 누락을 억제하고 있다.
압유실(101)의 압력이 급격하게 소정 이상의 고압까지 상승했을 경우에는, 체크 볼(151)과 체크 밸브 시트부(153)와의 접촉압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체크 볼(151)이 체크 밸브 시트부(153)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압력이 급격하게 소정 이상의 고압까지 상승했을 경우에는, 체크 볼(151)이 체크 밸브 시트부(153)에 충돌하게 된다.
이 때, 체크 밸브 시트부(153)가 후퇴하기 때문에, 체크 볼(151)과 체크 밸브 시트부(153)의 급격한 접촉압의 상승이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체크 볼이나 체크 밸브 시트부가 손상하여 체크 밸브로서의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밸브 유닛(160)이, 체크 밸브 유닛(150)과 일체가 되어, 도 2에 나타내듯이, 미리 1개의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텐셔너바디(110)나 플런저(120) 등의 가공 개소나, 체인 텐셔너(100)를 조립할 때의 조립공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리테이너(152)가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101)의 압력이 개방되고 압력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오일은 압유실(101)로부터 개방구멍(165)를 통과하고 나서 릴리프 슬리브(161)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하여, 외부에 유출하지 않고 오일 공급 구멍(114) 방향으로 환류한다.
압유실(101)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까지 저하하면, 다시 유닛 압압 용수철(163)에 의해 리테이너(152)가 이동하여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에 착석하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릴리프 밸브 유닛(160)에 의한 압력의 개방을 오일 공급 구멍(114)으로부터의 오일의 공급측으로 향해 실시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릴리프 밸브에 의해 압력을 외부에 개방하는 것에 비해, 압유실과의 개방측과의 차압이 작고, 릴리프 밸브 유닛(160)의 폐쇄 상태로의 복귀 속도를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리프 밸브 유닛(160)에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16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미리 1개의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했지만,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을 생략하여 플런저 수용혈(111)의 저부(112)에서 유닛 압압 용수철(163)을 직접 받도록 하여, 릴리프 밸브 시트부(162)를 플런저 수용혈(111)에 고정 감합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에서는, 오일 공급 구멍(114)이 원통면(113) 측에 설치되고 있지만, 저부(112)에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200) 및 릴리프 밸브 유닛(260)에 대해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체인 텐셔너(20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20)가, 내부에 오일 공급 구멍(214)으로부터 공급로(222), 플런저 공급 구멍(221)을 통해 연통하는 저유실(223)을 가지고, 릴리프 밸브 유닛(260)이, 저유실(223) 내에 배치되고, 릴리프 슬리브(261)의 외주와 플런저(220)의 내면과의 사이에, 개방된 오일이 저유실(223)에 환류하는 오일 유로(224)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릴리프 밸브 유닛(260)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저유실(223) 전체로 늘어나도록 형성되고, 길이 이외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160)과 같다(부호를 200번대로 한다.).
이 릴리프 밸브 유닛(260)이 플런저(220)의 내부의 저유실(223)에 배치되고, 릴리프 슬리브(261)의 내측에 저유 공간이 형성된다.
플런저(220)을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인 코일 용수철(240)은, 일방의 단부를 텐셔너바디(210)의 플런저 수용혈(211)의 저부(212)에서 수신하여 압압 하도록 형성되고 있어, 저부(212) 측에 압유실(201)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200)도, 이른바 래칫식 텐셔너이지만, 래칫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것이라도 좋고, 래칫식이 아니라도 좋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200) 및 릴리프 밸브 유닛(2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오일은, 오일 공급 구멍(214)으로부터 공급로(222), 플런저 공급 구멍(221), 오일 유로(224) 및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264)의 저부도랑(267)을 통해 저유실(223)에 공급된다.
플런저(220)가 돌출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저유실(223) 내의 오일이 체크 볼(251)을 체크 밸브 시트부(253)로부터 눌러 내려, 압유실(201) 내로 유입한다.
플런저(220)가 몰입측으로 압압 되면, 압유실(201)의 압력이 상승하여, 체크 볼(251)이 체크 밸브 시트부(253)에 꽉 눌려, 체크 밸브 유닛(250)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은 저지되어, 그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 유닛(250) 자체를 유닛 압압 용수철(263)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올리도록 동작한다.
압유실(201)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고압이 되면, 유닛 압압 용수철(263)이 압축되어 체크 밸브 유닛(250) 전체가 후퇴하여, 리테이너(252)가 릴리프 밸브 유닛(260)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201)의 압력이 개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가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리테이너(252)가 소정량 감입하여 폐쇄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252)의 감입이 해제될 때까지 후퇴한 후에 압유실(201)의 압력이 개방되는 구조로 하여, 폐쇄시의 압력 누락을 억제하고 있다.
