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585A -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585A
KR20160108585A KR1020167024266A KR20167024266A KR20160108585A KR 20160108585 A KR20160108585 A KR 20160108585A KR 1020167024266 A KR1020167024266 A KR 1020167024266A KR 20167024266 A KR20167024266 A KR 20167024266A KR 20160108585 A KR20160108585 A KR 2016010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quantum well
source
barrier lay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763B1 (ko
Inventor
길버트 드웨이
로버트 에스 차우
마르코 라도사블제빅
매튜 브이 메츠
라비 필라리세티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0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confinement of carriers by at least two heterojunctions, e.g. DHHEMT, quantum well HEMT, DHMODFET
    • H01L29/778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confinement of carriers by at least two heterojunctions, e.g. DHHEMT, quantum well HEMT, DHMODFET using III-V semiconducto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31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66Vertical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및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소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트렌치에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 유전체층 위의 트렌치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QUANTUM-WELL-BASED 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 디바이스 및, 특히,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분야 및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 동안, 집적 회로에서 피처(features)의 스케일링(scaling)은 갈수록 커지는 반도체 산업 배후의 구동력이 되었다. 점점 더 작은 피처는 반도체 칩의 제한된 공간상에 기능적인 유닛의 밀도의 증가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줄어든 트랜지스터 크기는 칩 상에 증가된 수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통합을 허용하고, 증가된 용량을 갖는 제품의 제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갈수록 더 많은 용량을 향한 흐름에 이슈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디바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해야할 필요성은 점점더 중요하게 되었다.
III-V 재료 시스템에서와 같이, 에피텍셜적으로(epitaxially) 성장시킨 반도체 헤테로 구조체(semiconductor hetero-structures)로 형성된 양자 우물 디바이스는 델타 도핑(delta doping)에 의해 감소된 불순물 산란(impurity scattering)을 따른 낮은 유효 질량(low effective mass)에 기인하여 트랜지스터 채널에서의 높은 캐리어 이동성(carrier mobility)을 예외적으로 제공한다. 이들 디바이스는 높은 구동 전류 성능을 제공하고 미래의 저전력, 고속 로직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및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재료 체계 및 디바이스 특성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가 제시된다. 이들 특성 상세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음이 일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경우에서, 패터닝 프로세스와 같이, 잘 알려진 특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자세히 설명되지는 않았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표현이고 반드시 실제 크기로 도시되지 않았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는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갖는 헤테로 구조체를 포함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이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배치된다. 트렌치(trench)는 드레인 영역으로부터의 소스 영역을 분리하는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에 배치된다. 배리어층은 소스와 드레인 영역 사이의 트렌치에 배치된다. 게이트 유전체층(a gate dielectric layer)은 배리어층 위의 트렌치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유전체층 위의 트렌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는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a quantum-well channel region)을 갖는 헤테로 구조체를 포함한다. 배리어층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 바로 위에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은 배리어 층 위에 배치된다. 트렌치는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소스 영역을 분리하는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에 배치된다. 게이트 유전체층은 소스와 드레인 영역 사이의 트렌치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유전체층 위의 트렌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형성된다.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에 트렌치(trench)가 형성된다. 게이트 유전체층은 소스와 드레인 영역 사이의 트렌치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유전체층 위의 트렌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룹 III-V 또는 게르마늄 양자 우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germanium Quantum-Well Field Effect Transistor;QWFET)를 제조하기 위해 게이트 라스트 공정(gate-last flow)이 사용된다. 이 접근방식은 하나 이상의 다음 특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 소스 및 드레인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가 먼저 성장되고 그 다음 게이트 전극을 수용하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에 트렌치가 에칭됨, (2) 재성장(regrowth)이 더 이상 필요하기 않고 양자 우물과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 사이에 배리어의 가능한 제거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소스 및 드레인 성장이 단순화됨, (3) 높은 대역 갭 배리어 재료 및 하이 K 게이트 유전체(a high K gate dielectric)가 프로세스 공정의 후반에 증착될 수 있고 양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ALD) 또는 금속 유기 화학 기상 증착(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증착될 수 있음, (4) 게이트 라스트 공정은 게이트 재료에 인가될 가장 낮은 열 소모 비용(thermal budget)을 가능하게 하거나 이 동작은 프로세싱 스킴의 부분에 있어서 마지막이기 때문에 이 동작에 대한 더 정교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
