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255A - 유압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8255A KR20160108255A KR1020160031142A KR20160031142A KR20160108255A KR 20160108255 A KR20160108255 A KR 20160108255A KR 1020160031142 A KR1020160031142 A KR 1020160031142A KR 20160031142 A KR20160031142 A KR 20160031142A KR 20160108255 A KR20160108255 A KR 201601082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isel
- front head
- lubricant
- circumferential surface
- pis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타 발생시 치즐에 의해 툴핀이 받은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발생되어 치즐을 상승시키는 반발력이 치츨반발완충유닛에 의해 감소되므로 피스톤과 프론트헤드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타충격감소부재에 의해 공타 발생시 치즐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려는 윤활재가 받는 저항이 증가되므로 치즐에 의해 툴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프론트헤드 및 툴핀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발생되어 치즐을 상승시키는 반발력이 치츨반발완충유닛에 의해 감소되므로 피스톤과 프론트헤드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타충격감소부재에 의해 공타 발생시 치즐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려는 윤활재가 받는 저항이 증가되므로 치즐에 의해 툴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프론트헤드 및 툴핀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프론트헤드 내에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고, 공타 발생시 치즐에 의해 툴핀이 받은 충격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에 장착되는 브레이커는 굴착기의 유압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브레이커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타격용 피스톤이 프런트헤드에 장착되어 치즐을 타격하여 암반 등과 같은 파쇄목적물을 파쇄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압브레이커의 통상적인 구조는 유압브레이커의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하부에 연결되며 피스톤의 타격이 가하여지는 타격실이 마련되는 프론트헤드와, 상단부가 타격실에 위치되게 프론트헤드 내에 설치되며 파쇄목적믈을 파쇄하는 치즐과, 실린더 하부와 실린더 상부에 유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밸브로 이루어진다.
치즐은 피스톤의 운동에너지를 충격에너지로 변화하여 파쇄목적물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피스톤이 최대 상승위치인 상사점의 위치로부터 하강하여 최대타격위치인 하사점의 위치로 변위되면서 피스톤의 하단부가 치즐의 상단을 타격하게 되면, 치즐은 피스톤에게 받은 타격력인 충격에너지를 파쇄목적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치즐은 프론트헤드에 제한된 거리만큼 운동가능하게 되는데 프론트헤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툴핀에 의해 지지된다. 굴삭기의 조작으로 치즐을 파쇄목적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유압브레이커를 누르게 되면, 치즐은 위로 밀려올라가며 피스톤을 고압포트를 열어 고압을 받을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압브레이커에 기계적으로 외력을 가하여, 치즐을 파쇄목적물에 접촉시켜 가압함으로써, 치즐을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유압브레이커의 '예압'이라 칭한다.
여기서 치즐이 예압되지 않은 상태 즉, 치즐이 툴핀에 걸려져 있는 상태나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되어 자중에 의해 치즐이 하강하는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승위치에서 타격위치로 운동하게 될 경우,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기 못하고 실린더 또는 프론트헤드의 내벽을 직접 타격하여 피스톤과 실린더에 과도한 응력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공타(no-load strikes 또는 idle blow)라고 한다.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 된 후 작업자가 유압브레이커 작동을 멈추지 않게 되면 유압브레이커는 지속적으로 공타 상태에서 작동되게된다.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파쇄목적물의 파쇄가 완전히 끝났음을 인지하고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을 멈추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공타 발생이 진행되게 된다.
