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902A -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902A
KR20160117902A KR1020150045919A KR20150045919A KR20160117902A KR 20160117902 A KR20160117902 A KR 20160117902A KR 1020150045919 A KR1020150045919 A KR 1020150045919A KR 20150045919 A KR20150045919 A KR 20150045919A KR 20160117902 A KR20160117902 A KR 20160117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ophosphatidylcholine
composition
phosphatidylcholine
presen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219B1 (ko
Inventor
문정선
Original Assignee
문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선 filed Critical 문정선
Priority to KR102015004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지방을 분해하는데 효과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포스파티딜콜린와 진피표피경계부 강화효과가 있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카르니틴, 벤질알코올, 방부제, 정제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주사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제용 조성물은 기존 제제의 희석시 침전 또는 상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choline and lysophosphatidylcho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지방을 분해하는데 효과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포스파티딜콜린와 진피표피경계부 강화효과가 있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로 이루어진 혼합물 1%와 L-카르니틴, 벤질알코올, 방부제, 정제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주사제용 조성물로서 기존 제제의 희석시 침전 또는 상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저장안정성이 개선된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s)은 세포막성분의 인지질 일종으로 화학적 구조로 볼 때 지방성분들의 최소단위가 되는 지방산과 인,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인 콜린(choline)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스파티딜콜린은 일명 레시틴이라고도 하고 상기와 같은 화학적 구조로 인하여 물과 기름을 섞이게 하는 독특한 유화작용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성질 때문에 레시틴은 세포와 세포, 세포와 세포 바깥의 물질과의 경계를 이루는 세포막을 구성하여 세포로 들어가고 나가는 물질들의 출입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로 콩에서 추출되는 포스파티딜콜린은 지방질 분해효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방세포 안의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여 피부에도 탄력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최근 연구에서는 피부노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즉 피부노화와 세포의 인지질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세포가 노화하면 인지질의 일종인 글리세로 인지질 중에 포스파티딜콜린 분자의 지방산 조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또한 인지질의 일종으로 글리세롤 골격을 가진 1자리의 하이디록시기에 아실기가 에스터 결합한 것과 2자리에 결합한 것이며, 포스파티딜콜린의 포스포리파아제 A에 의한 가수분해 생성물 중 하나로서,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진피표피경계부(Dermal-Epidermal Junction) 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은 산화 저밀도 지단백질의 주요구성 성분으로, 단핵구, 탐식세포 및 중성호성 백혈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 담당 세포를 활성화시켜 패혈증에 비교적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복막염 동물모델과 맹장 결찰 및 천공(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 동물모델에서 LPC 투여에 의하여 복막염에 기인한 사망률이 유의하게 억제되며, 선천성 면역증강 작용에 의하여 복막염, 페렴, 골수염, 봉소염, 골수염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세균성 감염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더불어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유화제로서 사용되며 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성분들은 수상 매질(aqueous phase)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멸균수, 주사용수, 탈이온수 및 완충용매와 같은 의약품 제조용 수상에 용해하여 투여 시 체내이용률이 낮거나, 상기 화합물이 가용화된 제제라 할지라도 체내 투여 직후 체액 및 조직에서 석출되는 등 안정한 약제학적 제제의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가용화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로 데옥시콜린산 나트륨과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부가하거나 나노화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피하 주사시 신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있었으며 주사용 조성물로서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어 이를 만족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2013-0091093 A KR 10-2013-0112615 A KR 10-2014-0133721 A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주사제에 포함되는 포스파티딜콜린이 완전히 용해되면서 저장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카르니틴, 방부제, 정제수, 벤질알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전체 조성물에서 1 내지 3 중량%인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0.001 내지 0.002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두를 각각 동일양으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부제는 0.3 내지 0.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서 벤질알콜이 0.8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포스파티딜콜린의 용해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카르니틴을 0.00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서, (1)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정제수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에 방부제 및 L-카르니틴을 넣고 교반하는 단계, (3) 벤질알코올을 넣고 교반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충진기에 넣고 교반을 하면서 포장용기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은 전체 조성물에서 1 내지 2 중량%이고,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0.001 내지 0.0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부제는 0.3 내지 0.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벤질알콜은 0.8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카르니틴, 방부제, 정제수, 벤질알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조성물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조성물은 유분 혹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혼합공정만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이 안정적으로 용해되고 안전한 주사제 제조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포함되는 포스파티딜콜린은 지방질 분해효소로서 지방세포 안의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보이고,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여 피부에도 탄력을 주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피부노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작용한다.