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66B1 -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 Google Patents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66B1
KR102369966B1 KR1020190173314A KR20190173314A KR102369966B1 KR 102369966 B1 KR102369966 B1 KR 102369966B1 KR 1020190173314 A KR1020190173314 A KR 1020190173314A KR 20190173314 A KR20190173314 A KR 20190173314A KR 102369966 B1 KR102369966 B1 KR 10236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d
striking head
support sleeve
chisel
impact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102A (ko
Inventor
김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드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드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드뉴
Priority to KR102019017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 등지에 장착되는 임팩트 헤머장치에 설치되어, 헤머 피스톤을 통해 제공되는 타격력을 통해 암반이나 콘트리트 등의 피파쇄물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파쇄하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팩트 헤머장치의 실린더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실린더를 따라 하강하는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승강로드부와; 상기 승강로드부와 분리 구성되어, 승강로드부의 하부에 적층하여 조립되어 승강로드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는, 승강로드부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의 상반부를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지지 슬리브부에 의해, 외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Chisel for Impact Hammer}
본 발명은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암대 등지에 장착되는 임팩트 헤머장치에 설치되어, 헤머 피스톤을 통해 제공되는 타격력을 통해 암반이나 콘트리트 등의 피파쇄물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파쇄하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작업시 사용되는 임팩트 헤머장치는 헤머 피스톤의 왕복 운동시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타격에 의해 치즐로 전달하여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장치이다.
상기 임팩트 헤머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머 피스톤과, 상기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도록 실린더 하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실린더하실과 실린더상실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밸브장치로 이루어진 유압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머 피스톤은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승위치와 타격위치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타격위치에서 치즐을 타격하여서 치즐을 통해 피파쇄물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즐은 헤머 피스톤의 운동에너지를 충격에너지로 바꾸어 피파쇄물에 전달하는 것으로, 헤머 피스톤이 상승위치로부터 타격 위치로 하강시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된다.
그런데, 종래 치즐은 임팩트 헤머장치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승강로드부와; 상기 승강로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암반이나 콘트리트 등의 피파쇄물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타격헤드부가 일체로 구성된 관계로, 피파쇄물의 반복적인 타격에 의해 타격헤드부의 마모나 변형이 야기되면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를 포함하는 치즐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종래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치즐은, 타격헤드부의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 불필요한 승강로드부의 교환이 요구되므로, 치즐의 교환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유지 보수 비용의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10-1420696 B1 KR 10-2019-0008517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로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타격헤드부를 분리 구성하여 타격헤드부의 치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 사이에 독특한 고정구조를 마련하여 이들 사이의 정형화된 조립을 도모함으로써, 향상된 타격성능을 확보하면서 간편하고 저렴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은,
임팩트 헤머장치의 실린더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실린더를 따라 하강하는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승강로드부와; 상기 승강로드부와 분리 구성되어, 승강로드부의 하부에 적층하여 조립되어 승강로드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는, 승강로드부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의 상반부를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지지 슬리브부에 의해, 외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로드부의 하단부에는 규합블록이 하향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격헤드부의 상부에는 규합블록을 하향 진입하여 규합되는 규합소켓이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는 규합블록과 규합소켓을 통해 