공타는 피스톤이 프론트헤드에 충격을 주게되어 프런트 헤드 및 프론트헤드 내부에 장착된 스톱핀, 트러스트링, 툴핀 등과 같은 조립부품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811호에는 치즐을 지지하는 치즐핀(툴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유압브레이커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압브레이커는 공타 발생시 치즐핀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한편, 치즐이 피스톤에 타격되는 힘을 이용하여 파쇄목적물을 파쇄할 때,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되기 전까지 파쇄목적물으로부터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 반발력으로 인해 치즐이 상승되어 프론트헤드 내부와 피스톤을 타격하게 된다. 특히, 피스톤의 타격력와 파쇄목적물의 반발력의 충돌로 인하여 진동과 소음이 더욱 증가되면서 유압브레이커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쇄목적물 파쇄 중에 파쇄목적물으로부터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상승되는 치즐로 인한 내부충격을 감소시키고,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되어 자중에 의해 치즐이 하강하면서 발생되기 시작하는 공타에 의해 프론트헤드와 툴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압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는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에 결합되는 프론트헤드와; 상기 피스톤에 타격되게 상부가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위치되는 상부의 외주면 중 상호 대응되는 양측에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치즐과; 상기 프론트헤드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홈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상하로 유동 가능한 걸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치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툴핀과; 상기 프론트헤드와 상기 치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프론트헤드, 상기 툴핀 그리고 상기 치즐의 마모을 방지하는 윤활재와;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상기 치즐의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하이동시 상기 치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윤활재가 받는 저항을 증가시켜 공타 발생시 상기 치즐에 의해 상기 툴핀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공타충격감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타충격감소부재는 상기 치즐보다 큰 직경으로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치즐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치즐이 관통되며 외주면이 상기 프론트헤드 내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되 상기 툴핀이 상기 걸림홈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툴핀에 대응되는 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제1 및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치즐 방향으로 상기 치즐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윤활재가 상기 치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윤활재이동억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윤활재이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상기 치즐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이동억제턱과, 상기 제1이동억제턱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치즐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이동억제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이동억제턱과 상기 제2이동억제턱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상기 이동억제턱의 각 단부에 대해 상기 프론트헤드 방향으로 인입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헤드 내측으로 상기 윤활재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는 윤활재공급노즐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상기 윤활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윤활재공급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기 피스톤에 타격되어 파쇄목적물에 충격을 가할 때 파새되지 않은 파쇄목적물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치즐이 상기 피스톤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프론트헤드에 발생되는 응력을 완충할 수 있는 치즐반발완충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치즐반발완충유닛은 왕복운동시 상기 프론트헤드로 진입되는 상기 피스톤의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관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프론트헤드 내로 상기 피스톤의 진입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축소부가 형성되는 상부부쉬와, 상기 치즐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고정장착되는 하부부쉬와, 상기 치즐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부쉬와 상기 하부부쉬 사이에 상기 프론트헤드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부쉬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상기 치즐의 상기 프론트헤드 상부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러스트링과, 상기 상부부쉬와 상기 스러스트링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상부부쉬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파쇄목적물부터 상기 치즐이 받는 반발력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치즐과 상기 스러스트링이 접촉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프론트 헤드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발생되어 치즐을 상승시키는 반발력이 치츨반발완충유닛에 의해 감소되므로 피스톤과 프론트헤드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타충격감소부재에 의해 공타 발생시 치즐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려는 윤활재가 받는 저항이 증가되므로 치즐에 의해 툴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프론트헤드 및 툴핀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압브레이커에 대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압브레이커에 대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치즐이 피스톤에 타격 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치즐이 피스톤에 타격 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치즐이 하강되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공타충격감소부재에 대한 사시도 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치즐반발완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브레이커에 대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압브레이커에 대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치즐이 피스톤에 타격 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치즐이 피스톤에 타격 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치즐이 하강되는 상태의 프론트헤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공타충격감소부재에 대한 사시도 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치즐반발완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1)가 도시되어 있다.
유압브레이커(1)는 통상적인 유압브레이커와 같은 구조에 공타충격감소부재(100)가 마련된다. 유압브레이커(1)는 피스톤(10)이 왕복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실린더(20)와, 실린더(2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프론트헤드(30)와, 피스톤(10)에 타격되며 그 타격력을 파쇄목적물로 전달하는 치즐(40)과,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되어 치즐(40)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툴핀(60)을 구비하며, 공타 발생 시 프론트헤드(30), 툴핀(60)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타충격감소부재(100)와, 치즐반발완충유닛(90)을 구비한다.
실린더(20)는 유압을 이용하여 피스톤(10)을 왕복 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서, 일측에 유압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밸브(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20)더는 밸브(50)와 인접한 하측에 유압오일을 일시 저장하여 운동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어큐물레이터(55)가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10)은 실린더(20)의 일단에 대해 돌출되게 왕복 운동한다.
프론트헤드(30)는 실린더(20)의 일단에 결합되며 피스톤의 운동방향에 나란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프론트헤드(30)는 상부에 피스톤(10)의 왕복운동시 실린더(20)의 일단에 대해 돌출되는 피스톤(1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타격실(31)이 마련되며 타격실(31)의 하방에는 치즐(40)이 피스톤의 왕복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치즐(40)의 상단은 타격실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헤드(30)는 후술되는 툴핀(60)이 프론트헤드(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론트헤드(3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툴핀(6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천공된 복수 개의 툴핀삽입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툴핀삽입공(33)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툴핀(60)의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헤드(30)는 프론트헤드(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며 툴핀삽입공(33)의 연장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툴핀삽입공(33)들과 연통되는 결합공(35)이 형성된다. 결합공(35)은 툴핀삽입공(33)에 삽입된 툴핀(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핀(70)이 결합되는 곳이다. 결합공(35)은 툴핀삽입공(33)의 일측과 타측에 스톱핀(70)이 각각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톱핀(70)은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툴핀삽입공(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어 있다.
