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54A -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 Google Patents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54A
KR20160109654A KR1020150034468A KR20150034468A KR20160109654A KR 20160109654 A KR20160109654 A KR 20160109654A KR 1020150034468 A KR1020150034468 A KR 1020150034468A KR 20150034468 A KR20150034468 A KR 20150034468A KR 20160109654 A KR20160109654 A KR 2016010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yrolysis
smoke
heating mea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323B1 (ko
Inventor
최은오
Original Assignee
(주)정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호기연 filed Critical (주)정호기연
Priority to KR102015003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3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2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pyroly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정면에 스위치가 설치되고, 측면으로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정면으로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바닥으로 마련된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 상부로 설치된 제1가열수단(시즈히터)과, 상기 제1가열수단 상부로 설치되는 불판과,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램프실과, 상기 램프실에 설치되는 제2가열수단(할로겐램프)과, 상기 램프실에 연통하게 구비되는 열분해 장치부 및 상기 열분해 장치부에서 배출되는 열을 단열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 전기오분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유해가스가 함유된 화합물을 자연히 상부로 상승하게 하는 작용과 함께, 하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에서 제2가열수단(할로겐램프)을 통한 예열과정을 거쳐 열분해 장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열분해 성능을 높일 수 이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열분해 장치에 유입되기 전에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에서 미리 예열된 오염공기는 제3가열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1차로 제1이동로, 2차로 제1이동로와 제2이동로가 만나는 지점 및 3차로 제2이동로 거쳐 고온의 열분해 작용 후, 공기배출로 배출함으로써, 조리실의 냄새 및 를 유해가스 함유된 화합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Electric oven with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본 발명은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음식물의 냄새 및 휘발성이 강하거나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유기화합물을 고온의 열분해 작용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레인지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서 발생한 열기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로써, 오븐 조리실에 내장되어 있는 히터를 열원으로 조리실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열의 순환작용을 거쳐 요리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오븐레인지는 조리실 내부 공기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 등으로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 기술로, 등록실용 20-0315698 "오븐레인지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제거장치"가 소개되었다.
상기 냄새 제거장치는 조리실의 격벽 일측공간으로 상부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조리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통풍구로 보내기 위해 팬이 설치되며, 상기 팬과 통풍구 사이에 오염된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냄새 제거장치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휘발성이 강하거나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유기화합물 및 냄새를 완벽히 제거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 20-0315698 "오븐레인지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제거장치"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오븐의 조리실에서 음식물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음식물의 냄새와 휘발성이 강하거나 유해가스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을 고온으로 열분해 함으로써, 조리실 내의 탈취 및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열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자연스러운 유동을 이용하는 구조로, 팬 등을 이용하여 강제 유동을 하지 않고,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열분해장치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면에 스위치가 설치되고, 측면으로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정면으로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바닥으로 마련된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 상부로 설치된 제1가열수단(시즈히터)과, 상기 제1가열수단 상부로 설치되는 불판과,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램프실과, 상기 램프실에 설치되는 제2가열수단(할로겐램프)과, 상기 램프실에 연통하게 구비되는 열분해 장치부 및 상기 열분해 장치부에서 배출되는 열을 단열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분해 장치부는 하부케이스 램프실과 연통하게 형성된 연기유입부와, 상기 연기유입부 상부로 형성된 연기이동로와, 상기 연기이동로 상부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연기 열분해부와, 상기 연기 열분해부 중앙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제3가열수단 및 상기 연기 열분해부 상부로 형성된 공기배출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기 열분해부는 마름모 형태를 가지며, 연기이동로 상부로 형성되는 제1이동로와, 상기 제1이동로 상부로 형성된 제2이동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연기 열분해부를 감싸는 양측으로 상부케이스 내부로 설치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2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덕트부가 설치되는데 있어서,