여기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요 특징은 게이트 트렌치의 에칭, ALD 또는 MOCVD에 의한 게이트 재료의 증착, 및 외부 저항(external resistance;Rext)의 전반적 감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배리어가 존재하지 않고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은 고도로 도핑된(highly doped) 그룹 III-V 또는 게르마늄 재료이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접근방식은 에칭 프로세스 이후에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재성장되는 경우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서 달리 발생할 수도 있는 불순물 및 디스로케이션(dislocation) 형성의 회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 설명된 일부 접근 방식은 프로세스 흐름의 마지막 프로세싱(end-of line processing)에서 배리어 재료의 증착을 가능하게 하여, 게이트 전극 재료의 해로운 열적 영향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 설명된 일부 접근방식은 게이트 스택과 양자 우물 사이의, 게이트 스택 영역 하에서만 배리어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소스/드레인 영역과 양자 우물 사이에서는 가능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기 설명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 라스트 접근 방식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대략 섭씨 500도 이상에서 악화되 었을 것이고, 예를 들어,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소스 및 드레인 어닐링 프로세스를 위해 필요한 온도에서 악화되 었을 배리어 재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의 일부분만을 커버하는 배리어층을 갖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100)는 기판(102)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104)를 포함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 위에 배치된다. 트렌치(110)는 드레인 영역(108B)로부터 소스 영역(108A)을 분리하는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에 배치된다. 배리어층(112)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08A 및 108B) 사이의 트렌치(110)에 배치된다. 게이트 유전체층(114)은 배리어층(112) 위의 트렌치(110)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16)은 게이트 유전체 층(114) 위의 트렌치(110)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테로 구조체(104)는, 도 1에서 도시된 스택(stack)과 같은, 하나 이상의 결정질 반도체층(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의 스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렌치(110)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고, 배리어층(112)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의 노출된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 상에 직접 배치되고, 트렌치(110)는 트렌치(1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의 일부분을 남기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 내로 부분적으로만 배치되며(도시되지 않음), 배리어층(112)은 트렌치(1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의 일부분 상에 직접 배치된다(도시되지 않음).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은 도핑된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층(114)은 알루미늄 산화물(aluminum oxide, Al2O3) 또는 하프늄 산화물(hafnium oxide, HfO2)과 같은, 하이 K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116)은 금속 게이트 전극이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108)은 도핑된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포함하고, 게이트 유전체층(114)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하프늄 산화물(HfO2)과 같은, 하이 K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게이트 전극(116)은 금속 게이트 전극이다.
기판(102)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해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102)은 재료의 단결정(single crystal)으로 구성된 벌크(bulk) 기판이며, 재료는 실리콘(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실리콘 게르마늄(silicon-germanium)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a III-V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102)은 상부 에피택셜 층(a top epitaxial layer)을 갖는 벌크층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벌크층은 재료의 단결정(single crystal)으로 구성되며,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quartz)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면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며, 이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102)은 더 낮은 벌크 층 위의 중간 절연층(a middle insulator layer) 상의 상부 에피택셜층을 포함한다.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고, 실리콘(예를 들어,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ilicon-On-Insulator;SOI)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기 위해),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층은 실리콘 이산화물(silicon dioxide),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ide)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silicon oxy-nitride)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더 낮은 벌크층은 단결정으로 구성되며,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102)은 도펀트 불순물 원자(dopant impurity atom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 구조체(104)는 상부에 배치된 하부 배리어층(a bottom barrier layer)을 갖는 조성 버퍼층(compositional buffer layer)과 같이, 하나 이상의 결정질 반도체층의 스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조성 버퍼층은 특정 래티스 구조(lattice structure)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결정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특정 래티스 구조상에 하부 배리어층이 무시할 만한 디스로케이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래티스 상수의 기울기로, 반도체 헤테로 구조체(104)의 노출된 성장 표면을 기판(102)의 래티스 구조에서부터 그 상부의 높은 퀄리티의 에피택셜 성장에 더 적합한 낮은 결함의 층까지 변화시키는데 조성 버퍼층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성 버퍼층은 기판(102)의 부적합한 래티스 상수 대신에 에피택셜 성장을 위해 더 적합한 래티스 상수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실시예에서, 기판(102)은 단결정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조성 버퍼층(104)은 대략 1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InAlAs의 층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102)의 래티스 상수가 양자 우물 반도체 디바이스를 위한 하부 배리어층의 성장에 적합하기 때문에 조성 버퍼층이 생략되었다.
