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21A -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21A
KR20160109421A KR1020150033776A KR20150033776A KR20160109421A KR 20160109421 A KR20160109421 A KR 20160109421A KR 1020150033776 A KR1020150033776 A KR 1020150033776A KR 20150033776 A KR20150033776 A KR 20150033776A KR 20160109421 A KR20160109421 A KR 2016010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ronia
antioxidant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527B1 (ko
Inventor
채경훈
Original Assignee
채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경훈 filed Critical 채경훈
Priority to KR102015003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5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Y2300/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도 떫은 맛이 없고, 우수한 식감과 향미로서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는 경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항산화 효과가 높은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NTI-OXIDANT COMPOSITIONS INCLUDING CHOKEBERRY EXTRACT AND METHOD PROCESS FOR PREPAP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향미와 식감으로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로니아(영어: aronia) 또는 초크베리(영어: choke-berry, the choke-berries)는 아로니아 나무의 열매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식용 색소의 원료로 쓰이기도 하고 관상용으로도 역시 재배된다. 레드 초크베리, 블랙 초크베리, 퍼플 초크베리의 3가지를 합쳐서 아로니아라고 말한다.
아로니아는 북미가 원산지인 관목으로서, 장미과에 속하며, 작고 신맛이 나는 열매가 열리는데, 늦여름에 열매가 익고 곧바로 떨어지며 잎은 부드럽고 윤이 나며 연한 녹색이다.
이러한 아로니아는 식품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아로니아 열매는 쥬스나, 음료, 농축물, 와인, 잼, 젤리, 건조과일, 과일차 등 다양한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아로니아 열매(Aronia berry)는 다량의 당류(20%)와 안토시아닌 (Antocyanins), 폴리페놀(Polyphenol), 비타민 B1, B2, 판토텐산, 프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함유하고 있고 이 중에서 특히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미세혈관의 투과성, 혈관의 탄력성, 혈압의 정상화 등에 도움을 주며, 특히 눈의 미세 혈관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시력 증진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처럼 아로니아 열매의 구성성분들이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아로니아 열매인 블랙쵸크베리(Black Chokeberry)를 이용하여 음료나 술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아로니아는 당도가 최고 17브릭스에 이를 정도로 단맛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상기 아로니아는 상당량의 탄닌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떫은 맛이 강한 특징이 있다. 이 떫은 맛에 의해 상기 단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아로니아의 식감과 향미를 높여 기호성이 우수한 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첨가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아로니아에 포함된 항상화 성분의 수득효과를 향상시킨 조성물로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131호(이하, '인용문헌 1'이라 함)는 설탕, 글리세롤, 물 및 솔비톨을 혼합하여 당침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침 용액에 블루베리를 담가 당침 블루베리를 제조하여 건조한 후, 카라기난 및 잔탐검으로 구성된 겔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당침 블루베리를 함유한 젤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868호(이하, '인용문헌 2'라 함)는 블루베리, 구연산나트륨, 사과산, 이산화규소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혼합물의 입자크기가 0.01∼0.1mm가 되도록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항산화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음료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아로니아의 다른 식감을 가지는 베리류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위 선행기술을 아로니아에 대하여 적용하는 경우 떫은 맛의 제거가 어렵고 항산화 효과를 내는 유효성분의 수득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KR 10-2011-0074131 A KR 10-2011-0133868 A
본 발명의 목적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도 떫은 맛이 없고, 우수한 식감과 향미로서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효모균 또는 누룩균 중 어느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처손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까마중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계요등 추출물 40 내지 9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타래붓꽃 추출물을 10 내지 4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로니아를 -20 내지 5℃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1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동결건조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아로니아에 효모군, 누룩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사용하여 24 내지 48 시간 동안 발효를 시켜 1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발효단계; 상기 1차 발효된 아로니아에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을 접종하여 12 내지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발효단계; 상기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5 내지 5℃에서 동결건조하여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동결건조단계; 상기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과 노말 헥산 (normal hexane)을 1 : 3 내지 3 :1 중량부로 혼합한 후 70 내지 90℃에서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부처손 추출물, 까마중 추출물, 계요등 추출물, 타래붓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와 혼합하는 추출물 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효모균 또는 누룩균 중 어느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효모균 또는 누룩균을 사용하는 경우 발효에 의하여 아로니아에 포함된 항산화 성분이 더 많이 수득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발효된 아로니아는 일반 생(生)아로니아 또는 건조시킨 아로니아에 비하여 아토시아닌 기타 다양한 항산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의 용매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경우 항산화 성분의 높게 함유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추출과정에서 아로니아의 우수한 향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발효시킨 아로니아의 경우 상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항산화 성분의 함량이 높고 향미가 뛰어난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림직하게 상기 용매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1: 3 내지 3: 1 중량부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발효된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처손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까마중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계요등 추출물 40 내지 9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처손(Selaginella tamariscina)은 양치식물과에 속한 상록 여러해살이풀을 말하며, 생체순환과 신경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어혈을 제거하는 효과 등으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상기 까마중(Solanum nigrum L.)은 가짓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을 말한다. 어린잎을 삶아서 우려내어 독성을 제거, 나물로 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이 식물은 알칼로이드인 솔라닌을 함유하고 있어 전초를 한방에서 해열, 이뇨, 피로회복제로 약용한다.
