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05B1 -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05B1
KR102342305B1 KR1020210081496A KR20210081496A KR102342305B1 KR 102342305 B1 KR102342305 B1 KR 102342305B1 KR 1020210081496 A KR1020210081496 A KR 1020210081496A KR 20210081496 A KR20210081496 A KR 20210081496A KR 102342305 B1 KR102342305 B1 KR 10234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chisel body
stress
hydraulic breaker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맵
Priority to CN202180038898.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667635A/zh
Priority to US17/927,713 priority patent/US20230212836A1/en
Priority to JP2022572380A priority patent/JP2023527797A/ja
Priority to EP21924966.1A priority patent/EP4137640A4/en
Priority to PCT/KR2021/015967 priority patent/WO20221690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2Percussive tool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11Arrangements of noise-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non-powered tools, e.g. 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4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moved rectilinearly, e.g. road-breaker apparatus with reciprocating tools, with drop-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 E02F5/326Rippers oscillating or v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54Plastics
    • B25D2222/57Elastomers,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11Cross-sections of the tool
    • B25D2250/215Narrowing cross-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Chisel for hydraulic breaker}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브레이커의 피스톤을 통해 타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 반발력을 저감시키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굴삭기, 로더 등의 건설기계에 장착되어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는 장비로, 실린더 작동시 피스톤이 승강하며 파쇄공구인 치즐(Chisel)을 타격하고, 치즐이 콘크리트 및 암반 등에 충격력을 가해 파쇄를 한다.
이러한,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한 파쇄작업시 발생하는 소음은,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타격소음과, 치즐이 콘크리트 및 암반을 파쇄할 때 발생하는 파쇄소음으로 구분된다. 이 중 대부분은 타격소음이며 그 수치는 유압브레이커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90~110㏈정도이다.
최근, 소음 및 진동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설기계의 소음도 표시가 신고제에서 의무제로 전환되었으며, 굴삭기, 불도우저, 로우더, 브레이커 등의 제품이 소음도표시 의무대상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소음 및 진동에 관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소음형 브레이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관련 기관에서도 소음 규제를 만족하는 브레이커에 대해 저소음 브레이커 인증을 해 주는 등 저소음형 브레이커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압브레이커(1)를 살펴보면, 유압실린더(10)와, 유압실린더(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0)과, 유압실린더(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론트헤드(30)와, 프론트헤드(30)에 설치되어 피스톤(20)에 의해 타격되는 치즐(40)을 포함한다. 유압실린더(10)의 상단에는 가스실(12)이 구비되고, 유압실린더(10)의 측면에는 밸브(14)가 형성되며, 밸브(14)와 인접한 하측에 유압오일을 일시 저장하여 운동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어큐물레이터(50)가 형성된다. 또한, 치즐(40)은 프론트헤드(30)의 중단 내측에 마련된 상부 부시(60)와 프론트헤드(3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부시(7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 부시(70)의 내측에 삽입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되며, 삽입홈에 방진재(도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치즐(40)은 피스톤(20)에 의해 타격되어 피스톤(20)의 운동에너지를 피파쇄물에 전달하면서 자체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피스톤(20)이 하강하여 치즐(40)의 상단면을 가격하면 피스톤(20)의 충격에너지에 의해 치즐(40)의 타격면에 탄성압축변형을 수반한 응력파가 발생되며, 이 응력파는 치즐(40)의 몸체를 따라 하단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피파쇄물과의 접촉면에 도달됨으로써, 파쇄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20)과 치즐(40)이 일직선상에서 충돌한다면, 압축응력파가 치즐(40)의 중심선을 따라 전달되어 치즐(40)의 좌우 또는 횡방향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에는 각각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으며, 또한 치즐(40)과 상부 부시(60) 및 하부 부시(70)간의 틈새에 의해 타격시 치즐(40)이 편심 타격되어 치즐(40)의 중심선을 벗어난 지점에 피스톤(20)과 치즐(40)의 접촉면의 중심이 형성됨으로써, 이때 발생된 충격력에 의해 치즐(40)의 굽힘변형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치즐(40)은 변형됨은 물론 치즐(40)을 따라 전달되는 응력파는 굽힘응력이 수반된 압축응력파의 형태로 된다. 이때, 피파쇄물과의 경계면에 도달한 응력파는 그 일부가 피파쇄물로 확산되어 흡수되고, 나머지 일부는 역으로 반사되어 피스톤(20)과의 타격면을 향해 전달된 후 다시 역방향으로 복귀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파되는 두 응력파가 만나는 지점에서 그 응력파들이 중첩되며, 이와 같은 중첩에 의해 특정 주파수에서 그 진폭이 두드러지게 되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시킴과 더불어 치즐(40)의 사용수명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유압 브레이커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553호(2017.02.2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피스톤에 의한 타격 및 피파쇄물에 대한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상기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치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과 돌기 중 홈은, 치즐몸체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을 제외한 나머지 홈들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과 돌기 중 돌기들의 두께는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최하측과 파쇄부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치즐몸체의 외주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에 각각 삽입되게 설치하여, 치즐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원형 고리형태의 탄성 