하부 배리어층은 상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confine)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배리어층은 조성 버퍼층의 상부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하부 배리어층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N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quantum confinement)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 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P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을 위해 사용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낮은 저항으로 파동 함수를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헤테로 구조체(104)의 하부 배리어 층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그룹 III(예를 들어, 붕소(boron), 알루미늄(aluminum), 갈륨(gallium) 또는 인듐(indium)) 및 그룹 V(예를 들어, 질소(nitrogen), 인(phosphorous), 비소(arsenic) 또는 안티몬(antimony)) 요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InAs 또는 InSb로 구성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을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이 헤테로 구조체(104)의 하부 배리어층 또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 상에 형성된 상부 배리어층(예를 들어, 배리어 층(112))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키기에 적합하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대략 150 내지 200 나노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실리콘 게르마늄 반도체 재료 또는 II-VI 반도체 재료와 같은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은 대략 50 내지 100 옹스트롬(Angstro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스트레인 양자 우물 영역(a strained quantum-well region)이다.
배리어층(112)은 하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리어층(112)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106)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배리어층(112)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2)은 인듐 인화물(indium phosphide, InP), 갈륨 질화물(gallium nitride, GaN), 또는 인듐 갈륨 인화물(indium galliun phosphide, InGaP)과 같은 재료의 층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2)은 대략 1 내지 3 나노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는 전체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커버하는 배리어층을 갖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200)는 기판(202)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204)를 포함한다. 배리어층(212)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 상에 직접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은 배리어층(212) 위에 배치된다. 트렌치(210)는 드레인 영역(208B)으로부터 소스 영역(208A)을 분리하는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에 배치된다. 게이트 유전체층(214)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208A 및 208B) 사이의 트렌치(210)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216)은 게이트 유전체 층(214) 위의 트렌치(210)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테로 구조체(204)는, 도 2에서 도시된 스택(stack)과 같은, 하나 이상의 결정질 반도체층(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의 스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210)는 배리어층(212)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고, 게이트 유전체층(214)은 배리어층(212)의 노출된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은 배리어층(212) 상에 직접 배치되고(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210)는 트렌치(2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의 일부분을 남긴 채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 내로 부분적으로만 배치되고(도시되지 않음), 게이트 유전체층(214)은 트렌치(2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의 일부분 상에 직접 배치된다(도시되지 않음).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은 도핑된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층(214)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하프늄 산화물(HfO2)과 같은, 하이 K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216)은 금속 게이트 전극이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208)은 도핑된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포함하고, 게이트 유전체층(214)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하프늄 산화물(HfO2)과 같은, 하이 K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게이트 전극(216)은 금속 게이트 전극이다.
기판(202)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해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202)은 재료의 단결정으로 구성된 벌크 기판이며,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202)은 상부 에피택셜 층을 갖는 벌크층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벌크층은 재료의 단결정으로 구성되며,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면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며, 이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202)은 더 낮은 벌크 층 위의 중간 절연층 상의 상부 에피택셜층을 포함한다.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고, 실리콘(예를 들어,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OI)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기 위해),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층은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더 낮은 벌크층은 단결정으로 구성되며,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202)은 도펀트 불순물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 구조체(204)는 상부에 배치된 하부 배리어층을 갖는 조성 버퍼층과 같이, 하나 이상의 결정질 반도체층의 스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조성 버퍼층은 특정 래티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결정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특정 래티스 구조상에 하부 배리어층이 무시할 만한 디스로케이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래티스 상수의 기울기로, 반도체 헤테로 구조체(204)의 노출된 성장 표면을 기판(202)의 래티스 구조에서부터 그 상부의 높은 퀄리티의 에피택셜 성장에 더 적합한 낮은 결함의 층까지 변화시키는데 조성 버퍼층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성 버퍼층은 기판(202)의 부적합한 래티스 상수 대신에 에피택셜 성장을 위해 더 적합한 래티스 상수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실시예에서, 기판(202)은 단결정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조성 버퍼층(204)은 대략 1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InAlAs의 층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202)의 래티스 상수가 양자 우물 반도체 디바이스를 위한 하부 배리어 층의 성장에 적합하기 때문에 조성 버퍼층이 생략되었다.
