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209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209A
KR20160111209A KR1020150036068A KR20150036068A KR20160111209A KR 20160111209 A KR20160111209 A KR 20160111209A KR 1020150036068 A KR1020150036068 A KR 1020150036068A KR 20150036068 A KR20150036068 A KR 20150036068A KR 20160111209 A KR20160111209 A KR 2016011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fan
outdoor unit
case
discharg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344B1 (ko
Inventor
조남준
양동근
우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344B1/ko
Priority to EP16158475.0A priority patent/EP3070410B1/en
Priority to CN201610131392.4A priority patent/CN105987457B/zh
Priority to US15/070,890 priority patent/US10107507B2/en
Publication of KR2016011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며, 베리어에 의해 기계실과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열교환 공간에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과 실외 열교환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 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 일부에 형성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둘레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냉동사이클이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반면에, 냉동사이클이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케이스의 내측에 열교환을 위한 냉매가 유동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 그리고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을 포함한 다수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의 케이스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외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 그릴과 실외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그릴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실외기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실외기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입 그릴과 토출 그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을 지나 상기 토출 그릴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실외기의 경우 실외기의 전면을 통해 열교환된 더운 공기가 토출되며, 실외기가 보행자가 다니는 통로에 배치될 경우 보행자에세 더운 공기가 직접 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일본 공개특허 2009-63186호에는 상기 토출 그릴 상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풍향 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 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별도의 풍향 가이드가 구비되는 구조에서는 풍향 가이드를 장착하게 될 경우 소음이 증가되고, 냉방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09430호에는 실외기의 내부에 시로코 팬과, 흡입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전면과 후면에 흡입그릴을 형성하고 상면에 토출그릴이 형성되어 전후면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실외기에서는 토출 공기를 상방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된 뜨거운 공기가 상방으로 배출되므로 보행자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전후면으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실외기가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 병렬 배치시 공간의 배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열교환기의 형상과 배치 구조로 인하여 열교환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외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일면으로 흡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며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절감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며, 베리어에 의해 기계실과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열교환 공간에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과 실외 열교환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 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 일부에 형성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둘레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그릴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 토출 그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둘레면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토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 토출 그릴과 사이드 토출 그릴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은 상기 기계실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 토출 그릴과 사이드 토출 그릴에 각각 형성되는 그릴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그릴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팬의 회전을 위한 팬 모터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팬 모터의 장착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보는 다른 일단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리피스 부재는, 상기 열교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여 개구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송풍팬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송풍팬의 중심은 상기 열교환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토출 그릴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구획부의 둘레에서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송풍팬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 1 안내면과; 상기 안내부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안내면보다 더 작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공기의 흡입이 전면과 후면 중 일면에서 이루어지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외기의 상면 또는 상면과 인접한 측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 설치시 보행자에게 열교환된 공기가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가 병렬 배치되더라도 흡입공기의 유입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상기 실외기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기의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의 토출그릴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공기의 토출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와류에 의한 소음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에 장착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의 중심의 배치가 열교환 공간의 중앙에서 상기 토출 그릴이 배치되는 쪽에 가깝도록 편심되도록 하여 흡입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토출 그릴로 유동된 후 토출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 및 오리피스의 위치가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열교환기에서 고르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의 흡입측보다 토출측의 곡률을 보다 작게하여 흡입된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음을 한층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외기의 내부의 송풍팬과 오리피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오리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외기가 복수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실외기와 종래 기술에 의한 토출 가이드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소음과 