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201A -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201A
KR20160108201A KR1020160025677A KR20160025677A KR20160108201A KR 20160108201 A KR20160108201 A KR 20160108201A KR 1020160025677 A KR1020160025677 A KR 1020160025677A KR 20160025677 A KR20160025677 A KR 20160025677A KR 20160108201 A KR20160108201 A KR 2016010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receiving member
hoistway
floor receiv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5939B1 (en
Inventor
겐이치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inside contour of a bui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more accurately matching a height position of a stand with a height position of a working flo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ultiple support members (1) erected on a pit (102) of a hoist-way; a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placed on the support members (1), and controlling a position in a height direction to the support members (1); and a lower working floor (3) supported by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ncludes: a floor receiving body part (21) supporting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a fixing part (22) placed in the floor receiving body part (21), and fixed to an elevator room guide rail (103) guiding an elevator room in a height direc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nd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로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승강로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nstalled in a hoistway and a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n which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s installed in a hoistway.

종래, 상부에 작업 바닥을 가지며 승강로의 피트(pit)에 세워지는 비티(Beatty) 발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having a work floor with a worktop at the top and a beetty footrest mounted on a pit of a hoistway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고 평7-5577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7-55777

그렇지만, 비티 발판은 높이 방향의 치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비티 발판의 높이 방향의 치수와 피트로부터 승강장까지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맞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dimension of the non-toe foot plate can not be adjusted, if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non-toe foot plate and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pit to the landing are inconsist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본 발명은,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that can more reliably match a height position of a platform and a height position of a work floor.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의 피트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각각의 지지 부재에 마련되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와, 바닥 받이 부재에 지지되는 작업 바닥을 구비하고 있다.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which are placed on a pit of a hoistway, a floor receiv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each support member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ork floor supported by the receiving member.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에 작업 바닥이 지지되므로,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floor is supported by the floor receiving member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atform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work floor can be more reliably adjust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의 하반분(下半分)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호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호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하부 작업 바닥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half (lower half) of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of Fig.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otective member of Fig. 6;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otective member of Fig.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ower work floor of Fig. 5;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100)로부터 균형추(101)를 철거하는 경우, 승강로(100)에 균형추(101)를 설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 바닥(도시하지 않음)을 철거하는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levator hoisting-floor working floor device is a device for lifting the balance weight 101 from the hoistway 100, installing the balance weight 101 on the hoistway 100, removing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not shown) It is used when the floor of the compartment is installed.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100)의 피트(102)에 세워지는 4개의 지지 부재(1)와,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2)와,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3)과,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상부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4)와,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지지되는 상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5)과,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부재(1)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This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s provided with four support members 1 that are erected on the pit 102 of the hoistway 100 and support members 1 which are provided over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1, A lower floor supporting member 2 supported by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nd a lower floor supporting member 2 supported by the lower floor supporting member 2, An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floor receiving member) 4 which is provided over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1 from above and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1 in the height direction, (Work floor) 5 that is supported by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nd a supporting member 1 that is adjacent to the lower floor supporting member 2 at a lower level than the lower floor supporting member 2 have.

지지 부재(1)는, 피트(102)에 세워지는 바닥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토대부(11)와, 토대부(1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가동부(12)를 가지고 있다. 가동부(12)는, 토대부(11)의 내측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토대부(11)에 대한 가동부(12)에서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지 부재(1)는, 높이 방향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부(12)는,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토대부(11)에 고정된다. 가동부(12)가 토대부(11)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The supporting member 1 includes a cylindrical toe 11 having a bottom which is erected on the pit 102 and a cylindrical moving part 12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oe 11 in the height direction, Lt; / RTI > The movable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oe portion 11 from abov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oe portion 11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movable portion 12, the dimension of the support member 1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The movable portion 12 is fixed to the toe portion 11 using a fixing member (not shown). By fixing the movable portion 12 to the toe portion 11,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 does not change.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의 하반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guide rail)(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2)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은,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을 높이 방향으로 안내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half of the elevator hoisting-floor working floor apparatus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hoisting-floor working floor apparatus of Fig.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21 for supporting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a guide rail 103 for each elevator car And a pair of fixing portions 22 which are fix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guide rails 103 for the elevator car guide the elevator car (not shown) in the height direction.