치즐(40)은 타격실(31)의 하부로 하강하는 피스톤(10)에 타격되게 상부가 프론트헤드(30) 내에 상부가 설치되고 피스톤(10)의 타격에 의한 충격력으로 파쇄목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프론트헤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프론트헤드(30)의 단부에 대해 돌출형성된다.
치즐(40)은 파쇄목적물에 접촉되어 파쇄목적물을 가압하면서 피스톤(10)에 타격될 수 있는 위치인 프론트헤드(30) 상부로 상승되거나, 피스톤(10)의 타격에 의한 충격력을 파쇄목적물에 전달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된다.
치즐(40)은 프론트헤드(30) 내에 위치되는 상부의 외주면 중 상호 대응되는 양측에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홈(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41)은 후술되는 툴핀(60)보다 프론트헤드(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툴핀(60)은 프론트헤드(30)의 내주면과 치즐(40)의 걸림홈(41) 사이에 위치되게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되어 치즐(40)이 프론트헤드(30) 내에 프론트헤드의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걸림상태가 되도록 치즐(40)을 지지한다. 툴핀(60)은 툴핀삽입공(31)에 삽입되는데, 결합공(35)에 설치되어 툴핀삽입공(31)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스톱핀(70)에 의해 고정된다. 툴핀(60)은 치즐(4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1)에 각각 위치되어 치즐(40)의 이동방향에 따라 걸림홈(41)의 상단과 하단과 접촉되면서 치즐(40)이 프론트헤드(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즐(40) 유동시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프론트헤드(30)와 치즐(4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윤활재(80)가 충진된다. 윤활재(80)는 공타 발생 시나 치즐(40)의 이동에 따른 충격이나 마찰에 의해 프론트 헤드(30), 툴핀(60), 그리고 치즐에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윤활재(80)는 프론트헤드(30)에 장착된 윤활재공급노즐(85)을 통해 프론트헤드(30) 내측로 공급된다. 윤활재는 일반적인 그리스(Grease)가 사용된다.
치즐반발완충유닛(90)은 프론트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치즐(40)이 피스톤(10)에 타격되어 파쇄목적물에 충격을 가할 때, 파쇄되지 않은 파쇄목적물에 의해 치즐(40)이 받는 반발력으로 인해 치즐(40)이 피스톤(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10) 및 프론트헤드(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치즐반발완충유닛(90)은 상부부쉬(91)와, 하부부쉬(93)와, 스러스트링(94)과, 탄성체(97)를 구비한다.
상부부쉬(91)는 피스톤(10)의 왕복운동시 프론트헤드(30) 상부로 수용되는 피스톤(10)의 외측에 위치되게 프론트헤드(30)의 타격실(31)에 고정 장착된다. 상부부쉬(91)는 상부에 피스톤()이 진입되고, 하부에 치즐(40)이 진입될 수 있도록 상하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부쉬(91)는 하부에 프론트헤드 내로 피스톤(10)의 진입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1내경축소부(91a)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부쉬(91)의 하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인입되어 후술되는 탄성체(97)가 장착되는 홈(92)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하부부쉬(93)는 상하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치즐(40)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며 상부부쉬(91)에 대해 소정간격 이격되게 프론트헤드(30)에 고정장착된다. 하부부쉬(93)는 치즐(4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며 후술되는 스러스트링(9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러스트링(94)은 도 9를 참조하면, 치즐(40)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부부쉬(91)와 하부부쉬(93) 사이에 프론트헤드(30)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이 하부부쉬(93)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치즐(40)의 프론트헤드(30) 상부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스러스트링(94)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상으로서 하부보다 상부의 외경이 작은 계단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탄성체(97)의 하부와 접촉되는 탄성체안착부(94a)가 형성된다. 또한 스러스트링(94)은 내측에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어 치즐(40)의 진입을 제한하는 제2내경축소부(94b)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97)는 상부부쉬(91)와 스러스트링(94) 사이에 위치되게 상부부쉬(91)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탄성체(97)는 상부부쉬(91)의 하부에 형성된 홈(9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되며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탄성체(97)는 파쇄목적물부터 치즐(40)이 받는 반발력에 의해 치즐(40)이 피스톤(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러스트링(94)과 접촉시 피스톤(10) 및 프론트 헤드(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공타충격완충부재(100)는 걸림홈(41)이 형성되는 치즐(40)의 외측에 위치되게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된다. 공타충격완충부재(100)는 치즐(4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윤활재(80)가 받는 저항을 증가시켜 공타 발생시 치즐(40)에 의해 툴핀(60)과 프론트헤드(30)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타충격완충부재(100)는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10)와, 윤활재이동억체턱부(120)를 구비한다.