리테이너(252)가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201)의 압력이 개방되어 압력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오일은 압유실(201)로부터 개방구멍(265)을 통과하고 나서 릴리프 슬리브(261)의 외주면 측의 오일 유로(224)에 유출하여, 외부에 유출하지 않고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264)의 저부도랑(267)을 통해 저유실(223)로 환류한다.
압유실(201)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까지 저하하면, 다시 유닛 압압 용수철(263)에 의해 리테이너(252)가 이동하여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에 착석하고,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리프 밸브 유닛(260)에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264)을 설치하는 것으로 미리 1개의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했지만,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을 생략하여 플런저(220)의 첨단측에서 유닛 압압 용수철(263)을 직접 받도록 하여,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를 플런저(220)에 고정 감합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체인 텐셔너(200b)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릴리프 밸브 유닛(160)을 사용하여, 저유실(223b)의 용량을 크게 해도 괜찮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300)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300)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혈(311)을 가지는 텐셔너바디(310)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311)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320)와, 플런저 수용혈(311)과 플런저(3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301)에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플런저(320)를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인 코일 용수철(340)을 구비하고 있다.
텐셔너바디(310)의 플런저 수용혈(31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릴리프 밸브 유닛(260)이, 저부(312)로부터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 측을 플런저(320)의 돌출방향으로 향해, 플런저(320)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내삽되고 있고, 저부(312)의 근방에 오일 공급 구멍(314)이 설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20) 내부의 돌출측에 압유실(301)이 형성되어, 플런저 수용혈(311)의 저부(312) 측에, 릴리프 밸브 유닛(260)의 릴리프 슬리브(261)의 내측에 형성된 저유 공간에 의한 저유실(323)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300)도, 이른바 래칫식 텐셔너이지만, 래칫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것이라도 좋고, 래칫식이 아니라도 좋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플런저(320)가 돌출측에 이동할 때에는, 오일 공급 구멍(314)으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릴리프 슬리브(261)의 외주부로부터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264)의 하부의 저부도랑(267)을 통해 체크 밸브 유닛(250)에 도달하여, 체크 볼(251)을 체크 밸브 시트부(253)로부터 밀어 올려, 압유실(301) 내에 유입한다.
플런저(320)가 몰입측에 압압 되면, 압유실(201)의 압력이 상승해, 체크 볼(251)이 체크 밸브 시트부(253)에 꽉 눌려, 체크 밸브 유닛(250)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은 저지되어, 그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 유닛(250) 자체를 유닛 압압 용수철(263)의 압압력에 저항해 눌러 내리도록 동작한다.
압유실(301)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고압이 되면, 유닛 압압 용수철(263)이 압축되어 체크 밸브 유닛(250) 전체가 후퇴해, 리테이너(252)가 릴리프 밸브 유닛(260)의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301)의 압력이 개방된다.
리테이너(252)가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로부터 멀어져, 압유실(301)의 압력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오일은 압유실(301)로부터 개방구멍(265)을 통과하고 나서 릴리프 슬리브(261)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하고, 외부에 유출하지 않고 오일 공급 구멍(314) 및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264)의 저부도랑(267)을 통해 저유실(323)로 환류한다.
압유실(301)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까지 저하하면, 다시 유닛 압압 용수철(263)에 의해 리테이너(252)가 이동하여 릴리프 밸브 시트부(262)에 착석하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공급 구멍(314)가 원통면(313) 측에 설치되고 있지만, 저부(312)에 설치되고 있어도 괜찮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체인 텐셔너(300b)와 같이, 릴리프 슬리브(261)의 체크 밸브 유닛(250)의 접동 범위의 후방 측면으로, 내측의 저유 공간과 외주측을 연통하는 슬리브 연통 구멍(266)을 가지는 릴리프 밸브 유닛(260b)을 사용해, 저유실(323)로의 환류를 많이 해도 괜찮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의 구체적인 예이지만,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체인 텐셔너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구성 부재의 형상, 위치, 치수, 배치 관계 등,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또, 이들을 적당히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괜찮다.
또, 전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대해, 플런저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의 도시를 사용하고, 그 방향으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도출방향은 사용 형태에 맞추어, 어떠한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괜찮다.
특히, 저유실을 가지는 제2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경우, 저유실이 체크 밸브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체인 텐셔너를 배치하기 때문에, 릴리프 밸브가 압유실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가 되어, 에어 누출에 대해서 로우버스트(robust)성이 높아지게 되어 매우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체인 텐셔너는,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된 스포로킷 간에 무단 세팅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주행 안내 슈에 의해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 적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플런저의 첨단으로 직접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해도 괜찮다.