바닥 받이 본체부(21)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單管)(21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212)과, 제1 단관(21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clamp)(213)와, 제2 단관(21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21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213)는, 제1 단관(2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214)는, 제2 단관(2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은, 승강장 출입구에 대한 폭방향과 동일 방향이며,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이다.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은, 승강로(100)를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승강로(100)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3의 화살표 B의 방향이다. The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1 includes a pair of first single pipes 211 that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extend inward of the hoistway 100, A pair of second ends 212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four first orthogonal clamps 212 connecting the first end 211 and the support member 1, and four second orthogonal clamps 214 connecting the second end tube 212 and the support member 1. The first end of the second end tube 212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end tube 212, The first orthogonal clamp 213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end tube 211. The second orthogonal clamp 214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end tube 212. In this example,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is the same as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anding entrance, and is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In this example, the inside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하부 작업 바닥(3)은, 복수매의 발판 판자(31)와, 각각의 발판 판자(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밴드(band)(32)를 가지고 있다. 또, 하부 작업 바닥(3)으로서는, 1매의 발판 판자(31)와, 발판 판자(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밴드(32)를 가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발판 판자(31)로서는, 특정의 크기의 물건, 예를 들면, 두께 21mm, 폭 920mm, 깊이 1500nm인 콘크리트 판넬(concrete panel)을 들 수 있다. 하부 작업 바닥(3)으로서, 1매의 발판 판자(31)와 밴드(32)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 복수매의 발판 판자(31)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하부 작업 바닥(3)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발판 판자(31)의 특정의 크기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크기에 따른 크기이며,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 발판 판자(31)로서는,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철판 등이라도 괜찮다. 또, 발판 판자(31) 상에 콘크리트 판넬 등을 겹치는 구조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층 강고한 발판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발판 판자(31)는, 한 쌍의 제1 단관(211)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발판 판자(31)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하부 작업 바닥(3)은, 승강장(104)(도 1)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lower work floor 3 has a plurality of screed boards 31 and bands 32 for fixing the screed boards 31 to the first ends 211. The lower work floor 3 may have a single foot plate 31 and a band 32 for fixing the foot plate 31 to the first end pipe 211. [ In this case, the screed board 31 may be a concrete panel having a specific size, for example, a thickness of 21 mm, a width of 920 mm, and a depth of 1500 nm.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a plurality of screed boards 31 and the lower working floor 3 can be used as the lower working floor 3 in the structure having one screed board 31 and a band 32 It can be easily assembled. The specific size of the screed board 31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nd is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 As the scaffold 31, a concrete panel may not be used. For example, an iron plate may be used. Alternatively, a concrete panel or the like may be overlapped on the scaffold plate 31. As a result, a stronger footrest can be obtained. Each of the scaffold plates 31 is disposed over a pair of first end pipes 211. Each of the scaffold plates 31 is arrang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The lower working floor 3 is arranged so as to be at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landing 104 (Fig.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바닥 받이 부재(4)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마찬가지로,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41)와, 바닥 받이 본체부(4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42)를 가지고 있다. 1,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upper working floor 5 and a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upper working floor 5, like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nd has a pair of fixing portions 42 fixed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103 for the elevator car.

바닥 받이 본체부(41)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41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412)과, 제1 단관(41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413)와, 제2 단관(41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41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413)는, 제1 단관(4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414)는, 제2 단관(4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The bottom receiving main body portion 41 includes a pair of first end pipes 411 that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extend inward of the hoistway 100 and a pair of first end pipes 411 extending inward of the hoistway 100 A pair of second end pipes 412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four first orthogonal clamps 413 connecting the first end pipe 411 and the support member 1, And four second orthogonal clamps 414 connecting the second short pipe 412 and the support member 1. [ The first orthogonal clamp 413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short tube 411. The second orthogonal clamp 414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short pipe 412.

