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792A -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792A
KR20160109792A KR1020150034857A KR20150034857A KR20160109792A KR 20160109792 A KR20160109792 A KR 20160109792A KR 1020150034857 A KR1020150034857 A KR 1020150034857A KR 20150034857 A KR20150034857 A KR 20150034857A KR 20160109792 A KR20160109792 A KR 2016010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mode
front wheel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춘
전남진
최창원
손영호
박주은
Original Assignee
( 주 ) 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주 ) 화신 filed Critical ( 주 ) 화신
Priority to KR102015003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792A/ko
Publication of KR2016010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접속되어 후륜을 구동하는 후륜축; 상기 입력축을 후륜축과 전륜축에 접속하는 중간축; 상기 입력축과 접속되어 전륜을 구동하는 전륜축;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일측에 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후륜 구동변환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륜축의 일측에 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전륜 구동변환부가 마련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엔진 동력전달 모드를 변환할 수 있게 되고, 차량의 원가절감과 성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 TRANSFER APPARATUS FOR 4 WHEEL DRIVE VEHICLES }
본 발명은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입력축의 엔진동력을 중간축 및 후륜 구동변환부, 전륜 구동변환부를 통해 후륜축과 전륜축으로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의 경우 후륜 또는 전륜만을 구동시키는 4×2 모드와 후륜과 전륜을 동시 구동시키는 4×4 모드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며, 주행 모드 전환을 위한 트랜스퍼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중간변속기의 변속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중간변속기의 변속기구는 군용차량의 4륜구동에 장착되는 중간변속기 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변속을 위한 포크를 고정시켜 주는 제1,2레일; 상기 제1,2레일에 동시에 연결되어 이들이 연동되도록 설치된 변속링크; 상기 변속링크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된 로드;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작동시키는 변속레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중간변속기의 변속기는 2개의 변속레버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변속레버를 1개로 줄임으로써 조작되는 링크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이에 따라 정비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며, 조립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부품 수의 감소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차량의 운전석 조작레버 갯수의 감소로 운전석의 거주성이 증대되고, 운전의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으며, 레버 오조작에 의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전륜구동이 가능한 4륜구동 변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4륜구동 변속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 입력축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는 감속부; 상기 출력축을 통해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륜차축 및/또는 후륜차축으로 분배하는 구동 절환부;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전륜차축 및/또는 후륜차축으로 절환하도록 상기 구동 절환부를 동작시키는 절환 동작부; 상기 구동 절환부를 통해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때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륜 출력축을 통해 상기 전륜차축으로 전달하는 전륜 출력부; 및 상기 구동 절환부를 통해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때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후륜 출력축을 통해 상기 후륜차축으로 전달하는 후륜 출력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4륜구동 변속장치는 구동 절환부를 통해 차량의 주행 여건에 따라 주행모드를 후륜구동, 전륜구동 또는 4륜 구동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7657호 (2007년 01월 16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0111호 (2014년 06월 25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비롯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소요부품수가 많아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제조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작동이 불안정하여 고장의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의 운행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성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엔진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접속되어 후륜을 구동하는 후륜축; 상기 입력축을 후륜축과 전륜축에 접속하는 중간축; 상기 입력축과 접속되어 전륜을 구동하는 전륜축;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일측에 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후륜 구동변환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륜축의 일측에 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전륜 구동변환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상기 후륜 구동변환부가 중간축의 고단기어 또는 저단기어에 접속되는 아이들/고단기어와 저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구동변환부가 아이들기어와 전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후륜 구동변환부의 아이들/고단기어가 후륜축에 접속되는 고단 모드; 후륜 구동변환부의 저단기어가 후륜축에 접속되는 저단 모드로 작동되고, 상기 고단 모드 또는 저단 모드가 전륜축이 입력축에 접속되는 않는 고단 4×2 모드 또는 저단 4×2 모드; 중간축을 통해 전륜축이 입력축과 접속되는 고단 4×4 모드 또는 저단 4×4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상기 고단 4×2 모드에서 후륜 구동변환부의 아이들/고단기어가 중간축의 고단기어와 접속되고, 중간축의 고단기어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상기 고단 4×4 모드에서 후륜 구동변환부의 아이들/고단기어가 중간축의 고단기어와 접속되고, 중간축의 고단기어가 후륜축의 후륜기어와 접속되고, 전륜축의 전륜기어가 아이들기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상기 저단 4×2 모드에서 후륜 구동변환부의 저단기어가 중간축의 저단기어와 접속되고, 중간축의 고단기어가 후륜축의 후륜기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는 상기 저단 4×4 모드에서 후륜 구동변환부의 저단기어가 중간축의 저단기어와 접속되고, 중간축의 고단기어가 후륜축의 후륜기어와 접속되고, 전륜축의 전륜기어가 아이들기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엔진 동력전달 모드를 변환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의 성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고단 4×2 모드의 접속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고단 4×4 모드의 접속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저단 4×2 모드의 접속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저단 4×4 모드의 접속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고단 4×2 모드의 접속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고단 4×4 모드의 접속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저단 4×2 모드의 접속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의 저단 4×4 모드의 접속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100)는 입력축(110), 후륜축(120), 중간축(130), 전륜축(140)을 포함한다.