게다가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100, 200, 300, 500 : 체인 텐셔너
101, 201, 301, 501 : 압유실
110, 210, 310, 510 : 텐셔너바디
111, 211, 311, 511 : 플런저 수용혈
112, 212, 312, 512 : 저부
113, 214, 313, 513 : 원통면부
114, 214, 314, 514 : 오일 공급 구멍
120, 220, 320, 520 : 플런저
    221 : 플런저 공급 구멍
    222 : 공급로
    223, 323 : 저유실
    224 : 오일 유로
140, 240, 340, 540 : 코일 용수철(부세 수단)
150, 250,    550 : 체크 밸브 유닛
151, 251 : 체크 볼
152, 252 : 리테이너
153, 253 : 체크 밸브 시트부
154, 254 : 볼 받침 용수철
160, 260 : 릴리프 밸브 유닛
161, 261 : 릴리프 슬리브
162, 262 : 릴리프 밸브 시트부
163, 263 : 유닛 압압 용수철(유닛 압압 기구)
164, 264 : 유닛 압압 용수철 받침
165, 265 : 개방구멍(개방부)
    266 : 슬리브 연통 구멍
167, 267 : 저부도랑
 S1 : 구동 스포로킷
 S2 : 종동 스포로킷
 S3 : 종동 스포로킷
 CH : 타이밍 체인
 G1 : 요동 체인 가이드
 G2 : 고정 체인 가이드
 B0, B1, B2 : 취부축

Claims (12)

  1. 일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플런저(plunger) 수용혈을 가지는 텐셔너 바디(tensioner body)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에 접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수용혈과 플런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壓油室)에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플런저를 돌출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한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압유실에 유입하는 오일의 역류를 억제하는 체크 밸브 유닛과, 상기 압유실의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오일을 개방하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의 밸브 요소로서 배치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과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relief sleeve)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을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체크 볼과, 상기 체크 볼을 내삽하는 리테이너(retainer)와, 상기 체크 볼의 착석에 의해 개폐하는 체크 밸브 시트부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의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에 착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슬리브가,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의 후방으로, 소정 이상의 고압으로 개방된 오일을 상기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저부로부터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를 상기 플런저 측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내부에 오일 공급 구멍과 연통하는 저유실을 가지고,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상기 저유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와 상기 플런저의 내면과의 사이에, 개방된 오일이 상기 저유실로 환류하는 오일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상기 저유실 전체로 늘어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 슬리브의 내측에 저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슬리브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 범위의 후방 측면으로, 내측의 상기 저유 공간과 외주측을 연통하는 슬리브 연통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을 상기 플런저의 돌출방향으로 향해 상기 플런저 내부에 접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10. 체인 텐셔너에 내삽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에 있어서,
    체크 밸브 유닛을 접동 가능하게 내삽하는 릴리프 슬리브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의 접동에 의해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 시트부와,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을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 측에 압압하는 유닛 압압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슬리브가,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개방된 오일을 상기 릴리프 슬리브의 외주면 측으로 유출시키는 개방 구멍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유닛.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이, 체크 볼과, 상기 체크 볼을 내삽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체크 볼의 착석에 의해 개폐하는 체크 밸브 시트부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릴리프 밸브 시트부에 착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유닛.
KR1020160034479A 2015-04-03 2016-03-23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KR101835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6743 2015-04-03
JP2015076743A JP6294851B2 (ja) 2015-04-03 2015-04-03 チェーンテンショナ及びリリーフバルブ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934A true KR20160118934A (ko) 2016-10-12
KR101835207B1 KR101835207B1 (ko) 2018-03-06

Family

ID=5693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479A KR101835207B1 (ko) 2015-04-03 2016-03-23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07367B2 (ko)
JP (1) JP6294851B2 (ko)
KR (1) KR101835207B1 (ko)
CN (1) CN106051079B (ko)
DE (1) DE102016204943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983A (ko) * 2017-03-21 2018-10-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KR20180121374A (ko) * 2017-04-28 2018-11-07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KR20190044509A (ko) * 2017-10-20 2019-04-30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KR20190099134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5150A1 (en) * 2014-08-09 2016-02-18 Borgwarner Inc. Pressure relief valve tuning feature
DE102015212434B4 (de) * 2015-07-02 2021-07-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ugmittelspanner mit einer Druckbegrenzungsventileinheit
JP6523844B2 (ja) * 2015-07-18 2019-06-05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型チェック・リリーフバルブ
US10781892B2 (en) 2015-07-31 2020-09-22 Borgwarner Inc. Press-fit check valve for a hydraulic tensioner reservoir with metered backflow