상부 작업 바닥(5)은, 복수매의 발판 판자(51)와, 각각의 발판 판자(51)를 제1 단관(411)에 고정하는 밴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상부 작업 바닥(5)으로서는, 1매의 발판 판자(51)와, 발판 판자(51)를 제1 단관(411)에 고정하는 밴드를 가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발판 판자(51)로서는, 특정의 크기의 물건, 예를 들면, 두께 21mm, 폭 920mm, 깊이 1500mm인 콘크리트 판넬을 들 수 있다. 상부 작업 바닥(5)으로서, 1매의 발판 판자(51)와 밴드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 복수매의 발판 판자(51)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부 작업 바닥(5)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발판 판자(51)의 특정의 크기는,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크기에 따른 크기이며,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 발판 판자(51)로서는,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철판 등이라도 괜찮다. 또, 발판 판자(51) 상에 콘크리트 판넬 등을 겹치는 구조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층 강고한 발판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발판 판자(51)는, 한 쌍의 제1 단관(411)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발판 판자(51)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상부 작업 바닥(5)은, 승강장(104)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upper work floor 5 has a plurality of foot boards 51 and bands (not shown) for fixing the foot boards 51 to the first end 411. The upper work floor 5 may have one scaffold plate 51 and a band for fixing the scaffold plate 51 to the first short pipe 411. In this case, the screed board 51 may be a concrete size panel having a specific size, for example, a thickness of 21 mm, a width of 920 mm, and a depth of 1500 mm.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a plurality of screed boards 51 and the upper work floor 5 can be easily assembled when the upper work floor 5 includes a single screed board 51 and a band . The specific size of the screed board 51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and is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 As the scaffold 51, a concrete panel may not be used, and for example, an iron plate may be used. Alternatively, a concrete panel or the like may be overlapped on the scaffold plate 51. As a result, a stronger footrest can be obtained. Each of the scaffold plates 51 is disposed over a pair of first end tubes 411. Each of the scaffold plates 51 is arrang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The upper working floor 5 is arranged so as to be at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landing 104. [

밑둥 잡이 부재(6)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6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62)과, 제1 단관(6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63)와, 제2 단관(6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6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63)는, 제1 단관(6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64)는, 제2 단관(6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The columnar web member 6 is dispos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includes a pair of first end pipes 61 extending inwardly of the hoistway 100 and a pair of first end pipes 61 extending inward of the hoistway 100 A pair of second end pipes 62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00 and four first orthogonal clamps 63 connecting the first end pipe 61 and the support member 1, And four second orthogonal clamps 64 connecting the double-ended pipe 62 and the support member 1. [ The first orthogonal clamp 63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end tube 61. The second orthogonal clamp 64 is attach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short pipe 62.

도 4는 도 2의 고정부(2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은,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레일 본체부(105)와, 레일 본체부(105)와 일체로 형성되며, 레일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승강로에 대해서 고정되는 레일 평판부(106)를 가지고 있다.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22 of Fig. The guide rail 103 for an elevator car includes a rail main body portion 105 for guiding an elevator car and a rail main body portion 105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 main body portion 105 and which is fixed to the hoistway by a rail bracket (not shown) And has a flat plate portion 106.

고정부(22)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의 레일 평판부(106)의 배면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221)과, 레일 평판부(106)의 표면에 마련되며, 지지 브라켓(221)과 함께 레일 평판부(106)를 사이에 끼우는 클립(222)과, 지지 브라켓(221)을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223)을 가지고 있다.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고정부(42)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고정부(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fixing portion 22 includes a support bracket 221 provid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rail flat plate portion 106 of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and the wall 107 of the hoistway 100, A clip 222 which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221 and sandwiches the rail flat plate 106 together with the support bracket 221 and a fixing bracket 223 for fixing the support bracket 221 to the first end pipe 211 ). The fixing portion 42 of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xing portion 22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배치하여,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가설(假設) 공정). 하부 작업 바닥(3)을 배치하는 위치로서는, 승강장(104)으로부터 대략 30mm정도 하부의 높이 위치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제1 단관(211)의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하부 작업 바닥(3)의 두께 치수의 합계치가 대략 30mm이기 때문이다. 상부 작업 바닥(5)은, 상부 작업 바닥(5)의 높이 위치가 균형추(101)의 상단부 보다도 하부가 되도록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Next, a method of installing the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n the case where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the landing 104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guide rail 103 for the floor (bottom receiving member temporary step). The position for disposing the lower work floor 3 may be a height position lower by about 30 mm from the landing 104. This is because the sum of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hort pipe 211 and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lower work floor 3 is approximately 30 mm. The upper work floor 5 is disposed on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work floor 5 i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ounterbalance 101 (floor receiving member mounting step).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최소로 한 상태에서, 승강로(100)에 지지 부재(1)를 반입한다. 그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변경함과 아울러, 각각의 지지 부재(1)를 피트(102)에 세운다(지지 부재 설치 공정).The supporting member 1 is carried into the hoistway 100 with the dimension of each supporting member 1 in the height direction being minimized. Thereafter,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each support member 1 is changed, and each support member 1 is placed on the pit 102 (support member installing step).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에 밑둥 잡이 부재(6)를 장착한다(밑둥 잡이 부재 설치 공정).After the support member setting process, the base member 6 is mounted on each of the support members 1 (the step of arranging the base member).