하부 배리어층은 상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배리어층은 조성 버퍼층의 상부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하부 배리어층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N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 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P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을 위해 사용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낮은 저항으로 파동 함수를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헤테로 구조체(204)의 하부 배리어 층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그룹 III(예를 들어, 붕소, 알루미늄, 갈륨 또는 인듐) 및 그룹 V(예를 들어, 질소, 인, 비소 또는 안티몬) 요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InAs 또는 InSb로 구성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을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이 헤테로 구조체(204)의 하부 배리어층 또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 상에 형성된 상부 배리어층(예를 들어, 배리어 층(212))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키기에 적합하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대략 150 내지 200 나노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실리콘 게르마늄 반도체 재료 또는 II-VI 반도체 재료와 같은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은 대략 50 내지 100 옹스트롬 범위의 두께를 갖는 스트레인 양자 우물 영역이다.
배리어층(212)은 하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리어층(212)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206)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배리어층(212)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212)은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또는 인듐 갈륨 인화물(InGaP)과 같은 재료의 층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212)은 대략 1 내지 3 나노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게이트 라스트 또는 대체 게이트(replacement gate) 접근방식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400)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서의 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흐름도(300)의 동작(302) 및 대응하는 도 4a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402)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404)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판(402)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해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402)은 재료의 단결정으로 구성된 벌크 기판이며,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402)은 상부 에피택셜 층을 갖는 벌크층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벌크층은 재료의 단결정으로 구성되며,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면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며, 이는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402)은 더 낮은 벌크 층 위의 중간 절연층 상의 상부 에피택셜층을 포함한다. 상부 에피택셜층은 단결정층으로 구성되고, 실리콘(예를 들어,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OI)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기 위해),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층은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더 낮은 벌크층은 단결정으로 구성되며,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III-V 화합물 반도체 재료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402)은 도펀트 불순물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 구조체(404)는 상부에 배치된 하부 배리어층을 갖는 조성 버퍼층과 같이, 하나 이상의 결정질 반도체층의 스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조성 버퍼층은 특정 래티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결정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특정 래티스 구조상에 하부 배리어층이 무시할 만한 디스로케이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래티스 상수의 기울기로, 반도체 헤테로 구조체(404)의 노출된 성장 표면을 기판(402)의 래티스 구조에서부터 그 상부의 높은 퀄리티의 에피택셜 성장에 더 적합한 낮은 결함의 층까지 변화시키는데 조성 버퍼층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성 버퍼층은 기판(402)의 부적합한 래티스 상수 대신에 에피택셜 성장을 위해 더 적합한 래티스 상수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실시예에서, 기판(402)은 단결정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조성 버퍼층(404)은 대략 1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InAlAs의 층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402)의 래티스 상수가 양자 우물 반도체 디바이스를 위한 하부 배리어 층의 성장에 적합하기 때문에 조성 버퍼층이 생략되었다.
하부 배리어층은 상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배리어층은 조성 버퍼층의 상부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하부 배리어층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As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N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배리어 층은 대략 1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In0.65Al0.35Sb의 층으로 구성된 하부 배리어층은 P 타입 반도체 디바이스에서의 양자 구속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성 버퍼층 및 하부 배리어층은 기판(402)의 표면 상에서 수행된 분자 빔 에피택시 기술(molecular-beam epitaxy technique)에 의해 증착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낮은 저항으로 파동 함수를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헤테로 구조체(404)의 하부 배리어 층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그룹 III(예를 들어, 붕소, 알루미늄, 갈륨 또는 인듐) 및 그룹 V(예를 들어, 질소, 인, 비소 또는 안티몬) 요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InAs 또는 InSb로 구성된다.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을 전파시키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파동 함수의 상당한 부분이 헤테로 구조체(404)의 하부 배리어층 또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 상에 형성된 상부 배리어층(예를 들어, 배리어 층(412))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키기에 적합하다.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대략 150 내지 200 나노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실리콘 게르마늄 반도체 재료 또는 II-VI 반도체 재료와 같은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대략 50 내지 100 옹스트롬 범위의 두께를 갖는 스트레인 양자 우물 영역이다.