흡수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돌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 부분에는 치즐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응력분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응력분산공은 응력 분산부의 홈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응력분산공을 연결하도록 치즐몸체에 설치하여, 치즐몸체를 따라 이동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진동 흡수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흡수연결부는, 상기 응력분산공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부재, 상기 치즐몸체의 외측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복수의 삽입부재를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은,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면서 형성된 요철형태의 응력 분산부가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가 홈과 돌기를 통과시 여러 방향으로 분산 이동되게 하면서 치즐몸체 상에서 응력파의 중첩을 최소화되게 하는 바, 피스톤이 치즐몸체의 상단을 타격한 후 파쇄부가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압 브레이커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및 종래의 유압 브레커용 치즐의 피파쇄물 타격시 응력상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100)은, 치즐몸체(110), 응력 분산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100)은, 실린더 내측에서 유압에 의해 왕복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된 후, 이동하면서 피파쇄물을 파쇄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유압 브레이커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에서는 유압 브레이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치즐몸체(110)는 유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축 구조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치즐몸체(110)의 하단에는 피스톤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피파쇄물과 충돌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뿔 형태의 파쇄부(111)가 마련된다. 이때, 파쇄부(111)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즐몸체(110)의 파쇄부(111)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 설명될 응력 분산부(120)의 최하측과 파쇄부(111)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치즐몸체(110)의 외주면 부분 '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응력 분산부(120)의 최하측과 파쇄부(111)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치즐몸체(110)의 외주면 부분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시킬 경우, 파쇄부(111)가 피파쇄물과 충돌된 후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방향과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면서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응력파의 중첩을 최소화시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되게 한다.
또한, 상기 치즐몸체(110)의 응력 분산부(120) 최하측과 파쇄부(111)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a' 부분 외측면에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태의 압축 탄성체(도면미도시)를 삽입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압축 탄성체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스톤의 하측이 치즐몸체(110)와 접촉되면서 치즐몸체(110)의 상측을 타격할 때 압축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 다시 원상태로 탄성복원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 탄성체는 치즐몸체(110)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타격응력이 치즐몸체(110)의 축 방향과 나란한 직선방향으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압축 탄성체는 유압에 의한 피스톤의 하방 이동으로 치즐몸체(110)를 타격시, 관성력을 통해 치즐몸체(110)의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해 압축되면서 치즐몸체(110)에 압축력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치즐몸체(110)의 진동을 흡수한다. 이같이, 압축 탄성체는 피스톤으로 치즐몸체(110) 타격시, 치즐몸체(1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타격응력이 치즐몸체(110)의 축 방향과 나란한 직선방향으로 전달되게 하면서 파쇄부(111)가 피파쇄물에 대한 타격력을 증대되게 한다. 이같이, 압축 탄성체가 치즐몸체(110)에 삽입 배치될 경우, 치즐몸체(110)의 외주면에서 'a'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에는 압축 탄성체가 'a'부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시키는 걸림스토퍼(도면미도시)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압축 탄성체는 압축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시, 즉,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발생된 관성력의 크기가 압축 탄성체 자체의 탄성복원력 크기보다 작게 되는 시점에는 원상태로 탄성복원된 후, 치즐몸체(110)가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대해서도 관성력에 의해 압축상태로 감소되게 한다. 이같이, 압축 탄성체는 치즐몸체(110)의 하단이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치즐몸체(11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바, 치즐몸체(110)의 외측면과 유압 브레이커의 내벽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즐몸체(110)의 외측면과 유압 브레이커 내벽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치즐몸체(110)가 이후 다시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위치를 정위치에 유지되게 하면서 안정적인 타격력이 발생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탄성체의 내주면은 치즐몸체(110)의 외측면 중 'a'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압축 탄성체의 내주면은 응력 분산부(120) 최하측과 파쇄부(111)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a' 부분 외측면에 대응되게 밀착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 크기가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력 분산부(120)는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파되는 응력파들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소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응력 분산부(1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파되는 응력파들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치즐몸체(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121)과 돌기(122)가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된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이, 응력 분산부(120)는 치즐몸체(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121)과 돌기(122)가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된 