규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내경면과 마주하는 승강로드부의 하반부 외경면과, 상기 타격헤드부의 상반부 외경면에는 환형 조립홈이 내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환형 조립홈들을 통해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의 하반부를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가 각각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견착 스토퍼는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진퇴로와; 상기 진퇴로를 따라 수평으로 진출하여 환형 조립홈에 단부가 견착되는 견착부재; 및 상기 견착부재를 가압하여 진퇴로를 따라 진출되도록 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견착부재가 진퇴하는 진퇴로의 후반부에는 지지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직교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따라 체결되는 지지볼트는 진퇴로에 배치된 견착부재를 직교방향으로 간섭하여서 진퇴로를 따라 진출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리 구성된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를 정형화되게 조립하는 독특한 고정구조를 마련하여 이들 사이의 정형화된 조립을 도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 사이를 체결 등을 통해 직접 고정하지 아니하고, 이들 적층된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를 적층된 상태로 환형 지지하는 지지 슬리브부를 부가하고, 상기 지지 슬리브부와 승강로드부 사이, 지지 슬리브부와 타격헤드부 사이에 고정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반복적인 타격과정에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의 조립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 슬리브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조에 의해 안정된 내구성과 타격성능의 확보가 가능하고, 또 타격헤드부의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 타격헤드부의 치환설치를 통해 간편하고 저렴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 사이에, 헤머 피스톤과 연동하는 냉각구조를 마련하여 냉각구조에 의해 타격헤드부의 열화 발생을 억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격헤드부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을 장착한 굴삭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있어, 견착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있어, 냉각구조를 통한 타격헤드부의 냉각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을 장착한 굴삭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있어, 견착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에 있어, 냉각구조를 통한 타격헤드부의 냉각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1)은,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암대 등지에 고정된 임팩트 헤머장치(100)의 실린더(120)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실린더(120)를 따라 하강하는 헤머 피스톤(120)에 의해 타격되는 승강로드부(10)와; 상기 승강로드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승강로드부(10)와 함께 승강하면서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헤드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를 분리 구성하여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헤드부(20)의 손상이 야기된 경우에, 타격헤드부(20)의 단순 교환을 통해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를 분리 구성하여 타격헤드부(20)의 손상시 손상된 타격헤드부(20)를 승강로드부(1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타격헤드부(20)를 조립을 통해 장착하여서, 승강로드부(10)를 포함하는 치즐(1)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 구성된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를 직립되게 고정하는 지지 슬리브부(30)를 부가하여,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에 의해 타격헤드부(20)는 승강로드부(10)의 하단부에 직립되게 조립되어서, 헤머 피스톤(120)에 의해 하향 타격된 승강로드부(10)에 의해 타격헤드부(20)는 하강하면서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슬리브부(30)는 상기 상하 적층하여 조립된 승강로드부(10)의 외경면과, 타격헤드부(20)의 외경면을 환형 지지하는 환형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는 외접하는 지지슬리브부(30)에 의해 환형 지지되어 상하 적층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부(10)는 하반부를 지지 슬리브부(30)의 상부에 하향 진입하여서 지지 슬리브부(30)의 중공부 내에 하반부를 삽입한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타격헤드부(20)는 상반부를 지지 슬리브부(30)의 하부에 상향 진입하여서, 지지 슬리브부(30)의 중공부 내에 상반부를 삽입한 상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드부(10)의 하단부에는 규합블록(11)을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타격헤드부(20)의 상부에는 규합블록(11)을 하향 진입하여 규합되는 규합소켓(21)을 형성하여서, 상기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는 규합블록(11)과 규합소켓(21)을 통해 규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내경면과,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내경면과 마주하는 승강로드부(10)의 외경면 및 타격헤드부(20)의 외경면에는 스플라인 돌기(12, 22)와 스플라인홈(31)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에 하향 진입되는 승강로드부(10)의 하반부와, 지지 슬리브부(30)에 상향 진입되는 타격헤드부(20)의 상반부는, 스플라인 돌기(12, 22)와 스플라인홈(31)을 포함하는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지지 슬리브부(30)와 