흐름도(300)의 동작(304) 및 대응하는 도 4b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 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핑된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은 분자 빔 에피택시에 의해 재료 조성물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흐름도(300)의 동작(306) 및 대응하는 도 4c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드레인 영역(408B)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408A)을 제공하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에서 트렌치(4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410)는 건식 또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의 상부 표면은 에칭 차단(etch stop)으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트렌치(410)는 건식 또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배리어층의 상부 표면은 에칭 차단으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트렌치(410)는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관통하여 완전하게 에칭하기 이전에 중지된 건식 또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배리어층(412)은 트렌치(410) 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410)를 형성하는 단계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도 4c에서 도시됨)를 포함하고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의 노출된 표면 상에 직접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도 4d에서 도시됨)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는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 상에 직접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도 4b에서 도시됨)를 포함하고, 트렌치(410)를 형성하는 단계는 트렌치(4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의 일부분을 남기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 내로 부분적으로만 에칭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는 트렌치(4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의 일부분 상에 직접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은 대략 섭씨 550도에서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배리어층(412)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 상에 직접 형성된다(도시되지 않음).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410)를 형성하는 단계는 배리어층(412)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는 배리어층(414)의 노출된 표면 상에 직접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는 배리어층(412) 상에 직접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트렌치(410)를 형성하는 단계는 트렌치(4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의 일부분을 남기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 내로 부분적으로만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는 트렌치(410)의 하부에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408)의 부분 상에 직접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리어층(412)은 하부에 형성된 양자 우물에서 파동 함수를 구속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리어층(412)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406)의 래티스 상수에 적합하게 매칭되는 래티스 상수를 갖고, 예를 들어, 래티스 상수는 충분히 유사하여 배리어층(412)에서의 디스로케이션 형성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412)은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또는 인듐 갈륨 인화물(InGaP)과 같은 재료의 층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리어층(412)을 형성하는 단계는, 원자층 증착에 의해,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또는 인듐 갈륨 인화물(InGaP)과 같은 재료의 층을 형성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412)은 대략 1 내지 3 나노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흐름도(300)의 동작(308) 및 대응하는 도 4e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408A 및 408B) 사이의 트렌치(410) 내에 게이트 유전체층(41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유전체층(414)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하프늄 산화물(HfO2)과 같은, 하이 K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흐름도(300)의 동작(310) 및 대응하는 도 4f를 참조하면,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게이트 유전체층(414) 위의 트렌치(410) 내에 게이트 전극(41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전극(416)은 금속 게이트 전극이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416)은 금속 질화물(metal nitride), 금속 탄화물(metal carbide), 금속 규화물(metal silicide), 하프늄(hafnium), 지르코늄(zirconium), 티타늄(titanium), 탄탈룸(tantalum), 알루미늄(aluminum), 루테늄(ruthenium), 팔라듐(palladium), 백금(platinum), 코발트(cobalt) 또는 니켈(nickel)과 같은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서,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및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은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형성된다. 트렌치는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에서 형성된다. 게이트 유전체층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트렌치에서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유전체층 위의 트렌치에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트렌치에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대략 섭씨 550도에서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가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원자층 증착에 의해,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또는 인듐 갈륨 인화물(InGaP)과 같은 재료의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재료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양자 우물 채널 영역 바로 위에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0,200,300,400 :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102,202,302,402 : 기판
104,204,304,404 : 헤테로 구조체
106,206,306,406 : 양자 우물 채널 영역
108A,208A,308A,408A : 소스 재료 영역
108B,208B,308B,408B : 드레인 영역
110,210,310,410 : 트렌치
112,212,312,412 : 배리어층
114,214,314,414 : 게이트 유전체층
116,216,316,416 : 게이트 전극

Claims (11)

