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170A -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170A
KR20160113170A KR1020167022714A KR20167022714A KR20160113170A KR 20160113170 A KR20160113170 A KR 20160113170A KR 1020167022714 A KR1020167022714 A KR 1020167022714A KR 20167022714 A KR20167022714 A KR 20167022714A KR 20160113170 A KR20160113170 A KR 2016011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ode
outlet
fluid
valv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독터 하랄트 라이나흐
독터 코어트 슈밋탈스
Original Assignee
게브뤼더 뢰디게 마시넨바우-게젤샤프트 밋 베슈렝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브뤼더 뢰디게 마시넨바우-게젤샤프트 밋 베슈렝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게브뤼더 뢰디게 마시넨바우-게젤샤프트 밋 베슈렝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16011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3/00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 F28C3/06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 F28C3/08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with change of state, e.g. absorption, evapo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28D5/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in which the evaporating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1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3/16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26)를 통과시키기 위한 냉매 튜브(8), 및 냉매 튜브(8)에 연결된 핀(4)을 포함하는 공랭식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1)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체 방출 장치(15)는 열교환기의 핀(4)의 방향으로 액체, 특히 물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를 갖는다.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 각각으로의 액체 공급원(19)이 출구 밸브(1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세척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REFRIGERATION SYSTEM COMPRISING AN AIR-COOL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과, 냉장 시스템의 공랭식 열교환기를 위한 액체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랭식 열교환기는 흔히 응축에 의해 냉각을 달성하는, 산업용 냉장 시스템(냉장 플랜트) 및 다른 공조 및 냉장 시스템 내에서 사용된다. 냉장 시스템이 냉각 모드로 작동할 때, 기체상 냉매가 압축기에 의해 흡입되어 압축된다. 압축된 다음 중온 또는 고온인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실외 유닛 내의 응축기로 펌핑된다. 여기서, 고온 냉매는 연결된 핀(fin)을 구비한 튜브를 통해 유동하고 냉각되어, 팬에 의해 핀을 통해 유동하는 주위 공기에 의해 액화된다. 냉매는 그 다음 액체이며 고압 하에 있게 된다. 이는 연결 라인을 거쳐 실외 유닛으로부터 실내 유닛 내의 응축기로 전달되고, 여기서 이는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추출함으로써 증발하여, 공간 또는 냉장 유닛을 냉각시킨다.
핀은 보통 부분적으로 실외 영역 내에서 독립하여 배열되고, 이에 의해 강한 오염에 영구적으로 노출된다. 특히, 팬을 통한 주위 공기의 흡입으로 인해, 먼지 및 꽃가루가 응축기의 핀들 사이로 운반되어 침전된다. 오염이 증가하면, 효율도와, 냉장 시스템의 용량이 감소한다. 증가된 에너지 소비와, 극단적인 경우에 냉장 시스템의 고장이 초래된다.
또한, 깨끗한 핀을 갖더라도 매우 더운 날에는, 냉각 용량은 주위 공기로의 열 방출로 인해 필요한 냉각 용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문헌 DE 103 44 653 A1호는 공간 또는 냉장 유닛, 또는 공랭기 통합식 열교환기 내에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 구동식 자가 세척 공랭기를 개시한다.
종래 기술 상태로부터의 상기 공지된 특징은 독립적이거나, 본 발명의 아래에서 설명되는 보호 대상들 중 하나와의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더욱 개선된 냉장 시스템 및 액체 방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냉장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냉장 시스템의 공랭식 열교환기를 위한 독립항에 따른 액체 방출 장치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문제점은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매 튜브, 및 냉매 튜브에 연결된 핀(플레이트)을 포함하는 공랭식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이며, 액체 방출 장치가 제공되는, 냉장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액체 방출 장치는 열교환기의 핀의 방향으로 액체, 특히 물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를 갖는다.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 각각으로의 액체 공급원이 출구 밸브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방출 장치는 개방부를 통한 적어도 2개의 액체 유출 출구를 제공하고, 액체의 유출은 출구 밸브에 의해 분리되어 차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의미에서의 차단된 밸브는 특히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작동 실시예에서, "개방" 또는 "폐쇄" 상태만을 허용하며, 예를 들어, 개방부 폭을 통한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유동은 허용하지 않는 밸브이다.