상기 계요등(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은 충청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식물이다. 줄기와 잎은 생리활성 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약용으로 사용되며 줄기와 잎 부분에도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부처손 추출물, 까마중 추출물, 계요등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처손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까마중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계요등 추출물 40 내지 90 가 포함되는 경우 아로니아의 떫은 맛이 중화되면서 전체적으로 우수한 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상기 아로니아의 항산화 효과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부처손, 까마중 및 계요등의 약리효과로서 생리활성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처손 추출물 13 내지 18 중량부, 까마중 추출물 50 내지 75 중량부, 계요등 추출물 6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거의 느낄 수 없으며, 독특한 향미로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항산화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타래붓꽃 추출물을 10 내지 4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타래붓꽃은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말하는데, 골격을 견고하게 하고, 생리활성 및 생체순환을 높여주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상기 타래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중화시키면서 상기 아로니아의 향미와 어우러져 매우 깊은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래붓꽃 추출물은 타래붓꽃 씨앗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타래붓꽃 추출물은 그 자체의 생리활성 증진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아로니아와 어우러져 탁월한 향미와 식감을 나타내는바, 다양한 기호식품 기타 식품조성물 내지는 식품첨가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로니아를 -20 내지 5℃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1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동결건조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아로니아에 효모군, 누룩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사용하여 24 내지 48 시간 동안 발효를 시켜 1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발효단계; 상기 1차 발효된 아로니아에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을 접종하여 12 내지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발효단계; 상기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5 내지 5℃에서 동결건조하여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동결건조단계; 상기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과 노말 헥산 (normal hexane)을 1 : 3 내지 3 :1 중량부로 혼합한 후 70 내지 90℃에서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부처손 추출물, 까마중 추출물, 계요등 추출물, 타래붓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와 혼합하는 추출물 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동결건조 과정은 아로니아에 떫은 맛을 줄이기 위함으로, 상기 1차 동결건조단계의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아로니아에 포함된 떫은 맛은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1차 및 2차 발효단계에 있어 상기 1차 발효 및 2차 발효를 진행하는 경우 1차 발효만 진행한 경우에 비하여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을 수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2번의 발효과정을 거치는 경우 항산화 성분을 많이 수득할 수 있으나, 발효과정에서 아로니아와 어울리지 않는 잡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차 동결건조 과정을 통하는 경우 이러한 잡내를 줄일 수 있어 아로니아 추출물의 기호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2차 동결건조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2차 발효과정에서 발생한 잡내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도 떫은 맛이 없고, 우수한 식감과 향미로서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는 경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항산화 효과가 높은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아로니아 추출물1 100 중량부 - -
아로니아
추출물2
- 100 중량부 -
아로니아
추출물3
- - 100중량부
- 아로니아 추출물 1: 본발명의 아로니아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1차 및 2차 발효시키고 다시 동결건조한 뒤에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 아로니아 추출물 2: 아로니아에 대하여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하고, 열수추출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아로니아 추출물 3: 생 아로니아를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1: 실시예 및 비교예 항산화 활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7.4 mM 및 2.6 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phate)을 혼합한 ABTS 용액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상기 ABTS 용액을 735 ㎚에서 흡광도 값이 1.4 ~ 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cm-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ABTS 용액 1㎖에 상기 수수 추출물 50 ㎕를 첨가하고 30분 후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ABTS 항산화 활성은 도 1에 나타냈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실시예의 추가]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높이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의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 하기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하기의 표2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2 내지 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아로니아추출물1 100 100 100 100
부처손 추출물 100 5 15 13
까마중 추출물 20 130 60 50
계요등 추출물 20 5 65 60
타래붓꽃 추출물 - - - 17
(단위: 중량부)
- 부처손 추출물: 부처손을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 까마중 추출물: 까마중을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 계요등 추출물: 계요등을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 타래붓꽃 추출물: 타래붓꽃을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2: 항산화 활성 및 기호도 실험]
1. 항산화 활성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 내지 5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2를 참조하면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5에 의하는 경우 상당한 범위에서 항산화 효과가 상승된다는 것을 확인될 수 있었다.