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2-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외기(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팬(11)과, 상기 실외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 그리고, 상기 실외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12), 상기 실외기(1)의 후면과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13)는 상기 베이스 팬(11)과 탑 커버(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체적인 외관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는 상기 실외기(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에는 모터 장착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 장착부(121)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222)의 구동을 위한 팬 모터(221)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팬 모터(221)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에는 상기 송풍팬(222)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부재(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막대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23)는 상기 팬 모터(221)의 장착 위치와 인접한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팬 모터(221)의 구동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는 분리 가능한 서비스 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플레이트(124)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계실(21)의 일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성기 실외기(1)의 전면 일부와 측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서비스 플레이트(124)를 분리하여 상기 기계실(21)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1)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의 정비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가 형성하는 상기 실외기(1)의 일측면에는 사이드 오프닝(125)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오프닝(125)에는 사이드 토출 그릴(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은 상기 실외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21)이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은 상기 실외기(1)의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송풍팬(222)의 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은 상기 송풍팬(222)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실외기(1)의 측면 다소 전방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게 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222)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 커버(14)는 상기 실외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와 리어 플레이트(1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와 리어 플레이트(13)의 상단을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기 탑 커버(14)에는 탑 오프닝(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오프닝(141)에는 탑 토출 그릴(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토출 그릴(15)은 상기 실외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1)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토출 그릴(15)은 상기 탑 커버(14)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송풍팬(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탑 커버(14)의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토출 그릴(15)은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인접하는 상기 실외기(1) 상면의 측단에 구비된다. 즉,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탑 토출 그릴(15)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22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탑 토출 그릴(15)을 통해서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플레이트(13)는 상기 실외기(1)의 후면과 상기 실외기(1)의 좌우 측면일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13)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플레이트(13)의 개구된 후면에는 다수의 격자모양의 와이어 소재로 형성된 그릴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가 보호될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그릴이 없이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가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실외기(1)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의 내부 공간은 베리어(20)에 의해 열교환 공간(22)과 기계실(21)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22)에는 실외 열교환기(223)와 송풍팬(222) 등이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21)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1)와 각종 밸브, 컨트롤 박스(21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와 압축기(211)는 상기 베이스 팬(1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는 상기 베이스 팬(11)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공간(22)의 후단부 영역을 따라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는 다수의 전열핀과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냉매관으로 구성되며, 후방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는 상기 열교환 공간(22)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13)에 개구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모두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지나게 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의 내부를 지나는 냉매와의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실외기(1)의 내측에는 팬 모터(221)가 구비된다. 상기 팬 모터(221)는 상기 송풍팬(222)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모터 장착부(121)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팬 모터(221)는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에 직접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221)의 회전축에는 상기 송풍팬(222)이 결합된다. 상기 송풍팬(222)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형 팬으로,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은 플리넘(plenum) 형태의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222)은 중앙부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베이스(222a)와 쉬라우드(222b) 그리고 상기 베이스(222a)와 쉬라우드(222b)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2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2a)는 중앙부가 돌출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221)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22b)는 상기 베이스(222a)와 떨어진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222a)와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222b)는 공기의 흡입 통로가 되도록 중앙부가 개구되며, 상기 쉬라우드(222b)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2a)와 쉬라우드(222b)의 사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222c)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222c)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222)의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222)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의 사이에는 오리피스 부재(30)가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는 흡입되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의 전체면을 거쳐서 상기 송풍팬(22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 공간(22)의 내측에 장착된다.
