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175A -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175A
KR20160111175A KR1020150035987A KR20150035987A KR20160111175A KR 20160111175 A KR20160111175 A KR 20160111175A KR 1020150035987 A KR1020150035987 A KR 1020150035987A KR 20150035987 A KR20150035987 A KR 20150035987A KR 20160111175 A KR20160111175 A KR 2016011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exposure
expose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균
이종호
박동민
황광일
류원
정일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175A/ko
Priority to US15/070,595 priority patent/US10672023B2/en
Publication of KR2016011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ADVERTISING EFFECTIVE ANALYSIS APPARATUS AND ADVERTISING EFFECTIVE ANALYSIS METHOD}
아래의 설명은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 TV는 기존의 TV라는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주로 PC에서 가능했던 인터넷 기반의 콘텐츠를 수용함에 따라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스마트 TV는 인터넷 기반의 콘텐츠가 수용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동일한 콘텐츠의 광고와 차별화된 다양한 광고들을 노출한다. 이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능동적인 콘텐츠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광고주의 마케팅으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광고주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다양한 광고 중에서 자사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및 만족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자 한다.
현재의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시청률을 측정하는 방법과 유사하여 주로 피플 미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광고의 효과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통신망이 결합된 TV 환경에서 리턴 패스(Return path) 데이터를 활용하여 광고 효과측정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측정을 위한 지표로는 단순한 노출의 회수를 의미하는 노출 수, 리모컨의 입력 회수를 측정하는 Hit, 클릭의 회수를 측정하는 CTR(Click Through Ratio) 등이 독립적인 지표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TV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무 판단과 시청 시간의 측정, 그리고 사용자의 시선이 얼마나 광고에 머무르고 있는지를 측정하여 광고 효과측정에 활용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은 노출된 광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패턴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뿐, 실제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나타내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고 시청 이력에 따른 광고의 노출 크기, 노출 시간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가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 및 상기 광고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기초로 상기 사운드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에 따라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가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광고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여 광고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 및 상기 광고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기초로 상기 사운드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에 따라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광고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여 광고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며, 상기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광고 시청 이력을 분석하여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를 토대로 객관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고 시청 이력에 따른 광고의 노출 크기, 노출 시간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형태 및 재생 과정 등에 따른 광고에 대한 종합적인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에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의 노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결과에 따라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를 설명하기에 앞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련의 광고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관리자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에 대한 등록 절차는 일정한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가 원하는 광고에 대한 노출 횟수, 노출 기간, 노출 횟수 등의 내용을 표시하는 청약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 관리자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입력하는 청약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관리자와 광고주/광고대행사 간에 체결된 청약 정보의 일부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출된 광고에 대한 효과를 추산하기 위한 정보로 일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체결된 광고의 내용, 광고의 타깃, 광고의 주기/회수, 제작한 광고의 콘텐츠 등의 청약 정보의 일부를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출된 광고의 빈도, 시간, 간격 등에 기초하여 노출된 광고에 대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광고를 노출함에 있어, 노출된 광고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광고의 효과를 측정함에 있어, 각 지표별 중요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광고에 대한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 단말로(101)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1)은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은 모바일, 태블릿, 데스트 탑, 스마트 TV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app) 형태에 따른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이 가능한 외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노출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은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표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따라 추후 변경 및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하였을 때, 광고가 어떤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이 되었고,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광고의 노출 상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의 노출 상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광고 영역의 크기에 대한 노출 크기 및 설정된 노출 크기에서 광고가 재생된 노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광고는 정지 화면 형태의 광고 및 동영상 형태의 광고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광고의 노출 크기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즉, 광고는 광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노출 크기에 따라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는 크게 2가지 방법에 의해 광고의 노출 크기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크기 및 제2 크기가 전환되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크기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기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비율에 따라 재 조정된 크기일 수 있다. 즉, 광고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시청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비율에 따라 시선이 집중될 수 있는 제1 크기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광고는 사용자의 관심도에 따라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크기가 전환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기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도록 확장된 크기일 수 있다. 즉, 광고는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크게 보기를 원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광고는 제1 크기 및 제2 크기로 조절 가능하며 단계적으로 2단계에 거쳐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는 사용자 단말(101)에서 내부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광고의 크기가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다.
