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62A -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62A
KR20160113762A KR1020150039805A KR20150039805A KR20160113762A KR 20160113762 A KR20160113762 A KR 20160113762A KR 1020150039805 A KR1020150039805 A KR 1020150039805A KR 20150039805 A KR20150039805 A KR 20150039805A KR 20160113762 A KR20160113762 A KR 2016011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ard
outlet
connection terminals
bus b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5003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762A/ko
Publication of KR2016011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같은 전극끼리 연결하여 집속하고 집속된 전원도선에 협지판와 조임나사가 구비된 크램프(cramp)로 된 접속단자를 연결하여,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구비된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접속하고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상기 가로 버스 바의 우측 단부에 접속하여 각각 조임나사로 약간만 조여도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의 접속단자를 분전반의 전면에서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어 콘센트 배선의 작업성이 양호하여 분전반의 콘센트를 보다 능률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콘센트의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되면 메인 차단기에 의해 전원공급을 차단함이 없이 새로운 콘센트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CONNECTING DEVICE OF CONSENT OF ELECTRICAL DISTRIBUTION BORD}
본 발명은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같은 전극끼리 연결하여 집속하고 집속된 전원도선에 협지판와 조임나사가 구비된 크램프(cramp)로 된 접속단자를 연결하여,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구비된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접속하고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상기 가로 버스 바의 우측 단부에 접속하여 각각 조임나사로 약간만 조여도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의 접속단자를 분전반의 전면에서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어 콘센트 배선의 작업성이 양호하여 분전반의 콘센트를 보다 능률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콘센트의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되면 메인차단기에 의해 전원공급을 차단함이 없이 새로운 콘센트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에 배치된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기 차단기의 세로 버스 바를 분전반의 중간부에 가로로 배치된 R,S,T,N 상의 가로 버스 바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전반의 좌우 측에 멀티 콘센트가 배치된 경우에는 콘센트의 각 전원도선을 분전반의 뒤쪽에서 같은 전극의 도선끼리 연결하여 집속(集束)한 다음 집속된 전원도선을 분전반에 배치된 분기 차단기의 전극 별 출력단에 연결하여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콘센트의 전극별 집속된 전원도선의 접속단자를 가로 버스 바의 체결공이 형성된 버스 바의 단부에 부분에 끼우고 체결나사를 체결공으로 관통되게 체결하여 고정된 것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712245 (2007.04.27공고) 등록특허공보 10-1176626 (2012.08.23공고) 등록특허공보 10-1130309 (2012.03.26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4556 (2004.03.11공고)
종래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전극별로 전원 도선을 분전반의 뒤쪽에서 서로 연결하여 집속(集束)한 다음 분기 차단기의 출력단부, 또는 가로 버스 바의 어느 한쪽 단부에 체결나사가 버스 바를 관통되게 체결하게 된 것은 콘센트의 배선작업이 복잡하여 능률적으로 분전반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전반의 사용 중 콘센트 전원 도선의 연결부분에 문제가 발생되면 캐비닛에서 분전반을 뜯어내고 전원 도선의 문제된 부분을 시정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버스 바의 단부에 접속된 콘센트의 접속부를 체결한 체결나사를 완전히 분리해야만 접속단자가 버스 바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메인 차단기를 열지 않고 콘센트의 교체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전극별 전원 도선끼리 연결하여 집속하고 동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전극별 전원끼리 연결하여 집속한 다음 집속된 도선에 각각 크램프(cramp)로 된 접속단자를 연결한 다음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구비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접속하고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버스 바의 우측 단부에 접속하여 각각 크램프의 조임나사를 조이면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고 콘센트의 배선작업이 간편하며,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된 콘센트는 교체가 용이하며,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전원 도선의 접속단자를 분전반에 가로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R,S,T,N,상(相)의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 위치별로 구분하여 접속하여 간편하게 콘센트의 배선이 가능하게 된,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접속단자를 본체의 측판과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에 의해 삽입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조임나사를 결합하여 된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로 구성하여 접속단자의 삽입부를 버스 바의 단부에 삽입하고 조임나사를 조이는 간편한 조작으로 견고하게 접속되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배선이 용이하고 접속단자의 접속이 간편하여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된 콘센트를 메인 차단기의 차단 없이 신속하게 교체하여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분전반의 전면 중앙상부 측에 메인 차단기가 배치되고 분전반의 전면 하부 측에 복수의 분기 차단기가 배치되어 각 차단기 전원의 세로 바스 바가 분전반의 전면 중앙부에 지지구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로 배치된 R,S,T,N상의 가로 버스 바에 각각 접속되고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복수의 멀티 콘센트가 배치된 것에 있어서,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멀티 복수의 콘센트의 전원 도선은 같은 전극끼리 도선을 연결하여 집속(集束)하고 집속된 전원 도선에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를 연결하여 분전반에 가로로 배치된 R,S,T,N,상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접속한다.