밑둥 잡이 부재 설치 공정 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지지 부재(1)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대해서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동일하게 하여, 지지 부재(1)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Afte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ase member, the bottom floor receiving member 2 is mounted on the supporting member 1 (floor receiving member installation step).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is also mounted on the supporting member 1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floor receiving member installing step).

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시키고(작업 바닥 설치 공정),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시킨다(작업 바닥 설치 공정).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이 종료된다. The upper work floor 5 is supported on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by supporting the lower work floor 3 on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work floor installing step). Thus,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installation method ends.

이 예에서는, 승강장(104)은, 1층의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한 후에, 균형추(101)로부터 추판(錘板)을 떼어내어 승강로(100)로부터 반출한다. 이 때, 균형추(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추판은, 작업자가 상부 작업 바닥(5)에 서서 떼어냄을 행한다. 균형추(1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추판은, 작업자가 하부 작업 바닥(3) 또는 피트(102)에 서서 떼어냄을 행한다. 그 후, 균형추 프레임을 승강로(100)로부터 반출한다. 이 때, 균형추(101)를 호이스트(hoist)에 의해서 매달아 올리고, 작업자는 하부 작업 바닥(3)에 서서 균형추 프레임의 반출을 행한다. 균형추(101)의 반입 및 조립은, 균형추(101)의 반입 및 해체의 반대의 순서에 의해 행한다. In this example, the landing platform 104 is a one-floor landing platform. After installing the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the weight plate is removed from the balance weight 101 and taken out of the hoistway 100. At this time, the thin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ance weight 101 is peeled off from the upper work floor 5 by the operator. The thin plat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lance weight 101 is removed from the lower work floor 3 or the pit 102 by the worker. Thereafter, the balance weight frame is taken out of the hoistway 100. At this time, the balance weight 101 is hoisted by a hoist, and the worker stands on the lower work floor 3 to carry out the balance weight frame. Bringing and assembling of the balance weights 101 ar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balance weights 10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피트(102)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1)와,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바닥(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장(104)의 높이 위치와 하부 작업 바닥(3)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 that are erected on the pit 102, Since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ember 1 and the lower working floor 3 supported by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re provided, The height position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lower work floor 3 can be more reliably aligned.

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고정부(22)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 바닥 받이 부재(2) 및 하부 작업 바닥(3)의 횡요(橫搖, 좌우 흔들림)를 억제할 수 있다.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s provided with a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1 for supporting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fixed to the elevator car guide rail 103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olling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nd the lower working floor 3.

또,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부재(1)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1)의 횡요를 억제할 수 있다. The elevator hoisting-floor working floor device is provided with the base member 6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1 adjacent to each other below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Can be suppressed.

또, 지지 부재(1)는, 높이 방향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최소로 한 상태에서 승강로(100)에 대해서 반출입 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부재(1)의 승강로(100)에 대한 반출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Since the support member 1 can be stretched or shrunk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1 can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hoistway 100 with the dimension of the support member 1 in the height direction being minimized. As a result, the supporting member 1 can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hoistway 100 more easily.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피트(102)에 복수의 지지 부재(1)를 세우는 지지 부재 설치 공정과,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지지 부재(1)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과, 바닥 부재 설치 공정 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시키는 작업 바닥 설치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장(104)의 높이 위치와 하부 작업 바닥(3)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installation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upport member installation step for installing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 on the pit 102 and the support member 1 (2) to the supporting member (1), the bottom floor receiving member (2) being adjustable in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The height position of the landing platform 104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lower work floor 3 can be more reliably matched because the work floor installation process for supporting the work floor 3 is provided.

