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551A -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51A
KR20160112551A KR1020150038475A KR20150038475A KR20160112551A KR 20160112551 A KR20160112551 A KR 20160112551A KR 1020150038475 A KR1020150038475 A KR 1020150038475A KR 20150038475 A KR20150038475 A KR 20150038475A KR 20160112551 A KR20160112551 A KR 2016011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eam pattern
target vehicl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722B1 (ko
Inventor
김성운
강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22B1/ko
Priority to US14/942,716 priority patent/US10433310B2/en
Priority to CN201510819212.7A priority patent/CN105992130B/zh
Publication of KR2016011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2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event-trigge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3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involving continuous che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은 목표 차량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VEHICLE,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IN}
개시된 발명은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간의 통신이 가능한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운송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차량은 단순히 물자와 인력을 운송하는 것을 넘어서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음악을 듣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운전자가 목적하는 장소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역시 널리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우, 최적의 경로를 검색하기 위하여 도로의 교통상황에 관한 정보가 요구된다. 이러한 교통상황인 시시때때로 변화하므로 차량은 교통상황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의 차량, 외부의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목표 차량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검출된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차량은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엔진의 이상을 검출하는 엔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엔진 이상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차량은 브레이크를 제어하고 상기 브레이크의 이상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브레이크 이상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하는 운전 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운전 보조부로부터 수신된 도로 상태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목표 차량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레이더 모듈; 상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검출된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을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통신 방법은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과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선택과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선택과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된 주 방향을 기초로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위상 차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는 차량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 통신부;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내부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 전송 요청 및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상기 빔 포밍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빔 포밍 모듈을 통하여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차량, 외부의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5, 도 6a, 도 6b 및 도 6c는 5세대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빔 포밍 모듈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3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4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5은 목표 차량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6는 도 24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목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8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9, 도 30 및 도 31은 도 28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은 도 32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는 도 37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하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 (11~16), 차량(1)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는 차대(chassis) (미도시), 차체(11~16) 및 차대를 이동시키는 차륜(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차량(1)은 차륜(21, 22)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체(11~16)는 후드(hood) (11),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12), 루프 패널(roof panel) (13), 도어(door) (14), 트렁크 리드(trunk lid) (15), 쿼터 패널(quarter panel) (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16)의 외부에는 차체(11~16)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프런트 윈도(front window) (17), 도어(14)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 (18) 및 차체(11~16)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리어 윈도우(rear window) (1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1~16)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S1, S2), 차량(1)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1)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계기가 마련되는 대시 보드(dash board) (30), 차량(1)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이 마련되는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40), 기어 스틱 및 주자 브레이크 스틱 등이 마련되는 센터 콘솔(center console)(50),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60)이 마련될 수 있다.
시트(S1, S2)는 운전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S1), 동승자가 앉는 동승석(S2),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30)에는 상에 배치되어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기하는 속도계기, 연료계기,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타코 미터, 구간 거리계 등의 계기판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센터 페시아(40)는 운전석(S1)과 조수석(S2) 사이에 마련되며,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 차체(11~16)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센터 콘솔(50)은 운전석(S1)과 조수석(S2) 사이에 센터 페시아(33)의 아래에 마련되며, 변속을 위한 기어 스틱 및 주차를 위한 주차 브레이크 스틱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60)은 대시 보드(30)에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차량(1)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차대(미도시)에는 연료를 연소시켜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 생성 장치(예를 들어, 엔진 또는 모터), 동력 생성 장치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 가열된 동력 생성 장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 장치, 동력 생성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차륜(21, 22)까지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 스티어링 휠(40)에 의하여 조작된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차륜(21, 22)까지 전달하는 조향 장치, 차륜(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 도로에 의한 차륜(21, 22)의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이상에서 설명한 기계 장치와 함께 다양한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AVN (Audio/Video/Navigation) 장치(110),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 엔진 제어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 (130), 변속 제어 시스템(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TMS) (140), 제동 제어 장치(brake-by-wire) (150), 조향 제어 장치(steering-by-wire) (160), 운전 보조 시스템(170), 시선 검출 장치(180), 무선 통신 장치(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일부에 불과하며 차량(1)에는 더욱 다양한 전자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10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는 최대 24.5Mbps(Mega-bits per second)의 통신 속도를 갖는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최대 10Mbpas의 통신 속도를 갖는 플렉스레이(FlexRay), 125kbps(kilo-bits per second) 내지 1Mbps의 통신 속도를 갖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20kbps의 통신 속도를 갖는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는 모스트, 플레스레이, 캔, 린 등 단일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도 있다.
AVN 장치(110)는 운전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음악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AVN 장치(110)는 운전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AVN 장치(110)는 운전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AVN 디스플레이(111),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AVN 버튼 모듈(113), 차량(1)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VN 디스플레이(111)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AVN 디스플레이(1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차량(1)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버튼을 통한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운전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는 대시 보드(30)에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 영상을 윈드 스크린(17)에 투영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122) 및 스티어링 휠(60)에 설치되는 휠 버튼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는 대시 보드(30)에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는 윈드 스크린(17)에 인접하여 마련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1)의 전방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U)가 차량(1)의 동작 정보, 도로의 정보 또는 주행 경로 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122)는 영상을 윈드 스크린(17)에 투영시킬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122)에 의하여 윈드 스크린(17)에 투영되는 영상은 차량(1)의 동작 정보, 도로의 정보 또는 주행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시스템(130)는 연료분사 제어, 연비 피드백 제어, 희박 연소 제어, 점화 시기 제어 및 공회전수 제어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엔진 제어 시스템(140)은 단일의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들일 수도 있다.
변속 제어 시스템(140)는 변속점 제어, 댐퍼 클러치 제어, 마찰 클러치 온/오프 시의 압력 제어 및 변속 중 엔진 토크 제어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속 제어 시스템(140)은 단일의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들일 수도 있다.
제동 제어 장치(150)는 차량(1)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안티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제어 장치(160)는 저속 주행 또는 주차 시에는 조향력을 감소시키고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한다.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차량(1)의 주행을 보조하며, 전방 충돌 회피 기능, 차선 이탈 경고 기능, 사각 지대 감시 기능, 후방 감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들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주행 차선의 전방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지하여 전방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전방 충동 경고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 전방 차량과의 충돌이 불가피한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AEBS), 주행 차선의 전방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여 전방 차량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가/감속하는 적응 순항 제어 장치(Adaptive Cruise Control, ACC), 주행 차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차선 이탈 경고 장치(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주행 차로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본 차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차선 유지 보조 장치(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사각지대에 위치한 차량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시각지대 감시 장치(Blind Spot Detection, BSD), 주행 차선의 후방에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여 후방 차량과의 충동을 회피하는 후방 충동 경고 장치(Rear-end Collision Warning System, RC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전후방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더 모듈(171), 전후방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더 모듈(171)은 전방 충동 경고 장치, 자동 비상 제동 장치, 적응 순항 제어 장치, 시각지대 감시 장치, 후방 충동 경고 장치 등 전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71)은 차선 이탈 경고 장치 및 차선 유지 보조 장치 등 전후방 차량 및 도로의 영상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시선 검출 장치(18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181)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시선 검출 장치(180)는 운전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 및 운전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운전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외부 차량 또는 외부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상에서는 차량(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차량(1)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하고, 도 5, 도 6a, 도 6b 및 도 6c는 5세대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빔 포밍 모듈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차량(1) 내부의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차량(1)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부(220), 외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300), 내부 통신부(220)와 무선 통신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부(22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와 연결되는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5),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 차량 통신 네트워크(NT)을 통한 통신을 제어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5)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차량(1)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차량(1)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100)로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신호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5)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와 무선 통신 장치(200)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의 제어에 따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통신 신호로 변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신호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하고, 제어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200) 내부에서 송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와 내부 통신부(220)와 통신 제어부(21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예를 들어, 캔 통신의 경우 통신 신호는 한 쌍의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한 쌍의 통신 라인 사이의 전위 차이에 따라 통신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에 비하여 내부 통신부(220)와 통신 제어부(21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단일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단일 라인의 전위에 따라 제어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처럼,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는 통신 제어부(210)가 출력한 제어 신호를 차량 네트워크(NT)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차량 네트워크(NT)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를 통신 제어부(210)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복조한다.