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진피표피경계부(Dermal-Epidermal Junction) 강화 효과가 있고 더불어 유화제로서 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르니틴은 인체의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카르니틴은 세포에 있어서, 지방으로부터 유리되는 지방산에 효소적으로 결합하고, 지질 연소의 장소인 세포 내 기관의 미토콘드리아 내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캐리어의 작용을 갖는다. 과잉의 지질의 존재는, 피하 지방 축적에 의한 비만뿐만 아니라, 셀룰라이트의 형성, 피지 과잉에 의한 피부 표면의 번들거림이나 끈적거림,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에 수반하는 탈모, 여드름, 체취, 지질 대사저하에 수반하는 피부의 노화 등, 특히 미용, QOL(Quality Of Life)의 관점에서 많은 문제의 요인이 되고 있다. 지질 대사가 행해지기 위해서는,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 내에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그 도입에는 카르니틴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질 대사 속도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카르니틴량에 의존하며, 지질 대사를 촉진하고자 하는 조직의 카르니틴 농도를 높이는 것은 지질 대사의 촉진으로 이어져, 지질 과잉의 방지, 나아가서는 지질 과잉에 의한 트러블의 해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L-카르니틴은 분자 내 염이나, 염산염, 나트륨염 등의 무기염, 옥살산염, 타르타르산염, 푸마레이트 등의 유기산염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벤질알코올은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특유의 향과 쓴 맛을 보이며 용해제, 추출제, 휘발보류제, 식품 착향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첨가하여 주사용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제용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질환의 정도 및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등 기타 조건에 따라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피하주사, 피내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주사 등으로 투여가능하고 이 중에서 피하주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사제용 조성물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은 1일 0.10 내지 1 ㎎/kg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1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주사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94.5 mg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6 ㎎
벤질알코올 80 ㎎
L-카르니틴 0.05 ㎎
방부제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잔량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시료(10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포스파티딜콜린 94.5mg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6㎎를 멸균 증류수, 에탄올 10㎖에 녹인 후, 감압하며 용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정제수에 첨가한 후 혼합기를 65 ℃로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에 의해 혼합액이 완전 용해상태가 된 후 40 ℃로 혼합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벤질알코올 및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로 이루어진 방부제, 카르니틴을 첨가하고 교반기 속도를 rpm 20 내지 25 로 조절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필터한 후 제 2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과 동시에 앰플에 주입한다.
제제예 2 : 주사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89 mg
리소포스파티딜콜린 3.2 ㎎
벤질알코올 80 ㎎
L-카르니틴 0.05 ㎎
방부제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잔량
포스파티딜콜린 189 mg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3.2 ㎎를 멸균 증류수, 에탄올 10㎖에 녹인 후, 감압하며 용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정제수에 첨가한 후 혼합기를 65 ℃로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에 의해 혼합액이 완전 용해상태가 된 후 40 ℃로 혼합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벤질알코올 및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로 이루어진 방부제, 카르니틴을 첨가하고 최종 부피를 10 ml로 맞춘 상태에서 교반기 속도를 rpm 20 내지 25 로 조절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제 2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과 동시에 앰플에 주입한다.
제제예 3 : 주사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20 mg
리소포스파티딜콜린 2.6 ㎎
벤질알코올 100 ㎎
L-카르니틴 0.05 ㎎
방부제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잔량
포스파티딜콜린 120 mg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2.6 ㎎를 멸균 증류수, 에탄올 10㎖에 녹인 후, 감압하며 용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정제수에 첨가한 후 혼합기를 65 ℃로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에 의해 혼합액이 완전 용해상태가 된 후 40 ℃로 혼합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벤질알코올 및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로 이루어진 방부제, 카르니틴을 첨가하고 최종 부피를 10 ml로 맞춘 상태에서 교반기 속도를 rpm 20 내지 25 로 조절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제 2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과 동시에 앰플에 주입한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252 mg
리소포스파티딜콜린 3.2 ㎎
벤질알코올 80 ㎎
L-카르니틴 0.05 ㎎
방부제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잔량
포스파티딜콜린 252 mg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3.2 ㎎를 멸균 증류수, 에탄올 10㎖에 녹인 후, 감압하며 용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주사제의 제조
포스파티딜콜린 100 mg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50 ㎎
벤질알코올 50 ㎎
L-카르니틴 0.05 ㎎
방부제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잔량
포스파티딜콜린 100 mg과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50 ㎎, 벤질알코올, 카르니틴, 방부제를 정제수에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실험예 1
제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과 같이 제조한 조성물을 1 주일간 방치 후 침전 유무 및 상분리 유무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해 육안 관찰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제예 1 내지 3와 같이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1 내지 2 중량% 범위에 있고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포함된 시료는 침전 형성 또는 상분리 없는 용액상을 나타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난 제제예 4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대신 소듐 데옥시콜레이트가 함유된 비교예의 경우 상분리가 관찰되었다.