요철 형태로 구비된 바, 치즐몸체(110)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응력파들이 분산되게 함과 더불어 돌기(122)들은 응력파들을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게 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파되는 응력파들이 중첩되는 것을 최소화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 분산부(1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파되는 응력파들의 분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응력 분산부(120)가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될 경우,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의 분산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의 분산을 여러 번 이루어지게 하면서 응력파들의 중첩비율을 더욱 저감시키는 바, 진동 및 소음의 감소효율을 증대시키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응력 분산부(120) 중 홈(121)들은, 치즐몸체(110)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121a)을 제외한 나머지 홈(121b)들은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치즐몸체(110)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121a)의 깊이는 치즐몸체(110)의 최하측에 배치된 홈(121b)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이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응력 분산부(120) 중 홈(121)을 형성시, 치즐몸체(110)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121a)을 제외한 나머지 홈(121b)들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될 경우, 피스톤의 타격으로 하강시 돌기(122) 부분의 관성에 의한 하방 휨 운동으로 유발되는 압축력이 치즐몸체(110)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하여 피파쇄물을 타격하는 힘이 증대되게 한다. 또한, 치즐몸체(110)의 하단인 파쇄부(111)로 피파쇄물을 타격시 치즐몸체(110)의 하단을 통해 전달받은 진동이 응력 분산부(120)를 통해 골고루 분산 전달되게 하면서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과 돌기(122) 부분에서의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홈(121b)이 형성된 응력 분산부(120) 부분은 실린더 내측에서 치즐몸체(110)의 상단으로 피스톤이 타격될 때 치즐몸체(110)의 하측에 배치된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의 휨 운동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 배치된 돌기(122)의 휨 운동보다 먼저 발생되게 한다. 이때, 치즐몸체(110)의 상측에 배치된 돌기(122)의 휨 운동에너지 및 압축에너지의 크기가 치즐몸체(110)의 하측에 배치된 돌기(122)의 휨 운동에너지 및 압축에너지의 크기보다 작지만 돌기(122)의 휨 운동에너지 및 압축에너지가 치즐몸체(110)의 중심방향으로 집중되게 하면서 파쇄부(111) 방향으로의 압축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파쇄부(111)를 통한 피파쇄물에 대한 타격하는 힘을 증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홈(121b)이 형성된 응력 분산부(120) 부분을 통해 파쇄부(111)에서 치즐몸체(110)의 상단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과 치즐몸체(110)의 상단에서 파쇄부(111)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의 중첩을 상쇄시켜 소음발생을 감소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치즐몸체(110)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121a)을 제외한 나머지 홈(121b)들은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시, 돌기(122)들의 두께는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하여 돌기(122)의 휨 운동 변위를 최소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절개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홈(122a)은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돌기(122) 상에 번갈아가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홈(122a)은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홀수번째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122) 상에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고, 짝수번째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122) 상에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인접한 돌기(122)가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휨 변형이 이루어질 때 상호 돌기(122)들의 충돌과 같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절개홈(122a)은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따른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에 의해 돌기(122)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휨 변형을 통한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게 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감소되게 한다. 여기서, 절개홈(122a)은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에 직선형의 단면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원형의 단면형태 외에 다양한 단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에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 흡수링(130)을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흡수링(13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즐몸체(1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에 삽입할 수 있게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흡수링(130)의 일측에는 내외측을 연결하는 개방부가 마련되어, 치즐몸체(1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으로 삽입 설치시, 힘을 가해서 내경이 커지도록 벌릴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에 탄성 흡수링(130)을 삽입 배치할 경우, 치즐몸체(110)의 응력 분산부(120) 중 홈(121)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음과 더불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에 의해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휨 변형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감소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탄성 흡수링(130)의 외주면은 요철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돌기(122)로부터 전달 흡수된 운동에너지를 분산시켜 탄성 흡수링(130)의 내구성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 부분에는 치즐몸체(110)의 내측으로 연장된 응력분산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력분산공(123)은 파쇄부(111)에서 치즐몸체(110)의 상측 방향로 이동되는 진동을 치즐몸체(110)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분산율을 높아지게 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분산공(123)은 치즐몸체(110)의 외주면 원주방향, 즉 홈(121)이 형성된 부분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분산공(123)은 