적어도 2개의 액체 유출 출구를 갖는 액체 방출 장치 및 각각의 액체 유출 출구에 대해 차단될 수 있는 액체 공급원을 구비한 냉장 시스템에 의해, 특히 적은 부품 및 특히 적은 생산 및 제어 비용으로, 특히 간단하게 세척될 뿐만 아니라 냉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핀의 세척, 즉 시스템 효율 감소 먼지의 제거가 높은 압력 하에서의 액체의 분출(액체 제트 발산)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대조적으로, 증가된 주위 공기 온도에서의 시스템의 필요한 냉각 용량을 얻기 위한 핀의 추가의 냉각을 위해, 낮은 압력 하에서의 액체의 분무가 액체로 핀 표면을 습윤시키기 위해 충분하다.
적어도 2개의 액체 유출 출구를 갖는 액체 방출 장치 및 각각의 액체 유출 출구에 대해 차단될 수 있는 액체 공급원을 구비한 냉장 시스템에 의해, 특히 간단한 설치가 충분할 수 있고, 동일한 액체 유출 출구들을 통해, 단순히 출구 밸브의 적합한 (대응하는) 개방 및 폐쇄에 의해, 특히 동시에 개방되는 출구 밸브들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높은 액체 압력에 의해 세척되며 낮은 액체 압력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유출 출구를 구비한 피벗 가능한 유체 공급 수단이 제공되고 (다음에서,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로도 불림), 이는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가 선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체 유출 출구 또는 유체 유출 출구들과 대면하며 열교환기의 핀에 속하는 핀 표면의 적어도 대부분이 선회 운동에 의해 덮이도록 구성된다.
핀 표면의 덮임은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가 핀 위 또는 아래에서의 선회 운동에 의해, 즉 특히 바닥 측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이 액체로 분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에 의해, 열교환기는 특히 빠르고,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세척되거나 특히 더운 날에는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핀의 핀 표면과 대면하는 유체 유출 출구의 대부분(상당 부분)이 선회 운동에 의해 덮이면, 즉 핀 표면의 대부분 또는 전체 핀 표면이 덮이면, 특히 많이 세척되거나 특히 더운 날에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바닥 측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의 덮임은 오염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는 영역이 세척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술적 노력이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방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 매우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출구 개방부를 구비한 선회식 파이프의 형태로 제공된다.
특히, 실험은 2개의 노즐 또는 출구 개방부가 60°의 개구각을 구비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팬 노즐을 사용할 때 충분함을 보여주었다.
선회식 파이프는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를 실현하는 특히 간단한 방식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든 유체 유출 출구는 동일한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유체 공급원은 본질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냉장 시스템 또는 액체 방출 장치의 작동 중에 냉장 시스템 또는 액체 방출 장치에 의해 제어 또는 조절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되거나, 변화되거나, 최적화되지 않는 압력을 갖는 액체의 공급원 (공급 라인), 예를 들어 급수원을 의미한다.
모든 유체 유출 출구가 동일한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면, 이는 특히 간단한 설치에 의해 세척되고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모든 유체 유출 출구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공급원당 최대 18개의 유체 유출 출구, 바람직하게는 12개의 유체 유출 출구, 더 바람직하게는 유체 공급원당 6개의 유체 유출 출구로 제한된다.
특히, 동시에 개방되는 유체 유출 출구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의해, 핀 표면의 크기에 의존하여, 임의의 개수의 유체 유출 출구가 특히 높은 세척 품질 및 추가의 냉각 효과를 여전히 달성하면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은,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 사이,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3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사이의 제1 작동 모드 대 제2 작동 모드의 동일한 시간에서 개방되는 출구 밸브의 개수의 비율로, 적은 개수의 출구 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1 작동 모드 및 많은 개수의 출구 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2 작동 모드가 제공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독립항의 특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 시스템의 공랭식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의 유체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를 구비한 유체 방출 장치에 의해, 특히 적은 부품 및 특히 낮은 생산 및 제어 노력에 의해, 특히 용이하게 세척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요구에 따라 냉각될 수도 있다.
