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083A -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083A
KR20160109083A KR1020150032795A KR20150032795A KR20160109083A KR 20160109083 A KR20160109083 A KR 20160109083A KR 1020150032795 A KR1020150032795 A KR 1020150032795A KR 20150032795 A KR20150032795 A KR 20150032795A KR 20160109083 A KR20160109083 A KR 2016010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vironment
wearable
index
clou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엔팩토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팩토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팩토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083A/ko
Publication of KR2016010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소망에 따라 해당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수집하여 제공하는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구에 따라 관심위치에 대한 환경지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본인이 위치한 지점의 대기오염 상태를 그때그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집되는 대기오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정보열람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장소에 대한 실질적인 대기오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using portable appcess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소망에 따라 해당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수집하여 제공하는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구에 따라 관심위치에 대한 환경지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건강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의 공기 품질을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다. 이처럼 실내외의 공기품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를 담당하는 기관에서 여러 장소를 선정하여 측정센서를 설치해 두고 그 설치된 다수의 측정센서가 수집하는 공기품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지역별로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모든 장소에 측정센서를 설치해 두고 이들 지역에 대해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관련 장비의 설치 부담이나 그 설치할 장소에 대한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사람이 많이 왕래하는 장소(예: 야외공원, 출퇴근길, 커피숍, 음식점, 지하철, 버스 등)에 대한 공기품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90444호 "모바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환경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05097호 "대기오염 측정센서를 갖춘 자전거용 내비게이션과, 이 자전거용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대기 오염 측정 정보 저장 방법"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106812호 "환경정보 통합관리시스템"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86251호 "날씨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49229호 "이동단말기에 등록된 일정과 연계하여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소망에 따라 해당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수집하여 제공하는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구에 따라 관심위치에 대한 환경지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은, 휴대형의 웨어러블 기기로서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고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대기환경 지수를 표출하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스마트 단말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로부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하고,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하면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관심위치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에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로부터 유도된 값을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은, 휴대형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대기환경 데이터를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환경정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대기환경 지수를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은, 복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각자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각자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각자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스마트 단말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로부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은,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는 관심위치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에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로부터 유도된 값을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본인이 위치한 지점의 대기오염 상태를 그때그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집되는 대기오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정보열람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장소에 대한 실질적인 대기오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대하여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부착 내지 휴대하기에 적합한 웨어러블 기기로서 예컨대 화학 센서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장소마다 지속적으로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대기환경 데이터는 그때그때 실시간으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로 제공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마트 단말(3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으로 구현되는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 간에 통신 접속을 제공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310)과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간의 연결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예: wifi, zigbee, bluetooth), 디지털 유선통신(예: USB), 데이터 포트, 오디오 단자(이어폰 핸즈프리 단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들 중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을 전개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310)은 GPS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을 활용하여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존재하는 지점에 관한 위치정보, 예컨대 GPS 정보 및 실내측위 정보의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즉, 실외에서는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WI-FI, BT,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실내측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스마트 단말(31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것이므로 스마트 단말(310)이 획득한 이들 GPS 정보 또는 실내측위 정보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의 위치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또는 스마트 단말(310)에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기능별로 분산되어 일부는 스마트 단말(310)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가 스마트 단말(310) 및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400)에서 앱(APP)으로 구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전개한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수집한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존재하는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한다. 이때,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은 이미 제시된 기법이 있고 분석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관심사항이 아니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제시하지 않는다. 이어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해당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출한다.
또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310)로부터 위치정보(GPS 정보, 실내측위 정보)를 획득하고, 앞서 생성한 대기환경 지수와 그 위치정보를 스마트 단말(310)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의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러한 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한다.
또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특정의 관심지역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 요청하며, 그에 대응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의 사용자에게 표출하도록 한다.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 장치로서,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로부터 대기환경 지수와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한다. 임의의 다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로부터 유도된 대기환경 지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므로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는 여러 지점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를 실시간으로 보유하게 된다.
또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하면 해당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관심위치에 정확히 매칭되는 항목이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없을 수도 있는데, 이 때의 처리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가 클라이언트 단말(400)에 대해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도이다.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로부터 대기환경 지수와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한다.
그리고,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400)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응하는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이 제공되면,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해당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관심위치는 클라이언트 단말(400)이 위치하는 지점에 해당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관심위치에 정확히 매칭되는 항목이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유도된 값, 예컨대 평균치 혹은 가중평균치 혹은 소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존재하는 항목들 중에서 관심위치에 가장 근접하는 지점에 관한 대기환경 지수를 조회 결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400)에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가 설치되어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을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달하고 그에 대응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환경 지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휴대형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사용자가 이동하는 장소마다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한다.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는 화학 센서를 구비하여 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오염성분 또는 온도, 습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20) :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대기환경 데이터를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 연동하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에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스마트 단말(310)에 앱으로 설치된 경우에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는 그 수집한 대기환경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디지털 유선통신, 데이터 포트, 오디오 단자(이어폰 핸즈프리 단자) 등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단말(310)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대기환경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 (S130) :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수집한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분석 과정은 상당한 데이터 저장능력과 처리능력을 요구하므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보다는 스마트 단말(310)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40) : 환경정보 에이전트(300)가 위 생성한 대기환경 지수를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주변, 즉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의 대기오염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에서 해당 지수표출 기능은 스마트 단말(310)에 구현될 수도 있고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가 클라이언트 단말(400)에 대해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210, S220) :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프로세스가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서 수행된다.
즉, 복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각자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300)에 제공하고, 이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각자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한다.
단계 (S230, S240) : 이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각자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310)로부터 위치정보, 예컨대 GPS 정보 및 실내측위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스마트 단말(310)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스마트 단말(310)을 휴대하고 있다고 가정하므로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각자 연동하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와 스마트 단말(310)로부터 획득한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원격지의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에 제공한다. 이때, 환경정보 에이전트(300)와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 간의 광대역 통신은 스마트 단말(310)의 통신 기능(예: 이동통신망, 무선랜 통신)을 활용한다.
단계 (S250)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로부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게 되는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들 다수의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로부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한다.
즉,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정 위치에 대해 실제로 측정한 대기환경 지수를 다수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다수 보급될수록 그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가 보유하는 정보는 풍부해지고 그 가치는 향상된다.
단계 (S260) :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가 연동되지 않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 단말(400)에 설치된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자신의 위치 또는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하여 대기오염 정보를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70, S280) :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에 따른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는 다수의 위치에 대하여 실제로 측정한 대기환경 지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다.
관심위치에 정확히 매칭되는 항목이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데, 각각의 경우에 대한 처리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대하여 대기오염 정보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10) :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400)로부터 대기오염 정보열람 이벤트를 식별하면 해당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조회한다.
단계 (S320) : 조회 결과,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해당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환경 지수가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즉,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를 통해 해당 관심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최근에 실제로 측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30, S340) :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관심위치에 매칭되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유도된 값을 해당 관심위치의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들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에 대한 평균치 혹은 가중평균치 혹은 소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심위치의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존재하는 항목들 중에서 관심위치에 가장 근접하는 지점에 관한 대기환경 지수를 관심위치의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S350) :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관심위치의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한다.
관심위치에 매칭되는 항목이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되어 있다면 특정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를 통해 해당 관심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최근에 실제로 측정한 경우에 해당되므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대한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반대로 관심위치에 매칭되는 항목이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관심지점에 대해서는 대기환경 지수의 실제 측정이 이루어진 바가 없거나 혹은 너무 오래되어 데이터를 폐기한 경우에 해당되므로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앞서의 단계 (S330, S340)을 통해 유도한 대기환경 지수를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0 :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
200 :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
210 :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
300 : 환경정보 에이전트
310 : 스마트 단말
4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7)