입력축(110)은 엔진동력이 입력되는 것으로, 일측에 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후륜 구동변환부(R)가 마련된다.
상기 후륜 구동변환부(R)는 아이들/고단기어(111)와 저단기어(112)를 포함한다.
후륜축(120)은 후륜을 구동하는 것으로, 중간축(130)을 통해 상기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 또는 저단기어(112)에 접속되는 후륜기어(121)를 구비한다.
중간축(130)은 입력축(110)을 후륜축(120) 또는 전륜축(1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 고단기어(131)가 마련되고, 타측에 저단기어(132)가 마련된다.
전륜축(140)은 전륜을 구동하는 것으로, 일측에 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전륜 구동 변환부(F)가 마련된다.
상기 전륜 구동변환부(F)는 아이들기어(141)와 전륜기어(1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100)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가 후륜축(120)에 접속되는 고단 모드;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단기어(112)가 후륜축(120)에 접속되는 저단 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고단 모드 또는 저단 모드는 전륜축(140)이 입력축(110)에 접속되는 않는 고단 4×2 모드 또는 저단 4×2 모드; 중간축(130)을 통해 전륜축(140)이 입력축(110)과 접속되는 고단 4×4 모드 또는 저단 4×4 모드로 작동된다.
도 1에 도시된 고단 4×2 모드는 차량 주행의 기본 모드이다.
상기 고단 4×2 모드에서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가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와 접속되고,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121)와 접속되어 입력축(110)의 동력이 후륜축(120)으로 전달된다.
상기 고단 4×2 모드에서는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와 접속된 전륜 구동변환부(F)의 아이들기어(141)에 전륜축(140)이 결합되지 않아 전륜축(140)으로는 엔진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고단 4×2 모드에서 작동레버(미도시)를 통해 전륜기어(142)를 전륜 구동변환부(F)의 아이들기어(141) 쪽으로 이동시켜 전륜기어(142)가 아이들기어(141)에 접속되도록 하면 도 2와 같이 후륜축(120)과 전륜축(140)에 엔진동력이 동시 전달되는 고단 4×4 모드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단 4×2 모드에서 작동레버(미도시)를 통해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속기어(112)를 아이들/고속기어(112)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중간축(120)의 저속기어(132)와 접속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입력축(110)의 엔진동력을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속기어(112)를 통해 후륜으로 전달하는 저단 4×2 모드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단 4×2 모드에서도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와 접속된 전륜 구동변환부(F)의 아이들기어(141)에 전륜축(140)이 결합되지 않아 전륜축(140)으로는 엔진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저단 4×2 모드에서 작동레버(미도시)를 통해 전륜기어(142)를 전륜 구동변환부(F)의 아이들기어(141) 쪽으로 이동시켜 전륜기어(142)가 아이들기어(141)에 접속되도록 하면 도 4와 같이 후륜축(120)과 전륜축(140)에 엔진동력이 동시 전달되는 저단 4×4 모드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100)는 입력축(110)의 엔진동력을 후륜축(120)으로만 전달하는 고단 4×2 모드 및 저단 4×2 모드, 입력축(110)의 엔진동력을 후륜축(120)과 전륜축(140)에 동시 전달하는 고단 4×4 모드 및 저단 4×4 모드 중의 어느 하나로 차량의 운행상태를 절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트랜스퍼장치
110 : 입력축
120 : 후륜축
130 : 중간축
140 : 전륜축
R : 후륜 구동변환부
F : 전륜 구동변환부

Claims (7)

  1. 엔진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110);
    상기 입력축(110)과 접속되어 후륜을 구동하는 후륜축(120);
    상기 입력축(110)을 후륜축(120)과 전륜축(140)에 접속하는 중간축(130);
    상기 입력축(110)과 접속되어 전륜을 구동하는 전륜축(14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110)의 일측에 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후륜 구동변환부(R)가 마련되고,
    상기 전륜축(140)의 일측에 전륜축 구동 또는 비구동을 위한 전륜 구동변환부(F)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구동변환부(R)는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 또는 저단기어(132)에 접속되는 아이들/고단기어(111)와 저단기어(112)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구동변환부(F)는 아이들기어(141)와 전륜기어(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가 후륜축(120)에 접속되는 고단 모드;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단기어(112)가 후륜축(120)에 접속되는 저단 모드로 작동되고,