특히, 유체 방출 장치는 모든 출구 밸브가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출구 밸브의 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특히 높은 유연성이, 예를 들어, 성에의 위험 시에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 가능해 진다. 냉각되어야 할 때, 보통 몇몇 출구 밸브가 폐쇄된다. 세척되어야 할 때, 추가의 출구 밸브가 폐쇄된다. 출구 밸브들은 원하는 영역이 액체에 의해 도달되도록 (덮이도록) 개방 및 폐쇄된다. 특히, 냉각을 위해, 냉각을 위한 영역들은 차례로 액체로 습윤된다. 이는 단일 공통 공급원을 통해 과도하게 높은 수압으로 액체를 공급할 필요가 없이 대형 영역 냉각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보호 대상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냉장 시스템 또는 냉장 시스템을 위한 액체 방출 장치의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설명 도입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도면 설명, 및 청구항으로부터의 특징은 단독으로 그리고 임의의 방식으로 각각의 다른 조합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설명되거나 청구되는 특징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특징 조합은 개시되는 바와 같이 간주되어야 한다.
도 1은 냉장 시스템을 위한 응축기 및 액체 방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산업용 냉장 시스템의 공랭식 응축기(1)를 도시하고, 응축기(1)는 도시된 변경예에 대해 대안적으로 특히 V-블록 응축기로서도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1)는 실외 영역 내에 설치되고, 팬(5)의 축방향 아래에 배열되는 핀(4)을 통해 주위 공기를 흡입하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2개의 팬(5), 특히 축방향 팬을 각각 갖는 2개의 분리된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한다. 핀(4)의 바닥 측면은 환경 조건에 노출되는 핀 표면 또는 바닥면(12)을 형성한다. 각각의 팬(5)은 핀 표면(12)에서 핀(4)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다시 팬(5) 위에서 주위로 나가는 주위 공기의 공기 스트림(6)을 달성한다. 팬(5)과 핀 표면(12) 사이에서, 핀(4)에 연결되어 냉매(26)를 유동시키는 냉매 튜브(8)가 있다. 냉장 시스템의 내측 영역 내에 놓인 부분과의 냉매(26)의 교환은 냉매 파이프(8)에 연결되는 냉매 공급 파이프(2) 및 냉매 복귀 파이프(3)를 통해 발생한다.
도 1은 또한 유체 공급원(19)을 포함하는 유체 방출 장치(15)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보통의 급수 라인 등, 예컨대, 음용수 라인 또는 산업용수 라인으로부터, 후방에 놓인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주어진 공급 압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바아 하에서, 액체 공급원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입자가 없는 물이 먼저 공급 밸브(23)에 도달하고, 공급 밸브(23)가 개방되면 물 정지 장치(24)를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T-접합부(17)에 도달한다. T-접합부(17)의 하나의 팔은 배출 밸브(25)로 이어진다. T-접합부(17)의 다른 팔은 6개의 분리된 라인들로의 파이프 시스템의 접합부로 이어진다.
6개의 분리된 라인들은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7)로서 선회식 파이프(7)를 구비한 출구 밸브(18)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선회식 파이프(7)는 출구 개방부(9)로서 2개의 노즐(9)을 갖춘다. 여기서, 핀(4)의 특히 균등한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회식 파이프당 2개를 초과하는 노즐(9)이 있을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노즐(9)은 핀 표면(12)과 대면한다. 이에 의해, 핀(4)의 특히 효과적인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주로 바닥 측면이 먼지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7) 또는 선회식 파이프(7)는 팬(5)에 대향하여 또는 핀(4)의 아래에서 핀(4)의 측면에 배열된다.
팬(5)에 대향하는 핀(4)의 측면에서의 액체 유출 출구(7)의 배열에 의해, 먼지는 특히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보통 가장 강한 오염이 존재한다.