  1.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a quantum-well-based semiconductor device)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a hetero-structure)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a source and drain material region)을 형성하는 단계와,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 내에 배리어층(a barrier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의 상부 표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의 노출된 표면 상에 직접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 ― 와,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유전체층(a gate dielectric layer)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유전체층 위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a gate electrode)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대략 섭씨 550도에서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원자층 증착에 의해 인듐 인화물(indium phosphide, InP), 갈륨 질화물(gallium nitride, GaN), 및 인듐 갈륨 인화물(indium galliun phosphide, InGaP)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핑된(doped)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5.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 내에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상에 상기 직접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의 하부(bottom)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의 일부분을 남기도록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 내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의 일부분 상에 직접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 ― 와,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유전체층 위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대략 섭씨 550도에서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원자층 증착에 의해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및 인듐 갈륨 인화물(InGaP)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핑된(doped)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배치되고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헤테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상에 직접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 위에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소스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리어층 상에 직접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의 일부분을 남기도록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 내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의 일부분 상에 직접 상기 게이트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 ― 와,
    상기 게이트 유전체층 위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우물 채널 영역은 그룹 III-V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핑된(doped) 그룹 III-V 재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원자층 증착에 의해 인듐 인화물(InP), 갈륨 질화물(GaN), 및 인듐 갈륨 인화물(InGaP)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67024266A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1735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32,498 US8258543B2 (en) 2009-12-07 2009-12-07 Quantum-well-based semiconductor devices
US12/632,498 2009-12-07
PCT/US2010/053218 WO2011071598A2 (en) 2009-12-07 2010-10-19 Quantum-well-based semiconductor devi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95A Division KR101655953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193A Division KR101780219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585A true KR20160108585A (ko) 2016-09-19
KR101735763B1 KR101735763B1 (ko) 2017-05-29

Family

ID=4408114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193A KR101780219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27016892A KR101449401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KR1020167024266A KR101735763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47006395A KR101655953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193A KR101780219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27016892A KR101449401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95A KR101655953B1 (ko) 2009-12-07 2010-10-19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258543B2 (ko)
EP (1) EP2510547A4 (ko)
JP (1) JP5571193B2 (ko)
KR (4) KR101780219B1 (ko)
CN (2) CN105226092B (ko)
HK (2) HK1175588A1 (ko)
TW (2) TWI623042B (ko)
WO (1) WO201107159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404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WO2018236405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WO2018236403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7432B1 (en) * 2008-11-13 2013-01-09 Epcos AG P-type field-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production
US8368052B2 (en) 2009-12-23 2013-02-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forming contacts to quantum well transistors
US8890264B2 (en) * 2012-09-26 2014-11-18 Intel Corporation Non-planar III-V 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conformal metal gate electrode and nitrogen doping of gate dielectric interface
US8823059B2 (en) 2012-09-27 2014-09-02 Intel Corporation Non-planar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roup III-V material active region with multi-dielectric gate stack
CN105556676B (zh) * 2013-09-27 2019-03-19 英特尔公司 具有ⅲ-ⅴ族材料有源区和渐变栅极电介质的半导体器件
WO2016048377A1 (en) * 2014-09-26 2016-03-31 Intel Corporation Metal oxide metal field effect transistors (momfets)
US10431695B2 (en) 2017-12-20 2019-10-01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comprising at lease one of GaP, GaN, and GaAs
US10825816B2 (en) * 2017-12-28 2020-11-03 Micron Technology, Inc. Recessed access devices and DRAM constructions
US10319586B1 (en) 2018-01-02 2019-06-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comprising an atomic layer deposition sequence
US10734527B2 (en) 2018-02-06 2020-08-04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comprising a pair of source/drain regions having a channel there-between
KR102250011B1 (ko) 2018-10-18 2021-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막 구조체, 소자 및 멀티레벨 소자
WO2020080621A1 (ko) * 2018-10-18 2020-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막 구조체, 소자 및 멀티레벨 소자
CN114497112B (zh) * 2022-03-30 2022-07-15 季华实验室 一种Micr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873A (ja) * 1985-05-24 1986-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JPH06196508A (ja) * 1992-12-24 1994-07-15 Fujitsu Ltd pチャネルヘテロ接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5986291A (en) * 1993-10-12 1999-11-16 La Corporation De L'ecole Polytechnique Field effect devices