또,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전에,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배치하여,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installation method,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s positioned at the lower floor 1 in the case where the lower work floor 3 and the landing floor 104 are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e lower receiving floor 2 and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are mounted on the guide rails 103 for the elevator car,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the landing floor 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can be easily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n the neighboring case.

실시 형태 2.Embodiment 2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지지 부재(1)와 피트(102)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높임 부재(7)와, 상부 작업 바닥(5)보다도 상부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지지되는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와,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에 지지되는 경량형 작업 바닥(9)을 더 구비하고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on members 7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 and the pit 102 and a guide rails 10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work floor 5, And a lightweight worktable 9 supported by the lightweight floor support member 8. The lightweight floor support member 8 is supported by the lightweight floor support member 8,

높임 부재(7)는, 경질 발포 스티롤(styrol)로 구성되어 있다. 높임 부재(7)는, 지지 부재(1)를 지지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높임 부재(7)는, 1단(段)에만 배치되어 있지만, 피트(102)로부터 승강장(104)까지의 거리에 맞추어, 복수단의 높임 부재(7)를 피트(102)에 배치해도 좋다. The elevating member 7 is made of rigid foamed styrol. The elevating member (7) supports the supporting member (1). In this example, the elevation member 7 is disposed at only one stage (stage), but the height member 7 at a plurality of stages may be disposed on the pit 102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pit 102 to the landing 104 May be disposed.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경량형 작업 바닥(9)의 높이 위치가, 승강장(104)보다도 상부에 있는 승강장(108)의 높이 위치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지지 부재(1)에 지지되어 있지 않다.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지지되는 바닥 받이 본체부(81)와, 바닥 받이 본체부(81)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되는 고정부(82)를 가지고 있다. 바닥 받이 본체부(81) 및 고정부(8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바닥 받이 본체부(21) 및 고정부(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light weight type bottom receiving member 8 is arranged such th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lightweight working floor 9 coincides with the height position of the landing platform 108 located above the landing 104. The lightweight bottom receiving member 8 is not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1. [ The light weight type bottom receiving member 8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81 supported by a guide rail 103 for an elevator car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s 103 fixed to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And has a fixing portion 82. The bottom receiving main body portion 81 and the fixing portion 8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ottom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1 and the fixing portion 22 in the first embodiment.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3)를 가지고 있다.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1 for supporting the lower working floor 3 and fixed to the respective bottom of the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1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103 for each elevator car And a pair of fixing portions 23 which are formed at both ends.

상부 바닥 받이 부재(4)는,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41)와, 바닥 받이 본체부(4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43)를 가지고 있다.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upper working floor 5 and fixed to the floor of the floor receiving main body portion 41 and fixed to the respectiv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And a pair of fixing portions 43 which are formed at both ends.

경량형 작업 바닥(9)은, 1매의 발판 판자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작업 바닥(3) 및 상부 작업 바닥(5)은, 경량형 작업 바닥(9)과 마찬가지로, 1매의 발판 판자로 구성되어 있다. The lightweight working floor 9 is composed of one scaffolding plate. The lower work floor 3 and the upper work floor 5 are constituted by a single screed plate, like the lightweight work floor 9.

도 6은 도 5의 고정부(2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고정부(22)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파지부(231)와, 파지부(2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232)을 가지고 있다.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23 of Fig. The fixing portion 22 includes a grip portion 231 for holding the rail body portion 105 of the guide rail 103 for an elevator ca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grip portion 231 for fixing the grip portion 231 to the first end pipe 211 And has a fixing bracket 232.