몸체부(110)는 치즐(40)의 직경보다 크게 상하로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이 치즐(40)에 대해 이격되게 치즐(40)이 관통된다. 몸체부(110)는 외주면이 치즐(40)의 걸림홈(41)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론트헤드(30) 내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되, 툴핀(60)이 걸림홈(41)에 접촉될 수 있도록 툴핀에 대응되는 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관통부(113, 115)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관통부(113,115)는 상호 대응되게 관통형성되는데, 각각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따라 소정거리 연장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즐(40)의 걸림홈(41)에 접촉되는 툴핀(60)의 일측이 몸체부(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관통부(113, 115)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의 양측의 상단과 하단은 툴핀(60)의 상단과 하단과 접촉되게 상방과 하방에 위치된다.
또한, 몸체부(110)는 일측에 프론트헤드(30) 내측으로 윤활재(80)를 공급하기 위해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되는 윤활재공급노즐(85)과 연통되어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윤활재(80)가 공급되도록 하는 윤활재공급관통공(111)이 관통형성된다.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제1 및 제2관통부(113, 115) 사이의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치즐(40) 방향으로 치즐(40)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치즐의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외주면과 프론트헤드 사이의 빈 공간으로 윤활재(80)가 치즐(4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윤활재(80)가 툴핀(60)과 걸림홈(41)이 접촉되는 부분으로만 이동되게 유도하여 윤활재(80)가 받는 저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제1이동억제턱(121)과, 제2이동억제턱(125)을 구비한다. 제1이동억제턱(121)은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치즐(4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제2이동억제턱(125)은 제1이동억제턱(121)의 하방에 형성된다. 제2이동억제턱(125)은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치즐(4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또한, 윤활재이동억제부(120)는 제1이동억제턱(121)과 제2이동억제턱(125)의 사이에 제1 및 제2 이동억제턱(121, 125)의 각 단부에 대해 프론트헤드(30) 방향으로 인입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인입홈(127)이 형성된다.
윤활재이동억제부는 도시된 바와 달리,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치즐의 외주면에 접초되게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윤활재이동억제부는 인입홈(127)이 형성되지 않고 제1이동억제턱(121)와 제2이동억제턱(125)이 일체로 형성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같는 유압브레이커(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치즐(40)이 파쇄목적물에 접촉되어 파쇄목적물을 가압하게 되면서, 치즐(40)은 피스톤(10)에 타격될 수 있는 위치인 타격실(31)의 하부로 상승하게 된다.
치즐이 상승된 상태에서 피스톤(10)이 실린더(20) 내의 유압의 흐름에 의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치즐(40)의 상단을 타격한다. 피스톤(10)의 타격에 의해 치즐(40)이 받는 충격이 파쇄목적물에 전달되면서 파쇄목적물이 파쇄되게 된다.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 상태가 되면 치즐(40)이 자중에 의해 하강이 시작되면서 작업자가 파쇄완료를 인지하여 피스톤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 공타가 발생되게 된다. 공타 발생으로 치즐(40)이 프론트헤드(30)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프론트헤드(30)와 치즐(40) 사이에 충진된 윤활재(80)가 치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윤활재(80)는 치즐(40)의 이동방향을 따라 프론트헤드(30)와 치즐(40) 사이의 빈공간 중 넓은 공간(a)에서 공타충격감소부재(100)의 내측인 좁은 공간(b)으로 이동되나 윤활재이동억제부(100)에 의해 치즐(40)의 걸림홈(4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동이 방지되어 툴핀(60)과 걸림홈(41) 사이로만 이동되게 유도된다. 이에 따라 윤활재(80)가 받는 저항이 증가하여 윤활재(80) 이동속도가 감소함으로써 치즐(40)의 이동속도가 늦춰지게 된다. 치즐의 이동속도가 늦춰지면서, 치즐(40)과 접촉되는 툴핀(60)과, 툴핀(60)과 결합되어 있는 프론트헤드(3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1)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파쇄목적물이 파쇄완료되기 전까지 파쇄목적물로부터 피스톤(10)이 치즐을 타격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반발력을 받게 된다. 이 반발력에 의해 치즐(40)이 상승되면서 치즐(40)과 스러스트링(94)과 접촉된다. 이때, 치즐(40)은 스러스트링(94)의 제2내경축소부(94b)에 의해 진입이 제한되며 스러스트링(9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체(97)가 수축되면서 치즐(40)의 상승속도를 늦춰진다. 이에 따라 치즐(40)과 접촉되는 피스톤(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1)는 파쇄목적물 파쇄 중 발생되어 치즐(40)을 상승시키는 반발력이 치츨반발완충유닛(90)에 의해 감소되므로 피스톤(10)과 프론트헤드(30)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타충격감소부재(100)에 의해 공타 발생시 치즐(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려는 윤활재(80)가 받는 저항이 증가되므로 치즐(40)에 의해 툴핀(6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프론트헤드(30) 및 툴핀(60)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하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유압브레이커