    상기 고단 모드 또는 저단 모드는 전륜축(140)이 입력축(110)에 접속되는 않는 고단 4×2 모드 또는 저단 4×2 모드; 중간축(130)을 통해 전륜축(140)이 입력축(110)과 접속되는 고단 4×4 모드 또는 저단 4×4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단 4×2 모드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가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와 접속되고,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121)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단 4×4 모드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아이들/고단기어(111)가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와 접속되고,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121)와 접속되고, 전륜축(140)의 전륜기어(142)가 아이들기어(141)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 4×2 모드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단기어(112)가 중간축(130)의 저단기어(132)와 접속되고,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121)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 4×4 모드는 후륜 구동변환부(R)의 저단기어(112)가 중간축(130)의 저단기어(132)와 접속되고, 중간축(130)의 고단기어(131)가 후륜축(120)의 후륜기어(121)와 접속되고, 전륜축(140)의 전륜기어(142)가 아이들기어(141)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KR1020150034857A 2015-03-13 2015-03-13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KR20160109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57A KR20160109792A (ko) 2015-03-13 2015-03-13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57A KR20160109792A (ko) 2015-03-13 2015-03-13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92A true KR20160109792A (ko) 2016-09-21

Family

ID=5707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57A KR20160109792A (ko) 2015-03-13 2015-03-13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79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57A (ko) 2005-07-11 2007-01-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중간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1410111B1 (ko) 2012-11-28 2014-06-25 현대다이모스(주) 전륜구동이 가능한 4륜구동 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57A (ko) 2005-07-11 2007-01-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중간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1410111B1 (ko) 2012-11-28 2014-06-25 현대다이모스(주) 전륜구동이 가능한 4륜구동 변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369B1 (en) Four-wheel vehicle drive system
CN103832263A (zh) 用于车辆的动力传动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109466307B (zh) 四轮驱动车用驱动装置
CN109519506B (zh) 电动汽车及其驱动系统
CN102951021A (zh) 四轮驱动车的驱动系统、四轮驱动车及其控制方法
CN107401590B (zh) 用于商用车的变速器装置
KR20130084185A (ko)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EP3476635A1 (en) Power drive system and vehicle
CN112224007B (zh) 一种多模式混合动力专用变速器
CN214874198U (zh) 混合动力变速系统和车辆
CN211731022U (zh) 动力传动系统和车辆
JP2019143733A (ja) 車両用駆動装置
KR19990020807U (ko) 파트 타임 4륜 구동 제어 장치
KR20160109792A (ko) 차량의 4륜 트랜스퍼장치
KR100750496B1 (ko) 차량용 단일 액츄에이터 타입 전자식 부 변속기
JP2007253736A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CN111152639B (zh) 车辆混合动力系统及车辆
CN114571982A (zh) 混合动力变速器、混合动力变速系统和车辆
CN206171181U (zh) 一种移动式混凝土搅拌车分时四驱传动系统及其车辆
CN215552537U (zh) 一种单电机电驱动力总成
KR101053527B1 (ko) 상용차용 4륜 구동장치
CN220622685U (zh) 一种轮式车辆分动器总成
CN210265716U (zh) 一种双输入两档多模变速器
CN220517975U (zh) 车辆的动力系统及车辆
CN2261955Y (zh) 一种新型汽车分动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