파지부(231)는, 레일 본체부(105)의 일방의 면에 접촉하는 베이스부(233)와, 레일 본체부(105)의 타방의 면에 접촉하는 보호 부재(234)와, 보호 부재(234)를 레일 본체부(105)를 향해 압압(押壓)하는 볼트(235)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233)는, 레일 본체부(105)의 일방의 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36)와, 접촉부(236)로부터 폭방향으로 떨어져 마련되며, 볼트(235)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237)와, 접촉부(236)와 볼트 지지부(237)를 연결하는 연결부(238)를 가지고 있다. 볼트 지지부(237)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235)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촉부(236)에 대해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한다. The grip portion 231 includes a base portion 233 that contacts one surface of the rail body portion 105, a protective member 234 that contacts the other surface of the rail body portion 105, 234 to the rail body portion 105. The bolts 235 are formed by pressing the bolts 235 toward the rail body portion 105. [ The base portion 233 includes a contact portion 236 contacting the one surface of the rail body portion 105 and a bolt support portion 237 provid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236 in the width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bolt 235. [ And a connecting portion 238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236 and the bolt support portion 237. [ In the bolt support portion 237, a through hole (not shown) having a screw groove is formed. The bolt 235 is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contact portion 236 by rotating.

도 7은 도 6의 보호 부재(234)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보호 부재(23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호 부재(234)는,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234)에는, 볼트(235)의 직경 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홈(239)에는, 볼트(235)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otective member 234 in Fig. 6, and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otective member 234 in Fig. The protective member 234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or iron. A groove 239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lt 235 is formed in the protective member 234. In the groove 239, the tip end of the bolt 235 is inserted.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고정부(43)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고정부(2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fixing portion 43 of the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xing portion 23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이 예에서는, 승강장(104)은, 지하 1층의 승강장, 승강장(108)은 1층의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 균형추(101)의 추판은, 하부 작업 바닥(3), 상부 작업 바닥(5) 및 경량형 작업 바닥(9)의 각각으로부터 떼어냄이 행하여진다. 균형추(101)의 균형추 프레임은, 승강장(108)으로부터 반출된다. In this example, the landing platform 104 is a landing platform on the first basement, and the landing platform 108 is a first floor platform. The thin plate of the balance weight 101 is detached from each of the lower work floor 3, the upper work floor 5 and the lightweight work floor 9. The balance weight frame of the balance weight 101 is taken out from the landing pad 10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고정부(23)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서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므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ing-floor working fl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2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ail main body 105 in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is sandwiched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there is not enough space between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and the wall 107 of the hoistway 100, the fixing part 23 is fixed to the elevator car 103 by the elevator And can be fixed to the guide rails 103 for the car.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에서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서의 고정부(23)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서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하므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ing-floor work floor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or receiving member mounting step, the fixing portion 23 of the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2 is fixed to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The fixing portion 23 is fixed to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by inserting the rail body portion 105 of the elevator car 100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xing portion 23 can be fixed to the guide rail 103 for the elevator car even when there is not enough space between the fixing portion 23 and the elevator car 107. [

또,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모양의 하부 작업 바닥(3)을 예로 설명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작업 바닥(3)에서의 승강장 출입구측 부분의 폭방향의 치수를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의 치수 보다도 작게 하여, 하부 작업 바닥(3)을 승강장(104)까지 연장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과의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working floor 3 in the form of a squar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a plan view. However, as shown in Fig. 9, the dimens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nding- May be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form entrance and the lower work floor 3 may be extended to the landing platform 104. [ Thereby, the gap between the lower work floor 3 and the landing platform 104 can be eliminated.