치즐몸체(1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110)의 강도 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치즐몸체(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응력분산공(123)은 치즐몸체(1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응력분산공(123)은 테이퍼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치즐몸체(1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응력분산공(123)은 치즐몸체(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치즐몸체(110)에는 복수의 응력분산공(123)을 연결하도록 진동 흡수연결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흡수연결부(14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진동의 흡수와 응력분산공(123)이 형성된 치즐몸체(110)의 강도 보강 및,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휨 운동시 상하방향에 인접한 돌기(122) 부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진동 흡수연결부(140)는 삽입부재(141), 연결부재(14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141)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응력분산공(123)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삽입부재(141)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재(142)는 복수의 삽입부재(141)를 연결한 상태로 치즐몸체(110)의 외측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태의 부재이다. 이같이, 연결부재(142)는 복수의 삽입부재(141)를 연결하여, 삽입부재(14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휨 운동하면서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게 함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상호 인접한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 부분의 상하방향 휨 운동시 돌기(122) 부분과 충돌하면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함과 더불어 상하방향에 인접한 돌기(122)들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결부재(142)는 앞서 설명한 삽입부재(141)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용 치즐(100)과 종래의 유압브레이커용 치즐의 피파쇄물 타격시 응력상태를 비교한 시뮬레이션 이미지로서, 유압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이 치즐(100)을 가격하고, 치즐(100)이 500t 두께의 타격판(철판)을 타격할 때이다. 도 9의 (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용 치즐(100)이 타격판을 가격하면서 발생되는 압축 응력 지속시간은 종래의 치즐이 타격판을 가격하면서 발생되는 압축 응력 지속시간보다 약 15%정도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치즐(100)과 타격판의 접촉 시간이 종래의 치즐과 타격판의 접촉 시간보다 15% 증가됨을 의미하는데, 이같이, 치즐(100)과 타격판의 접촉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치즐(10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의 피스톤에 의한 타격 및 피파쇄물의 타격시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피스톤의 하단이 치즐몸체(110)의 상단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 즉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응력파는 돌기(122) 부분을 관성에 의한 하방 휨 운동으로 유발시킨 후, 치즐몸체(110)의 하단으로 압축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하여 파쇄부(111)를 통한 피파쇄물의 타격하는 힘이 증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치즐몸체(110) 하단의 파쇄부(111)가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 즉 치즐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응력파는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과 돌기(122)에 의해 분산 및, 돌기(122)들이 상하방향으로의 휨 운동을 통한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피스톤이 치즐몸체(110)의 상단에 타격시,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는 응력 분산부(120)의 홈(121)과 돌기(122)에 의해 서로 분산되면서 치즐몸체(110) 상에서 응력파의 중첩을 최소화되게 하는 바, 피스톤이 치즐몸체(110)의 상단을 타격한 후 파쇄부(111)가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응력파는 응력 분산부(120)의 돌기(122) 부분이 관성에 의한 하방 휨 운동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으로 압축력을 전달되게 하는 바, 파쇄부(111)에 의한 피파쇄물의 타격하는 힘을 증대되게 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은, 치즐몸체(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홈(121)과 돌기(122)가 번갈아가면서 형성된 요철형태의 응력 분산부(120)가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111)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가 홈(121)과 돌기(122)를 통과시 여러 방향으로 분산 이동되게 하면서 치즐몸체(110) 상에서 응력파의 중첩을 최소화되게 하는 바, 피스톤이 치즐몸체(110)의 상단을 타격한 후 파쇄부(111)가 피파쇄물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치즐 110: 치즐몸체
111: 파쇄부 120: 응력 분산부
121: 홈 122: 돌기

Claims (10)

  1.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상기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과 돌기 중 홈은, 치즐몸체의 최상측에 배치된 홈을 제외한 나머지 홈들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치즐몸체 내측으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된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2.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상기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력 분산부의 최하측과 파쇄부 상측 사이에 위치하는 치즐몸체의 외주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3.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상기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력 분산부의 돌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4.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에 있어서,
    하단에는 뿔 형상의 파쇄부가 마련된 축 구조의 치즐몸체;
    상기 치즐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과 돌기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되어,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 및, 파쇄부의 피파쇄물 타격에 의해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되는 응력파를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 부분에는 치즐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응력분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응력분산공은 응력 분산부의 홈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응력분산공을 연결하도록 치즐몸체에 설치하여, 치즐몸체를 따라 이동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진동 흡수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흡수연결부는,