또한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전원 도선은 같은 전극끼리 전원 도선을 연결하여 집속(集束)하고 집속된 전원 도선의 단부에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각각 전극별로 접속한다.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R,S,T,N, 상(相)이 버스 바의 선택적 접속에 의해 전압이 다른 AC전류를 콘센트에 분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는 본체의 좌우 양 측판과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편이 형성되어 버스 바의 단부를 감싸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조임나사가 결합되며, 본체의 연결편에 전원 도선을 감합하는 감합부가 구비되어 전원 도선이 감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전극별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배치된 R,S,T,N, 상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접속단자의 삽입부를 삽입하여 접속한 다음 조임나사를 조여서 고정한다.
또한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전극별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배치된 R,S,T,N 상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의 우측 단부에 접속단자의 삽입부를 삽입하여 접속한 다음 조임나사를 조여서 고정한다.
콘센트의 접속단자를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구분하여 접속하고 조임나사로 조이면 접속단자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버스 바의 단부는 접속단자의 조임나사와 협지판에 협착되어 견고하게 면접촉으로 고정되고 상기 버스 바와 접속단자가 면접촉되기 때문에 큰 용량의 전류가 안전하게 통전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콘센트의 전원 도선의 접속단자를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구분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좌우 양측의 콘센트 전원 도선을 분전반의 뒤쪽에서 연결하여 집속하던 번거로운 불편이 해소되고 콘센트 배선의 작업성이 극히 용이하고 간편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분전반의 콘센트를 조립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의 도선이 보다 단축되어 분전반에 도선이 늘어짐이 없이 단정하게 정리된다.
또한 작업 현장에서 분전반의 사용 중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콘센트, 또는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콘센트의 어느 하나의 콘센트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되면 해단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조임나사를 약간 풀면 접속단자가 버스 바에서 간단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메인 차단기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문제된 콘센트를 보다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에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작업하는 중에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과전류가 발생되면 메인 차단기가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과전류에 의한 콘센트 및 전기기구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멸은 분전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전원 도선의 접속단자를 분전반에 가로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R,S,T,N,상(相)의 가로 버스 바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 위치별로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하여 분전반의 콘센트를 보다 능률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의 접속단자를 본체의 측판과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에 의해 삽입부가 구비되고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조임나사를 결합하여 된 크램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접속단자의 삽입부를 버스 바의 단부에 삽입하고 조임나사를 조이는 간편한 조작으로 견고하게 접속되고 접속단자가 버스 바와 면접촉되어 큰 용랴의 전원이 안전하게 통전 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의 배선이 용이하고 접속단자의 접속이 간편하여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된 콘센트를 메인 차단기의 차단 없이 신속하게 교체하여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전반의 콘센트 결선 예시도
도2는 도1의 A선 부분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콘센트와 접속단자 및 버스 바의 접속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가 버스 바에 접속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DP)의 전면 중앙상부 측에 메인차단기(MB)가 배치되고 분전반(DP)의 전면 하부 측에 복수의 분기 차단기(DB)가 배치되어 각 차단기(MD)(DB)의 전원 세로 바스 바(D)가 분전반(DP)의 전면 중앙부에 지지구(T)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R,S,T,N상의 가로 버스 바(B)에 접속되고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복수의 멀티 콘센트(C)가 각각 배치된 것에 있어서,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DP)의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C)의 같은 전극끼리 전원선(L1)(L2)이 연결되어 집속되고 집속된 전원선(L1)(L2)의 도선(2)이 연결된 접속단자(1)는 R,S,T,N, 상(相)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B)의 좌측 단부에 접속하고 조임나사(3)로 조여서 고정된다.
