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752A -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752A
KR20160118752A KR1020150047367A KR20150047367A KR20160118752A KR 20160118752 A KR20160118752 A KR 20160118752A KR 1020150047367 A KR1020150047367 A KR 1020150047367A KR 20150047367 A KR20150047367 A KR 20150047367A KR 20160118752 A KR20160118752 A KR 2016011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d
hydrogen sulfide
carbon dioxide
ammonia
iron che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606B1 (ko
Inventor
박성호
윤용승
이승종
이재만
조천현
김진호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5004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60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2Removal of contaminants
    • C10K1/003Removal of contaminants of acid contaminants, e.g. acid gas removal
    • C10K1/004Sulfur containing contaminants, e.g. hydrogen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2Removal of contaminants
    • C10K1/003Removal of contaminants of acid contaminants, e.g. acid gas removal
    • C10K1/005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 C10K1/105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ther than alkali- or earth-alkali carbonates, -hydroxides, oxides, or salts of inorganic acids derived from sulfur
    • C10K1/106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ther than alkali- or earth-alkali carbonates, -hydroxides, oxides, or salts of inorganic acids derived from sulfur containing F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 C10K1/12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alkaline-reacting including the revival of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21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alkaline-reacting including the revival of the used wash liquors containing NH3 only (possibly in combination with NH4 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화기로부터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고순도로 정제하기 위한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성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고 정제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자체 생산 및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제가 가능한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은, 합성가스 및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 단계; 상기 포집 단계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상기 세정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상기 포집 단계에 공급한다.