이와 같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과 통신 인터페이스(22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통신 인터페이스(225)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NT)가 다른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점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통신 네트워크(NT)가 비어있으면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5)와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통신 인터페이스(225)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5)와 신호 변화 모듈(223)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과 통신 인터페이스(22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신호 변환 모듈(223)과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통신 제어 모듈(221)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21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210)가 직접 내부 통신부(220)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0)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0)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00)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과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등의 제2 세대(2G) 통신 방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과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과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와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의 3세대(3G) 통신 방식,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와 와이브로 에볼류션(Wireless Broadband Evolution) 등 4세대(4G)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300)는 5세대(5G)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4G 통신방식은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5G 통신방식은 약 28G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5G 통신방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G 통신방식에는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를 수십 개 이상 사용하여 초고대역 주파수까지 커버 가능하고, 다중 접속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소자의 배열을 조정하여 특정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용량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5G 통신 네트워크 망의 사용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ST)은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많은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전파를 전송하는 방향 외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전파를 최소화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품질 향상과 전력량의 감소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직교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변조하는 기존과 달리, 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xing Access, NOMA) 방식을 통해 변조한 무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더 많은 디바이스의 다중 접속이 가능하며, 대용량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5G 통신방식은 최고 1Gbps의 전송속도의 제공이 가능하다. 5G 통신방식은 대용량 전송을 통해 UHD(Ultra-HD), 3D, 홀로그램 등과 같이 대용량 전송이 요구되는 몰입형 통신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5G 통신방식을 통해 보다 정교하고 몰입이 가능한 초 고용량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최대 응답 속도 1ms 이하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5G 통신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전에 반응하는 실시간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은 주행 중에도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센서정보를 전달 받아, 실시간 처리를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원격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5G 통신방식을 통해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과의 센서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충돌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경로 상에 발생될 교통상황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이 제공하는 초 실시간 처리 및 대용량 전송을 통해, 차량은 차량 내 탑승객들에게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각종 웹 정보, SNS 정보 등을 분석하여, 차량 내 탑승객들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은 빅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주행 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맛집, 볼거리 정보들을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객들이 주행 중인 지역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은 셀을 보다 세분화하여, 네트워크의 고밀도화 및 대용량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이동 통신에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이때. 각 셀 내에 소출력 기지국을 설치하여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은 셀의 크기를 줄여 더욱 세분화함으로써, 매크로셀 기지국-분산 소형 기지국-통신 단말의 2단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에서는 멀티홉(multihop) 방식을 통한 무선 신호의 릴레이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T1)은 기지국(ST)의 네트워크 망 외부에 위치한 제3 단말(T3)이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ST)으로 릴레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T1)은 기지국(ST)의 네트워크 망 내부에 위치한 제2 단말(T2)이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ST)으로 릴레이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을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멀티홉 방식을 통한 릴레이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5G 통신 네트워크 망이 지원되는 영역을 확대함과 동시에, 셀 내의 사용자가 많을 경우 생기는 버퍼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5G 통신방식은 차량,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적용되는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이 가능하다. 디바이스간 통신은 디바이스 간에 이루어지는 통신으로써, 디바이스가 센서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디바이스간 통신방식에 의할 경우, 기지국을 거쳐 무선 신호를 주고 받을 필요가 없고, 디바이스 간에 무선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5G 통신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바이스 내에 안테나가 내장되어야 한다.
차량(1은 디바이스간 통신을 통해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V1, V2, V3) 등과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차량(1)은 뿐만 아니라, 교차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정보 장치(미도시)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차량(1)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간 통신을 통해 제1 차량(V1), 및 제3 차량(V3)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차량(V3)은 디바이스간 통신을 통해 차량(1) 및 제2 차량(V2)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차량(1, V1, V2, V3) 간에는 가상 네트워크 망이 형성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5G 통신망은 디바이스간 통신이 지원되는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먼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응답 속도 1ms 이하의 실시간 처리와 1Gbps 이상의 고용량 통신을 지원하므로, 주행 중인 차량 간에도 원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5G 통신방식을 통해 주행 중에도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 각종 서버, 시스템 등과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이를 처리하여 증강 현실을 통해 경로안내 제공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은 전술한 주파수 대역 외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거쳐 또는 디바이스간 통신을 통해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술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부(300)는 5G 통신 방식을 채용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300)는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 무선 통신을 위한 빔 패턴(beam pattern)을 형성하고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330) 및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의 제어에 따라 빔 포밍 모듈(330)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빔 포밍 모듈(330)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신호로 변조한다.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와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특히, 무선 통신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비하여 제어 신호는 디지털 신호인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신호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수(예를 들어, 5G 통신 방식의 경우 약 28GHz)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낸다. 이를 위하여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는 통신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함으로써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어레이 안테나(3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는 부호화기(Encoder, ENC) (321), 변조기(Modulator, MOD) (322), 다중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부호화기(323), 프리코더(Pre-coder) (324), 역 고속 푸리에 변환기(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 IFFT) (325),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 P/S) (326),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삽입기(327),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328), 주파수 변환기(32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개의 제어 신호들은 부호화기(321)와 변조기(322)를 거쳐 다중 입출력 부호화기(323)로 입력된다. 다중 입출력 부호화기(323)로부터 출력된 M개의 스트림들은 프리코더(324)에 의하여 프리코딩되어, N개의 프리코딩된 신호들로 변환된다. 프리코딩된 신호들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기(325), 병렬-직렬 변환기(326), 순환 프리픽스 삽입기(327),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28)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2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329)를 통하여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대역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라디오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빔 포밍 모듈(330)로 입력된다.