1 : 지지 부재
2 : 하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
3 : 하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
4 : 상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
5 : 상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
6 : 밑둥 잡이 부재 7 : 높임 부재
8 :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 9 : 경량형 작업 바닥
11 : 토대부 12 : 가동부
21 : 바닥 받이 본체부 22 : 고정부
23 : 고정부 31 : 발판 판자
32 : 밴드 41 : 바닥 받이 본체부
42 : 고정부 43 : 고정부
51 : 발판 판자 61 : 제1 단관
62 : 제2 단관 63 : 제1 직교 클램프
64 : 제2 직교 클램프 81 : 바닥 받이 본체부
82 : 고정부 100 : 승강로
101 : 균형추 102 : 피트
103 :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104 : 승강장
105 : 레일 본체부 106 : 레일 평판부
107 : 벽 108 : 승강장
211 : 제1 단관 212 : 제2 단관
213 : 제1 직교 클램프 214 : 제2 직교 클램프
221 : 지지 브라켓 222 : 클립
223 : 고정 브라켓 231 : 파지부
232 : 고정 브라켓 233 : 베이스부
234 : 보호 부재 235 : 볼트
236 : 접촉부 237 : 볼트 지지부
238 : 연결부 239 : 홈
411 : 제1 단관 412 : 제2 단관
413 : 제1 직교 클램프 414 : 제2 직교 클램프
1: Support member
2: Lower floor receiving member (floor receiving member)
3: Lower work floor (work floor)
4: upper floor receiving member (floor receiving member)
5: Upper work floor (work floor)
6: a base member 7: a height member
8: Lightweight type bottom receiving member 9: Lightweight working floor
11: toe part 12: moving part
21: bottom receiving body part 22:
23: fixing part 31: scaffolding board
32: band 41: bottom receiving body part
42: Higher government 43: Higher government
51: Scaffolding plate 61: First end
62: second end 63: first orthogonal clamp
64: second orthogonal clamp 81: bottom receiving body part
82: Fixing portion 100: Elevator
101: balance weight 102: feet
103: Guide rail for elevator car 104:
105: rail main body part 106: rail flat plate part
107: Wall 108: platform
211: first end tube 212: second end tube
213: first orthogonal clamp 214: second orthogonal clamp
221: support bracket 222: clip
223: Fixing bracket 231:
232: fixing bracket 233: base portion
234: protective member 235: bolt
236: contact portion 237: bolt support portion
238: connection 239: home
411: first end tube 412: second end tube
413: first orthogonal clamp 414: second orthogonal clamp

Claims (8)

승강로의 피트(pit)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마련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와,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 지지되는 작업 바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which are erected on a pit of the hoistway,
A floor receiving member provided over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and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ork floor supported by the floor receiv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는, 상기 작업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와, 상기 바닥 받이 본체부에 마련되며, 높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 receiving member includes a floor receiving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work floor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floor receiving main body and fixed to a guide rail for an elevator car which guides the car in a height direction Wherein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s constructed as follow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서의 레일 본체부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by sandwiching the rail body portion in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in the width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 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bottom grip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floor receiving memb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높이 방향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height direction.
승강로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피트에 복수의 지지 부재를 세우는 지지 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후,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 작업 바닥을 지지시키는 작업 바닥 설치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An elevator hoistway work installatio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n a hoistway,
A supporting member mounting step for mount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on the pit of the hoistway;
A floor receiving member mounting step of mounting a floor receiving member to the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in a height direction after the supporting member installing process;
And a work floor installation step of supporting the work floor to the floor receiving member after the floor receiving member installation step.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전에, 상기 작업 바닥과 승강장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바닥 받이 부재의 위치에 상기 바닥 받이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바닥 받이 부재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가설(假設)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loor receiv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of the floor receiving member in a case where the work floor and the landing posi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before the floor receiving member installation step and the floor receiving member for mounting the floor receiving member to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Wherein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install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hypothetical proce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에서는,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서의 고정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서의 레일 본체부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floor receiving member mounting step, the fixing portion of the floor receiving member sandwiches the rail main body portion in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fix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Wherein the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installation method comprises:
KR1020160025677A 2015-03-05 2016-03-03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KR1024659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3525 2015-03-05
JP2015043525A JP6211027B2 (en) 2015-03-05 2015-03-05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and elevator hoistway work flo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01A true KR20160108201A (en) 2016-09-19
KR102465939B1 KR102465939B1 (en) 2022-11-11