10 : 피스톤 20 : 실린더
30 : 프론트헤드 40 : 치즐
41 : 걸림홈 60 : 툴핀
80 : 윤활재 85 : 윤활재공급노즐
100 : 공타충격감소부재 110 : 몸체부
113 : 제1관통부 115 :제2관통부
120 : 윤활재이동억제부 121 : 제1이동방지턱
125 : 제2이동방지턱 111 : 윤활재공급관통공
10 : 피스톤 20 : 실린더
30 : 프론트헤드 40 : 치즐
41 : 걸림홈 60 : 툴핀
80 : 윤활재 85 : 윤활재공급노즐
100 : 공타충격감소부재 110 : 몸체부
113 : 제1관통부 115 :제2관통부
120 : 윤활재이동억제부 121 : 제1이동방지턱
125 : 제2이동방지턱 111 : 윤활재공급관통공
Claims (6)
-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에 결합되는 프론트헤드와,
상기 피스톤에 타격되게 상부가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위치되는 상부의 외주면 중 상호 대응되는 양측에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치즐과,
상기 프론트헤드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홈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기 프론트헤드 내에 상하로 유동 가능한 걸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치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툴핀과,
상기 프론트헤드와 상기 치즐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프론트헤드, 상기 툴핀 그리고 상기 치즐의 마모을 방지하는 윤활재와,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상기 치즐의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하이동시 상기 치즐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윤활재가 받는 저항을 증가시켜 공타 발생시 상기 치즐에 의해 상기 툴핀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공타충격감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타충격감소부재는
상기 치즐보다 큰 직경으로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치즐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치즐이 관통되며 외주면이 상기 프론트헤드 내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되 상기 툴핀이 상기 걸림홈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툴핀에 대응되는 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제1 및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치즐 방향으로 상기 치즐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윤활재가 상기 치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윤활재이동억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재이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상기 치즐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이동억제턱과,
상기 제1이동억제턱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치즐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즐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이동억제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이동억제턱과 상기 제2이동억제턱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억제턱의 각 단부에 대해 상기 프론트헤드 방향으로 인입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헤드 내측으로 상기 윤활재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헤드에 설치되는 윤활재공급노즐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상기 윤활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윤활재공급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치즐이 상기 피스톤에 타격되어 파쇄목적물에 충격을 가할 때 파새되지 않은 파쇄목적물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치즐이 상기 피스톤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프론트헤드에 발생되는 응력을 완충할 수 있는 치즐반발완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치즐반발완충유닛은
왕복운동시 상기 프론트헤드로 진입되는 상기 피스톤의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관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프론트헤드 내로 상기 피스톤의 진입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축소부가 형성되는 상부부쉬와,
상기 치즐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헤드에 고정장착되는 하부부쉬와,
상기 치즐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부쉬와 상기 하부부쉬 사이에 상기 프론트헤드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부쉬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상기 치즐의 상기 프론트헤드 상부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러스트링과,
상기 상부부쉬와 상기 스러스트링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상부부쉬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파쇄목적물부터 상기 치즐이 받는 반발력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치즐과 상기 스러스트링이 접촉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프론트 헤드 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1142A KR101804790B1 (ko) | 2016-03-15 | 2016-03-15 | 유압 브레이커 |
RU2018136135A RU2018136135A (ru) | 2016-03-15 | 2016-11-14 | Молот с противоуда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
