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447A -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447A
KR20160112447A KR1020150038206A KR20150038206A KR20160112447A KR 20160112447 A KR20160112447 A KR 20160112447A KR 1020150038206 A KR1020150038206 A KR 1020150038206A KR 20150038206 A KR20150038206 A KR 20150038206A KR 20160112447 A KR20160112447 A KR 2016011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e
connecto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치영
Original Assignee
(주)클린일렉스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일렉스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클린일렉스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03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447A/ko
Publication of KR2016011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38
    • B60L11/1818
    • B60L11/18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전원에 접속하는 플러그와,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커넥터에 내장되어 외부 모바일 폰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프로세스를 컨트롤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폰은 앱을 통해 외부 과금 서버와 통신하여 과금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Portabl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가정 등에서도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충전기는 도로변이나 주차장 등에 입식 설치되어 전기자동차 운행자가 필요시 충전기에 접근하여 충전 서비스를 받는다.
그러나, 입식 충전기는 개인적으로 소유하기에 비용 부담이 크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어서 사적 용도보다는 공공적 용도가 더 크다.
따라서, 최근 전기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충전기의 수요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충전기의 다양성도 요구되어 기존의 입식 충전기 이외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가의 휴대용 충전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 사용자가 가정 등을 포함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상용 전원에 접속하는 플러그와,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커넥터에 내장되어 외부 모바일 폰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프로세스를 컨트롤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폰은 앱을 통해 외부 과금 서버와 통신하여 과금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제어부에 충전 시작 및 종료의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충전 시작 버튼 및 충전 종료 버튼과, 상기 전기자동차로의 충전 전류량을 단계별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전류량 조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 조정 버튼에 의해 선정된 전류량 정보는 외부로부터의 재입력이 없으면 상기 선정된 전류량 정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는 그 내부 온도에 따라 충전 전류를 자동 제어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원 접속 플러그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유입되는 서지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보호하는 서지 대응 안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사용자가 가정 등을 포함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에 접속하는 플러그(10)와, 케이블(20)을 매개로 전기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커넥터(30)의 구성을 가진다.
여기에서, 상용 전원으로는 220 V 또는 110 V 등일 수 있다.
충전커넥터(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제어부(40)는 외부 모바일 폰(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프로세스를 컨트롤하도록 블루투스 모듈(4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커넥터(40)의 제어부(40)는 블루투스 모듈(41)을 매개로 모바일 폰(50)의 앱(App)과 연동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앱은 전력회사 등의 과금 결제 시스템(또는 서버)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충전에 따른 과금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커넥터(40)는 사용자의 모바일 폰(50)과 직접 연동하여 과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과금 현황을 체크하기 위해 외부 통신용 M2M 단말기와 같이 별도의 기기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과금 현황을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충전 커넥터(30)는 제어부(40)에 충전 시작 및 종료의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충전 시작 버튼(31) 및 충전 종료 버튼(32)을 손잡이의 측부에 구비한다.
더욱이, 충전 커넥터(30)는 전기자동차로의 충전 전류량을 단계별로 입력받아 제어부(40)에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전류량 조정 버튼(33A, 3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 전류량은 바람직하게는 5단계, 즉, 6A, 8A, 10A, 13A, 16A로 사용자의 전원 현황에 적절하게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충전 전류량을 선정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커넥터(30)의 전원 입력이 오프되더라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하기 이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회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재충전시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 전류량 정보를 재입력하는 불편함을 덜어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별 충전 전류량은 커넥터(30)의 LED 충전 표시부(34)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에는 충전 커넥터(3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충전 전류를 자동 제어하는 열감지부(42)가 연결될 수 있다.
열감지부(42)는 회로 형태로 제어부(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30)가 충전 중에 이상 전류로 인해 과도하게 열이 발생하여 화재 위험이 있기 전에 소정의 온도가 감지되는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30)는 전원 접속 플러그(10)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유입되는 서지로부터 제어부(40)를 보호하는 서지 대응 안전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지 대응 안전부(60)는 서지로부터 제어부(40)를 보호하여 안전하게 충전기가 정상으로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플러그(10)를 가정 등의 상용 전원 콘센트에 접속한 후 커넥터(30)의 단자를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에 접속한다.
다음에, 충전 시작 버튼(31)을 누르면 충전이 시작된다. 이 때, 사용자는 전류량 조정 버튼(33A, 33B)을 상하로 각각 누르면서 적정 전류량을 맞출 수 있다. 이는 상용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를 고려하여 해당 상용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기 장치와 커넥터(30)와의 전력 수요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모바일 폰(50)의 앱으로부터 충전 및 과금 정보를 제공받는다. 즉, 앱이 활성화되면 충전 시작 버튼(31)의 입력 정보가 전력 회사로 송출되고, 이 후 모바일 폰(50)은 전력 회사의 과금 서버와 연동하여 충전 시간에 따른 과금 서비스 정보가 전력 회사와 사용자 간에 교환된다.
이때, 과금 서비스 관련 정보로는 충전 전력 사용량, 해당 충전기 정보, 사용자 소요 전기자동차 정보를 비롯하여 충전 일시, 충전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앱은 공인인증서 등과 같은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충전이 종료되면 충전 종료 버튼(32)을 누름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가정의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즉, 충전 시작 및 종료의 버튼만으로 충전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시 전류량 조절로 인한 가정용 전기장치와의 전력 수급 균형을 조절하여 갑작스런 블랙 아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전기내에 외부의 서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 전류의 유입으로 충전기가 과열될 수 있는 위험성을 사전에 체크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한다.
30 : 충전 커넥터
40 : 제어부
41 : 블루투스 모듈