각각의 덕트부 상부 일측으로 공기배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덕트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 전기오분의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유해가스가 함유된 화합물을 자연히 상부로 상승하게 하는 작용과 함께, 하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에서 제2가열수단(할로겐램프)을 통한 예열과정을 거쳐 열분해 장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열분해 성능을 높일 수 이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열분해 장치에 유입되기 전에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에서 미리 예열된 오염공기는 제3가열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1차로 제1이동로, 2차로 제1이동로와 제2이동로가 만나는 지점 및 3차로 제2이동로 거쳐 고온의 열분해 작용 후, 공기배출로 배출함으로써, 조리실의 냄새 및 를 유해가스 함유된 화합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오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와 덕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의 구조에 따른 작용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면에 스위치(11)가 설치되고, 측면으로 통풍구(12)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조리실(2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 정면으로 설치되는 도어(30)와, 상기 하부케이스(20) 내부바닥에 마련된 기름받이(40)와, 상기 기름받이(40) 상부로 설치된 제1가열수단(50)과, 상기 제1가열수단(50) 상부로 설치되는 불판(60)과, 상기 하부케이스(20)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램프실(22)과, 상기 램프실(22)에 설치되는 제2가열수단(70)과, 상기 램프실(22)에 연통하게 구비되는 열분해 장치부(80) 및 상기 열분해 장치부(80)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의 단열과 원활한 공기유동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덕트부(9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상부케이스(10), 하부케이스(20), 도어(30), 기름받이(40), 제1가열수단(50), 제2가열수단(70), 불판(60), 열분해 장치부(80), 덕트부(9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각각의 가열수단을 ON/OFF 하기 위해 정면에 스위치(11)가 설치되고, 조리실(21) 내부의 열기 배출하기 위해 측면으로 통풍구(12)가 형성되되, 상기 통풍구(12)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배열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는 각종 고기 및 생선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21)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부로는 제2가열수단(70)이 설치되는 램프실(22)이 형성되어, 상기 제2가열수단(70)에 의해 예열된 공기, 즉, 조리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등의 유기 화합물을 열분해 장치부(80)의 연기유입부(81)로 이송하기 위해 일측으로 통공(23)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30)는 하부케이스(20) 정면에 설치되며, 조리실(21) 내부를 확인하여 각종 고기 및 생선이 조리되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투명창이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40)는 하부케이스(20) 내부 바닥에 구비되어, 각종 고기 및 생선이 조리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기름 및 각종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가열수단(50)과 제2가열수단(70)은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할로켄램프(halogen lamp)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 중 선택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가열수단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킴으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해 각종 고기 및 생선 등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상기 불판(60)은 중앙에 다수개의 타공이 있는 경사진 판 형태로, 각종 고기 및 생선 등 음식물을 올려 익힐 수 조리실(21)에 설치된다.
상기 열분해 장치부(80)는 하부케이스(20)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22)의 통공(23)과 연통하게 설치되는 연기유입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연기유입부(81) 상부로는 조리실(21) 내부의 고열이 연기유입부(81)에서 유입되어 머문 뒤, 상부로 이동하기 위해 연기이동로(82)가 형성되며, 상기 연기이동로(82)와 연통하게 연기 열분해부(83)가 형성되되, 상기 연기 열분해부(83) 중앙으로 제3가열수단(84)이 위치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가열수단(84) 상부로, 제3가열수단(84)에 의해 열분해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공기배출공(8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기 열분해부(83)는 마름모 형태를 가지며,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22)에서 예열된 연기가 연기유입부(81)에 머문 뒤, 연기이동로(82)로 지나, 제3가열수단(84)과 상호 작용하여 1차로 연기를 열분해 하는 제1이동로(8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로(83-1)를 지나는 지점에 2차로, 제3가열수단(84)과 상호 작용하여 연기가 열분해 되며, 상기 제1이동로(83-1)를 지나는 연기를 다시 한번, 즉, 3차로 열분해 시키기 위해 형성된 제2이동로(83-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덕트부(90)는 연기 열분해부(83)의 열손실을 방지와 단열목적으로 감싸 설치되며,