PCT/KR2016/013059 WO2017159955A1 (ko) | 2016-03-15 | 2016-11-14 | 유압 브레이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1142A KR101804790B1 (ko) | 2016-03-15 | 2016-03-15 | 유압 브레이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8255A true KR20160108255A (ko) | 2016-09-19 |
KR101804790B1 KR101804790B1 (ko) | 2017-12-05 |
Family
ID=5710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1142A KR101804790B1 (ko) | 2016-03-15 | 2016-03-15 | 유압 브레이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4790B1 (ko) |
RU (1) | RU2018136135A (ko) |
WO (1) | WO20171599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27403B2 (en) * | 2018-06-18 | 2021-06-08 | Caterpillar Inc. | Hydraulic hammer |
CN111536151B (zh) * | 2020-04-27 | 2021-09-10 | 章希盈 | 一种带内耐磨套的液压破碎锤的前壳体机构 |
KR102266336B1 (ko) * | 2020-09-14 | 2021-06-18 | 주식회사 맵 |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
KR102342305B1 (ko) * | 2021-02-08 | 2021-12-24 | 주식회사 맵 |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
CN118441763B (zh) * | 2024-07-08 | 2024-10-18 | 烟台金山重工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无阀换向式液压破碎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5772B1 (ko) | 2009-10-07 | 2012-11-28 | (주)티앤에치코퍼레이션 | 브레이커의 치즐용 치즐핀 |
KR20140132224A (ko) | 2013-05-07 | 2014-11-17 | 주식회사 한국엠엘 | 완충부재를 구비한 유압 브레이커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729Y1 (ko) * | 1997-12-29 | 2001-05-02 | 윤종용 | 냉장고의 냉기분산장치 |
KR20090006657A (ko) * | 2007-07-12 | 2009-01-15 | 주식회사대신중공업 | 유압 브레이커의 후론트헤드 보호구조물 |
KR100967914B1 (ko) * | 2008-05-16 | 2010-07-06 |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
KR101038197B1 (ko) * | 2009-01-19 | 2011-05-31 | 최이광 | 치즐 고정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
KR101644616B1 (ko) * | 2014-06-23 | 2016-08-01 | 조붕구 | 브레이커의 프론트 헤드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
-
2016
- 2016-03-15 KR KR1020160031142A patent/KR1018047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14 RU RU2018136135A patent/RU2018136135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11-14 WO PCT/KR2016/013059 patent/WO201715995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5772B1 (ko) | 2009-10-07 | 2012-11-28 | (주)티앤에치코퍼레이션 | 브레이커의 치즐용 치즐핀 |
KR20140132224A (ko) | 2013-05-07 | 2014-11-17 | 주식회사 한국엠엘 | 완충부재를 구비한 유압 브레이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018136135A (ru) | 2020-04-15 |
WO2017159955A1 (ko) | 2017-09-21 |
KR101804790B1 (ko) | 2017-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790B1 (ko) | 유압 브레이커 | |
EP2091694B1 (en) | Breaking apparatus | |
KR101775328B1 (ko) | 진공분위기의 타격공간이 구비된 브레이커 | |
US8037947B2 (en) | Impact tool with shock absorbing element | |
KR101140697B1 (ko) | 실린더의 스크라치발생 방지구조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 |
KR100967914B1 (ko) |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 |
CN101466503A (zh) | 具有冲击销和从属捕获装置的冲击工具 | |
KR101910986B1 (ko) | 중간전달유닛을 구비한 브레이커 | |
CN116290193A (zh) | 一种装载车用液压破碎锤 | |
CN210171538U (zh) | 一种改进结构的重型破碎锤 | |
KR20090035764A (ko) |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치즐핀 | |
KR101545943B1 (ko) |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 |
KR100501735B1 (ko) |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 |
KR100772735B1 (ko) | 유압타격장치 | |
KR101472909B1 (ko) | 공타 완충 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 |
KR102369966B1 (ko) |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 |
KR102140621B1 (ko) |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
JP2001310272A (ja) | 流体作動式の打撃装置において汚れの進入を防止するための保護装置 | |
KR101297132B1 (ko) |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 |
KR20090011407U (ko) | 치즐핀의 고정구조 | |
KR20090008695U (ko) |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 |
RU16820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негабаритов | |
KR102331165B1 (ko) |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 |
KR200269796Y1 (ko) | 완충 로드 핀 | |
CN114014129B (zh) | 一种施工升降机保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