빔 포밍 모듈(33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빔 패턴을 형성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5G 통신 방식은 방사형의 형태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빔 포밍을 통해 특정 영역 또는 특정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5G 통신방식은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여, 빔 포밍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밀리미터파 대역은 약 30Ghz 이상 약 300Ghz 이하의 대역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빔 포밍 모듈(330)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패턴은 무선 신호를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하는 경우, 무선 신호의 세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패턴이다. 다시 말해, 빔 패턴은 무선 신호의 전력이 집중되는 패턴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량(1)은 빔 패턴 내부에 위치한 통신 대상(외부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기지국)에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빔 패턴 내부에 위치한 통신 대상로부터 충분 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대상이 빔 패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날수록 차량(1)이 통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고, 차량(1)이 통신 대상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 역시 감소한다.
또한,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단위 안테나 소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단위 안테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배열 안테나의 빔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포밍 모듈(330)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331), 아날로그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332),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333) 및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배열 안테나(334)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포밍 모듈(330)은 전력 분배기(331)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각각의 단위 안테나(334a~334h)로 분배하고, 위상 변환기(332)와 가변 이득 증폭기(333)를 통하여 각각의 단위 안테나(334a~334h)에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열 안테나(334)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는 전파의 빔 패턴(BP)의 주 방향이 θ인 경우, 위상 변환기(332)를 통한 위상 차이(△φ)는 [수학식 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φ는 위상 차이,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θ는 빔 패턴의 주 방향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 의하면,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은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위상 차이(△φ) 및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간격(d)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배열 안테나(334)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나는 빔 패턴(BP)의 3dB 빔 폭(BW)은 [수학식 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BW는 빔 패턴의 빔 폭,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N은 배열 안테나의 개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에 의하면, 빔 패턴(BP)의 빔 폭(BW)은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간격(d) 및 단위 안테나(334a~334h)의 개수(N)에 의하여 결정된다.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과 빔 포밍 모듈(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외부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하는(establish) 경우,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과 빔 포밍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빔 패턴(BP)에 따라 무선 통신 채널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통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BP)을 형성하기 위하여 빔 포밍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빔 포밍 모듈(3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빔 패턴(BP)을 형성하기 위하여 빔 포밍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과 빔 포밍 모듈(33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신호 변환 모듈(320)과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21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210)가 직접 무선 통신부(300)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10)는 내부 통신부(220) 및 무선 통신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통신부(220)를 통하여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내부 통신부(220) 및 무선 통신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1)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100)로부터 내부 통신부(220)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210)는 해당 데이터를 외부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21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목표 장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목적 장치로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제어부(210)는 내부 통신부(220)와 무선 통신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200)를 비롯하여 차량(1)에 구비된 각종 전자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차량(1)에 구비된 각종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무선 통신 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6 및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차량이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3는 도 9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도 9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차량(1)이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하는 통신 방법(1000)을 설명한다.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할지 판단한다(1010).
차량(1)은 다양한 이유로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명령하거나 차량(1)의 동작 정보를 주변 차량(V1, V2, V3)에 전송하는 경우 등에 차량(1)는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AVN 장치(110)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운전자와 채팅을 시도하는 경우, AVN 장치(11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200)에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200)는 AVN 장치(110)의 통신 요청에 의하여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제동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동 제어 장치(150)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200)에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동 제어 장치(150)의 통신 요청에 의하여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1010의 아니오), 차량(1)은 수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01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20). 여기서 목표 차량은 차량(1)과 통신할 대상 차량을 의미하며, 1 또는 2이상의 차량이 목표 차량으로 선택될 수 있다.
목표 차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1번째로, 차량(1)은 주변 차량의 영상을 AVN 장치(110) 또는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의 디스플레이(111, 121, 122)에 표시하고, 운전자가 선택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번째로,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을 수 있다.
우선, 1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172)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 요청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 획득을 요청할 수 있다.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카메라 모듈(172a, 172b, 172c, 172c: 172)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172)은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172a),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172b), 차량(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카메라(172c) 및 차량(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카메라(172d)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170)은 제1 내지 제4 카메라(172a~172d)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72a)는 제1 차랑(V1)의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카메라(171b)는 제2 차량(V1) 및 제3 차량(V3)의 영상을 획득하고, 제3 카메라(171c)는 제3 차량(V3)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획득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170)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 정보를 AVN 장치(110) 또는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에 전송한다.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 정보를 수신한 AVN 장치(110) 또는 입출력 제어 제어 시스템(120)은 AVN 디스플레이(111),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122)에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110)는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포함하는 주변 차량 영상(400)을 AVN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할 수 있다. 주변 차량 영상(400)은 전방 영상 영역(410), 후방 영상 영역(420), 좌측 영상 영역(430) 및 우측 영상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영상 영역(410)에는 제1 차량(V1)을 나타내는 제1 차량 영상(IM1)이 표시되고, 후방 영상 영역(420)에는 제2 차량(V2)을 나타내는 제2 차량 영상(IM2)와 제3 차량(V3)을 나타내는 제3 차량 영상(IM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영상 영역(430)에는 제3 차량(V3)을 나타내는 제3 차량 영상(IM3)이 표시될 수 있다.
운전자는 AVN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된 차량 영상(IM1, IM2, IM3) 중에 목표 차량을 나타내는 차량 영상을 터치함으로써 목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AVN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된 차량 영상(IM1, IM2, IM3) 중에 목표 차량을 나타내는 차량 영상을 터치하면, AVN 장치(110)는 운전자의 터치 좌표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좌표를 기초로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우측 영상 영역(430)의 제3 차량 영상(IM3)을 터치하면 AVN 장치(110)는 목표 차량이 차량(1)의 우측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110)는 운전자의 터치 좌표를 제3 카메라(171c)의 촬영 방향에 대응시킴으로써 목표 차량이 위치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VN 장치(110)는 운전자의 터치 좌표에 대응하는 우측 영상 영역(430)의 좌표를 판단하고, 우측 영상 영역(430)의 좌표를 제3 카메라(172c)의 촬영 방향과 대응시킴으로써 목표 차량이 위치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한 AVN 장치(110)는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포함하는 주변 차량 영상(400)을 헤드업 디스플레이(122)를 통하여 윈드 스크린(17)에 표시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122)에 의하여 윈드 스크린(17)에 표시되는 주변 차량 영상(400)은 후방 영상 영역(420), 좌측 영상 영역(430) 및 우측 영상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은 윈드 스크린에 나타나므로 전방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후방 영상 영역(420)에는 제2 차량(V2)을 나타내는 제2 차량 영상(IM2)와 제3 차량(V3)을 나타내는 제3 차량 영상(IM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영상 영역(430)에는 제3 차량(V3)을 나타내는 제3 차량 영상(IM3)이 표시될 수 있다.
운전자는 윈드 스크린(17)에 표시된 차량 영상(IM1, IM2, IM3) 중에 목표 차량을 나타내는 차량 영상을 응시함으로써 목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윈드 스크린(17)을 통하여 보이는 전방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122)를 통하여 윈드 스크린(17)에 투영된 좌/우측 차량의 영상 및 후방 차량의 영상 중에 어느 하나를 응시함으로써 목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특정한 방향을 응시하면 시선 검출 장치(180)는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선 검출 장치(180)는 운전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 및 운전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운전자 머리의 방향 및 눈동자의 위치를 기초로 운전자의 시선을 판단할 수 있다.