핀(4) 아래에서의 액체 유출 출구(7)의 배열에 의해, 액체로 인해 응집된 먼지인 응집물이 유체, 특히 물의 높은 충돌 속도에 의해 핀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다음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에 의해, 먼지는 핀(4) 내로 더 깊이 진입할 수 없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유출 출구(7)는 피벗식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큰 핀 표면의 자동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이 실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피벗식 구동부(11)는 피벗식 구동부(11)가 액체의 유동을 통해서만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냉장 시스템의 특히 낮은 에너지 소비가 얻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액체 유출 출구(7)는 성형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져서, 나사에 의해 응축기의 직립 다리(10)에 연결된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유출 출구(7)는 100mm 내지 1,000mm, 바람직하게는 200mm 내지 80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mm 내지 600mm의 거리에서 핀 표면(12) 아래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특히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세척되고 그리고/또는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유출 출구(7)의 피벗 축(14)은 팬 축(13)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다. 이는 특히 단지 하나의 피벗 축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핀 표면(12)의 완전한 덮임을 허용한다. 또한, 제작비가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피벗 가능한 액체 유출 출구(7) 또는 선회식 파이프(7)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피벗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안정된 선회 운동 및 시스템의 높은 강건성을 허용한다.
특히, 피벗 베어링이 피벗식 구동부(11)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부품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피벗 베어링은 Y-형상 지지부로서 설계된다. 이는 제작비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유출 출구(7)의 장착 또는 조립을 위한 프레임은 유체 유출 출구(7)보다 더 짧다. 따라서, 유체 유출 출구(7)는 특히 프레임의 단부에서의 베어링 위에서, 프레임을 넘어 연장한다. 이는 프레임 및 조립체 대한 재료 및 필요 공간의 감소를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선회 운동은 특히 피벗 축(14)에 대한 회전 운동에 대응한다. 이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핀(4)의 특히 균등한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을 허용한다. 또한, 핀(4)의 에너지 효율적인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이 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한 변경예(도시되지 않음)가 팬 축(13)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유체 유출 출구(7)의 피벗 축(14)을 구비한다. 이는 핀 표면(12)에 대한 최적화된 제트 각도를 허용한다. 그러나, 핀 표면(12)의 연장 및 형상에 의존하여, 이러한 대안적인 변경예는 각각의 경우에, 핀 표면(12)을 완전히 덮기 위한 증가된 노력을 요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변경예(도시되지 않음)는 피벗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유체 유출 출구(7)를 가질 수 있거나, 유체 유출 출구(7)의 선회 운동은 피벗 축(14)에 대해 방사상으로, 즉 직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핀(4)의 특히 균등한 세척 및 추가의 냉각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바람직한 변경예(도시되지 않음)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유출 출구(7)의 단부에서, 유체 유출 출구(7)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 피벗 축(14)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유출 출구(7)는 특히 적은 노력과 적은 부품으로 유체 공급원(19)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7)의 이동 또는 선회 운동의 경로에 의한 핀 표면 또는 바닥 측면(12)의 특히 큰 부분의 덮임이 가능케 된다.
특히, 바람직한 변경예(도시되지 않음)는 바람직하게는 핀 표면(12)의 경계 영역 내에서, 핀 표면(12)과 대면하는 유체 유출 출구(7)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 피벗 축(14)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가능해진 선회 운동에 의해, 유체 유출 출구(7)의 이동 경로에 의한 핀 표면(12)의 특히 큰 부분의 덮임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적은 개수의 출구 밸브(18)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1 작동 모드 및 많은 개수의 출구 밸브(18)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2 작동 모드가 제공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공급 시스템의 일부 상의 유체 공급원(19)의 주어진 라인 압력으로 인해, 유체는 출구 개방부(9) 또는 노즐(9)을 통해, 높은 압력에서의 제1 작동 모드에서 그리고 낮은 압력에서의 제2 작동 모드에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작동 모드에 따른 출구 개방부(9)의 상태에 의해, 핀(4)은 액체 제트에 의해 특히 완전히 세척될 수 있고, 제2 작동 모드에 따른 출구 개방부(9)의 상태에 의해, 핀(4)은 분무 및 습윤에 의해 특히 균등하며 효과적으로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추가의 냉각이 필요한 기간에 걸쳐 유체 유출 출구(7)를 통한 유체 방출을 연속적이며 주기적으로 교대시킬 때, 특히 높은 추가의 냉각 용량이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많은 개수의 유체 유출 출구를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출구 밸브는 동시에 개방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1 작동 모드 또는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에 의해 (활성화 시에), 출구 밸브(18)가 원칙적으로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 대해 변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특정 기간 동안에만 제1 작동 모드 또는 제2 작동 모드에 따른 상태를 취하도록 (상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미리 정의된) 또는 특정 기간에 의해, 세척 및 냉각이 특히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세척을 위해 장시간 동안 작동 중단되어야 했던 냉장 시스템의 높은 냉각 용량을 동시에 가지면서 효율적인 세척을 허용한다.