도 4는 상기 실외기의 내부의 송풍팬과 오리피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오리피스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6-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와 상기 송풍팬(222)의 사이에서 상기 열교환 공간(22)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 및 탑 토출 그릴(1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부재(30)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열교환 공간(22)을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과 토출되는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통과하는 공기는 모두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222)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222)을 통해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 및 탑 토출 그릴(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는 사각형 형상의 구획부(32)와 상기 구획부(32)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31) 그리고 상기 유입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안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32)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상기 오리피스 부재(30)의 전체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32)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결합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1)는 상기 실외기(1)의 케이스 내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오리피스 부재(30)가 상기 실외기(1)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32)의 중앙에는 유입구(31)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2)는 상기 구획부(32)의 외측에서 상기 유입구(31)를 향하여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외기(1)의 둘레 부분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유입구(31)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입구(31)는 상기 구획부(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는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구획부(32)의 중앙에 위치되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 측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유입구(31)의 외측단과 상기 기계실(21)에 인접하는 상기 구획부(32)의 외측단 까지의 거리(D1) 보다는 상기 외측단과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인접하는 상기 구획부(32)의 외측단 까지의 거리(D2)가 더 짧게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222)의 쉬라우드(222b)에 형성되는 개구보다 그 직경이 다소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부재(30)의 장착시 상기 유입구(31)는 상기 쉬라우드(222b)의 개구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31)에서 연장되는 상기 안내부(33)는 상기 쉬라우드(222b)의 개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31)를 통과하여 상기 안내부(33)에 의해 상기 송풍팬(222)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온전히 상기 송풍팬(222)의 내측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33)는 내측과 외측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상기 안내부(33) 내측면의 제 1 안내면(332)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2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상기 안내부(33) 외측면의 제 2 안내면(331)은 상기 제 1 안내면(332)보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31)를 통해 흡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222)을 통해 토출될 때 사기 제 2 안내면(331)의 완만한 경사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 및 탑 토출 그릴(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 부재(30)의 상기 유입구(31)의 중심과 상기 송풍팬(222)의 중심 및 상기 팬 모터(221)의 회전축의 위치는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 공간(22)의 중심부에서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 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오리피스 부재(30)를 지나 상기 송풍팬(222)에 의해 토출될 때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탑 토출 그릴(15)을 통해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반대되는 위치의 공간을 확보하여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고,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공기 유동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외기(1)의 동작에 따라 상기 팬 모터(221)가 구동되어 상기 송풍팬(22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222)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상기 실외기(1)의 후방에서 상기 실외기(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23)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열교환된 공기는 모두 상기 오리피스 부재(30)의 구획부(32)를 통해 중앙으로 안내되고, 중앙의 유입구(31)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22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22)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222)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222)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팬(22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외기(1)의 측방과 상방의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탑 토출 그릴(15)을 통과하면서 상기 실외기(1)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팬(22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을 형성하는 다수의 그릴(161)은 상기 실외기의 외측을 향할 수록 상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22)의 회전시 토출되는 공기는 유동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그릴(161)의 경사진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실외기(1)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토출 그릴(15)을 형성하는 다수의 그릴(151)은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과 인접하는 방향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더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22)의 유동시 토출되는 공기는 유동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그릴(151)의 경사진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실외기(1)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탑 토출 그릴(15)과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실외기(1) 둘레의 일측 모서리에 걸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2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탑 토출 그릴(15)과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16)을 통해서 측방과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실외기가 복수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외기(1)는 실외의 공간에 설치될 때 복수개가 병렬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기(1)는 배치 방향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중 일면으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실외기(1)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최소의 간격을 제외하고는 서로 인접하게 병렬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탑 커버(14)의 탑 토출 그릴(15)을 통해서 상방으로 토출되며, 상기 실외기(1) 측면의 사이드 토출 그릴(16)을 통해서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외기(1)는 설치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1)의 설치 공간을 최소로 하고, 다양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병렬 연결시에도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기의 흡입과 열교환 된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실외기와 종래 기술에 의한 토출 가이드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소음과 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구와 마주보는 실외기의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토출 공기의 유동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구비되는 구조의 종래 실외기 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실외기(1)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반대로 동일 풍량에서 소음의 크기는 종래의 상기 에어 가이드가 구비되는 구조보다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1)는 