Description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Refinement System For Synthetic Gas and Refinement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가스화기로부터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고순도로 정제하기 위한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성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고 정제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자체 생산 및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제가 가능한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화란, 고체·액체 연료에 공기·산소·수증기·이산화탄소 등의 가스화제를 단독 또는 서로 배합하여 고온에서 작용시켜 수소·일산화탄소·메테인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열효율이 높고 취급하기 쉬운 기체연료를 얻는 것을 말한다.
특히, 전통적인 화학 석유 에너지(석탄, 석유 천연가스) 매장량의 지속적인 감소 및 화학 석유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인류의 생존과 발전에 직접적인 위협을 초래하고, 각종 산업 폐기물의 증가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및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이용한 가스화도 주목받고 있다.
가스화는 석탄,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의 원료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합성가스로 전환한 뒤 합성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과 황 화합물 등 원료에 따른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정제하여 사용하게 된다.
가스화 과정 중 생성되는 합성가스의 조성은, 가스화 시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가스화제 종류 및 가스화기 유형, 온도 및 압력과 같은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가스화 공정 개발 방향은 원하는 합성가스 조성을 얻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가스화 과정 중의 타르유 함량을 감소시키고, 시스템의 가스화 효율, 탄소 전환율 및 합성가스 중의 (CO 및 H2)의 함량을 최대화하려는데 있다.
이처럼 원료가스로 사용될 때의 연료 효율을 높이고 합성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정제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공정의 경우,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수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분리/포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용 물리/화학 용매인 DEPG, MEOH, NMP, aMDEA 등을 사용하지만, 물리 용매의 경우, 1차적으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에서 재생열이 높아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황화수소의 선택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산화탄소를 재순환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에너지 효율이 추가적으로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화학용매의 경우 물리용매와 달리 2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포집하는 공정에서도 재생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은 더욱 떨어지며, 포집가스와 함께 증발하는 용매의 회수 공정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정제 기술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000084호(석탄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고온고압 건식 유동층 탈황법과 그 장치)에는, 고온(400~700℃), 고압(10~35기압) 건식유동층 탈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기술에 따르면, 탈황촉매를 재생하기 위해 반응온도보다 높은 온도조건에서 산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SO2가 발생되어 후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촉매 재생을 위해서 가열을 해야하므로 추가적으로 에너지 사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000084호(1997.01.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며, 정제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자체 생산함으로써 저장설비, 물류비, 용매비용 등을 절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에 있어서, 합성가스 및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 단계; 상기 포집 단계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상기 세정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상기 포집 단계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질소는 상기 가스화기를 통해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단계는 철킬레이트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킬레이트 공정은, 철킬레이트 저장소에서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흡수하는 황화수소 흡수단계;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상기 제 3 단계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철킬레이트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및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된 철킬레이트를 상기 철킬레이트 저장소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공기를 통해 철킬레이트와 부유황 형태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단계는 60 ~ 80℃의 재생열을 통해 암모니아수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 단계는 포집탑 상부에 25 ~ 35wt%의 암모니아수를 공급하고, 상기 포집탑 하부에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암모니아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암모니아는 NH2COONH4, CO(NH2)2, H2O 또는 (NH4)2CO3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에 있어서, 합성가스 및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황화수소 회수 장치; 및 황화수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는, 상기 황화수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상기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탑; 상기 포집탑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탑; 및 상기 분리탑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탑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탑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상기 세정탑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 및 상기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상기 포집탑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황화수소 회수 장치는, 철킬레이트 저장소에서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흡수하는 황화수소 흡수탑; 및 상기 황화수소 흡수탑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철킬레이트를 재생하여 상기 철킬레이트 저장소로 공급하는 황화수소 재생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할 수 있으며, 정제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자체 생산 및 재활용함으로써 저장설비, 물류비, 용매비용 등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황화수소 분리/회수 단계에서 요구되는 재생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아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석탄 가스화 공정에서 집진설비를 통해 배출된 석탄 합성가스는 석탄 합성가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카보닐을 황화수소로 전환시키고 일산화탄소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사우어 시프트(Sour Shift) 공정으로 공급되어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수소가 풍부한 합성가스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우어 시프트 공정을 거친 합성가스에 대해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한 정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100)은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 및 가스화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소(N2)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140);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황화수소 회수 장치(180) 및 황화수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190)를 포함한다.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140)는 석탄가스화 공정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나 WGS(Water Gas Shift) 공정 이후에 발생한 수소와 함께 산소 분리 공정 (Air Separation Unit : ASU)에서 배출되는 질소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합성하게 된다.
예컨대,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140)는 석탄가스화 공정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의 일부를 질소와 함께 3:1(수소:질소) 비율로 공급되어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모니아는 후술할 이산화탄소 세정탑(170)에서 배출된 물과 혼합하여 25~35wt%의 암모니아수로 제조되어 후술할 이산화탄소 포집탑(150) 상부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모니아수는 석탄가스화 공정에서 배출되는 질소와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세정수 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황화수소 회수 장치(180)는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기 위해 철킬레이트 공정을 이용한다.
황화수소 흡수탑(120)은 철킬레이트가 저장되어 있는 철킬레이트 저장소(110)에서 펌프(115)를 이용하여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가 철킬레이트 용액에 흡수되도록 한다. 흡수탑(120) 상부로는 황화수소가 제거된 이산화탄소나 수소가 풍부한 합성가스가 배출되어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19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황화수소 흡수탑(120)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은 철킬레이트를 다시 재생하기 위하여 황화수소 재생탑(130)에 공급되고, 황화수소 재생탑(130)에서는 공기 블로어(135)에 의해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어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으로부터 철킬레이트와 부유황 형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재생된 철킬레이트는 철킬레이트 저장소(11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190)는 포집탑(150), 분리탑(160) 및 세정탑(170)으로 구성되며, 포집탑(150)은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140)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세정탑(170)에서 배출되는 세정수와 함께 혼합하여 25~35wt%의 암모니아수에 의해 황화수소 회수 장치(180)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게 된다.
포집탑(15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암모니아는 NH2COONH4, CO(NH2)2, H2O, (NH4)2CO3 형태로 배출되며, 이는 분리탑(160)에 공급되어 약 60~80℃의 재생열을 통해 암모니아수와 고농도 이산화탄소로 분리된다. 분리된 이산화탄소와 함께 증발되는 암모니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포집된 고농도 이산화탄소는 세정탑(170)을 통해 정제되며, 세정탑(170)에서 사용된 세정수는 다시 암모니아수 제조에 이용되어 이산화탄소 포집탑(150)에 공급되어 재활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 정제 방법은,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 및 가스화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제 1단계;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 단계; 포집 단계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분리 단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및 세정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를 포집 단계에 공급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단계는 포집탑(150) 상부에 25~35wt%의 암모니아수를 공급하고, 포집탑(150) 하부에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암모니아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단계는 철킬레이트 공정을 이용하며, 철킬레이트 공정은 철킬레이트 저장소(110)에서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흡수하는 황화수소 흡수 단계;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제 3 단계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철킬레이트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및 재생단계에서 재생된 철킬레이트를 철킬레이트 저장소(11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재생 단계는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공기를 통해 철킬레이트와 부유황 형태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합성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할 수 있으며, 정제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자체 생산함으로써 저장설비, 물류비, 용매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황화수소 분리/회수 단계에서 요구되는 재생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철킬레이트 저장소 115 : 펌프
120 : 황화수소 흡수탑 130 : 황화수소 재생탑
135 : 에어 블로어 140 :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
150 : 이산화탄소 포집탑 160 : 이산화탄소 분리탑
170 : 이산화탄소 세정탑