Claims (4)

  1. 상용 전원에 접속하는 플러그와,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커넥터에 내장되어 외부 모바일 폰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프로세스를 컨트롤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폰은 앱을 통해 외부 과금 서버와 통신하여 과금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제어부에 충전 시작 및 종료의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충전 시작 버튼 및 충전 종료 버튼과, 상기 전기자동차로의 충전 전류량을 단계별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전류량 조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 조정 버튼에 의해 선정된 전류량 정보는 외부로부터의 재입력이 없으면 상기 선정된 전류량 정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그 내부 온도에 따라 충전 전류를 자동 제어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원 접속 플러그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유입되는 서지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보호하는 서지 대응 안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KR1020150038206A 2015-03-19 2015-03-19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KR20160112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06A KR20160112447A (ko) 2015-03-19 2015-03-19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06A KR20160112447A (ko) 2015-03-19 2015-03-19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447A true KR20160112447A (ko) 2016-09-28

Family

ID=5710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06A KR20160112447A (ko) 2015-03-19 2015-03-19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4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3648A (zh) * 2017-09-29 2017-12-15 上海中兴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电动车的方法
KR20180087738A (ko) * 2017-01-25 2018-08-02 김대성 전동 운행 장치용 멀티 충전 탭 구조의 충전 어댑터
KR20190023769A (ko) *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차 충전 케이블
KR102564550B1 (ko) * 2022-09-01 2023-08-07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전기차 휴대용 기능박스 일체형 충전기 및 그 충전기의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738A (ko) * 2017-01-25 2018-08-02 김대성 전동 운행 장치용 멀티 충전 탭 구조의 충전 어댑터
KR20190023769A (ko) *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차 충전 케이블
CN107483648A (zh) * 2017-09-29 2017-12-15 上海中兴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电动车的方法
KR102564550B1 (ko) * 2022-09-01 2023-08-07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전기차 휴대용 기능박스 일체형 충전기 및 그 충전기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1694B2 (en) User authenticating electrical outlet or connector, power mediating module, and power consuming device
KR102414210B1 (ko) 차량 무선 충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71516A1 (en) Charging cable
JP5304500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20160112447A (ko)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기
CN107534312B (zh) 车辆电源系统的远程电源控制和监测
WO2011013388A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US10040371B2 (en) Charg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42515B1 (ko) 3상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1821007B1 (ko)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JP2012152036A (ja) 放電制御装置、放電制御方法、放電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00088041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170089190A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CN103795109A (zh) 一种车载充电信息反馈无线充电器
JP2012152034A (ja)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充電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220401A (ja)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CN206401939U (zh) 一种车载无线充电系统
KR101724877B1 (ko) 차량의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KR20130120227A (ko)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2016010246A (ja) 電気自動車用充放電装置、電気自動車用充放電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用充放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165713B2 (ja) 電気自動車の給電装置
CN110641314A (zh) 基于后台数据诊断的防窃电系统
TW200832857A (en)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