분전반(DP)의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C)의 같은 전극끼리 전원 도선(L1)(L2)이 연결되어 집속되고 집속된 전원 도선(L1)(L2)의 도선(2)이 연결된 접속단자(1)는 R,S,T,N 상(相)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B)의 우측 단부에 구분하여 접속하고 조임나사(3)로 조여서 고정된다.
상기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C)의 접속단자(1)를 R,S,T,N,상의 버스 바(B)를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전압이 다른 AC전류를 콘센트에 분전할 수 있다.
상기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콘센트(C)의 전원 도선(L1)(L2)의 도선(2)이 연결된 접속단자(1)를 가로 버스 바(B)의 좌우 양측 단부에 구분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콘센트(C)의 배선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간편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분전반의 콘센트를 조립할 수 있고 접속단자(1)의 도선(2)이 보다 단축되어 도선이 늘어짐이 없이 분전반에 단정하게 정리된다.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는 본체(1a)의 좌우 양 측판(1b)과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1c)이 형성되어 가로 버스 바(B)의 단부를 감싸는 삽입부(1g)가 구비되고 본체(1a)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3h)에 조임나사(3)가 결합된 크램프로 되어 있고 본체(1a)의 연결편(1d)에 도선(2)의 나산(2a)을 전기적으로 감합하여 연결하는 감합부(1e)가 구비되어 도선(2)이 감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된 본 발명의 접속단자(1)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멀티 콘센트(C)의 각 소켓(Sk)의 저면에 형성된 플러그 핀공(h)의 전극(t)끼리 연결된 전원선(L1)과, 상기 플러그 핀공(h')의 전극(t')끼리 연결된 전원선(L2)의 각 도선(2)의 나선(2a)을 접속단자(1)의 감합부(1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감합하여 소켓(Sk)의 전극(t)(t') 별로 같은 구성의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3 및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의 2개의 접속단자(1)의 삽입부(1g)를 분전반(DP)에 지지구(T)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R.S,T,N, 상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B)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삽입하여 접속하고 조임나사(3)를 조이면 조임나사(3)와 본체(1a)의 협지판(1c) 사이에서 가로 버스 바(B)의 단부가 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C)의 어느 하나의 소켓(Sk)의 플러그 핀공(h)(h')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기기의 플러그 핀을 꽂으면 메인 차단기(MB)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가로 버스 바(B)의 어느 일 측 단부에 접속된 접속단자(1)와 도선(2) 및 전원선(L1)(L2)으로 통하여 소켓의 전극(t)(t')으로 각각 2 극의 전원이 공급되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 버스 바(B)와 콘센트(C)이 접속단자(1)가 면접촉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큰 용량의 전류가 안전하게 통전되므로 각종 전기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기기기의 사용 중 소켓(Sk)의 전극(t)(t')에 과전류가 발생되면 메인 차단기(MB)가 전원 차단하게 되어 콘센트와 전기기기의 훼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멀티 콘센트(C)의 사용 중 어느 하나의 소켓(Sk)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문제가 발생된 측의 콘센트 전원선의 접속단자(1)의 조임나사(3)를 약간 풀고 접속단자(1)을 측방으로 단기면 접속단자(1)가 가로 버스 바(B)의 단부에서 용이하게 빠지게 됨으로 문제된 콘센트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콘센트를 교체한 다음 교체된 콘센트의 접속단자(1)의 삽입부(1g)를 해당 가로 버스 바(B)의 단부에 삽입하고 조임나사(3)를 조이면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메인 차단기(MB)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콘센트의 교체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기 차단기의 출력단부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다른 전기기기의 작업이 전원의 차단으로 인하여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없이 지속될 수 있다.