치합되어서, 상호 간의 유격발생의 억제와 함께 향상된 내구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10)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20)의 상반부를 지지 슬리브부(30)에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고정구조를 마련하여서, 피파쇄물의 반복적인 타격헤드부(20)에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지지 슬리브부(30)에 의한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의 조립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내경면과 마주하는 승강로드부(10)의 하반부 외경면에 형성된 환형 조립홈(13)과, 상기 타격헤드부(20)의 상반부 외경면에 내향 요입하여 형성된 환형 조립홈(23); 및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환형 조립홈(13, 23)을 통해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10)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20)의 하반부를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견착 스토퍼(32)는 상기 지지 슬리브부(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진퇴로(33)와; 상기 진퇴로(33)를 따라 수평으로 진출하여 환형 조립홈(13, 23)에 단부가 견착되는 견착부재(34); 및 상기 견착부재(34)를 가압하여 진퇴로(33)를 따라 진출되도록 하는 지지볼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견착 스토퍼(32)를 지지 슬리브부(30)의 상부와 하부에 3개씩 방사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 슬리브부(30) 내에 외접하여 배치된 승강로드부(10)의 환형 조립홈(13)과 타격헤드부(20)의 환형 조립홈(23)을 각각 방사구조로 견착하여 구속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견착부재(34)의 후미를 간섭하는 지지볼트(35)를 견착부재(34)와 직교되게 배치하여, 견착부재(34)는 직교하여 하강하는 지지볼트(35)와 직교되게 간섭되어 진퇴로(33)를 따라 내측으로 진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견착부재(34)가 진퇴하는 진퇴로(33)의 후반부에는 지지볼트(35)가 체결되는 체결공(36)이 직교되게 형성되어, 체결공(36)을 따라 체결되는 지지볼트(35)는 진퇴로(33)에 배치된 견착부재(34)를 직교방향으로 간섭하여서 진퇴로(33)를 따라 진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파쇄물의 파쇄과정에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를 지지한 견착부재(34)를 통해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지지볼트(35)의 체결상태가 불량해져 견착부재(34)에 의한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의 구속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 슬리브부(30) 내에 상단부와 하단부를 삽입하여 적층하여 조립된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는 스플라인 구조와, 규합구조, 및 환형 조립홈과 견착 스토퍼(32)를 통한 구속구조에 의해 안정된 조립상태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는, 피파쇄물의 파쇄과정에 지지 슬리브부(30)를 통해 승강로드부(10)의 하단에 조립된 타격헤드부(20)의 조립상태가 불량해져, 지지 슬리브부(30)에서 분리되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헤머 피스톤(120)에 의해 반복적으로 타격되는 승강로드부(10)와 타격헤드부(20) 사이에, 피파쇄물과의 직접 충돌이 야기되는 타격헤드부(20)의 냉각을 도모하는 냉각구조를 마련하여서, 타격헤드부(20)의 열화발생을 억제하여서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타격 헤드부(20)의 냉각구조는, 상기 승강로드부(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승강관로(14)와; 상기 승강관로(14)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승강로드(24); 및 상기 타격헤드부(20)에 형성되며 승강로드부(10)의 승강관로(14)와 연통하는 냉각관로(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관로(14)에 승강로드(24)를 상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25)을 배치하여, 상기 승강로드(24)의 상단은 헤머 피스톤(12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면 상향 탄지되어 승강관로(14)를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로드부(10)에 배치된 승강로드(24)는 하강하는 임팩트 헤머장치(100)의 헤머 피스톤(120)에 의한 타격에 의해 승강관로(14)를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관로(14) 내에 잔류된 공기를 타격헤드부(20)의 냉각관로(26)를 따라 배기한다.
그리고, 상기 헤머 피스톤(120)의 타격이 해제되면 승강관로(14)를 따라 상승하면서 냉각관로(26)를 따라 외부공기를 냉각관로(26) 및 승강관로(14) 내로 유입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1)은 임팩트 헤머장치(100)에 마련된 헤머 피스톤(120)을 통해 승강로드부(10)를 반복적으로 하향 타격함에 있어, 승강로드(24)의 하강을 통한 잔류공기의 배기와 승강로드(24)의 상승을 통한 외부공기의 유입을 통해서 피파쇄물의 반복적인 타격에 의해 가열된 타격헤드부(20)의 지속적인 냉각을 도모하고, 결과적으로 타격헤드부(20)의 열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10. 승강로드부 11. 규합블록
12. 스플라인 돌기 13. 환형 조립홈
14. 승강관로
20. 타격헤드부 21. 규합소켓
22. 스플라인 돌기 23. 환형 조립홈
24. 승강로드 25. 지지 스프링
26. 냉각관로
30. 지지 슬리브부 31. 스플라인홈
32. 견착 스토퍼 33. 진퇴로
34. 견착부재 35. 지지볼트
36. 체결공
100. 임팩트 헤머장치 110. 실린더
120. 헤머 피스톤 130. 유압 실린더

Claims (4)