최근에는 영상 표현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노출되는 콘텐츠에 대한 제어 기술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의 선택 및 제어에 따른 스마트 터치, 스마트 센서, 스마트 소리 인식 등 다양한 콘텐츠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광고는 사용자의 관심에 의하여 선택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광고를 시청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결국, 광고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 터치, 스마트 센서, 스마트 소리 인식 등의 콘텐츠 기능을 통해 다양하게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반응은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을 통해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정도 또는 몰입도 등의 사용자의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사용자 단말(101)과 연동이 가능한 주변 기기(104)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른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는 광고 시청 이력에 따른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각 지표에 대응하여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고, 적용된 각 지표의 가중치 및 광고 청약에 따른 광고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가중치는 광고의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각 지표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설정하는 값으로써,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로부터 광고 청약 시, 입력 받은 정보 또는 장치 운영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한 값일 수 있다.
결국,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정보 전달력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하여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분석한 효과를 통해 광고의 정보 전달력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또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대상 타겟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는 해당 광고에 대하여 본인들이 원하는 기준에 따라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광고에 대한 프로파일을 설정함으로써, 방적인 정보 전달이 아닌 사용자와의 간접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광고에 의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장치에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201)는 광고의 노출 상태에 따른 i) 광고의 노출 크기, ii)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 및 iii)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각 지표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201)는 각 지표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201)는 수신부(202), 프로세서부(203) 및 송신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02)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광고 시청 이력은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노출된 광고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 시청 이력은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광고가 재생된 시간, 광고가 종료된 시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02)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출된 각 광고에 대응하여 별도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부(202)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A, 광고B에 대응하여 광고A에 대응하는 광고 시청 이력 및 광고 B에 대응하는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02)는 광고가 노출된 시간 이후에 각 광고에 따른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02)는 사용자가 광고에 설정된 강제 노출시간 이후에 광고를 임의로 중단하거나 혹은 광고가 끝까지 재생되는 경우에도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A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이전에 강제적으로 노출이 가능한 광고로써, 5초 재생된 이후, 종료가 가능한 광고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02)는 광고A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5초 이전에 재생이 중지되거나 또는 5초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광고가 재생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02)는 광고의 재생과 관련하여 광고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광고 시청 이력에 더 포함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광고를 재생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동작으로써, 사용자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일 수 있다.
프로세서부(203)는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부(203)는 광고의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203)는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부(203)는 광고의 상태에 따른 광고의 노출 크기, 광고의 노출 시간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각 지표를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203)는 수신부(202)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 및 분석된 광고의 효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이력 및 광고의 효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유는 광고 시청 이력에 따라 저장된 계산된 광고의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특정 조건(예를 들어, 가구/광고/광고주 등)에 맞게 통계하여 광고주 혹은 플랫폼 운영자에게 제공하기 위함 일 수 있다.