상기 연기 열분해부(83) 양측으로 이격되게 제1덕트(91)가 설치되되, 일측으로 수직하게 덕트판이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상단이 상부로 굴곡진 형태를 갖는 덕트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덕트(91) 양측으로 이격되게 제2덕트(92)가 설치되되, 일측으로 수직하게 덕트판이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상단이 굴곡진 형태를 갖는 덕트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덕트(91)와 제2덕트(92) 양측면으로 개방된 부분을 마감처리하고, 각각의 덕트부(90) 상부 일측으로 공기배출로(93)를 형성함으로, 연기 열분해부(83)의 공기배출공(85)을 통해 배출되는 냄새 및 유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며, 상기와 같은 공기는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된 통풍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2덕트(92) 중, 제1덕트(91) 일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덕트판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92a)을 배열형성함으로써, 연기 열분해부(83)의 공기배출공(95)을 통해 배출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통풍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도어(30)를 열고, 각종 고기 및 생선 등 음식물을 불판(60)에 올려놓고, 상기 불판(60)을 조리실(21) 내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어(30)를 닫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11)를 돌려, 각종 고기 및 생선 등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제1가열수단(50)과 제2가열수단(70)에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각각의 가열수단(50)(70)이 가열되어 조리실(21)의 온도가 상승하여 각종 고기 및 생선 및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리실(21)의 음식물 냄새를 포함하는 각종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유해가스는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22)에서 열분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예열과정을 거친 후, 통공(23)을 통해, 연기유입부(81)로 이동하되, 상기 통공(23)보다 연기이동로(82)를 협소하게 형성하여, 연기 유입부(81)에 일정한 체류시간이 경과 한 다음,상기 연기이동로(82)를 거쳐, 제1이동로(83-1)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로(83-1)의 내벽과 제3가열수단(84)과 상호 작용하여 1차적으로 유해가스가 열분해 되고, 상기 제1이동로(83-1)와 제2이동로(83-2)가 만나는 지점에서 유해가스가 잠시 정체되는 작용과 동시에, 제3가열수단(84)과 상호 작용하여 2차적으로 유해가스가 열분해 되며, 상기와 같이 열분해된 유해가스는 제1이동로(83-1)를 거쳐 제2이동로(83-2)로 지나는 과정에서 유동속도가 느려지며, 제2이동로(83-2)의 내벽과 제3가열수단(84)과 상호 작용하여 3차적으로 유해가스가 고온의 열분해 됨으로써, 냄새 및 유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빠른 유동으로 공기배출공(85)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각각의 덕트(91)(92)에 안내되어 공기배출로(93) 및 제2덕트(92)에 형성된 통공(92a)을 지나, 상부케이스(10)의 형성된 통풍구(12)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각종 고기 및 생선 및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와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유해가스가 공기의 온도 및 압력에 작용에 따라 송풍기 없이도 램프실(22)에서 열분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예열과정을 거친 후, 열분해 장치부의 연기유입부(81)로 이동한 다음, 연기이동로(82)을 지나 연기 열분해부(83)의 제1이동로(83-1)를 지나는 과정에서 제3가열수단(84) 상호 작용하여 유해가스를 1차적으로 고온으로 열분해 하고, 상기 제1이동로(83-1)와 제2이동로(83-2)가 만나는 지점에서, 제3가열수단(84) 상호 작용하여 유해가스를 2차적으로, 고온으로 열분해 하며, 상기 각각의 이동로가 만나는 지점을 거쳐, 제2이동로(83-2)를 지나는 과정에서, 제3가열수단(84) 상호 작용하여 유해가스를 3차적으로, 고온으로 열분해함으로써, 각종 고기 및 생선 등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 및 휘발성이 강하거나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유기화합물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실내로 배출함으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케이스 11: 스위치
12: 통풍구 20: 하부케이스
21: 조리실 22: 램프실(제2가열수단 주변 공간)
23: 통공 30: 도어
40: 기름받이 50: 제1가열수단
60: 불판 70: 제2가열수단
80: 열분해 장치부 81: 연기유입부
82: 연기이동로 83: 연기 열분해부
83-1: 제1이동로 83-2: 제2이동로
84: 제3가열수단 85: 공기배출공
90: 덕트부 91,92: 제1덕트, 제2덕트
93: 공기배출로

Claims (5)

  1. 정면에 스위치(11)가 설치되고, 측면으로 통풍구(12)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조리실(2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 정면으로 설치되는 도어(30)와,
    상기 하부케이스(20) 내부바닥에 마련된 기름받이(40)와,
    상기 기름받이(40) 상부로 설치된 제1가열수단(50)과,
    상기 제1가열수단(50) 상부로 설치되는 불판(60)과,
    상기 하부케이스(20)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램프실(22)과,
    상기 램프실(22)에 설치되는 제2가열수단(70)과,