보통, 그 후에 다른 작동 모드가 활성화되거나, 모든 출구 밸브(18)들이 폐쇄된다. 또한, 여기서, 세척 및 냉각은 특히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모든 출구 밸브(18)가 각각 특정 기간 동안, 동시에, 부분적으로 동시에, 그리고/또는 연속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특정 기간은 유체 유출 출구(7)를 정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역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선회 시간에 대응한다.
이는 특히 적은 부품 및 특히 낮은 제작 및 제어 노력으로 세척뿐만 아니라 추가의 냉각을 허용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특정 기간은 정확히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확히 1회 선회 시간, 예컨대, 선회식 파이프(7)가 핀(4) 아래에서 선회 운동을 1회 수행하고 다시 시작 위치로 선회하는 시간에 대응한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유체는 1회 선회 시간의 주기 동안 모든 선회식 파이프(7)에 의해 연속적으로 방출된다. 이는 6회의 선회 시간의 기간 내에, 모든 핀 표면(4)이 세척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유체는 1회 선회 시간의 기간 동안 동시에 3개의 선회식 파이프(7)의 노즐(9)을 통해 방출되고, 그 후에 유체는 1회 선회 시간 중에 동시에 나머지 3개의 선회식 파이프(7)를 통해 방출된다.
액체 공급원(19)은 공급 밸브(23)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파이프 라인 시스템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밸브(25)는 공급 밸브(23)의 "개방" 및 "폐쇄" 상태만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급 밸브(23)로부터 배출 밸브(25)로 연장하며 모든 유체 유출 출구(19)를 포함하는 전체 파이프 라인 시스템은 배출 밸브(23)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공급 밸브(23)를 폐쇄하고 배출 밸브(25)를 개방하면, 액체가 배출 밸브(25)를 통해 파이프 라인 시스템으로부터 특히 완전하게 중력에 의해 배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의 유체 방출 장치(15)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유체 출구 밸브(18), 유체 공급원(19)을 차단하기 위한 공급 밸브(23), 및/또는 유체, 특히 공급 밸브와 배출 밸브 사이의 라인 시스템의 실질적인 전체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밸브(25)가 분리되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이는 간단한 제어 유닛에 의한 여러 기능들에 대한 특히 높은 자동화도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방출 장치(15)는 유체 출구 밸브(18), 공급 밸브(23), 및/또는 배출 밸브(25)가 시간 값 및/또는 측정 값에 의존하여 분리되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시점 또는 시간 간격 또는 측정 값 임계치는 제어 유닛(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목적으로, 역년, 역월, 역일, 달력 체계에서의 하루의 자정으로부터의 시, 분, 및 초의 용어로 표현되는 시점을 결정하고 아울러 시간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 측정 장치가 있다.
그렇게 구성된 제어 유닛(20)은 미리 정의된 시점에서 그리고/또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에서의 요구 지향적 세척에 대한 특히 높은 자동화도를 가능케 한다.
특히, 그러한 제공되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 또는 세척 간격은 1일 내지 30일 사이,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14일 사이이다. 이에 의해, 매우 높은 효율도가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측정 값으로서 냉매 복귀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냉매 복귀 파이프(3)에서의 냉매 복귀 온도 센서(21) 및/또는 측정 값으로서 실외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특히 제어 캐비닛(16)에서의 또는 그 부근에서의 실외 온도 센서(22)가 제공된다.
요구 지향적 추가의 냉각에 대한 특히 높은 자동화도가 얻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특정 냉매 복귀 온도를 초과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28℃보다 더 높고, 바람직하게는 32℃보다 더 높은 특정 실외 온도를 초과하면, 제2 작동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특정 냉매 복귀 온도는 특히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제어 유닛(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정 또는 변화될 수 있는 가변 파라미터 값을 의미한다.