각 지표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자세한 구성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구체화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시청 이력은 각각의 광고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노출된 광고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시청 이력은 광고를 식별하는 식별자(AD Content ID),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Smart TV ID), 광고가 재생되는 시간(AD Start Time)과 종료되는 시간(AD End Time), 광고가 선택되어 광고 영역이 확대된 시간(AD Select Time) 및 사용자가 주변 기기를 통해 입력한 입력 정보(UserEven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정보는 주변 기기의 버튼을 누른 회수(User Event)와 각 회수당 발생한 값(Event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정보는 광고가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리모컨(주변기기)을 통해 입력 받은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광고가 재생되는 도중에, 리모컨을 이용하여 볼륨을 증가 혹은 감소하거나, 채널을 증가 혹은 감소하는 행위와 각각의 입력 시 발생하는 값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 정보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AD Select Time은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광고가 재생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에 대한 목록을 통하여 1차적으로 썸네일, 이미지 등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목록에 있는 광고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2차적으로 해당 광고에 대한 동영상, URL 링크 등의 세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에 있어, 사용자의 임의대로 광고를 선택할 수 있고, AD Select Time은 1초 또는 10초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AD Select Time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했다는 것은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함에 따라 광고를 재생하는 시간에 따른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해당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광고의 노출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의 노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에 따른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는 영역으로써,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광고 영역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광고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이한 광고 영역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크기가 1024X768pixel인 사용자 단말에서 400X300 pixel에 해당하는 광고 영역을 통해 광고가 제공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750X550 pixel로 확대된 광고 영역을 통해 광고가 제공된다는 가정하에 광고의 노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로부터 광고 청약을 할 때, 노출하고자 하는 광고의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의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비례하여 광고가 노출되는 화면의 광고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또는 오랜 시간 동안 재생될수록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에 노출되는 정도가 커진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례 관계는 해당 광고에 대한 효과에도 동일한 조건에 해당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의 노출 시간 및 노출 시간을 고려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광고의 노출 정도는 수학식 1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고하면, 광고의 노출 정도는 광고의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을 기반으로 유추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의 노출 정도는 '400X300 pixel의 광고 영역 및 상기 광고 영역에서 재생된 광고의 노출 시간'과 '750X550 pixel의 광고 영역 및 상기 광고 영역에서 재생된 광고의 노출 시간'을 '1024X768pixel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 및 광고의 전체 재생 시간'으로 분석함에 따라 실제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결국,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 영역과 확대된 광고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재생된 광고의 노출 시간을 고려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보다 세분화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세부화된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보다 객관적인 광고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따른 예시로써, 광고의 전체 재생 시간은 20초이고, 400X300 pixel의 광고 영역으로 12초, 750X550 pixel의 광고 영역으로 7초 재생이 되었을 경우, 광고의 노출 정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광고의 전체 재생 시간 및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크기)에 대한 정보는 광고와 관련된 프로파일을 통해 획득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400X300 pixel의 광고 영역의 노출 시간은 광고 시청 이력으로부터 AD Select Time - AD Start Time 값으로, 750X550 pixel의 광고 영역의 노출 시간은 AD End Time - AD Select Time 값으로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광고가 2가지 크기(400X300 pixel, 750X550 pixel)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아래와 같이 계산을 하였으며, 사용자 단말의 UI를 다르게 구성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노출 크기 및 시간을 고려한 노출 정도를 유추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2는 광고의 노출 정도에 대한 값을 계산하는 예시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광고의 노출 정도에 대한 의미는 광고가 노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화면 전체의 크기로 재생이 되었을 경우가 '1'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2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에 대한 의미는 해당 광고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얼마나 전달이 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타 광고와의 비교를 통하여 얼마나 사용자에게 노출이 되었나를 비교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의 노출 상태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보 이외에도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의 주목적으로써,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직접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정보에 따른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주변 기기로써, 리모콘을 통한 입력을 대상으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리모콘은 사용자 단말을 위한 사용자 단말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리모컨 조작에 대한 이력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용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재생되는 광고에 대응하여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등의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볼륨을 증가시키는 경우, 해당 광고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반면, 볼륨을 감소시키는 경우, 효과 분석 장치는 해당 광고가 사용자에게 크게 관심이 없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사용자의 반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측정 예시로써, 사용자 단말의 초기 사운드 값을 기반으로 볼륨 변화를 통하여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입력 받기 전에 설정된 초기 사운드 값(Von)을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초기 사운드 값(Von)은 기 설정된 사운드의 범위에 따라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할 때에 느끼는 볼륨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볼륨의 변화량에 대한 차별화된 값을 부여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의 초기 사운드 값은 0 ≤ Von ≤ 10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소 낮게 사운드가 설정되어 있는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0 ≤ Von ≤ 10으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볼륨에 대해 민감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볼륨 증가에 대하여 '1'이 증가할 때마다 '1'의 