1 : 접속단자 1a :본체 1b : 측판 1c : 협지판 1d : 연결편
1e : 감합부 2 : 도선 2a : 나선 3 : 조임나사 3h : 나사공
B : 가로 버스 바 C : 콘센트 D : 세로 버스 바 L1,L2 : 전원선
h,h : 플러그 핀공 t,t' :전극 DB : 분기 차단기 MB : 메인 차단기

Claims (5)

  1.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분전반의 좌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두 전극 도선의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는 분전반에 배치된 R,S,T,N 상(相)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의 좌측 단부에 전극별로 접속하고 분전반의 우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의 두 전극 도선의 크램프로 된 접속단자는 R,S,T,N, 상(相)에서 선택된 2개의 가로 버스 바의 우측 단부에 구분하여 접속히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콘센트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멀티 콘센트(C)의 두 전극 도선(2)의 접속단자(1)는 본체(1a)의 좌우 양 측판(1b)과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1c)이 형성되어 가로 버스 바(B)의 단부를 감싸는 삽입부(1g)가 구비되고 본체(1a)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3h)에 조임나사(3)가 결합되며, 본체(1a)의 연결편(1d)에 도선(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합부(1e)가 구비되어 삽입부(1g)에 삽입된 버스 바를 (B)를 조임나사(3)와 협지판(1c)에 의해 협착하여 접속할 수 있는 크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콘센트의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멀티 콘센트(C)의 도선(2)에 연결된 접속단자(1)는 각각 좌우 양측으로 구분하여, 가로 버스 바(B)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멀티 콘센트(C)의 각 소켓(Sk)의 저면에 구비된 플러그 핀공(h)(h')의 두 전극(t)(t')은 복수의 소켓(Sk)의 같은 전극(t,t)(t',t')끼리 전원선(L1)(L2)을 연결하여 각각 도선(2)을 통하여 전극별 접속자(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분전반(DP)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콘센트(C)의 접속단자(1)는 R,S,T,N, 상(相)의 가로 버스 바(B)의 선택적 접속에 의해 원하는 전압의 AC전류를 콘센트에 분전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KR1020150039805A 2015-03-23 2015-03-23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KR20160113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05A KR20160113762A (ko) 2015-03-23 2015-03-23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05A KR20160113762A (ko) 2015-03-23 2015-03-23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62A true KR20160113762A (ko) 2016-10-04

Family

ID=5716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05A KR20160113762A (ko) 2015-03-23 2015-03-23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76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56Y1 (ko) 2003-12-02 2004-03-11 만 석 김 가로형 분전반
KR100712245B1 (ko) 2007-01-09 2007-04-27 청석전기 주식회사 분전반
KR101130309B1 (ko) 2011-09-30 2012-03-2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분전반
KR101176626B1 (ko) 2012-05-09 2012-08-23 전영국 컴팩트 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56Y1 (ko) 2003-12-02 2004-03-11 만 석 김 가로형 분전반
KR100712245B1 (ko) 2007-01-09 2007-04-27 청석전기 주식회사 분전반
KR101130309B1 (ko) 2011-09-30 2012-03-2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분전반
KR101176626B1 (ko) 2012-05-09 2012-08-23 전영국 컴팩트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US9806502B2 (en) Hybrid plug-on/pigtail neutral bar
US5206777A (en) Three-phase panelboard using standard rated three-pole circuit protective devices in a grounded delta system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KR101344929B1 (ko) 부스바 키트
US2199626A (en) Circuit breaker
US6106341A (en) Electronic power distribution module
KR20160113762A (ko) 분전반의 콘센트 접속장치
DK2940817T3 (en) Connection housing for a lamp for public lighting
CN101465253A (zh) 具有通用保险丝端子的高电压保险丝
KR200445303Y1 (ko) 멀티형 분기 슬리브
KR101624419B1 (ko)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WO2012156925A2 (en) Support for electrical components
JP6433336B2 (ja) 分電盤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JP4364371B2 (ja) 一次送り用端子台
US11217970B2 (en) Multiple fed busbar system
CN112652924B (zh) 一种集成馈电汇流模块装置
KR100974483B1 (ko)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US717194A (en) Arc-light switchboard.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140056810A (ko)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US2036039A (en) Safety connection and test block
CN204651826U (zh) 电力配电箱
EP3399608A1 (en) System for attaching a fuse-disconnector to a bus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