일 또는 상기 위에서 설명된 냉매 복귀 온도 값을 초과하면, 제2 작동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가짐으로써, 특히 신뢰할 수 있는 자동적인 추가의 냉각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작동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된 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지 않는 한 추가로 냉각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바람직하게는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의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4℃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인 미리 설정된 실외 온도 아래에 계속 있을 때, 공급 밸브(23)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배출 밸브(25)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기간 동안 일 또는 상기 위에서 설명된 냉매 복귀 온도 아래에 있을 때, 공급 밸브(23)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배출 밸브(25)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에 의해, 시스템의 성에 관련 손상이 특히 신뢰할 수 있게 자동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공급 밸브(23)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배출 밸브(25)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의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6℃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8℃를 초과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를 초과하는 특정 실외 온도를 초과하면, 배출 밸브(25)가 자동으로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공급 밸브(23)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기간 동안 일 또는 상기 위에서 설명된 냉매 복귀 온도를 초과하면, 배출 밸브(25)가 자동으로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공급 밸브(23)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에 의해, 세척 작동의 성에 관련 작동 중단이 특히 용이하며 적은 노력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외 온도가 48시간 동안 3℃ 아래이면, 공급 밸브(23)는 폐쇄되고, 배출 밸브(25)는 개방된다. 전체 유체는 그 다음 하향으로 경사진 설치로 인해 배수된다. 그 다음 실외 온도가 48시간 동안 10℃를 넘으면, 배출 밸브(25)는 다시 폐쇄되고, 파이프 라인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공급 밸브(23)는 개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 시에, 제1 작동 모드가 특히 자동으로 항상 먼저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 이전에, 제1 작동 모드가 항상 먼저 활성화되기 때문에, 추가의 냉각 이전에 항상 세척된다. 사전 세척이 없는 추가의 냉각은 먼지가 분무되는 액체에 의해 분해되어, 팬(5)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스트림(6)에 의해 핀(4) 내로 흡입되어 침전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사전 세척에 의해, 이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적은 노력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적인 변경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1 작동 모드의 활성화 시에, 열교환기의 팬(5)이 꺼지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제1 작동 모드의 활성화 시에, 열교환기의 팬(5)이 꺼지거나, 또는 특히 적어도 제1 작동 모드에 따른 출구 밸브(18)의 상태 중에 꺼짐 유지되기 때문에, 세척 중에 먼지가 핀(4) 내에 흡입되는 것이 이러한 변경예에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대안적인 변경예(도시되지 않음)의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2 작동 모드를 활성화할 때, 팬(5)이 작동 유지되거나 켜지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이는 이러한 변경예에서, 추가의 냉각의 기간 동안에도 냉장 시스템의 특히 높은 냉각 용량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제2 작동 모드에서의 작동 중에 또는 출구 밸브(18)의 상태가 제2 작동 모드에 따를 때, 제1 작동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의 충족이 제1 작동 모드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추가의 냉각이 원칙적으로 규칙적인 세척 사이클에 걸쳐 우선권을 갖는 개념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냉각이 보통 세척에 선행하고, 반복되는 세척은 단순히 경비를 증가시키고 냉장 시스템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작동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의 충족이 제1 작동 모드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냉장 시스템의 특히 높은 냉각 용량과 특히 안정적이며 효과적인 추가의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서, 개별 공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정상적인 주위 온도에서, 냉장 시스템의 작동은 미리 설정된 세척 시간에서 짧은 세척 운전 동안만 중단되고, 여기서 모든 선회식 파이프(7)는 2개의 노즐(9)을 갖추고, 물 제트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핀 표면(12) 아래에서 1회 선회 시간 동안 전후로 연속적으로 피벗한다.
냉매 복귀 온도가 예를 들어 48℃ 위로 증가하고, 동시에 실외 온도가 32℃ 위에 놓이면, 추가의 냉각을 위한 제2 작동 모드가 활성화되고, 이때 세척 운전이 추가의 냉각 중에 먼지가 분해되어 핀(4)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된다.