  1. 임팩트 헤머장치의 실린더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실린더를 따라 하강하는 헤머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는 승강로드부와; 상기 승강로드부와 분리 구성되어, 승강로드부의 하부에 적층하여 조립되어 승강로드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피파쇄물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는, 승강로드부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의 상반부를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지지 슬리브부에 의해, 외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내경면과 마주하는 승강로드부의 하반부 외경면과, 상기 타격헤드부의 상반부 외경면에는 환형 조립홈이 내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환형 조립홈들을 통해 상하 적층된 승강로드부의 하반부와 타격헤드부의 하반부를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가 각각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견착 스토퍼는 상기 지지 슬리브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진퇴로와; 상기 진퇴로를 따라 수평으로 진출하여 환형 조립홈에 단부가 견착되는 견착부재; 및 상기 견착부재를 가압하여 진퇴로를 따라 진출되도록 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부의 하단부에는 규합블록이 하향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격헤드부의 상부에는 규합블록을 하향 진입하여 규합되는 규합소켓이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로드부와 타격헤드부는 규합블록과 규합소켓을 통해 규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재가 진퇴하는 진퇴로의 후반부에는 지지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직교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따라 체결되는 지지볼트는 진퇴로에 배치된 견착부재를 직교방향으로 간섭하여서 진퇴로를 따라 진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KR1020190173314A 2019-12-23 2019-12-23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KR10236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14A KR102369966B1 (ko) 2019-12-23 2019-12-23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14A KR102369966B1 (ko) 2019-12-23 2019-12-23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02A KR20210081102A (ko) 2021-07-01
KR102369966B1 true KR102369966B1 (ko) 2022-03-03

Family

ID=768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314A KR102369966B1 (ko) 2019-12-23 2019-12-23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48B1 (ko) 2016-05-09 2016-07-13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교체형 비트부가 구비되는 치즐
JP2016165766A (ja) * 2015-03-09 2016-09-15 アピュアン株式会社 衝撃工具、及び該衝撃工具に用いられる継手構造
CN205636858U (zh) 2016-04-28 2016-10-12 宝得粉末注射成形(常熟)有限公司 液压破碎锤用的钢钎
WO2017087270A1 (en) * 2015-11-17 2017-05-26 Caterpillar Inc. System configured to couple a hydraulic hammer and to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705B1 (ko) * 2009-03-03 2011-09-0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치즐의 교체가 용이한 유압 브레이커
KR20120033519A (ko) * 2010-09-30 2012-04-09 (주)하이드로 메틱스 극한 환경의 무인 굴착시스템
KR101420696B1 (ko) 2012-01-25 2014-07-22 상진옥 파쇄작업시 타격압을 상승시키는 어터치먼트
KR102591330B1 (ko) 2015-10-05 2023-10-18 앵거스 피터 롭슨 왕복 운동 임팩트 해머
EP3266975B1 (en) * 2016-07-07 2019-01-30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Component for rock break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5766A (ja) * 2015-03-09 2016-09-15 アピュアン株式会社 衝撃工具、及び該衝撃工具に用いられる継手構造
WO2017087270A1 (en) * 2015-11-17 2017-05-26 Caterpillar Inc. System configured to couple a hydraulic hammer and tool
CN205636858U (zh) 2016-04-28 2016-10-12 宝得粉末注射成形(常熟)有限公司 液压破碎锤用的钢钎
KR101639248B1 (ko) 2016-05-09 2016-07-13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교체형 비트부가 구비되는 치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02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677B2 (en) Hydraulic breaker assembly
EP0656823B1 (en) Nose block assembly
US8037947B2 (en) Impact tool with shock absorbing element
KR101140697B1 (ko) 실린더의 스크라치발생 방지구조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0967914B1 (ko)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1804790B1 (ko) 유압 브레이커
US20090096275A1 (en) Isolator plate assembly for rock breaking device
KR102369966B1 (ko) 임팩트 헤머장치용 치즐
KR20090035764A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치즐핀
KR101297132B1 (ko)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KR20170083182A (ko) 일체형 케이싱을 갖는 유압 브레이커
JP2001310272A (ja) 流体作動式の打撃装置において汚れの進入を防止するための保護装置
KR20090011407U (ko) 치즐핀의 고정구조
KR200496620Y1 (ko) 볼 베어링 내장 표지판 지지대 타격장치
KR10224299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CN114411849B (zh) 破碎锤和工程机械
KR101131955B1 (ko) 천공기의 햄머
KR10233116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1193806B1 (ko) 다수의 치즐봉을 갖는 브레이커용 치즐어셈블리
CN217128364U (zh) 一种结构优化的液压破碎锤下缸体
KR101311183B1 (ko) 브레이커용 로드핀
KR20090005492U (ko) 브레이커 치즐핀
CN212002442U (zh) 一种具有静压支撑结构的液压破碎锤
KR200458064Y1 (ko) 공압 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