    상기 램프실(22)에 연통하게 구비되는 열분해 장치부(80) 및 상기 열분해 장치부(80)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의 단열과 원활한 공기유동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덕트부(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장치부(80)는 하부케이스(20) 램프실(22)과 연통하게 형성된 연기유입부(81)와, 상기 연기유입부(81) 상부로 형성된 연기이동로(82)와, 상기 연기이동로(82) 상부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연기 열분해부(83)와, 상기 연기 열분해부(83) 중앙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제3가열수단(84) 및 상기 연기 열분해부(83) 상부로 형성된 공기배출공(8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열분해부(83)는 마름모 형태를 가지며, 연기이동로(82) 상부로 형성되는 제1이동로(83-1)와, 상기 제1이동로(83-1) 상부로 형성된 제2이동로(8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90)는 연기 열분해부(83)를 감싸는 양측으로 상부케이스(10) 내부로 설치되는 제1덕트(91)와, 상기 제1덕트(91)와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2덕트(9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덕트부(90)가 설치되는데 있어서,
    각각의 덕트부(90) 상부 일측으로 공기배출로(93)가 형성되고,
    상기 제2덕트(92)에는 다수개의 통공(92a)이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20150034468A 2015-03-12 2015-03-12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1696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68A KR101696323B1 (ko) 2015-03-12 2015-03-12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68A KR101696323B1 (ko) 2015-03-12 2015-03-12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54A true KR20160109654A (ko) 2016-09-21
KR101696323B1 KR101696323B1 (ko) 2017-01-13

Family

ID=570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468A KR101696323B1 (ko) 2015-03-12 2015-03-12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3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059A (ja) * 1991-12-10 1993-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100272362B1 (ko) * 1997-10-10 2000-12-01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면배기구조
KR200315698Y1 (ko) 2003-03-21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오븐레인지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제거장치
JP2006081745A (ja) * 2004-09-16 2006-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及びその脱臭装置、脱臭装置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100741047B1 (ko) * 2006-08-24 2007-07-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탈취기능을 갖는 쿠킹오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059A (ja) * 1991-12-10 1993-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100272362B1 (ko) * 1997-10-10 2000-12-01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면배기구조
KR200315698Y1 (ko) 2003-03-21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오븐레인지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제거장치
JP2006081745A (ja) * 2004-09-16 2006-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及びその脱臭装置、脱臭装置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100741047B1 (ko) * 2006-08-24 2007-07-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탈취기능을 갖는 쿠킹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323B1 (ko)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0129A1 (en) Catalytic converter unit and method for treating cooking emissions
KR101263519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38448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KR101203444B1 (ko)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US3027444A (en) Hydraulic thermostat bulb shielding means
KR101304691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101306428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KR101696323B1 (ko)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ITBO20010698A1 (it) Forno domestico per cottura alla brace .
KR101751302B1 (ko) 전기 오븐의 냄새·연기 제거 장치
US2908267A (en) Food cooking apparatus
US20180156469A1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CN103610402A (zh) 一种环保节能型封闭式明火木炭烤箱
JPH11318718A (ja) 電気調理器
JP2007325620A (ja) 加熱調理器
CN208549818U (zh) 烘干机
KR102056024B1 (ko) 요리 매연 배출장치
JPH0351628A (ja) 加熱調理装置
KR101623329B1 (ko) 전기히터 용 팬 탈취장치
JP7053082B2 (ja) 調理煙排出装置
JP2004232932A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JP2012209080A (ja) Ihコンロ装置およびihコンロ用グリル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