값을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운드가 낮게 설정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보다 직접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비례하여 가중치를 증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의 초기 사운드 값은 10 < Von ≤ 15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정상적인 볼륨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10 < Von ≤ 15으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볼륨에 대해 예민하지는 않으나, 볼륨을 크게 듣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볼륨 증가에 대하여 '2'이 증가할 때마다 '1'의 값을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보통 수준을 유지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소리에 반응하지 않도록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의 초기 사운드 값은 15 < Von ≤ 25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소 높게 사운드가 설정되어 있는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15 < Von ≤ 25으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볼륨에 대해 둔감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볼륨 증가에 대하여 '3'이 증가할 때마다 '1'의 값을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소리에 둔감함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보다 간접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비례하여 가중치를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값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가 발생할 경우에 대응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Von의 설정 범위는 스마트TV 단말에 따라 다르게 설정이 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TV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3가지 경우로 설정된 범위에 따라 광고의 효과를 측정한 지표는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일례로, 10 < Von ≤ 15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가 광고를 보는 도중에 입력한 입력 정보에 대하여 볼륨을 각각 +3, +1 두 번 증가를 시키는 경우, 볼륨의 변화로 인한 사용자의 반응은 수학식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을 참고하면, 계산된 광고의 효과에 대한 각각의 지표들은 지표가 가지는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반영하여 아래와 같이 광고 효과측정 결과에 대한 점수를 통하여 전반적인 광고의 효과에 대한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광고의 효과(
Figure pat00005
)는 광고(i)에 대한 사용자(a)의 각 지표(Index)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의 효과는 광고(i)에 대한 사용자(a)의 광고의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을 나타내는 각 지표(Index)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결국, 광고의 효과는 광고의 노출 상태와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100단위 점수로 환산하면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또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앞서 상술한 지표 이외에 지표를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가 광고마다 설정된 강제 노출 시간이 지난 이후에 사용자가 바로 광고를 중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술된 광고 노출의 정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중단을 하더라도 일정 시간 재생이 되었다고 판단이 되고, 재생된 시간만큼 지표에 대한 값이 계산될 수 있다.
이 때,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에게 노출이 되었지만 실제로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간주가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강제 노출 시간 이후에 특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0≤ t <2 )에 사용자로부터 광고 중단에 대한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이는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광고 효과측정의 결과를 원하는 광고주 혹은 플랫폼 운영자에게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결과에 따라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고,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노출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에서 제공한 광고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에 따른 각 지표별 중요도를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에 해당 광고를 노출함에 있어, 광고의 노출 상태 또는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각 지표에 따른 중요도를 기반으로 해당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계산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광고의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 또는 부정적인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의 광고가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었는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는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를 추천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깃 광고에 대한 적중률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701)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에 의한 광고 시청 이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가 시청한 각각의 광고에 대한 광고 시청 이력을 실시간으로 광고 효과 분석 장치(102)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청 이력은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광고가 재생된 시간, 광고가 종료된 시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광고의 노출 상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 및 상기 광고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재생되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기초로 상기 사운드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705)에서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결과에 따라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사용자 단말
102: 광고 효과 분석 장치
103: 사용자
104: 리모콘

Claims (20)

  1. 광고 효과 분석 장치가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 및 상기 광고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기초로 상기 사운드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에 따라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8. 광고 효과 분석 장치가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광고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여 광고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노출된 광고가 선택되면, 상기 광고가 노출된 화면의 광고 영역을 조절하여 광고의 노출 크기를 확대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크기 및 상기 광고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노출 크기 및 노출 시간에 따른 광고의 노출 정도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기초로 상기 사운드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에 따라 노출된 광고에 대한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5.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는 수신부;
    상기 수집한 광고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의 노출 상태 및 노출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분석된 광고의 효과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18.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장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사용자의 광고 시청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광고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여 광고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며, 상기 노출 상태 및 사용자의 반응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광고의 노출 크기 및 광고의 노출 크기에 따른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상태를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노출 상태에 따라 재생되는 광고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판단하는 광고 효과 분석 장치.