시선 검출 장치(180)는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정보를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에 전송하고,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운전자의 시선 정보와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우측 영상 영역(430)의 제3 차량 영상(IM3)을 응시하면,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목표 차량이 차량(1)의 우측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운전자의 시선 좌표를 제3 카메라(172c)의 촬영 방향에 대응시킴으로써 목표 차량이 위치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은 카메라 모듈(172)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표시된 영상 중에 목표 차량의 영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목표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한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2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은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차량(1) 운전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표 차량을 선택받을 수 있다.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포함된 레이더 모듈(171)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 요청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주변 차랑(V1, V2, V3)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 검출을 요청할 수 있다.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 검출 요청을 수신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레이더 모듈(171a, 171b, 171c, 171d: 171) 또는 초음파 센서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더 모듈(171)은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레이더 센서(171a),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레이더 센서(171b), 차량(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레이더 센서(171c) 및 차량(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레이더 센서(171d)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171)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레이더 모듈(171)을 통하여 차량(1)의 주변으로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주변 차량(V1, V2, V3)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한다. 또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반사 전파의 수신 세기 또는 감지 전파와 수신 전파의 위상 차이(또는 시간 차이)를 기초로 차량(1)과 주변 차량(V1, V2, V3) 사이의 거리 및 주변 차량(V1, V2, V3)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1 내지 제4 레이더 센서(171a~171d)가 순차적으로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반사 전파를 수신하도록 레이더 모듈(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1 레이더 센서(171a)가 차량(1)의 전방을 향하여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전방의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도록 레이더 모듈(171)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에 제1 차량(V1)이 위치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더 센서(171a)는 제1 차량(V1)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2 레이더 센서(171b)가 차량(1)의 후방을 향하여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후방의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도록 레이더 모듈(171)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의 후방에 제2 차량(V2)이 위치하고 차량(1)의 좌측 후방에 제3 차량(V3)이 위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이더 센서(171b)는 제2 차량(V2)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전파와 제3 차량(V3)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3 레이더 센서(171c)가 차량(1)의 좌측을 향하여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좌측의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도록 레이더 모듈(171)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의 좌측 후방에 제3 차량(V3)이 위치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레이더 센서(171c)는 제3 차량(V3)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4 레이더 센서(171d)가 차량(1)의 좌측을 향하여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좌측의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도록 레이더 모듈(171)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의 우측에 차량이 위치하지 않으면 제4 레이더 센서(171d)는 반사 전파를 수신하지 못한다.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1 내지 제4 레이더 센서(171a~171d)가 수신한 반사 전파를 기초로 차량(1)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1 레이더 센서(171a)가 수신한 반사 전파를 기초로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한 제1 차량(V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레이더 센서(171b)가 수신한 제1 반사 전파를 기초로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차량(V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2 레이더 센서(171b)가 수신한 제2 반사 전파와 제3 레이더 센서(171c)가 수신한 반사 전파를 기초로 차량(1)의 좌측 후방에 위치한 제3 차랑(V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검출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운전 보조 시스템(17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목표 차량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목표 차량은 차량(1)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차량(1)에 포함된 전자 장치(100)가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통신 요청에는 목표 차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제동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동 제어 장치(150)으로부터 통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목표 차량은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이 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AVN 장치(100) 등을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과의 통신을 명령하는 경우, 차량(1)은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주변 차량(V1, V2, V3)을 표시하고,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AVN 장치(110)의 AVN 디스플레이(111)를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 영상(500)을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영상(500)은 차량(1)의 주변 위치하는 주변 차량(V1, V2, V3)위치를 나타내는 차량 아이콘(IC1, IC2, IC3)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위치 정보 영상(500)에 포함된 차량 아이콘(IC1, IC2, IC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목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AVN 장치(110)에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영상(500)을 표시하도록 AVN 디스플레이(111) 또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에 요청할 수 있다. 운전자가 위치 정보 영상(500)에 포함된 차량 아이콘(IC1, IC2, IC3) 중에 목표 차량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AVN 장치(110)는 목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를 통하여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주변 차량 영상(500)을 표시할 수 있다. 주변 차량 영상(500)은 차량(1)의 주변 위치하는 주변 차량(V1, V2, V3)에 대응하는 아이콘(IC1, IC2, IC3)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주변 차량 영상(500)에 포함된 아이콘(IC1, IC2, IC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목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1)에 주변 차량 영상(500)을 표시하도록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에 요청할 수 있다.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60)에 마련된 휠 버튼 모듈(123)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영상(500)에 포함된 아이콘(IC1, IC2, IC3) 중에 목표 차량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목표 차량을 선택하면, 입출력 제어 시스템(120)은 목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운전자의 음성, 동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 차량을 선택받을 수 있다.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102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준비한다(1030).
구체적으로,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차량(V1)이 목표 차량으로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V1)을 커버하는 제1 빔 패턴(BP1)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차량(V1)을 향하는 주 방향(θ)을 판단하고, 주 방향(θ)이 제1 차량(V1)을 향하는 제1 빔 패턴(BP1)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BP1)이 형성되면,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 중에 제1 차량(V1)과 선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차량(V2) 및 제3 차량(V3)은 차량(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다른 예로,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차량(V2)이 목표 차량으로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량(V2)을 커버하는 제2 빔 패턴(BP2)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2 차량(V2)을 향하는 주 방향(θ)을 판단하고, 주 방향(θ)이 제1 차량(V1)을 향하는 제2 빔 패턴(BP2)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빔 패턴(BP2)이 형성되면,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 중에 제2 차량(V2)과 선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차량(V1) 및 제3 차량(V3)은 차량(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또 다른 예로, 차량(1)의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제3 차량(V3)이 목표 차량으로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차량(V3)을 커버하는 제3 빔 패턴(BP3)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3 차량(V3)을 향하는 주 방향(θ)을 판단하고, 주 방향(θ)이 제3 차량(V3)을 향하는 제3 빔 패턴(BP3)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빔 패턴(BP3)이 형성되면,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 중에 제3 차량(V3)과 선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차량(V2) 및 제3 차량(V3)은 차량(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복수의 목표 차량이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량(V2)을 포함하여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들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방의 제2 차량(V2) 뿐만 아니라 제4 차량(V4)을 커버하는 제2 빔 패턴(BP2)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차량(1)의 후방을 향하는 주 방향(θ)을 판단하고, 주 방향(θ)이 차량(1)의 후방을 향하는 제2 빔 패턴(BP1)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최대 크기의 제2 빔 패턴(BP2)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333)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차랑(V2)과 제3 차량(V3)이 목표 차량으로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빔 패턴(BP2)과 제3 빔 패턴(BP3)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시간을 분할하여 주기적으로 제2 빔 패턴(BP2)의 생성과 제3 빔 패턴(BP3)의 생성을 반복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1)은 제2 차량(V2) 및 제3 차량(V3)과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목표 차량으로 정보를 전송한다(104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다양한 정보를 목표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제동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동 제어 장치(150)의 요청에 의하여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에게 차량(1)의 제동 장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이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운전 보조 시스템(170)의 요청에 따라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에게 차선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운전 보조 시스템(170)의 요청에 따라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에게 전방 차량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운행을 방해하는 주행 장애물이 발견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운전 보조 시스템(170)의 요청에 따라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에게 주행 장애물의 발견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AVN 장치(110)를 통하여 목표 차량의 운전자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AVN 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목표 차량에게 운전자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표 차량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뿐만 아니라,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와 관련된 정보,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과 관련된 정보, 운전자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차량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음향, 문자 또는 영상 등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목표 차량이 선택되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을 준비한다(1050).