    상기 응력분산공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부재,
    상기 치즐몸체의 외측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복수의 삽입부재를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압브레이커용 치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치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된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과 돌기 중 돌기들의 두께는 치즐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된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의 홈에 각각 삽입되게 설치하여, 치즐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원형 고리형태의 탄성 흡수링을 더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81496A 2021-02-08 2021-06-23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KR10234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38898.XA CN115667635A (zh) 2021-02-08 2021-11-05 液压破碎机用凿子
US17/927,713 US20230212836A1 (en) 2021-02-08 2021-11-05 Hydraulic breaker chisel
JP2022572380A JP2023527797A (ja) 2021-02-08 2021-11-05 油圧ブレーカー用チゼル
EP21924966.1A EP4137640A4 (en) 2021-02-08 2021-11-05 HYDRAULIC BREAKING CHISEL
PCT/KR2021/015967 WO2022169070A1 (ko) 2021-02-08 2021-11-05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7463 2021-02-08
KR1020210017463 2021-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305B1 true KR102342305B1 (ko) 2021-12-24

Family

ID=7917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496A KR102342305B1 (ko) 2021-02-08 2021-06-23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12836A1 (ko)
EP (1) EP4137640A4 (ko)
JP (1) JP2023527797A (ko)
KR (1) KR102342305B1 (ko)
CN (1) CN115667635A (ko)
WO (1) WO202216907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2700A (ja) * 2007-09-05 2009-03-26 Kazuma Tanaka 油圧駆動式破砕機における打撃騒音と振動音の低減装置。
KR20090008695U (ko) * 2008-02-25 2009-08-28 박남호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KR20090119614A (ko) * 2008-05-16 2009-11-1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20170020831A (ko) * 2017-02-06 2017-02-24 (주) 대동이엔지 중간전달유닛을 구비한 브레이커
KR101804790B1 (ko) * 2016-03-15 2017-12-05 (주)대동이엔지 유압 브레이커
KR102031090B1 (ko) * 2019-07-23 2019-10-11 주식회사 맵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2035799B1 (ko) * 2019-05-02 2019-10-24 정문교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5145A (en) * 1975-10-09 1978-09-20 Atlas Copco Ab Vibration-damped impact tool
DE202004012846U1 (de) * 2004-08-16 2004-10-14 Wacker Construction Equipment Ag Brechwerkzeug mit Nuten zur verbesserten Spaltwirkung
KR200459112Y1 (ko) * 2009-11-06 2012-03-19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브레이커의 본체 결합구조
DE202011103209U1 (de) * 2011-06-29 2012-11-23 Illinois Tool Works Inc. Meißelwerkzeug
DE102012013409A1 (de) * 2012-05-23 2013-11-28 Atlas Copco Construction Tools Gmbh Schlagvorrichtung
CN202702189U (zh) * 2012-08-14 2013-01-30 乐清市三星工具有限公司 圆柄两槽凿子
JP6044479B2 (ja) * 2013-07-18 2016-12-14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防振構造体
JP6338142B2 (ja) * 2014-03-19 2018-06-06 岡山県 チゼル
KR101712553B1 (ko) 2015-11-09 2017-03-06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 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2700A (ja) * 2007-09-05 2009-03-26 Kazuma Tanaka 油圧駆動式破砕機における打撃騒音と振動音の低減装置。
KR20090008695U (ko) * 2008-02-25 2009-08-28 박남호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KR20090119614A (ko) * 2008-05-16 2009-11-1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804790B1 (ko) * 2016-03-15 2017-12-05 (주)대동이엔지 유압 브레이커
KR20170020831A (ko) * 2017-02-06 2017-02-24 (주) 대동이엔지 중간전달유닛을 구비한 브레이커
KR102035799B1 (ko) * 2019-05-02 2019-10-24 정문교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2031090B1 (ko) * 2019-07-23 2019-10-11 주식회사 맵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9070A1 (ko) 2022-08-11
US20230212836A1 (en) 2023-07-06
JP2023527797A (ja) 2023-06-30
EP4137640A1 (en) 2023-02-22
CN115667635A (zh) 2023-01-31
EP4137640A4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336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JP5160558B2 (ja) 破壊機械の衝撃緩和システム
KR102031090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WO1994005464A2 (en) Nose block assembly for rockbreaking apparatus
KR101037919B1 (ko) 치즐 고정장치
KR102009413B1 (ko) 저소음 브레이커
KR102342305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KR10233116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2226579B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KR20220102377A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KR200412358Y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KR200448270Y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102140621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200381252Y1 (ko) 유압브레이커의 완충형 댐퍼구조
KR20090008695U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KR200400728Y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KR20210144399A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20110026906A (ko) 치즐 고정장치
KR10224299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200202176Y1 (ko) 공유압식 브레이커의 치즐케이스 설치구조
KR20030085780A (ko) 브레이커
KR100776574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2197884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200287124Y1 (ko) 소음저감형유압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