KR1020150035987A 2015-03-16 2015-03-16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KR20160111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87A KR20160111175A (ko) 2015-03-16 2015-03-16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US15/070,595 US10672023B2 (en) 2015-03-16 2016-03-15 Apparatus for analyzing advertisement effect and method of analyzing advertisement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87A KR20160111175A (ko) 2015-03-16 2015-03-16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175A true KR20160111175A (ko) 2016-09-26

Family

ID=5692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987A KR20160111175A (ko) 2015-03-16 2015-03-16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72023B2 (ko)
KR (1) KR20160111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431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유어비즈 반응형 고객 분류에 표적 추출과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1035B (zh) * 2020-04-30 2024-04-09 有米科技股份有限公司 活跃广告的活跃度预估方法及装置
US11477520B2 (en) * 2021-02-11 2022-10-18 Roku, In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volume-level detection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2160A1 (fr) 2000-04-26 2001-11-01 Voltage Inc. Procede de determination/optimisation de la distribution de publicites
JP4898570B2 (ja) 2007-06-18 2012-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広告装置及び広告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90078396A (ko) 2008-01-15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80876A1 (en) 2009-04-30 2010-11-04 Microsoft Corporation Implicit rating of advertisements
KR20110013967A (ko) 2009-08-04 2011-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및 광고정보 분석장치
US20110035274A1 (en) * 2009-08-04 2011-02-10 Google Inc. Determining Impressions for Mobile Devices
KR101418393B1 (ko) 2010-10-25 2014-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사용자 상황 기반 지능형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2123727A (ja) 2010-12-10 2012-06-28 Hitachi Solutions Ltd 広告効果測定サーバ、広告効果測定装置、プログラム、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
KR20120075612A (ko) 2010-12-17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타겟팅 및 효과분석을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368107B2 (en) 2011-04-20 2016-06-14 Nuance Communications, Inc. Permitting automated speech command discovery via manual event to command mapping
EP2788943A4 (en) 2011-12-07 2015-04-08 Affectiva Inc AFFECT-BASED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DVERTISING
US20150170210A1 (en) * 2012-06-11 2015-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system comprising same, and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thereof
KR101751708B1 (ko) 2012-08-17 201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8010A (ko) 2012-12-13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고 효과 측정 장치 및 방법
US8992951B2 (en) 2013-01-09 2015-03-31 Sapna Life Sciences Corporation Formulations, procedures, methods and combinations thereof for reducing 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r the risk of development, of neuropathology as a result of trauma
KR20140123640A (ko) 2013-04-12 2014-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753648B2 (ja) * 2015-01-20 2020-09-09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広告装置および配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431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유어비즈 반응형 고객 분류에 표적 추출과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5544A1 (en) 2016-09-22
US10672023B2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344B2 (en) Determining relative effectiveness of media content items
US78997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dimensional feedback
US20100185674A1 (en) Advertisement in Operating System
US201302621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dict audience composition and/or solicit audience members
US201503315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level of user engagement within an electronic document
US11068920B2 (en) Methods, platforms and systems for paying persons for use of their personal intelligence profile data
KR20160111175A (ko) 광고 효과 분석 장치 및 광고 효과 분석 방법
JP2016192073A (ja) 顧客満足度値計算装置、顧客満足度値計算方法および顧客満足度値計算プログラム
CN107993078B (zh) 用于评价信息展示效果方法和装置以及计算设备
US9584859B2 (en) Testing effectiveness of TV commercials to account for second screen distractions
KR101654847B1 (ko) 앱 통계정보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84316B1 (ko) 광고효율성의 식별력에 따른 광고 선택이 가능한 광고 대행 시스템
CN111182333B (zh) 数据处理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20020067759A (ko) 설문조사를 통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방법
KR20140096410A (ko) 다중 기간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1280117B1 (ko)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상호 작용에 기반한 광고 비용 산정 방법 및 시스템
JP6697973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CN113902589A (zh) 目标服务策略的测试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KR20150083945A (ko) 사용자 단말기 광고 제공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00045389A (ko) 라이브 터치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보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01479B1 (ko) 광고성 어플리케이션 탐지 프로그램,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JP20162068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4719A (ko) 광고노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867A (ko) 사용자의 응답을 이용한 정보수집 방법, 단말 및 서버
JP2015535963A (ja) ユーザに提示するコンテンツセットを提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