구체적으로,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전방향(omnidirectional)의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차량이 선택되지 않고 모든 주변 차량(V1, V2, V3)에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 빔 패턴(BP4)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의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은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발생시키기 않을 수 있다.
전방향 빔 패턴(BP4)이 형성되면, 차량(1)은 모든 주변 차량(V1, V2, V3)과 통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1)은 모든 주변 차량(V1, V2, V3)에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으로 정보를 전송한다(106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다양한 정보를 주변 차량(V1, V2, V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엔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엔진 제어 시스템(130)의 요청에 따라 모든 주변 차량(V1, V2, V3)에 엔진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주변 차랑(V1, V2, V3)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차량(1)의 운행과 관련하여 긴급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차량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음향, 문자 또는 영상 등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은 배열 안테나의 빔 포밍 특성을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하여 지정되거나 자동으로 지정된 차량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4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25은 목표 차량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26는 도 24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목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도시하며,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차량(1)이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방법(1100)을 설명한다.
차량(1)은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인지를 판단한다(1110).
차량(1)은 다양한 이유로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명령하거나 차량(1)의 동작 정보를 목표 차량에 전송하는 경우 등에 차량(1)는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위하여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고,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 아니면(1110의 아니오), 차량(1)은 수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면(111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한다(1120).
구체적으로,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에 대한 목표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면, 목표 차량이 빔 패턴(BP)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이 빔 패턴(BP)을 벗어나면, 차량(1)과 목표 차량 사이의 통신이 단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1)는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 차량이 빔 패턴(BP)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제3 차량(V3)과 통신하기 위하여 제3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차량(V3)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면, 제3 차량(V3)은 제3 빔 패턴(BP3)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이 빔 패턴으로부터 벗어나면 차량(1)이 목표 차량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감소할 수 뿐만 아니라, 차량(1)이 목표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 역기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으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의 빔 패턴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1120의 아니오),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계속한다.
또한,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1120의 예), 차량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한다(113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를 이용하여 목표 장치의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목표 차량의 위치 검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레이더 모듈(171a, 171b, 171c, 171d: 171) 또는 초음파 센서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특히,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이전 위치를 기초로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차량은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목표 차량이 빔 패턴으로부터 이탈하더라도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는 최초 위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차량인 제3 차량(V3)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더라도 제3 차량(V3)이 현재 위치하는 제2 위치(P2)는 제1 위치(P1)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예시에 의하면,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1 위치(P1)에 대응하는 제3 레이더 센서(171c)를 이용하여 제2 위치(P2)에 위치하는 제3 차량(V3)를 검출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의 위치가 검출되면,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은 목표 차량이 선택될 당시에 외부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면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의 위치를 재검출하고,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과 목표 차량의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주변 차량(V1, V2, V3)의 영상과 목표 차량의 영상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목표 차량을 다른 주변 차량(V1, V2)으로부터 구별하고, 목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한 이후, 차량(1)은 빔 패턴(BP)을 변경한다(1140).
구체적으로,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P2)의 제3 차량(V3)이 검출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패턴이 제2 위치(P2)의 제3 차량(V3)을 커버하도록 빔 패턴의 주 방향(θ)을 결정할 수 있다.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은 제3 차량(V3)의 제2 위치(P2)를 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의 무선 통신 제어 모듈(310)는 주 방향(θ)이 제2 위치(P2)를 향하는 제5 빔 패턴(BP5)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제5 빔 패턴(BP5)이 형성되면, 차량(1)은 제3 차량(V3)과의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 차량과의 통신 중에 목표 차량이 빔 패턴을 이탈하면,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목표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새로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8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29, 도 30 및 도 31은 도 28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차량(1)이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방법(1200)을 설명한다.
차량(1)은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인지를 판단한다(1210).
차량(1)은 다양한 이유로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명령하거나 차량(1)의 동작 정보를 목표 차량에 전송하는 경우 등에 차량(1)는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위하여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고,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 아니면(1210의 아니오), 차량(1)은 수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면(121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한다(122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를 이용하여 목표 장치의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레이더 모듈(171a, 171b, 171c, 171d: 171) 또는 초음파 센서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특히,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이전 위치를 기초로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를 재검출할 수 있다.
차량은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목표 차량이 빔 패턴으로부터 이탈하더라도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는 최초 위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제3 레이더 센서(171c)를 이용하여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제3 차량(V3)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3 레이더 센서(171c)를 이용하여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한 제3 차량(V3)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제3 레이더 센서(171c)를 이용하여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로 이동한 제3 차량(V3)을 검출할 수 있다.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한 운전 보조 시스템(170)는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목표 차량의 위치를 재검출한 이후, 차량(1)은 빔 패턴(BP)을 변경한다(1230).
구체적으로,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의 새로운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차량인 제3 차량(V3)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이 제2 위치(P2)의 제3 차량(V3)을 커버하도록 빔 패턴의 주 방향(θ)을 결정하고, 주 방향(θ)이 제2 위치(P2)를 향하는 제5 빔 패턴(BP5)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차량(V3)이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로 이동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이 제3 위치(P3)의 제3 차량(V3)을 커버하도록 빔 패턴의 주 방향(θ)을 결정하고, 주 방향(θ)이 제3 위치(P3)를 향하는 제6 빔 패턴(BP6)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1240).
목표 차량과의 통신이 계속되면(1240의 아니오),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 검출 및 빔 패턴 형성을 반복한다.
또한, 목표 차량과의 통신이 종료되면(1240의 예), 차량(1)은 빔 패턴의 형성을 중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1)은 통신 중에 목표 차량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빔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은 도 32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재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차량(1)이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방법(1300)을 설명한다.
차량(1)은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인지를 판단한다(1310).
차량(1)은 다양한 이유로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명령하거나 차량(1)의 동작 정보를 목표 차량에 전송하는 경우 등에 차량(1)는 목표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위하여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목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고,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른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 아니면(1310의 아니오), 차량(1)은 수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목표 차량과 통신 중이면(1310의 예), 차량(1)은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32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과의 통신 중에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통신 품질을 평가하거나, 목표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률을 기초로 통신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200)는 평가된 통신 품질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목표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준 세기와 비교하거나, 목표 차량과의 데이터의 전송률을 기준 전송률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평가된 통신 품질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1320의 아니오),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을 계속한다.
또한,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으면(1320의 예), 차량(1)은 빔 패턴(BP)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1330).