주위 온도가 48시간 동안 계속하여 3℃ 아래로 떨어지면,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전체 물은 공급 밸브(23)를 폐쇄하고 배출 밸브(25)를 개방함으로써 성에 보호를 위해 배수된다. 주위 온도가 다시 증가하고 48시간 동안 계속하여 10℃ 위에 놓이면, 파이프 라인 시스템은 다시 배출 밸브(25)를 폐쇄하고 공급 밸브(23)를 개방함으로써 충전된다. 그 다음 이는 다시 세척되거나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Claims (14)

  1. 냉매(26)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매 튜브(8), 및 냉매 튜브(8)에 연결된 핀(4)을 포함하는 공랭식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1)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이며, 액체 방출 장치(15)가 열교환기의 핀(4)의 방향으로 액체, 특히 물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를 갖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 각각으로의 액체 공급원(19)이 출구 밸브(1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선회식 파이프(7)의 형태인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7)는 피벗 가능한 유체 유출 출구(7)가 선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체 유출 출구(7) 또는 유체 유출 출구(7)들과 대면하며 열교환기의 핀(4)에 속하는 핀 표면(12)의 적어도 대부분이 선회 운동에 의해 덮이고 그리고/또는 바닥 측면에서 덮이도록,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유체 유출 출구(7)는 동일한 유체 공급원(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시스템.
  4. 유체, 특히 물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장 시스템의 공랭식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1)를 위한 유체 방출 장치(15)이며, 적어도 2개의 출구 개방부(9) 각각으로의 액체 공급원(19)이 출구 밸브(1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유체 방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 사이,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3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사이의 제1 작동 모드 대 제2 작동 모드의 동일한 시간에서 개방되는 출구 밸브(18)의 개수의 비율로, 적은 개수의 출구 밸브(18)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1 작동 모드 및 많은 개수의 출구 밸브(18)가 동시에 개방되는 제2 작동 모드가 제공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 또는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에 의해, 출구 밸브(18)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만 제1 작동 모드 또는 제2 작동 모드에 따른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모든 출구 밸브(18)들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부분적으로 동시에 그리고/또는 연속적으로 각각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7.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간은 유체 유출 출구(7)를 정방향으로 선회시키고 다시 역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선회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출구 밸브(18), 유체 공급원(19)을 차단하기 위한 공급 밸브(23), 및/또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밸브(25)가 분리되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시간 값 및/또는 측정 값에 의존하여 분리되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값으로서 냉매 복귀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냉매 복귀 파이프(3)에서의 냉매 복귀 온도 센서(21), 및/또는 측정 값으로서 실외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외 온도 센서(22), 및/또는 역년, 역월, 역일, 달력 체계에서의 하루의 자정으로부터의 시, 분, 및 초의 용어로 표현된 시점을 결정하고 아울러 시간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 측정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냉매 복귀 온도를 초과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28℃보다 더 높고, 바람직하게는 32℃보다 더 높은 특정 실외 온도를 초과하면, 제2 작동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의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4℃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인 미리 설정된 실외 온도 아래에 계속 있을 때, 공급 밸브(23)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배출 밸브(25)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방출 장치(15)는 공급 밸브(23)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배출 밸브(25)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의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6℃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8℃를 초과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를 초과하는 특정 실외 온도를 초과하면, 배출 밸브(25)가 자동으로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공급 밸브(23)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 시에, 제1 작동 모드가 항상 먼저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에서의 작동 중에, 제1 작동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의 충족이 제1 작동 모드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20)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방출 장치(15).