2. 기호도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를 건조하여 된장을 제조하였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상기 된장에 1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 된장의 제조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하는 방법에 따랐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첨가 외에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을 30인에게 시음하게 하여 향미와 식감을 포함한 기호성을 확인하게 하였고 그 결과 종합하여 비교예 5을 기준으로 1 내지 10의 지수로 표현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클수록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5 6 6 8 10 5 5
3 6 5 9 10 5 4
기호성 4 6 5.5 8.5 10 5 4.5
실시예 1은 아로니아의 떫은 맛과 발효과정의 잡내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맛에서 기호성이 낮았고, 실시예 2 및 3부터는 떫은 맛이 거의 없었으며, 잡내도 상당히 제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와 5의 경우 잡내와 떫은 맛을 느낄 수 없었으며, 약용식물의 추출물이 아로니아와 잘 어우러져 전체적인 향미의 균형이 우수하였고, 기호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그 향미와 식감이 우수하여 기호도가 높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식물 또는 식품 첨가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효모균 또는 누룩균 중 어느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처손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까마중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계요등 추출물 40 내지 9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타래붓꽃 추출물을 10 내지 4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5. 아로니아를 -20 내지 5℃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1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동결건조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아로니아에 효모군, 누룩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사용하여 24 내지 48 시간 동안 발효를 시켜 1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1차 발효단계;
    상기 1차 발효된 아로니아에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을 접종하여 12 내지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발효단계;
    상기 2차 발효된 아로니아를 -5 내지 5℃에서 동결건조하여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제조하는 2차 동결건조단계 및
    상기 2차 동결건조된 아로니아를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과 노말 헥산 (normal hexane)을 1 : 3 내지 3 :1 중량부로 혼합한 후 70 내지 90℃에서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부처손 추출물, 까마중 추출물, 계요등 추출물, 타래붓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와 혼합되는 추출물 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33776A 2015-03-11 2015-03-11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76A KR101750527B1 (ko) 2015-03-11 2015-03-11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76A KR101750527B1 (ko) 2015-03-11 2015-03-11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21A true KR20160109421A (ko) 2016-09-21
KR101750527B1 KR101750527B1 (ko) 2017-06-23

Family

ID=5708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776A KR101750527B1 (ko) 2015-03-11 2015-03-11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514A (ko) * 2018-06-05 2019-1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131A (ko) 2009-12-24 2011-06-30 전라북도 정읍시 당침 블루베리를 함유한 젤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33868A (ko) 2010-06-07 2011-12-14 (주)카페베네 항산화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음료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12B1 (ko) * 2008-11-04 2009-05-28 주식회사 일신웰스 바나바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131A (ko) 2009-12-24 2011-06-30 전라북도 정읍시 당침 블루베리를 함유한 젤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33868A (ko) 2010-06-07 2011-12-14 (주)카페베네 항산화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음료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514A (ko) * 2018-06-05 2019-1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527B1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91B1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416960B1 (ko) 숙취 해소용 식품조성물
CN103385333A (zh) 诺丽茶组合物及其制备方法、诺丽袋泡茶及其制备方法
KR101693361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75052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9253A (ko) 아로니아 양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09415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2279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4617B1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09427B1 (ko) 황칠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226425B1 (ko) 면역 활성이 증진된 혼합 야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2404179B1 (ko) 대추차 제조방법
KR102358421B1 (ko) 청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가루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