목표 차량과의 통신 중에 목표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면, 목표 차량과의 통신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제3 차량(V3)과 통신하기 위하여 제3 빔 패턴(BP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차량(V3)과 차량(1) 사이에 통신 주행 장애물(O) (예를 들어, 다른 차량)이 위치하면, 차량(1)과 제3 차량(V3) 사이의 통신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제3 차량(V3)과 통신하기 위하여 제3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차량(V3)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면, 차량(1)과 제3 차량(V3) 사이의 통신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목표 차량이 이동하여 통신 품질이 악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처럼, 통신 품질이 악화되어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빔 패턴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3 빔 패턴(BP3)을 제1 방향(D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5 빔 패턴(BP5)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통신 품질이 향상되었는지를 판단한다(134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 이후의 통신 품질을 다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의 회전 전의 통신 품질과 빔 패턴의 회전 후의 통신 품질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의 회전 전의 통신 품질과 빔 패턴의 회전 후의 통신 품질의 비교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이 향상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면(1340의 예), 차량(1)은 차량(1)은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35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 이후 평가된 통신 품질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을 회전시킨 이후 평가된 통신 품질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1350의 아니오), 차량(1)은 빔 패턴의 회전과 통신 품질 평가를 반복한다. 또한,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크면(135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 유지를 위한 빔 패턴 변경 동작을 종료한다.
1340 과정에서 통신 품질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1340의 아니오), 차량(1)은 빔 패턴(BP)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1360).
빔 패턴(BP)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통신 품질이 향상되지 않으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BP)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단위 안테나(334a~334h)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3 빔 패턴(BP3)을 제2 방향(D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6 빔 패턴(BP6)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통신 품질이 향상되었는지를 판단한다(137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 이후의 통신 품질을 다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의 회전 전의 통신 품질과 빔 패턴의 회전 후의 통신 품질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을 회전시킨 이전의 통신 품질과 빔 패턴을 회전시킨 이후의 통신 품질의 비교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이 향상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면(1370의 예), 차량(1)은 차량(1)은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380).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 이후 평가된 통신 품질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빔 패턴을 회전시킨 이후 평가된 통신 품질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200)는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1380의 아니오), 차량(1)은 빔 패턴의 회전과 통신 품질 평가를 반복한다. 또한, 통신 품질이 기준값보다 크면(1380의 예), 차량(1)은 목표 차량과의 통신 유지를 위한 빔 패턴 변경 동작을 종료한다.
1340 과정에서 통신 품질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1370의 아니오), 차량(1)은 빔 패턴(BP)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1330).
즉,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빔 패턴의 회전과 통신 품질의 평가를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는 통신 중에 통신 품질을 평가하고, 평과 결과에 따라 빔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는 도 37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 따라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7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차량(1)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1400)을 설명한다.
우선, 차량(1)은 고정 타깃 빔 패턴을 생성할지 판단한다(1410).
여기서, 고정 타깃 빔 패턴은 고정된 위치를 향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된 통신 방법에 의하면, 차량(1)은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며, 목표 차량은 차량(1)과 함께 이동한다. 다시 말해, 앞서 설명된 통신 방법은 이동하는 목표 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빔 패턴을 형성한다.
이에 반하여, 고정 타깃 빔 패턴은 고정된 위치를 향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목표 차량을 향한 빔 패턴과 차이가 있다.
차량(1)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고정 타깃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는 주행 장애물(O)을 발견한 경우, 후방 차량에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차량(1)은 주행 장애물(O) 후방의 고정된 위치를 향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장애물(O)은 낙석, 사고 차량, 도로 보수 등 도로 상에 위치하여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의 주행 중에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차량으로부터 고정 타깃 빔 패턴의 생성 요청과 함께 고정 타깃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차량(1)은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차량의 요청에 의하여 수신된 위치를 향하는 고정 타깃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고정 타깃 빔 패턴을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1410의 아니오), 차량(1)은 수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고정 타깃 빔 패턴을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1410의 예), 차량(1)은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1420).
여기서, 절대적인 위치 정보는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좌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위도 및 경도 등의 지리적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와 고정 타깃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정 타깃의 절대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1)은 AVN 장치(110)에 포함된 GPS 모듈(115)를 이용하여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운전 보조 시스템(170)에 포함된 레이더 모듈(171)을 이용하여 고정 타깃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이 주행 중에 주행 장애물(O)을 발견하면, 주행 장애물(O)의 후방에 위치한 제1 차량(V1)에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차량(1)은 주행 장애물(O)의 후방에 고정 타깃(T)을 설정하고, 고정 타깃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타깃(T)은 주행 장애물(O)로부터 차량(1)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안전 거리(d) 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운전 보조 시스템(170)의 레이더 모듈(171)을 이용하여 주행 장애물(O)을 향하여 감지 전파를 발신하고, 주행 장애물(O)로부터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은 레이더 모듈(171)이 수신한 반사 전파를 기초로 주행 장애물(O)까지의 거리 및 주행 장애물(O)의 방향을 포함하는 주행 장애물(O)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AVN 장치(110)의 GPS 모듈(115)를 이용하여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주행 장애물(O)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와 차량(O)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한 차량(1)은 주행 장애물(O)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주행 장애물(O)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 차량(1)의 주행 방향 및 안전 거리(d)를 기초로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의 운전 보조 시스템(170)은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차량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200)가 운전 보조 시스템(170) 및 AVN 장치(11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직접 산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차량(1)은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차량으로부터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주행 장애물(O)을 먼저 발견한 선행 차량으로부터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고정 타깃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1430).
여기서,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차량(1)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고정 타깃(T)의 좌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로부터 고정 타깃(T)의 거리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 타깃(T)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타깃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앞서 획득한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와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이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였다면, 차량(1)은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 획득에 이용된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차량(1)은 고정 타깃(T)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1440).
여기서,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을 커버한다는 것은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가 생성한 빔 패턴의 전파를 고정 타깃(T)의 위치에서 수신할 때, 수신된 전파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세기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차량(1)이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고정 타깃(T)의 위치에서 선명하게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1)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타깃(T)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빔 패턴의 전파의 세기가 기준 세기 미만이 되는 기준 거리를 산출하고, 기준 거리와 고정 타깃(T)까지의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가 고정 타깃(T)까지의 거리 보다 크거나 같으면 차량(1)은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을 커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 거리가 고정 타깃(T)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면 차량(1)은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을 커버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빔 패턴의 전파의 세기가 고정 타깃(T)의 위치에서 기준 세기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가 출력하는 전파의 세기, 자유 공간에서의 전파의 감쇄율 및 고정 타깃(T)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고정 타깃(T)에서의 전파의 세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파의 세기와 기준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타깃(T)에서의 전파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크거나 같으면 차량(1)은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을 커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고정 타깃(T)에서의 전파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으면 차량(1)은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을 커버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정 타깃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1440의 예), 차량(1)은 고정 타깃(T)을 향하는 빔 패턴을 생성한다(1450).
구체적으로,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타깃(T)이 차량(1)의 후방 좌측에 위치하면, 차량(1)은 무선 통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후방 좌측을 향하는 제7 빔 패턴(BP)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00)는 고정 타깃(T)을 향하는 주 방향(θ)을 판단하고, 주 방향(θ)이 고정 타깃(T)을 향하는 제7 빔 패턴(BP7)을 생성하기 위하여 위상 변환기(332)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빔 패턴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한다(1460).