KR1020167022714A 2014-01-24 2014-12-10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KR20160113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1280.5A DE102014201280A1 (de) 2014-01-24 2014-01-24 Kälteanlage mit einem luftgekühlten Wärmetauscher
DE102014201280.5 2014-01-24
PCT/EP2014/077100 WO2015110215A1 (de) 2014-01-24 2014-12-10 Kälteanlage mit einem luftgekühlten wärmetausc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170A true KR20160113170A (ko) 2016-09-28

Family

ID=5214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14A KR20160113170A (ko) 2014-01-24 2014-12-10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97360B1 (ko)
JP (1) JP2017505895A (ko)
KR (1) KR20160113170A (ko)
DE (1) DE102014201280A1 (ko)
WO (1) WO2015110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0623B4 (de) * 2015-08-14 2017-04-13 Armin F. Khadjavi 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für luftgekühlte Wärmetauscher
US10502465B2 (en) 2016-07-15 2019-12-10 Walmart Apollo, Llc Air-cooled ammonia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70307B2 (en) 2016-07-15 2020-06-02 Walmart Apollo, Llc Air-cooled ammonia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2628985A (zh) * 2020-12-22 2021-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控制方法、装置及空调机组
EP4148348A1 (de) 2021-09-09 2023-03-15 SH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reinigungs- und kühlungsvorganges von wärmetauscher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2649B (de) * 1959-03-10 1967-06-22 Gea Luftkuehler Happel Gmbh Durch einen zwanglaeufig bewegten Luftstrom gekuehlter Waermetauscher
US4290274A (en) * 1979-07-16 1981-09-22 Essex Donald D Liquid spray device with adaptive duty cycle
GB2087029A (en) * 1980-09-19 1982-05-19 Heat Pumps W R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 Exchangers
US4566890A (en) * 1984-12-17 1986-01-28 Ppg Industries, Inc. Self purging fin cooler
US4974422A (en) * 1990-03-08 1990-12-04 Vil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Evaporative condenser with fogging nozzle
DE29506110U1 (de) * 1995-01-20 1995-08-17 Polybloc Ag Plattenwärmeaustauscher mit Benetzungseinrichtung
US5605052A (en) * 1995-04-07 1997-02-25 Middleton; Stephen C. Mist spray system for refrigeration condensers
US6318108B1 (en) * 2000-09-27 2001-11-20 George L. Holstein Self-washing coil for air conditioning units
DE10344653B4 (de) 2003-09-25 2013-06-13 Hans Güntner GmbH Ventilatorbetriebener Luftkühler zur Kühlung der Luft in Räumen
US20070151277A1 (en) * 2006-01-03 2007-07-05 Stephen Pothier Air conditioner spray applicator triggered by paddle valve to improve efficiency
US20100049338A1 (en) * 2008-08-20 2010-02-25 Airfantastic, Inc. Air conditioner system with optimizer
WO2013020579A1 (en) * 2011-08-08 2013-02-14 Carrier Corporation Self cleaning heat exchang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0215A1 (de) 2015-07-30
EP3097360A1 (de) 2016-11-30
EP3097360B1 (de) 2019-10-30
JP2017505895A (ja) 2017-02-23
DE102014201280A1 (de)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170A (ko) 공랭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KR101869526B1 (ko) 단열 냉매 응축기 제어 시스템
JP5800894B2 (ja) 冷却塔を有する冷却装置のための熱サイフォン冷却器
WO2018086175A1 (zh) 空调内外机清洗方法
KR100796283B1 (ko) 토출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냉동장치
US6658872B1 (en) Air conditioner mist applicator
US9599355B2 (en) Dry air-water heat exchanger
JP2004003806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JP2021527792A (ja) 自己洗浄性換気ユニット
JP2006038362A (ja) 冷凍装置
CN104654549A (zh) 一种带清洗功能的除霾空调
US20060283200A1 (en) Ice making machine
CN101813342A (zh) 一种空调器的节电喷雾装置及其操作方法
CN109340911A (zh) 一种室内机、空调系统及控制方法
JP2016142436A (ja) 空冷式熱源機の散水システムおよび散水方法
JP2015218931A (ja) 熱交換器の補助冷却装置
CN114034091A (zh) 一种间接蒸发换热系统及其控制方法、冷却机组
CN110925958A (zh) 一种空调器及清洁控制方法
KR101005295B1 (ko) 에어컨 실외기 청소장치
JP2004191012A (ja) 空調機の洗浄システムおよび洗浄方法
CN209068619U (zh) 一种室内机及空调系统
ES2668068T3 (es) Calentador de agua termodinámico
KR102164834B1 (ko) 냉각장치의 수냉식 열교환기
JP2007198617A (ja) 補助冷却装置における給水制御方法
CN213237796U (zh) 一种具有防霜结构的蒸发冷却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