JP6795764B2 (ja) * 2017-03-21 2020-12-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DE102018114200A1 (de) * 2017-06-15 2018-12-20 Borgwarner Inc. Spanner mit Rückschlagventil mit steuerbarer Steifigkeit
DE102017211614A1 (de) * 2017-07-07 2019-01-10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6912717B2 (ja) 2017-08-23 2021-08-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022273B2 (ja) * 2017-10-06 2022-02-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WO2019164525A1 (en) 2018-02-26 2019-08-29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JP7100467B2 (ja) * 2018-03-05 2022-07-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982243B2 (ja) * 2018-04-18 2021-12-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041349B2 (ja) * 2018-05-28 2022-03-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2020101279A (ja)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JP7174246B2 (ja) * 2019-02-13 2022-11-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417032B2 (ja) * 2019-06-11 2024-01-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401A (ja) 2000-10-26 2002-05-09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きテンショナ
JP2002235818A (ja) 2001-02-08 2002-08-23 Honda Motor Co Ltd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2327810A (ja) 2001-05-01 2002-11-15 Nissan Kohki Co Ltd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6125430A (ja) 2004-10-26 2006-05-18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付き油圧式テンショナ
JP2011226534A (ja) 2010-04-19 2011-11-10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9155U1 (de) * 1994-06-06 1995-10-12 Winklhofer & Soehne Gmbh Hydraulische Spanneinrichtung
US5700213A (en) * 1995-08-18 1997-12-23 Borg-Warner Automotive, Inc. Integral in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for an automotive tensioner
US5707309A (en) 1997-01-23 1998-01-13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modular inlet check valve with pressure relief
US5967921A (en) * 1997-10-09 1999-10-19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molded plastic body
JP2001021011A (ja) * 1999-07-05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2001021013A (ja) * 1999-07-06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3926128B2 (ja) * 2001-10-12 2007-06-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油圧式テンショナ
US7070528B2 (en) * 2002-03-28 2006-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draulic tensioner lifter
JP2004251423A (ja) * 2003-02-21 2004-09-09 Nitto Seiko Co Ltd 背圧弁を内蔵する逆止弁及び配管構造
KR100527773B1 (ko) 2003-12-13 200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식 체인텐셔너
JP2005214232A (ja) * 2004-01-27 2005-08-11 Ntn Corp 補機用オートテンショナ
JP5080299B2 (ja) * 2008-01-31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端伝動帯用テンショナ
JP2010127346A (ja) * 2008-11-26 2010-06-10 Toyota Motor Corp 油圧式テンショナ
DE102014200950A1 (de) 2014-01-21 2015-07-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ntileinheit mit einem Überdruck- und einem Rückschlagventil
JP6408975B2 (ja) * 2015-11-10 2018-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401A (ja) 2000-10-26 2002-05-09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きテンショナ
JP2002235818A (ja) 2001-02-08 2002-08-23 Honda Motor Co Ltd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2327810A (ja) 2001-05-01 2002-11-15 Nissan Kohki Co Ltd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6125430A (ja) 2004-10-26 2006-05-18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付き油圧式テンショナ
JP2011226534A (ja) 2010-04-19 2011-11-10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983A (ko) * 2017-03-21 2018-10-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US10767740B2 (en) 2017-03-21 2020-09-08 Tsubakimoto Chain Co. Tensioner
KR20180121374A (ko) * 2017-04-28 2018-11-07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US10801589B2 (en) 2017-04-28 2020-10-13 Tsubakimoto Chain Co. Chain tensioner
KR20190044509A (ko) * 2017-10-20 2019-04-30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US11028908B2 (en) 2017-10-20 2021-06-08 Tsubakimoto Chain Co. Tensioner and relief valve unit
KR20190099134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4943B4 (de) 2023-02-09
US20160290447A1 (en) 2016-10-06
JP6294851B2 (ja) 2018-03-14
DE102016204943A1 (de) 2016-10-06
US10107367B2 (en) 2018-10-23
CN106051079A (zh) 2016-10-26
KR101835207B1 (ko) 2018-03-06
CN106051079B (zh) 2018-12-07
JP2016196915A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07B1 (ko)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JP6408975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378661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109695676B (zh) 张紧装置及溢流阀单元
CN110159713B (zh) 链条张紧装置
KR102125033B1 (ko) 체인 텐셔너
KR101618163B1 (ko) 체인 텐셔너
KR101867699B1 (ko) 체인 텐셔너
JP3962054B2 (ja)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US11143100B2 (en) Tensioner
JP3642526B1 (ja) 油圧式テンショナ
US8033938B2 (en) Hydraulic tensioner
JP3580424B2 (ja) 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7218401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5133757A (ja) 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8014341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