구체적으로, 차량(1)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주행 장애물(O)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빔 패턴을 형성하는 반송파를 변조할 수 있다. 주행 장애물(O)에 관한 정보는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패턴(BP) 내부로 진입한 차량은 빔 패턴에 포함된 무선 신호를 통하여 주행 경로 상의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에 의하여 형성된 제7 빔 패턴(BP7) 내부로 진입한 제1 차량(V1)은 빔 패턴에 포함된 무선 신호를 통하여 주행 경로 상에 주행 장애물(O)이 존재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다시 획득한다(1430).
고정 타깃(T)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차량(1)은 주행 중이므로 차량(1)을 기준으로 하는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는 차량(1)의 주행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타깃(T)이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1)의 주행에 따라 고정 타깃(T)과 차량(1)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며, 차량(1)을 기준으로 하는 고정 타깃(T)의 방향도 변화한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1)은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이 위치를 다시 획득한다.
차량(1)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타깃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AVN 장치(110)의 GPS 모듈(115)를 이용하여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를 재획득하고, 고정 타깃(T)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와 재획득된 차량(1)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고정 타깃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지 다시 판단한다(14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주행으로 인하여,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특히, 차량과 고정 타깃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차량(1)에 의하여 형성되는 빔 패턴의 커버리지가 변화하며, 차량(1)은 빔 패턴의 커버리지 내에 고정 타깃이 위치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
고정 타깃(T)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1440의 예), 차량(1)은 다시 빔 패턴을 생성하고(1450), 빔 패턴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한다(1460).
이처럼, 차량(1)이 지속적으로 고정 타깃(T)을 향하여 빔 패턴을 생성하고,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후행 차량들은 전방의 주행 장애물(O)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주행 장애물(O)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고정 타깃(T)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 획득(1430), 고정 타깃을 커버하는 빔 패턴의 생성 가능여부 판단(1440), 빔 패턴 생성(1450) 및 정보 전송(1460)을 반복한다.
고정 타깃을 커버하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1440의 아니오), 차량(1)은 주변 차량에 고정 타깃 빔 패턴 생성을 요청한다(1470).
차량(1)의 주행에 따라 차량(1)이 생성하는 빔 패턴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타깃(T)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차량(1)에 의하여 생성된 빔 패턴이 고정 타깃(T)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고정 타깃(T)으로의 정보 전송을 계속하기 위하여 차량(1)은 주변 차량에 고정 타깃 빔 패턴 생성을 요청하고, 고정 타깃(T)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차량(1)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제2 차량(V2)에 고정 타깃 빔 패턴의 생성을 요청하고, 고정 타깃(T)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고정 타깃 빔 패턴의 생성 요청과 고정 타깃(T)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차량(V2)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타깃(T)을 향하는 제8 빔 패턴(BP8)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량(V2)은 제8 빔 패턴(BP8)을 통하여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1)에 제2 차량(V2)이 고정 타깃(T)을 향하여 빔 패턴을 생성하고, 주행 장애물(O)의 존재 및 주행 장애물(O)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후행 차량들은 전방의 주행 장애물(O)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주행 장애물(O)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행 차량(V1)에게 주행 장애물(O)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1)은 절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고정 타깃을 향하여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 차량 100: 전자 장치
200: 무선 통신 장치 210: 통신 제어부
220: 내부 통신부 300: 무선 통신부

Claims (23)

  1. 목표 차량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검출된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선택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엔진의 이상을 검출하는 엔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엔진 이상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제어하고 상기 브레이크의 이상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브레이크 이상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하는 운전 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운전 보조부로부터 수신된 도로 상태 정보를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10. 목표 차량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레이더 모듈;
    상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는 차량.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차량.
  15. 제10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차량은 상기 검출된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선택되는 차량.
  16.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상기 목표 차량과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선택과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목표 차량을 선택받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선택과 상기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목표 차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된 주 방향을 기초로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위상 차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통신 방법.
  20. 차량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 통신부;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내부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 전송 요청 및 목표 차량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표 차량을 향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빔 패턴의 전파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
    상기 빔 포밍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빔 포밍 모듈을 통하여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빔 패턴의 형성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포밍 모듈은,
    상기 신호 변환 모듈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발신하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빔 패턴의 주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상 변환기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는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
KR1020150038475A 2015-03-19 2015-03-19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KR10203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75A KR102034722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US14/942,716 US10433310B2 (en) 2015-03-19 2015-11-16 Vehicl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in
CN201510819212.7A CN105992130B (zh) 2015-03-19 2015-11-23 车辆、车辆的通信方法、及车辆内的无线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75A KR102034722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51A true KR20160112551A (ko) 2016-09-28
KR102034722B1 KR102034722B1 (ko) 2019-10-21

Family

ID=5692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75A KR102034722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33310B2 (ko)
KR (1) KR102034722B1 (ko)
CN (1) CN105992130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0462A1 (en) * 2015-01-30 2017-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pplication-controlled geo-beamforming
KR20190139150A (ko) * 2018-06-07 2019-12-1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다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하기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010203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492975B1 (ko) * 2021-09-23 2023-01-31 (주)아울링크 장치간 직접 통신 시스템
KR20230151661A (ko) * 2022-04-26 2023-11-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빔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3422A4 (en) * 2015-03-18 2018-12-19 Nec Corporation Driving control device, driving control method,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DE102015209229A1 (de) * 2015-05-20 2016-11-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Kraftfahrzeugs
KR20170071120A (ko) * 2015-12-15 2017-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kas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lkas 제어 방법
EP3394633B1 (en) * 2015-12-21 2023-07-05 Koninklijke KPN N.V. Device in a car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neighboring device,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127812B2 (en) * 2016-08-29 2018-11-13 Allstate Insurance Company Electrical data processing system for monitoring or affecting movement of a vehicle using a traffic device
KR20190067242A (ko) 2016-11-04 2019-06-14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08020A1 (en) * 2016-12-14 2018-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mission with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383008B (zh) * 2017-01-12 2024-01-23 御眼视觉技术有限公司 基于车辆活动的导航
JP6699568B2 (ja) * 2017-01-20 2020-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DE112017007369T5 (de) * 2017-03-31 2019-12-19 Intel Corporation Dynamische strahllenkung für fahrzeugkommunikationen
CN110446645B (zh) * 2017-04-07 2022-09-20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车辆控制装置
JP7163581B2 (ja) * 2018-01-18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ージェント連携システムおよびエージェント連携方法
US20190245388A1 (en) * 2018-02-06 2019-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601488B2 (en) * 2018-02-21 2020-03-24 Qualcomm Incorporated Using image processing to assist with beamforming
JP7061475B2 (ja) * 2018-02-23 2022-04-28 日立Astemo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車両追従走行システム
CN110366092A (zh) * 2018-04-03 2019-10-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波束跟踪的方法及装置
WO2020001761A1 (en) 2018-06-27 2020-0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965234B2 (ja) * 2018-12-26 2021-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情報表示システム