풍량의 증가를 통한 열교환 효율의 향상과 함께, 원활한 공기 유동에 의한 소음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며, 베리어에 의해 기계실과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열교환 공간에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과 실외 열교환기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 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 일부에 형성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둘레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그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 토출 그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둘레면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토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토출 그릴과 사이드 토출 그릴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토출 그릴은 상기 기계실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토출 그릴과 사이드 토출 그릴에 각각 형성되는 그릴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그릴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회전을 위한 팬 모터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팬 모터의 장착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보는 다른 일단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부재는,
    상기 열교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여 개구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송풍팬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송풍팬의 중심은 상기 열교환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토출 그릴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구획부의 둘레에서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송풍팬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 1 안내면과;
    상기 안내부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안내면보다 더 작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50036068A 2015-03-16 2015-03-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71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68A KR101717344B1 (ko) 2015-03-16 2015-03-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16158475.0A EP3070410B1 (en) 2015-03-16 2016-03-03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1610131392.4A CN105987457B (zh) 2015-03-16 2016-03-09 空气调节器的室外机
US15/070,890 US10107507B2 (en) 2015-03-16 2016-03-15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68A KR101717344B1 (ko) 2015-03-16 2015-03-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209A true KR20160111209A (ko) 2016-09-26
KR101717344B1 KR101717344B1 (ko) 2017-03-27

Family

ID=5545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068A KR101717344B1 (ko) 2015-03-16 2015-03-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07507B2 (ko)
EP (1) EP3070410B1 (ko)
KR (1) KR101717344B1 (ko)
CN (1) CN105987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2371B (zh) * 2016-09-30 2022-08-02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壳体组件及壳体组件的装配方法
NL2018716B1 (en) * 2017-01-31 2018-08-16 Adg Dynamics B V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IT201700028737A1 (it) * 2017-03-15 2018-09-15 Innova S R L Unità di scambio termico per pompe di calore o condizionatori d’aria
US10684054B2 (en) * 2017-05-22 2020-06-16 Trane International Inc. Tension support system for motorized fan
CN107327968A (zh) * 2017-06-29 2017-11-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调室外机
KR101997426B1 (ko) * 2019-04-29 2019-07-05 (주) 유진정공 철도 차량용 리턴덕트 그릴
IT201900008316A1 (it) * 2019-06-07 2020-12-07 Fintek S R L Unita’ di condensazione per climatizzatori
JP2023022943A (ja) * 2021-08-04 2023-02-16 アリード株式会社 エアコン室外機の排熱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66A (ko) * 2000-04-29 2001-11-26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08781B1 (ko) * 1999-08-09 2003-12-0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송풍유닛의 팬 가드 및 공기조화장치
KR100838861B1 (ko) * 2006-12-29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8138896A (ja) * 2006-11-30 2008-06-1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419A (en) * 1986-08-07 1988-02-09 American Standard Inc. Outdoor heat exchanger section
JP3087876B2 (ja) * 1993-09-20 2000-09-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209601B1 (ko) 1997-07-09 1999-07-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2357335A (ja) * 2001-05-31 2002-12-1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US8267156B2 (en) * 2005-12-30 2012-09-18 Carrier Corporation Streamlined orifice of outdoor unit
CN101086349A (zh) * 2006-06-07 2007-12-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室外机
KR100772236B1 (ko) * 2006-11-16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9063186A (ja) 2007-09-05 2009-03-26 Sanyo Electric Co Ltd 風向ガイド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492747B2 (ja) * 2008-01-08 2010-06-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風向調整ユニットならびに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CN202734092U (zh) * 2012-07-16 2013-02-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高效散热空调室外机
KR20140141775A (ko) * 2013-05-30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781B1 (ko) * 1999-08-09 2003-12-0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송풍유닛의 팬 가드 및 공기조화장치
KR20010104466A (ko) * 2000-04-29 2001-11-26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08138896A (ja) * 2006-11-30 2008-06-1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838861B1 (ko) * 2006-12-29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7457B (zh) 2018-11-27
CN105987457A (zh) 2016-10-05
US10107507B2 (en) 2018-10-23
US20160273788A1 (en) 2016-09-22
EP3070410B1 (en) 2019-10-30
KR101717344B1 (ko) 2017-03-27
EP3070410A1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927440B1 (ko) 공기 조화기
WO201506012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6142431A (ja) 空気調和機
JP595973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KR2008005159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782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139669B2 (ja) 空気調和機
JP2017053588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室内機
KR20190073342A (ko)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JP670469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06035927A1 (ja) 空気調和機の壁掛け型室内ユニット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JP2016173204A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1007601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WO2020157824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025682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102058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399156B2 (ja) 空気調和機
KR10033508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KR1006114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8025357A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230087064A (ko)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