Claims (10)

  1.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에 있어서,
    합성가스 및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 단계;
    상기 포집 단계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상기 세정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상기 포집 단계에 공급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소는 상기 가스화기를 통해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철킬레이트 공정을 이용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철킬레이트 공정은,
    철킬레이트 저장소에서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흡수하는 황화수소 흡수단계;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상기 제 3 단계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철킬레이트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및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된 철킬레이트를 상기 철킬레이트 저장소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황화수소 흡수단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공기를 통해 철킬레이트와 부유황 형태로 분리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60~80℃의 재생열을 통해 암모니아수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 단계는 포집탑 상부에 25~35wt%의 암모니아수를 공급하고, 상기 포집탑 하부에 합성가스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암모니아가 배출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암모니아는 NH2COONH4, CO(NH2)2, H2O 또는 (NH4)2CO3 형태로 배출되는, 합성가스 정제 방법.
  9. 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에 있어서,
    합성가스 및 질소를 공급받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
    합성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회수하는 황화수소 회수 장치; 및
    황화수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는,
    상기 황화수소 회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상기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포집탑;
    상기 포집탑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분리탑; 및
    상기 분리탑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세정하는 세정탑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탑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와 상기 세정탑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수 및 상기 암모니아 제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상기 포집탑에 공급하는,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화수소 회수 장치는,
    철킬레이트 저장소에서 철킬레이트를 공급받아 합성가스로부터 황화수소를 흡수하는 황화수소 흡수탑; 및
    상기 황화수소 흡수탑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함유한 철킬레이트 용액에서 철킬레이트를 재생하여 상기 철킬레이트 저장소로 공급하는 황화수소 재생탑;을 포함하는,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KR1020150047367A 2015-04-03 2015-04-03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1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67A KR101713606B1 (ko) 2015-04-03 2015-04-03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67A KR101713606B1 (ko) 2015-04-03 2015-04-03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52A true KR20160118752A (ko) 2016-10-12
KR101713606B1 KR101713606B1 (ko) 2017-03-08

Family

ID=5717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367A KR101713606B1 (ko) 2015-04-03 2015-04-03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79A1 (ko) * 2019-06-27 2020-12-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청정연료 생산을 위한 바이오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84A (ko) 1995-06-15 1997-01-21 백한기 혼합 야채쥬스
JPH11349964A (ja) * 1998-06-12 1999-12-21 Hitachi Ltd 硫酸アンモニウム製造型ガス化発電装置
KR20110037968A (ko) * 2008-06-26 2011-04-13 할도르 토프쉐 에이/에스 암모니아의 제조방법 및 스팀 슈퍼히터
KR20130055214A (ko) * 2011-11-18 2013-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84A (ko) 1995-06-15 1997-01-21 백한기 혼합 야채쥬스
JPH11349964A (ja) * 1998-06-12 1999-12-21 Hitachi Ltd 硫酸アンモニウム製造型ガス化発電装置
KR20110037968A (ko) * 2008-06-26 2011-04-13 할도르 토프쉐 에이/에스 암모니아의 제조방법 및 스팀 슈퍼히터
KR20130055214A (ko) * 2011-11-18 2013-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1359991B1 (ko) * 2011-11-18 2014-02-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79A1 (ko) * 2019-06-27 2020-12-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청정연료 생산을 위한 바이오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606B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731B2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elemental iron
JP4317213B2 (ja) 炭素捕捉の配置及び方法
AU201024106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US8535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cidic gases from syngas
AU201023028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JP2012521956A (ja) 精製合成ガスを製造する方法
US7935324B2 (en) Integrated warm gas desulfurization and gas shift for cleanup of gaseous streams
MX2009001742A (es) Proceso integrado de separacion y purificacion.
CA28137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high-purity co2 from gasification gas
KR19990074976A (ko) 수소-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자원화 공정 및 그장치
JP5217292B2 (ja) 石炭ガス化ガス精製方法及び装置
JP5217295B2 (ja) 石炭ガス化ガス精製方法及び装置
US20120152120A1 (en) Production of carbon dioxide from synthesis gas
KR101713606B1 (ko) 합성가스 정제 시스템 및 방법
CN103316563A (zh) 兰炭尾气脱硫净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619319B1 (ko) 합성가스 습식 정제 시스템 및 방법
JP7356363B2 (ja) 合成ガ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1006967B1 (ko) 가스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타르수 처리방법 및 장치
IL311126A (en) Maximum utilization of synthesis gas carbon and its conversion into biofuel
CN115924845A (zh) 完全捕集二氧化碳并回收烟气水的循环igcc及其多联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