US11395117B2 (en) * 2019-01-20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Vehicle emergency V2X notification based on sensor fusion
US10773643B1 (en) * 2019-07-29 2020-09-15 Waymo Llc Maintaining road safety when there is a disabled autonomous vehicle
CN110910635A (zh) * 2019-10-17 2020-03-24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10106688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적인 빔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자율 주행 차량
DE102020209871A1 (de) * 2020-08-05 2022-02-1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Sicherung eine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Fahrzeug, Steuereinrichtung, Kommunikationsanordnung und Fahrzeuganordnung
US11514726B2 (en) * 2020-09-23 2022-11-29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cameras and phased array antennas for use in electronic toll charge
CN114724272A (zh) * 2021-01-06 2022-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检测方法和车辆检测装置
US11895566B2 (en) 2021-05-12 2024-0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operating a wireless data bus in vehicle platoons
CN113260084B (zh) * 2021-05-18 2022-04-01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毫米波的车联网v2x通信链路的建立方法
DE102022119533A1 (de) 2022-08-04 2024-02-15 Cariad Se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einer mobilen Datenverbindung in einem Shuttle-Fahrzeu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5457A1 (en) * 2004-04-09 2005-10-13 Denso Corporati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19932A1 (en) * 2008-07-24 2010-01-28 Tele Atlas North America, Inc. Driver Initiated Vehicle-to-Vehicle Anonymous Warning Device
JP2010055545A (ja) * 2008-08-29 2010-03-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異常解析システム及び車両用異常解析方法
KR20100107800A (ko) * 2009-03-26 2010-10-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간 통신 시스템 및 차량간 통신 방법
KR20110071494A (ko) * 2009-12-21 2011-06-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통신 장치 및 차량 간 통신 시스템
KR20120061313A (ko) * 2010-12-03 2012-06-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적응성 빔 기반 통신시스템 및 그 멀티홉 릴레이 전송방법
KR20130050683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및 차량 이상 경보 장치
KR20140025095A (ko) * 2012-08-21 2014-03-04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통신용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140031369A (ko) * 2011-06-17 2014-03-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도로 위 차량의 차선 안내 시에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4664A1 (en) * 2000-07-21 2005-07-28 Difonzo Daniel F. Dynamically reconfigurable wireless networks (DRWiN)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networks
JP4019926B2 (ja) 2002-12-18 2007-1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装置
JP4073022B2 (ja) 2003-09-05 2008-04-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及び他車位置算出方法
KR101100688B1 (ko) 2009-08-06 2012-01-0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안테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중계기 및 셀 최적화 방법
US9165468B2 (en) * 2010-04-12 2015-10-20 Robert Bosch Gmbh Video based intelligent vehicle control system
JP5083388B2 (ja) * 2010-07-29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交通制御システムおよび交通管制システム
JP2012048645A (ja) 2010-08-30 2012-03-08 Sanyo Electric Co Ltd 車載情報通信装置、路側情報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1798052B1 (ko) * 2011-04-26 2017-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 및 이 단말을 이용한 통신 방법
KR20120123899A (ko) * 2011-05-02 2012-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EP2738751A4 (en) 2011-07-26 2015-04-15 Toyota Motor Co Ltd VEHICLE SPECIFICATION SYSTEM AND VEHICLE SPECIFICATION DEVICE
KR101839386B1 (ko) 2011-08-12 2018-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빔포밍 장치 및 방법
US9100085B2 (en) * 2011-09-21 2015-08-04 Spatial Digital Systems, Inc. High speed multi-mode fiber transmissions via orthogonal wavefronts
DE102011115223A1 (de) * 2011-09-24 2013-03-28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icherheit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20130086164A1 (en) 2011-09-30 2013-04-04 Broadcom Corporation Automobile social networking
CN102490673A (zh) * 2011-12-13 2012-06-13 中科院微电子研究所昆山分所 基于车联网的汽车主动安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5590064B2 (ja) * 2012-04-04 2014-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無線通信装置
KR20130114404A (ko) 2012-04-09 2013-10-17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20624B1 (ko) * 2012-09-03 2019-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방 영상 제공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007524B2 (en) * 2012-09-25 2015-04-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audio isolation in video processing
US9247210B2 (en) * 2012-11-09 2016-01-26 Nissan North America,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test results for components obstructed from view
JP2014164316A (ja) 2013-02-21 2014-09-08 Honda Motor Co Ltd 車載カメラ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US9153132B2 (en) * 2014-03-04 2015-10-06 Nissan North America, Inc. On-board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value is within an area of interest for extraneous warning suppress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5457A1 (en) * 2004-04-09 2005-10-13 Denso Corporati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19932A1 (en) * 2008-07-24 2010-01-28 Tele Atlas North America, Inc. Driver Initiated Vehicle-to-Vehicle Anonymous Warning Device
JP2010055545A (ja) * 2008-08-29 2010-03-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異常解析システム及び車両用異常解析方法
KR20100107800A (ko) * 2009-03-26 2010-10-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간 통신 시스템 및 차량간 통신 방법
KR20110071494A (ko) * 2009-12-21 2011-06-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통신 장치 및 차량 간 통신 시스템
KR20120061313A (ko) * 2010-12-03 2012-06-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적응성 빔 기반 통신시스템 및 그 멀티홉 릴레이 전송방법
KR20140031369A (ko) * 2011-06-17 2014-03-1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도로 위 차량의 차선 안내 시에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50683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및 차량 이상 경보 장치
KR20140025095A (ko) * 2012-08-21 2014-03-04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통신용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nya Sugiura et al.; Numerical study of steerable automotive antennas using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ntennas and Propagation Society International Symposium, 2007 IEEE; 9-15 June 2007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0462A1 (en) * 2015-01-30 2017-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pplication-controlled geo-beamforming
US10839688B2 (en) * 2015-01-30 2020-11-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pplication-controlled geo-beamforming
KR20190139150A (ko) * 2018-06-07 2019-12-1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다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하기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010203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492975B1 (ko) * 2021-09-23 2023-01-31 (주)아울링크 장치간 직접 통신 시스템
KR20230151661A (ko) * 2022-04-26 2023-11-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빔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WO2023211066A1 (ko) * 2022-04-26 2023-11-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빔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22B1 (ko) 2019-10-21
CN105992130A (zh) 2016-10-05
US20160278065A1 (en) 2016-09-22
CN105992130B (zh) 2020-12-25
US10433310B2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722B1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KR20160112552A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KR101687818B1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CN105992134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CN113169442A (zh) 搭载于车辆的天线系统
US20160275360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383076B1 (en) Vehicle-mounted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124979A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US9809229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78033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JP2005174237A (ja) 車々間通信装置
US10020567B2 (en) Antenna and vehicle having the antenna
KR20160112554A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EP4027533A1 (en) Adapt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of a beamforming base station
KR2016011256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18107490A (ja) 通信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10727572B2 (en) Antenna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827699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1726773A (zh) 车辆通信方法、车载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44731B1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7044123A (zh) 天线装置、机动车和天线装置的运行方法
CN114261398A (zh) 自动驾驶方法、车载装置、移动装置和车载电子设备
JP2009071769A (ja) 車載用地上デジタルテレビの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1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26

Effective date: 2019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