JPH07263664A (ja) * 1994-03-17 1995-10-13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43849B2 (ja) * 1994-08-01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US6191432B1 (en) 1996-09-02 2001-02-20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mory device
JP2001177089A (ja) * 1999-12-20 2001-06-29 Nec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6521961B1 (en) * 2000-04-28 2003-02-18 Motorola, Inc.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barrier layer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substrate and method therefor
US6992319B2 (en) * 2000-07-18 2006-01-31 Epitaxial Technologies Ultra-linear multi-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US6841809B2 (en) * 2003-04-08 2005-01-11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Hetero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US7098490B2 (en) * 2003-06-02 2006-08-29 Hrl Laboratories, Llc GaN DHFET
US6939751B2 (en) * 2003-10-22 2005-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manufacture of thin silicon on insulator (SOI) with recessed channel
KR100566255B1 (ko) 2004-02-19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CN100508212C (zh) * 2004-06-24 2009-07-01 日本电气株式会社 半导体器件
US7229903B2 (en) * 2004-08-25 2007-06-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cessed semiconductor device
WO2006132659A2 (en) 2005-06-06 2006-12-1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Nanowire heterostructures
US20070018199A1 (en) * 2005-07-20 2007-01-25 Cree, Inc. Nitride-based transistors and fabrication methods with an etch stop layer
JP2007035905A (ja) * 2005-07-27 2007-02-08 Toshiba Corp 窒化物半導体素子
JP4751150B2 (ja) * 2005-08-31 2011-08-17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系半導体装置
US7485503B2 (en) * 2005-11-30 2009-02-03 Intel Corporation Dielectric interface for group III-V semiconductor device
JP5179023B2 (ja) * 2006-05-31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5334149B2 (ja) * 2006-06-02 2013-11-0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窒化物半導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7342244B2 (en) * 2006-07-19 2008-03-11 Tokyo Electron Limited Spintronic transistor
US7655962B2 (en) * 2007-02-23 2010-02-02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Enhancement mode insulated gate heterostructure field-effect transistor with electrically isolated RF-enhanced source contact
US7713802B2 (en) * 2007-03-12 2010-05-11 Chang Gung University Method of sulfuration treatment for a strained InAlAs/InGaAs meta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JP5291309B2 (ja) * 2007-08-13 2013-09-1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5417693B2 (ja) * 2007-08-22 2014-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670894B2 (en) * 2008-04-30 2010-03-02 Intel Corporation Selective high-k dielectric film deposition for semiconductor device
CN101877360A (zh) * 2009-04-30 2010-11-03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集成电路结构
US8455860B2 (en) * 2009-04-30 2013-06-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ducing source/drain resistance of III-V based transistor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404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WO2018236405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WO2018236403A1 (en) * 2017-06-24 2018-12-27 Intel Corporation QUANTIC POINT DEVICES
US11038021B2 (en) 2017-06-24 2021-06-15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US11063138B2 (en) 2017-06-24 2021-07-13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US11322591B2 (en) 2017-06-24 2022-05-03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US11721723B2 (en) 2017-06-24 2023-08-08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US11721748B2 (en) 2017-06-24 2023-08-08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9572A1 (zh) 2017-04-07
CN105226092B (zh) 2019-08-09
TW201133645A (en) 2011-10-01
EP2510547A4 (en) 2015-06-17
TWI469226B (zh) 2015-01-11
KR20140039090A (ko) 2014-03-31
JP2013509735A (ja) 2013-03-14
WO2011071598A3 (en) 2011-08-18
KR20160139057A (ko) 2016-12-06
US8748269B2 (en) 2014-06-10
EP2510547A2 (en) 2012-10-17
WO2011071598A2 (en) 2011-06-16
HK1175588A1 (zh) 2013-07-05
KR20120089355A (ko) 2012-08-09
KR101780219B1 (ko) 2017-09-21
KR101449401B1 (ko) 2014-10-13
US20110133168A1 (en) 2011-06-09
TWI623042B (zh) 2018-05-01
TW201523740A (zh) 2015-06-16
CN102656695A (zh) 2012-09-05
KR101655953B1 (ko) 2016-09-08
US20120298958A1 (en) 2012-11-29
US8536621B2 (en) 2013-09-17
US20130337623A1 (en) 2013-12-19
JP5571193B2 (ja) 2014-08-13
CN105226092A (zh) 2016-01-06
KR101735763B1 (ko) 2017-05-29
US8258543B2 (en) 2012-09-04
CN102656695B (zh)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763B1 (ko) 양자 우물 기반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356279B1 (ko) 고성능 mosfet
US10804410B2 (en) Bottom channel isolation in nanosheet transistors
US10002948B2 (en) FinFET having highly doped source and drain regions
US8575596B2 (en) Non-planar germanium quantum well devices
US8344418B2 (en) Materials for interfacing high-K dielectric layers with III-V semiconductors
US8227833B2 (en) Dual layer gate dielectrics for non-silicon semiconductor devices
US20190371911A1 (en)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with reduced subthreshold swing
US10002925B2 (en) Strained semiconductor device
Caymax et al. Epitaxy of III–V based channels on Si and transistor integration for 12-10nm node CM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