Family

ID=5684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77A KR102465939B1 (en) 2015-03-05 2016-03-03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1027B2 (en)
KR (1) KR102465939B1 (en)
CN (1) CN105937300A (en)
TW (1) TWI65799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2320A (en) * 2017-04-20 2017-06-27 中国冶集团有限公司 A kind of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hoistway cage guide installation safety
CN107879222A (en) * 2017-10-30 2018-04-06 黄丽贤 A kind of multistation elevator structure
CN109208879B (en) * 2018-09-17 2020-08-28 上海众启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Assembly type building construction platform and dis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WO2020065774A1 (en) * 2018-09-26 2020-04-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balance weight for elevators
CN109399432B (en) * 2018-11-23 2019-12-03 燕山大学 A kind of hoistway job platform that climbs certainly
CN110409839B (en) * 2019-07-27 2023-09-29 陕西鼎盛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Integrated push-pull type roof access opening construction method
CN110510543A (en) * 2019-08-14 2019-11-29 戴林涛 Mobile lift equipment
CN110790113B (en) * 2019-11-14 2021-05-28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suitable for mounting wall-attached frame of ultra-long-distance construction elevator
CN111441565A (en) * 2020-03-18 2020-07-24 航天海鹰(哈尔滨)钛业有限公司 Lifting device for limited space operation of hot isostatic pressing machine and use method
CN114150855A (en) * 2021-10-25 2022-03-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Overhanging type aluminum operation platform for elevator shaf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777A (en) 1993-08-19 1995-03-03 Olympus Optical Co Ltd Acoustic lens
JP2000038836A (en)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caffold for working in elevator's lift shaft
JP2000169060A (en) * 1998-12-04 2000-06-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passenger car instal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528A (en) * 1997-01-31 1998-08-1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Hoisting device used in elevator shaft for elevator part
JPH11301947A (en) * 1998-04-21 1999-11-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Installation device for elevator car
JP4245315B2 (en) * 2002-08-02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Moving scaffold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FI116461B (en) *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thod of installing the lift and delivery of the lift
JP5119780B2 (en) * 2007-07-20 2013-01-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existing elevator repair method
CN102031862A (en) * 2009-09-24 2011-04-27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Constructing method for high-rise building elevator shaft through elevating type safety protection steel platform
JP2012001348A (en) * 2010-06-18 2012-01-05 Hitachi Ltd Guide rail mounting implement and guide rail fixing method
CN101920876B (en) * 2010-08-20 2012-06-27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Repairing platform device for elevator pit
JP2014005124A (en) * 2012-06-26 2014-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rail bracket and guide rail fixing method by the same
JP5575851B2 (en) * 2012-07-31 2014-08-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and elevator assembly method
CN203462736U (en) * 2013-09-26 2014-03-05 重庆市南岸区建设工程施工安全监督站 Operating platform for lift shaft structural steel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777A (en) 1993-08-19 1995-03-03 Olympus Optical Co Ltd Acoustic lens
JP2000038836A (en)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caffold for working in elevator's lift shaft
JP2000169060A (en) * 1998-12-04 2000-06-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passenger car instal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1027B2 (en) 2017-10-11
TW201632450A (en) 2016-09-16
CN105937300A (en) 2016-09-14
JP2016160090A (en) 2016-09-05
KR102465939B1 (en) 2022-11-11
TWI657996B (en)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201A (en)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US6511275B2 (en) Drywall panel carrier attachable to lift platform
US5553686A (en) Installation of elevator rails in a hoistway
US20190263643A1 (en) Engine cradle
KR20130034496A (en) Clamp to prevent movement of movable workbench
JP6646893B2 (en) Elevator provided with elevator rail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elevator guide rail
JP2016050102A (en) Temporary work floor device for elevator
CN205571798U (en) Building carrier plate frame weldment work platform
CN105710582A (en) Welding workbench for floor support plate frames
WO2005007551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4226883B2 (en) Elevator counterweight lifting method
KR20170124311A (en) Formwork scaffolding bracket
JP4598454B2 (en) Crane girder / saddle assembly equipment
JP2016055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ering of guide rail in elevator
JP6555183B2 (en) Elevator elevator weight measuring device
JP7040305B2 (en) Elevator balanced weight support device and elevator balanced weight support method
KR20200097915A (en) Separation force testing apparatus for stand off
CN220408575U (en) Frock that instrument installation was used
JP2018131279A (en) Elevator guide rail centering device and elevator guide rail centering method using the same
JPH10218535A (en) Installation device for elevator door part
KR20230066836A (en) Cable tray module constructing apparatus and cable tray module cont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20160056042A (en) Asbestos removal apparatus
KR20050096908A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2000169058A (en) Hoist of elevator machine room equipment
JP2005112488A (en) Supporting device of elevator buffer and installing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