육안관찰
외관 침전 상분리
제제예 1 미색 없음 없음
제제예 2 미색 없음 없음
제제예 3 미색 없음 없음
제제예 4 미색 있음 없음
비교예 1 미황색 있음 상분리
표 2는 제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교예 1의 결과에 비하여 고온에서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항목 제제예 1 제제예 2 제제예 3 제제예 4 비교예 1
안정성 시험 80도 3일간 보존후 조성물의 색변화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색
80도 3일간 보존후 포스파티딜콜린 잔존율 97.7 % 97.1 % 97. 3% 96 % 92.2 %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12)

  1.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카르니틴, 방부제, 정제수, 벤질알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전체 조성물에서 1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0.001 내지 0.0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0.3 내지 0.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질알콜은 0.8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카르니틴은 0.00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1)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정제수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에 방부제 및 L-카르니틴을 넣고 교반하는 단계,
    (3) 벤질알코올을 넣고 교반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충진기에 넣고 교반을 하면서 포장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전체 조성물에서 1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0.001 내지 0.0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0.3 내지 0.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벤질알콜은 0.8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0045919A 2015-04-01 2015-04-01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19A KR101713219B1 (ko) 2015-04-01 2015-04-01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19A KR101713219B1 (ko) 2015-04-01 2015-04-01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902A true KR20160117902A (ko) 2016-10-11
KR101713219B1 KR101713219B1 (ko) 2017-03-07

Family

ID=5716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919A KR101713219B1 (ko) 2015-04-01 2015-04-01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7A (ko) * 2017-07-03 2019-01-11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03511A1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펜믹스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40011905A (ko) 2022-07-19 2024-01-29 크로다코리아 주식회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한 해양생물 유래 리소인지질을 포함하는 기억력 저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3347A1 (en) * 2003-12-22 2005-06-30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Medicinal lipolysis of accumulations of fat
KR20120065348A (ko) * 2009-08-25 2012-06-20 가부시키가이샤 메드렉스 포스파티딜콜린의 경피 투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91093A (ko)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 아미팜 데옥시콜린산 나트륨이 없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2615A (ko)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아미팜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3721A (ko) 2013-05-10 2014-11-20 주식회사 아미팜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3347A1 (en) * 2003-12-22 2005-06-30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Medicinal lipolysis of accumulations of fat
KR20120065348A (ko) * 2009-08-25 2012-06-20 가부시키가이샤 메드렉스 포스파티딜콜린의 경피 투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91093A (ko)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 아미팜 데옥시콜린산 나트륨이 없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2615A (ko)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아미팜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3721A (ko) 2013-05-10 2014-11-20 주식회사 아미팜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7A (ko) * 2017-07-03 2019-01-11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03511A1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펜믹스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40011905A (ko) 2022-07-19 2024-01-29 크로다코리아 주식회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한 해양생물 유래 리소인지질을 포함하는 기억력 저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219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5381B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wound treatment related application information
KR101545706B1 (ko)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51341A1 (en)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lchol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JPH0441125B2 (ko)
KR101713219B1 (ko)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236422C (en) Hydrolysis-optimized lipid emulsions and use thereof
JP2021040650A (ja) ステロール及び可溶化剤を含有するゲルカプセル
CN105939705B (zh) 用于肠胃外给药的包含epa甘油三酯和dha甘油三酯的组合物
US20060292226A1 (en) Fatty emulsion injection of seal oil, method for preparation and the use in manufacturing intravenous injection
FI99080C (fi) Menetelmä ruoansulatuskanavan ulkopuoliseen annosteluun tarkoitettujen emulsioiden valmistamiseksi
CN109715138A (zh) 前列环素类似物制剂
KR101353443B1 (ko) 데옥시콜린산 나트륨이 없는 포스파티딜콜린 함유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132085B2 (ja) 脂肪乳剤
JPS58162517A (ja) 脂溶性ビタミン含有脂肪乳剤
CN103054799B (zh) 一种盐酸胺碘酮注射乳剂及其制备方法
CN105832744B (zh) 一种供注射用的前列地尔冻干乳剂组合物
JPS6238A (ja) 混合ビタミン凍結乾燥製剤の製法
JP2016023170A (ja) 外用組成物
EP2025333A1 (en) Inject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taxoids
CN108653204B (zh) 一种多烯磷脂酰胆碱注射液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S60237017A (ja) 脂肪輸液剤
JP3773210B2 (ja) トレハロース含有脂肪乳剤
UA116218U (uk) ПАРЕНТЕРАЛЬНИЙ ЛІКАРСЬКИЙ ЗАСІБ НА ОСНОВІ 3-sn-ФОСФАТИДИЛХОЛІНУ
RU2527333C1 (ru) Мазь с витамином а, восстанавливающая кожу и препятствующая ее избыточному ороговению
CN104473869A (zh) 一种艾司洛尔脂肪乳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