  1. 휴대형의 웨어러블 기기로서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100);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고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대기환경 지수를 표출하는 환경정보 에이전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에이전트(300)는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에 전송하고,
    상기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하고,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하면 상기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관심위치가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에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로부터 유도된 값을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4. 휴대형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환경정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상기 대기환경 지수를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각자 근처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각자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가 존재하는 지점의 대기환경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각자 상기 웨어러블 앱세서리 장치에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가 상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복수의 환경정보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대기환경 지수 및 위치정보를 누적 수신하여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의 관심위치에 대한 대기오염 정보열람 요청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관심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관심위치가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에 상기 환경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관심위치 근방의 복수의 대기환경 지수로부터 유도된 값을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대기환경 지수로 설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
  7. 컴퓨터에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32795A 2015-03-09 2015-03-09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95A KR20160109083A (ko) 2015-03-09 2015-03-09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95A KR20160109083A (ko) 2015-03-09 2015-03-09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83A true KR20160109083A (ko) 2016-09-21

Family

ID=5708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795A KR20160109083A (ko) 2015-03-09 2015-03-09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0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07B1 (ko) * 2020-04-27 2020-12-07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229A (ko) 2004-06-18 2006-05-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들동안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방법 및 장치
KR20080086251A (ko) 2007-03-22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0444A (ko) 2006-01-23 2008-10-08 산도즈 아게 카르보닐 비대칭 알킬화
KR20090005097A (ko) 2006-03-29 2009-01-12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리스트 아이엔시 웹 커뮤니티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를 변환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6812A (ko) 2008-04-07 2009-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229A (ko) 2004-06-18 2006-05-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들동안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방법 및 장치
KR20080090444A (ko) 2006-01-23 2008-10-08 산도즈 아게 카르보닐 비대칭 알킬화
KR20090005097A (ko) 2006-03-29 2009-01-12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리스트 아이엔시 웹 커뮤니티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를 변환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6251A (ko) 2007-03-22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6812A (ko) 2008-04-07 2009-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07B1 (ko) * 2020-04-27 2020-12-07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17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navigation service
JP5871928B2 (ja) 所定の領域内のユーザトラフィック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399292B2 (en) System, method and robot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robot interaction service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443159B2 (en)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target identification server and target identification terminal
JP5766217B2 (ja)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位置特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
JP5963907B2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収集方法及び装置
KR101365993B1 (ko) 데이터처리방법,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수집방법, 및 정보제공방법
JP5716866B2 (ja) 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デバイス検索方法
US201500259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lace
KR20170111054A (ko)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4023147A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収集方法及び装置
US20210144209A1 (en)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773982B1 (ko) 업무용 이동기기를 활용한 핑거프린트 위치 라벨링 방법 및 라벨링 시스템
JP2012107977A (ja) 位置推定装置、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および位置推定用プログラム
KR20160109083A (ko) 휴대용 앱세서리를 이용한 공기품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998182B2 (ja) Poiデータ生成装置、端末装置、poi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71362B1 (ko) M2m 네트워크 시스템 및 m2m 단말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m2m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표준화하는 방법
KR20200022117A (ko)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환경 유해요인 예·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6832A (ko) 맞춤형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JP6698716B2 (ja) 判定プログラム、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KR101970591B1 (ko) 업무용 이동기기를 활용한 핑거프린트 위치 라벨링 방법 및 라벨링 시스템
JP2016212049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装置、位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4240318B2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region
JP6431494B2 (ja)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5897A (ja) 電界強度情報収集システム、電界強度地図更新システム及び位置計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